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1!2!3!4!ただいま配信CHU!
(r4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2024년 노래]]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XrosmO1bWrk)]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2 (2024)}}} || || {{{-1 '''장르'''}}} ||{{{-1 [[전파송|Denpa]]}}} || || {{{-1 '''BPM'''}}} ||{{{-1 275}}} || || {{{-1 '''작곡'''}}} ||{{{-1 [[Sobrem]]}}} || || {{{-1 '''작사'''}}} ||{{{-1 ricono[* [[KHYMΞXΛ]] 등의 보컬을 맡았고, [[STARDUST SONG]]의 작사를 담당했다.]}}} || || {{{-1 '''보컬'''}}} ||{{{-1 ricono[* 클리어 파트 담당] / 花柚(Hanayu)[* 페일 파트 담당][* Still Wood Garden 소속 성우. 산리오 캐릭터 [[코기뮹]]의 성우를 담당했고, [[大好きなぬいぐるみ]]의 보컬을 담당했다.]}}} || || {{{-1 '''BGA'''}}} ||{{{-1 [[https://x.com/Jyutpi|Jyutpi]]}}} || ||<-2> {{{#!folding [ 가사 보기 ] 1!2!3!4!ただいま配信CHU! 1!2!3!4!지금 방송 중! 最近人気の2人 최근 인기 있는 두 사람 人気の秘密はトークバトル? 인기의 비밀은 토크 배틀? 全力のぶつかり合いが 전력으로 부딪히는 모습이 なかなか癖になる!らしい 꽤나 중독된다는 소문 おっとりしたフェイル 느긋한 [[엘 페일|페일]] 元気いっぱいクレア 활기 넘치는 [[엘 클리어|클리어]] 足りないものは互いに補い合いたい←願望 부족한 것은 서로 채우고 싶어 해 ← 바람 止まらないトークで 멈추지 않는 토크로 みんなを巻き込むよ 모두를 휘말리게 해 次はこのコーナー! 다음은 이 코너! まだまだ終わらないよ! 아직 끝나지 않았어! 1!2!3!4!みんな集まれ! 1!2!3!4!모두 모여라! Hi!Hi!でこぼこツインズで Hi!Hi!울퉁불퉁한 트윈스 Hi!Hi!意見もバラバラだけど Hi!Hi!의견도 제각각이지만 2人は1人だもん! 둘은 하나야! 急上昇!バズっちゃいました!? 급상승! 화제가 되었어!? ハイスピードなトークで駆け抜けろ 고속 토크로 달려나가자 Yes!Yes!君を夢中にさせちゃうぞ Yes!Yes!너를 몰입하게 할 거야 ●LIVEが始まるよ、ON AIR! ●라이브가 시작된다, ON AIR! 今日の配信は私のトークが冴え渡ってたわね! {{{#f0b405 오늘의 방송에서는 내 토크가 빛났지?}}} そんなこと言ってコメント読み飛ばしちゃってたの誰だっけ? {{{#ff3f53 그런 말 하면서 코멘트도 안 읽은 건 누구였더라?}}} うっ!だってそれはフェイルの話が長いからじゃん! {{{#f0b405 우! 그건 페일이 너무 길게 이야기했잖아!}}} 私が悪いの!? そうだよフェイルがわるい! {{{#ff3f53 내가 잘못한 거야!?}}} {{{#f0b405 맞아 페일이 잘못했어!}}} クレアが悪い! 私が悪いわけない! {{{#ff3f53 클리어가 잘못했어!}}} {{{#f0b405 내가 잘못한 건 아니야!}}} じゃあ誰が悪いの! {{{#ff3f53 그럼 누구의 잘못이야!}}} なにを やるか {{{#f0b405 뭐라고}}} {{{#ff3f53 할 건데}}} この! ええ! {{{#f0b405 이 녀석!}}} {{{#ff3f53 뭐!?}}} うっ! もう! {{{#f0b405 우!}}} {{{#ff3f53 이런!}}} うわああああん!!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f3f53)" 으아아아앙!!}}} 一旦小休止 잠깐 휴식 いつも通りの光景かも? 항상 보던 광경인가? でも カメラ回して 그래도 카메라를 돌리고 歌を歌って ゲームにVlog 노래를 부르고 게임에 브이로그 あれもこれも Uhah、楽し忙し 이것도 저것도 우아하, 즐겁고 바빠 2人かしまし 둘이서 떠들썩하게 1!2!3!4!もっと沢山バズりたーい! 1!2!3!4!더 많이 화제 되고 싶어! Hi!Hi!知らないことだらけ Hi!Hi!모르는 것투성이 Hi!Hi!毎日ドタバタだけど Hi!Hi!매일 왔다 갔다 하지만 2人で1つの声援 (エール) 둘이서 하나의 에일(声援) 君の元へと届けたいんだ 너에게 전하고 싶어 私たち今まだまだ未完成で 우리 지금 아직은 미완성이지만 Yes!Yes!壁は高い高いそれでも Yes!Yes!벽은 높고 높지만 그래도 目指したいんだ雲の上(はい!はい!はい!) 도달하고 싶어, 구름 위로 (하이! 하이! 하이!) 辿り着くまで2人止れないんだ 도착할 때까지 둘은 멈추지 않아 ●LIVEが始まるよ、ON AIR! ●라이브가 시작된다, ON AIR! 1!2!3!4! 推したくなっちゃった? 팬이 되고 싶어졌어? Yeah また私たちに会いにきてよね! Yeah 또 우리를 만나러 와줘! [br]}}} || == 개요 == [[Sobre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DJMAX 시리즈 최초로 원제가 [[일본어]]인 악곡이며, 제목은 1! 2! 3! 4! 지금 방송 CHU![* 영제인 Streaming rn(=right now) CHU!에서 해석.]라는 뜻으로, CHU가 일본어에서 中의 음독임을 고려하면 '''지금 방송 중'''이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유저들은 스트리밍, 구츄[* 영제인 rn CHU에서 rn을 한글 자판인 구로 읽은 것.] 라는 별칭으로 부르고 있다. Sobrem은 처음 참여한 V EXTENSION 4부터 DJMAX 시리즈에 꾸준히 참전하고 있는데, 곡을 내는 족족 화제를 모으는 작곡가인만큼 이번 곡 역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DJMAX에 처음 등장하는 '''[[전파송]]''' 스타일의 곡을 투고하였는데, 마치 [[VOCALOID|보컬로이드]] 악곡이나 서브 컬쳐 등지에서 주로 보여지는, 귀엽지만 일반인이 듣기에는 다소 오글거릴 수 있는 분위기를 보여주는 곡으로, 아무리 장르 폭이 넓은 [[Sobrem]]이라도 평소에 잘 보여주지 않았던 장르인지라 상당히 이색적이라는 말이 많다.[* 다만 리듬게이머들에게 익숙한 Prim, 카메나나, 릿슈 feat.쵸코 같은 전파송 보다는 전체적으로는 Sobrem이 자주 보여준 재즈 느낌이 강하다. 이 때문에 비슷하게 재즈/펑크 계열 곡을 많이 쓴 [[Yamajet]]의 [[Sweets Holic]] 같은 곡들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는 편.] 이후 제작진이 직접 DJMAX 시리즈 최초의 전파송임을 공인하였다. 이런 귀여운 곡과 후술할 BGA와는 별개로, --[[Away(DJMAX)|전작]]에서 어지간히 참았는지-- 자유분방한 전파송 장르에 재즈를 기반으로 한 자유분방한 노래 스타일을 즐기는 Sobrem 특유의 작곡 스타일이 맞물려 엇박[* [[https://chzzk.naver.com/video/4938040]] 작곡가 라이브에 의하면 상당히 빠르고 난해한 드럼이 난이도를 높여놓은 곡인데, 막상 드럼은 정박이라고. ], 즈레, 변속 등이 난무하는 매우 까다로운 노래이다. 프리뷰 방송부터 제작진이 대놓고 패턴은 귀엽지 않을 것, [[VoidRover]]가 [[Delusion]]으로 작정하고 보스곡을 썼으나 Sobrem의 노래를 들어보면 Delusion이 보스곡이 될수 없음을 느낄 것, 보스곡은 하늘이 내리는 것, '[[Carrot Carrot|유저 분들 큰일난 거 같다]]' 등의 발언이 나온데다 5B SC 역시 작곡가인 [[Sobrem]]이 직접 제작했다는 후문 등으로 인해 '''V LIBERTY 2의 보스곡'''으로 추정되고 있었으며[* 실제로 [[TAG(작곡가)|작곡가]]가 직접 패턴을 제작한 [[Vertical Eclipse]] 5B SC가 레벨15로 나온 전례가 있다.] 실제로 출시 되자 난이도 개편 이후 [[DIE IN]][* 이곡 역시 [[Sobrem]]이 작곡([[TAK(작곡가)|TAK]]과 합작)한 곡이다.]에 이어 2번째로 전 버튼에 SC 15레벨을 받은 곡이 되었다. 실제로 곡이 공개되고 나자, '''275'''라는 무지막지한 BPM에 더불어 쉬는 파트조차 없이 계속 달리는 난해한 드럼 비트, 빼곡히 들어차 있는 칩튠 사운드 등, 쉬는 구간 없는 [[Carrot Carrot]]이란 말까지 나오면서 무시무시한 난곡이 될 것임을 예고하며 유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 BGA == BGA는 전작인 V LIBERTY에서 [[Break Out(DJMAX)|Break Out]]의 BGA를 맡았던 Jyutpi가 담당했다. BGA의 내용은 제목과 마찬가지로 [[엘 클리어|흥이]]와 [[엘 페일|망이]]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을 다룬 것으로 보이며, 전작 Break Out의 BGA가 상당히 귀여운 비주얼과 내용으로 곡의 인기를 견인하기까지 한 것은 물론, 유저들 사이에서 단골 밈과 움짤로도 사용되었던 전적이 있는 만큼 이번 곡 역시 DJMAX 커뮤니티의 밈을 잘 파악한 귀여운 BGA로 화제를 몰았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acfa58><nopad> {{{#!wiki style="margin-bottom: -1px" [[파일: 1!2!3!4!ただいま配信CHU!축전.webp|width=100%]]}}} || ||<bgcolor=#60d4ff> [[https://x.com/DJMAX_global/status/1868882540872056951|{{{#fff Jyutpi의 축전}}}]] || 이러한 곡과 BGA의 화제성 덕에, 출시 전 진행된 BGA 선공개 투표에서도 압도적으로 1위를 달성하여 선공개되었고, 전통대로 BGA를 맡은 Jyutpi가 축전 일러스트를 보내왔다. 스토리는 예상대로 [[엘 클리어|클리어]]와 [[엘 페일|페일]]이 [[인터넷 방송인]]으로 데뷔하여 좌충우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둘이 다투는 모습이 우연히 라이브에 담기게 되고, 이에 오히려 티격태격하는 케미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인기를 끌면서 시청자 수가 급상승하게 되지만, 마지막에 특별출연한 [[레나(DJMAX)|레나]]가 방송을 키기만 했는데도 흥망이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많은 후원과 채팅창 반응이 나오면서 마무리되는 결말. ~~인기의 비결이 [[가슴|설마...]]~~ [[Sweet Dream(DJMAX)|Sweet Dream]]의 세나와 루미, [[I want You(DJMAX)|I want You]]의 [[스이(DJMAX)|스이]], [[Only for you]]의 센과 지수, [[Showtime(DJMAX)|Showtime]]의 동물 4인방 등이 카메오로 찬조출연한 건 덤이다.[* 세나, 루미는 최초의 카메오 등장이며 동물 4인방의 경우 [[Over Me]] 이후 오랜만의 등장이다. 스이는 시즌 5에서, 센과 지수는 [[Tic! Tac! Toe!]]의 카메오 및 시즌6 테마, [[DRIVE(DJMAX)|DRIVE]]에서 등장한 바 있다.] 절묘하게도 이 곡이 포함된 V LIBERTY 2는 오리지널 시리즈 전체로 치면 7번째에 해당하는데, 우연의 일치로 똑같이 인터넷 방송을 주제로 진행되었던 [[DJMAX RESPECT V/시즌#s-2.2.7|시즌도 시즌 7]]이었다. 심지어 당시 스트리머로 활약한 캐릭터까지 흥이, 망이, 레나 세 명으로 똑같아 제작 과정에서 시즌 7 컨셉이 영향을 준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2)]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6054b><bgcolor=#06054b><nopad> [[파일:1! 2! 3! 4! Streaming rn CHU!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054b 50%, #5c9831)"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0% 40%, #79d916 40% 55%, transparent 55% 70%, #79d916 70% 85%, transparent 85% 100%)"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transparent 0% 44%, #06054b 44% 51%, transparent 51% 77%, #2e493e 77%, #457038 84%, transparent 84% 100%)" '''{{{#fff V LIBERTY 2}}}'''}}}}}}}}} || ||<-4>'''{{{+5 }}}{{{+2 1! 2! 3! 4! Streaming rn CHU!}}}''' || ||<rowbgcolor=#79d916,#79d916><rowcolor=#06054b,#06054b><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06054b><colcolor=#79d916>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3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1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181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9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35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190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6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9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36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224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15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41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include(틀:글무리, 둘레=3.5px, 그림자=#ff6464, 글자=#600060, 내용=15)]''' [br] {{{-5 '''213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79d916 15.5%, #06054b 15.5%)"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유저들이 출시 전 보스곡으로 나올 것을 점치긴 했지만, 예상치 못하게 '''전 버튼 SC 15레벨'''을 배정받으며 많은 화제가 되었다. 제작진이 DLC 발매 전부터 해당 곡이 보스곡이라 암시한 것을 증명하듯이, [[DIE IN]]에 이어 두 번째로 전 버튼 SC 15레벨을 배정받았다. 전 버튼 15레벨도 모자라서 6B SC는 아예 [[Nightmare(DJMAX)|Nightmare]]와 대등한 6B 최종보스곡 자리를 넘보고 있는 등 실질적인 난이도 역시 평균 난이도가 높은 V LIBERTY 2의 최종 보스곡으로 평가받는다. SC 패턴들의 특징은 '''압도적인 체급'''을 들 수 있다. 보통 리스펙트 V 하면 떠오르는 고레벨 패턴들의 특징인 일자 연타나 사이드 노트를 활용한 인식난, 5, 8버튼 특유의 기믹 패턴 요소 등을 과감하게 배제하고 275라는 압도적인 BPM에서 나오는 순수 피지컬 요구도와 휴식구간 없는 무자비한 폭타로 곡 내내 밀어붙이는 깡 피지컬 타입. 이 때문에 피지컬 요구치와 체력소모가 상당하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패턴 요소가 적어 모드 불문하고 맛있게 매운 패턴으로 호평받고 있다. 다만, 곡 내내 빠른 계단과 트릴이 무자비하게 쏟아지는 데다 군데군데 섞인 소브렘다운 즈레 때문에 퍼펙트 플레이를 노리는 유저들에게는 통곡의 벽 취급이다. 4B SC를 제외한 모든 SC 패턴의 후반부 돌입 직전[* 가사 기준 'もっと沢山バズりたーい!'에 해당하는 부분.]에 피아노음에 맞추어 불규칙한 동시치기가 등장하며, 후반부[* 가사 기준 '私たち今まだまだ未完成で'로 시작하는 부분.]에 16비트 고속 계단이 쏟아지는 것이 특징. === 4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4B TUNES)]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I7d6TTjOOu0)] ||<nopad> [youtube(1xc2FWC6DSg)]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q1_lDVDjv2o)] ||<nopad> [youtube(Wttl9MEg8n8)] || 4B SC는 16비트 폭타가 무자비하게 쏟아지는 것은 타 버튼과 비슷하지만, 타 버튼의 핵심 킬링 파트 중 하나였던 후반 고속계단이 나오지 않고 간단한 동시치기 위주로 대체되어 다른 버튼과 다르게 15레벨 중에서는 할 만한 편에 속한다. 대충 [[PUPA]] 및 [[LIMBO(EZ2ON)|LIMBO]]와 비슷한 수준. === 5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5B TUNES)]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kDkC0unAWZs)] ||<nopad> [youtube(dfigWmEVkeA)]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V7WVqhgCb7o)] ||<nopad> [youtube(g9oNqyisFm4)] || V LIBERTY 2 DLC 소개 방송에서 [[XeoN]]이 밝히길 '''5B SC를 작곡가 본인이 제작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사실이 공표됨에 따라 [[Vertical Eclipse]]와 같이 DPC 입상작이 아닌 패턴임에도 로딩 크레딧에 패턴 디자이너명이 표기되었다. 디맥 5버튼하면 생각나는 레이저 등 가변 요소를 일체 배제하고 피지컬적인 요소로 난이도를 올린 패턴이다. 가변 요소와 노트 리딩 부분을 철저히 배척하고 단순하게 만든 패턴이기 때문에 손속도에 따라 개인차가 꽤나 갈리는 패턴이지만, 요구하는 손속도가 상당히 높기에 일반적으로는 [[Vertical Eclipse]], [[Diomedes]]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받는 편. 후반부에 잠깐 나오는 [[EZ2AC]] [[BEDLAM]] 5K ONLY스러운 드르륵→부등호 계단은 디맥에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기조의 패턴이라 이 패턴에서 맥스 콤보와 퍼펙트가 막히는 유저들이 많다.[* 후에 소브렘 본인이 개인 방송에서 진짜로 EZ2 시리즈의 BEDLAM과 비슷하게 만들었다고 하며 초안에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걸 DJMAX 패턴 디자이너 팀에서도 그대로 OK하고 통과시킨 상태.] [[Sobrem]]이 2024년 12월 22일 개인 방송에서 [[https://youtu.be/H5KQOBfebbY?si=QLu6KQO_Bi4JfvkH|이 채보를 플레이했는데]], 첫 도전에 99.27%라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Vertical Eclipse#5B TUNES|본인 채보를 본인이 못 깼던 다른 작곡가]]와 대비된다-- 이후 Sobrem이 후기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본인은 13~14 정도의 난이도를 상정하고 패턴을 짰으나 제작진 측에서 난이도를 높여줄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 6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6B TUNES)]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Gzbk2XMOAew)] ||<nopad> [youtube(eT3vcX3QKWo)]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LrHbd3hj2mE)] ||<nopad> [youtube(vMaiPB19E64)] || 6B SC는 275BPM 16비트의 고속계단[* [[Hell'o]]의 24비트 고속계단보다 아주 약간 느리지만 별 차이 없다.]이 매우 자주 나오고 사이사이에 고속트릴과 겹폭타가 끼는 등 극한의 피지컬을 요구하는 채보로 등장했다. 이런 압도적인 피지컬을 요구하는 난이도 탓에 유저들 사이에선 최소 [[DIE IN]]과 동급 내지는 한 체급 위로 평가받으며, 통상 난이도 기준 16레벨급이라는 의견도 나오는 등 [[Nightmare(DJMAX)|Nightmare]]의 아성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그 결과 비공식 난이도표에서 DIE IN을 넘어 Nightmare 바로 아래인 '''16.1'''을 부여받았다. === 8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8B TUNES)] ||<tablecolor=#79d916> NM || HD || ||<rowbgcolor=#06054b><table bordercolor=#79d916><table bgcolor=#06054b><nopad> [youtube(DCreFDnxg5Y)] ||<nopad> [youtube(qBbJBJYr-dY)] || || MX || '''SC''' || ||<rowbgcolor=#06054b><nopad> [youtube(i-12_XdLIzI)] ||<nopad> [youtube(I_y_tRFTwnM)] || 8B SC는 고속계단 위주로 난이도를 올렸다는 점에서 [[BlueWhite]]와 흡사한 느낌을 주는데, 고속계단 말고도 트리거 롱노트를 잡고 123-654 드르륵 트릴, 275BPM의 16비트 트리거 트릴, 만담 파트에서는 트리거와 13-46, 2-5가 어지럽게 섞인 복합 트릴이 나오는 등 BlueWhite에 비해 계단의 복잡성 자체는 덜하나 피지컬 요구량은 더욱 상승하여 15레벨에 걸맞은 포스를 보여준다. 만담 파트를 제외하면 트리거 리딩 요구치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니고, 뭉개기 편한 패턴인지라 97~98% 정도의 스코어링에 한정해서는 15레벨 내에서 그나마 수월한 편에 속하지만, 통상 난이도인 99%+맥스 콤보부터는 8버튼 최상위권 곡들인 [[We're All Gonna Die]], [[Bamboo on Bamboo]]와 맞먹는 수준이며, 퍼펙트 난이도까지 가면 논외로 평가받는 [[DIE IN]]을 제외하면 상술한 [[BlueWhite]], [[Zero-Break]]와 더불어 8버튼 최종 보스곡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DJMAX RESPECT V/미스 BGA)]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1!2!3!4!ただいま配信CHU!, version=212, uuid=2eb86b52-d35b-47e3-bee7-8c7cbb86905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