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 오브 레전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이벤트 내용 ==== 롤의 여느 이벤트와 같이 임무 보상을 통해 레벨을 올리고, 레벨에 맞는 보상을 취득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tablewidth=100%><width=10%> 레벨 ||<width=20%> 보상 ||<width=60%> 설명 ||<width=10%> 비고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천재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무명 시절 "개인 랭크의 마왕"으로 불린 Faker 선수는 화려한 플레이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을 격파하며 단심에 인기를 얻었습니다. Faker 선수의 여정은 로스앤젤레스로 이어졌고, [[소환사의 컵]]이 걸린 극적인 결전을 치렀습니다. || ||<width=10%> 1 ||<width=20%> 2024 전설의 전당: Faker의 취임식 아이콘 ||<width=60%> Faker 선수는 2012년에 이미 한국 랭크 1위를 달성했으며, 이후 2013년 2월 [[T1|SKTelecom T1]]에 입단했습니다. ||<width=10%> || || 2 || 10승 경험치 부스트 || 2013년 4월: Faker 선수는 강팀 [[CJ 엔투스 블레이즈|Cj Entus Blaze]]를 상대로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12강#s-2.3|프로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 || || 3 || 2024 전설의 전당: 니달리의 창 아이콘 || Faker 선수는 프로 데뷔전에서 Blaze의 스타 미드 라이너였던 [[강찬용|Ambition]] 선수를 상대로 첫 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해당 레벨에선 설명에 맞는 영상 자료를 보여준다.] || || 4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는 현재의 닉네임을 사용하기 전에는 "고전파"란 닉네임으로 활동했습니다. || || || 5 ||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영원석 시리즈 1 || Faker 선수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와 자주 게임을 즐겼고, 그 영향으로 게임에 대한 애정을 키워나갔습니다. || || || 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MMR이 너무 높아 일반 게임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랭크 게임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 || || 7 || 파랑 정수 500개 || Faker 선수가 첫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에서 고른 챔피언은 바로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였습니다. || || || 8 || 마법공학 상자 || Faker 선수가 한국 랭크를 올릴 무렵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애니비아]]였습니다. || || || 9 || 주황 정수 150개 || 학창 시절 Faker 선수가 가장 좋아한 과목은 과학이었습니다. || || || 10 || 떠오른 전설 르블랑 || 2013년 4월: Faker 선수는 MVP Blue와 [[마포고등학교|학교]] 동창이었던 [[김혁규|Deft]] 선수를 상대로 르블랑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12강#s-2.7.2|불과 18분 만에 10킬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11 || 파랑 정수 250개 || 2013년 5월: Faker 선수는 Najin Shield와의 경기에서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를 처음 선보였고,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8강#s-2|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1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데뷔 첫해 11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으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13 || 르블랑 챔피언 파편 || 2013년 6월: Faker 선수는 CJ Entus Frost를 상대로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3,4위전|승리를 거둬 3위를 차지]]하며 첫 국내 시즌을 마무리 했습니다. || || || 14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가 첫 번째 프로 시즌 중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였습니다. || || || 15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3년 7월: Faker 선수는 [[DRX/리그 오브 레전드|Incredible Miracle]]과의 경기에서 [[카사딘]]을 처음 선보였고, [[HOT6 Champions Summer 2013/16강#s-4.1|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16 || 주황 정수 150개 || 2013년 8월: Faker 선수는 서머 시즌에서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2014 시즌 이전|MVP Ozone]]을 꺾으며 [[HOT6 Champions Summer 2013/4강|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의 패배를 갚았습니다.]] || || || 17 || "대체 뭐야 ?????" 감정표현 || 2013년 8월: OGN Champions Summer 결승에서 Faker 선수는 [[류상욱|Ryu]] 선수의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에 맞서 제드를 꺼내들었고, [[류또죽|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18 || 파랑 정수 500개 || Faker 선수는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Bullets]]를 상대로 역전승에 성공하며 [[HOT6 Champions Summer 2013/결승전|첫 OGN Champions 우승을 손에 넣었습니다.]] || || || 19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는 2013 OGN Champions Summer의 시즌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20 || "환술사의 엄지 척"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르블랑으로 12-0이란 기록을 달성하며 커리어의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 [* 참고로 페이커의 시그니쳐 포즈가 엄지 척이다.] || || 21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는 한국 지역 예선에서 다시 한번 경쟁자 kt Rolster Bullets를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6.5|첫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얻었습니다.]] || || || 2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3년 9월: Faker 선수는 [[Lemondogs]]와의 경기에서 리븐을 처음 선보였고,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A조#3.1.2|승리를 쟁취 했습니다.]] || || 23 || 2024 전설의 전당: 오리아나 아이콘 || Faker 선수의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는 선수 생활 통산 60회가 넘는 승리를 달성해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승리한 챔피언이 되었습니다. || || || 24 || 수수께끼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데뷔 첫해 19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을 사용했습니다. 그중 유일하게 승리하지 못한 챔피언은 럭스뿐이었죠. || || || 25 || SKT T1 제드 온전한 스킨 || 2013년 10월: Faker 선수는 로스엔젤레스에서 [[Royal Club]]을 3-0으로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결승|첫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왕조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LOL e스포츠가 성장세를 그리는 가운데, SKT T1과 Faker 선수는 국제 무대 제패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후 Faker 선수는 3년 동안 3회 연속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그러나 두 번의 우승을 차지한 후 경쟁자였던 SSG와의 승부에서 끝내 쓰라린 고배를 들이켜고 말았습니다. || ||<width=10%> 26 ||<width=20%> 주황 정수 150개 ||<width=60%> 2014년 1월: Faker 선수는 Champions Winter에서 15-0 기록을 달성하며 무패 기록으로 [[PANDORA 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두번째 국내 대회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width=10%> || || 27 || 경험치 부스트: 1일 || 2014년 1월: Faker 선수가 2회 연속 Champions 시즌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 28 || 파랑 정수 500개 || 2014년, Faker 선수는 르블랑, 야스오, 제드, 신드라, 그라가스, 리븐, 트위스티드 페이트 7명의 챔피언으로 무패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29 || 주황 정수 150개 || 2015년 1월: Faker 선수는 전 세계 팀들의 엄청난 러브콜을 거절하고 SKT에 잔류했습니다. || || || 30 || 떠오른 전설 테두리(르블랑) || 2015년 1월: Faker 선수는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NJE]]를 상대로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1주차#s-2.3|선수 생활 최초이자 유일무이한 펜타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31 || 파랑 정수 250개 || 2015년 3월: Faker 선수는 kt Rolster와의 경기에서 빅토르를 처음 선보였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8주차#s-4.3|큰 승리를 거뒀습니다.]] || || || 3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5년 5월: Faker 선수는 [[ROX Tigers/2017년 이전|Tigers]]를 꺾고 국내 대회 3회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우승을 달성했습니다.]] || || || 33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15년 6월: Faker 선수는 CJ Entus와의 경기에서 마스터 이를 처음 선보였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4주차#s-6.2|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34 || 수수께끼의 와드 스킨 || 2015년 8월: Faker 선수는 이번엔 kt Rolster를 3-0으로 꺾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LCK 연속 우승을 쟁취했습니다.]] || || || 35 || SKT T1 라이즈 온전한 스킨 || 2015년 10월: Faker 선수는 베를린에서 Tigers를 3-1로 꺾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결승|두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손에 넣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36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의 2015 월드 챔피언십 KDA는 7.3이었습니다. || || || 37 || SKT T1 라이즈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2015년 라이즈로 7-0 기록을 세워 완벽한 유종의 미를 거두었습니다. || || || 38 || 파랑 정수 500개 || 2015 월드 챔피언십을 통틀어 Faker 선수와 SKT는 단 한 번만 패배했습니다. || || || 39 || 마법공학 상자 || Faker 선수의 2015 대회 시즌 종합 승률은 80%를 넘어설 정도였습니다. || || || 40 || 브로콜리 머리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이후 팬들의 밈에 화답하여 브로콜리를 먹는 세리머니를 선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41 || 파랑 정수 250개 || 2016년 3월: Faker 선수는 IEM World Championship에서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을 꺾고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리그 오브 레전드/결승|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4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6년 4월: Faker 선수는 또 한번 Tigers를 무너뜨리며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다섯 번째 국내 대회 트로피를 가져갔습니다.]] || || || 43 || 아리 챔피언 파편 || 2016년 5월: Faker 선수는 첫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Counter Logic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CLG]]를 꺾고 [[2016 Mid-Season Invitational/결승|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44 || 르블랑 영원석 시리즈 2 || 2016년 7월: Faker 선수가 국내 플레이 통산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8주차#s-1.1|1000번째 킬을 달성했습니다.]] || || || 45 || SKT T1 신드라 온전한 스킨 || 2016년 10월: Faker 선수가 로스엔젤레스에서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를 꺾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결승|세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46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는 2016 월드 챔피언십 MVP로 선정되었으며, 빅토르로 6/2/4 기록을 세우며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 47 || 10승 경험치 부스트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삼겹살과 훠궈입니다. || || || 48 || 파랑 정수 500개 || 2017년 4월: Faker 선수는 다시 한번 결승에서 kt Rolster를 만났고, 승리를 쟁취하며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여섯 번째 국내 대회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 || || 49 || 마법공학 상자 || 2017년 10월: 월드 챔피언십 8강, Faker 선수와 SKT는 언더독이었던 [[Misfit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Misfits]]를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8강#s-4.2|아슬아슬한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 || || 50 || 2024 전설의 전당: 갈리오 아이콘 || 2017년 10월: Faker 선수의 갈리오가 맹활약을 펼치면서 SKT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4강#s-3.1|월드 챔피언십 4강에서 RNG를 꺾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고난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선수 생활을 통틀어 가장 힘겨운 패배를 당한 Faker 선수와 T1은 부진을 딛고 재건에 성공했습니다. 불사대마왕이란 칭호를 되찾기 위해 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좇았고, 매년 높아지기만 하는 시련의 벽에 전력을 다해 달려 들었습니다. || ||<width=10%> 51 ||<width=20%> 명품 상자 ||<width=60%> 2017년 11월: Faker 선수와 SKT는 베이징에서 열린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SSG에 3-0으로 패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결승|그렇게 왕조는 막을 내렸습니다.]] ||<width=10%> || || 52 || 파랑 정수 500개 || 2018년 1월: 2017 월드 챔피언십 이후, SKT는 팀 리빌딩에 심혈을 기울였고 Faker 선수 역시 새로운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 || || 53 || 신화 정수 5개 || 2018년 6월: Faker 선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합류해 [[2018 아시안 게임]]에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출전했습니다.]] || || || 54 || 주황 정수 150개 || 2018년 8월: Faker 선수는 선수 생활 최초로 국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고, 그렇게 팀 순위 7위로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LCK를 마무리했습니다.]] || || || 5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음악 장르는 클래식과 뉴에이지입니다. || || || 56 || 주황 정수 150개 || 2018년 Faker 선수에게 최고의 챔피언은 갈리오였으며, 13-6 기록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습니다. || || || 57 || 신화 정수 10개 || Faker 선수는 2018년 대회 시즌 중 28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을 기용했습니다. || || || 58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18년 Faker 선수는 아칼리, 잭스, 럼블, 아트록스, 모데카이저를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 || || || 59 || 주황 정수 300개 || 2019년 4월: Faker 선수는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을 꺾고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일곱 번째 LCK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1년 만의 첫 트로피였습니다. || || || 60 || 2024 전설의 전당: 사일러스 아이콘 || 2019년 5월: Faker 선수는 [[2019 MSI]] 무대에서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를 상대로 기적과도 같은 사일러스 플레이를 [[2019 Mid-Season Invitational/4강#s-2.2|선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6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 장르는 SF입니다. || || || 62 || 파랑 정수 500개 || 2019년 8월: Faker 선수와 SKT는 다시 한번 Griffin을 꺾고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여덟 번째 국내 대회 트로피를 가져갔습니다.]] || || || 63 || 신화 정수 5개 || 2019 LCK 서머 시즌, Faker 선수는 아지르로 9-0이란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64 || 주황 정수 150개 || 2019년 11월: Faker 선수는 또 한 번 유럽의 G2 Esports에 패해 무너지며 2019 월드 챔피언십을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4강#s-3.2|3~4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6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Faker 선수는 2019년 대회 시즌에서 리산드라로 17-1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66 || 주황 정수 150개 || 2020년 3월: Faker 선수가 국내 플레이 통산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5주차#s-5.2|2000번째 킬을 달성했습니다.]] || || || 67 || 신화 정수 10개 || 2020년 4월: Faker 선수는 국내 대회 결승에서 [[Gen.G/리그 오브 레전드|Gen.G]]를 3-0으로 격파하며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아홉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 || 68 || Hide on bush 와드 || 이젠 모르는 사람이 없는 "Hide on bush"는 Faker 선수가 한국 랭크에서 사용하는 ID입니다. || [*기억_재생] || || 69 || 주황 정수 300개 || Faker 선수가 대회 참가를 위해 방문한 여러 도시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곳은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였다고 합니다. || || || 70 || 신화 정수 25개 || 2021년 10월: 월드 챔피언십 4강, Faker 선수는 전 감독 kkOma의 [[DWG KIA|DWG]]을 상대로 5세트에 이르는 접전을 치렀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4강#s-3.1|끝내 패하고 말았습니다.]] || || || 71 || 명품 상자 || 2022년 2월: Faker 선수는 경쟁자 kt Rolster를 상대로 자신의 상징과도 같은 르블랑을 꺼내 들었고, 승리를 거머쥐며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5주차(1라운드)#s-6.1|프로 통산 1000번째 경기를 마무리했습니다.]] || || || 72 || 주황 정수 150개 || 2022년 3월: Faker 선수와 T1이 완벽한 18-0 기록을 세우며 LCK 스프링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73 || 신화 정수 5개 || 2022년 4월: LCK 결승, Faker 선수는 Gen.G에 맞서 3-1로 승리하며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국내 대회 10회 우승이란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 || || 7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상대하기 가장 재미있는 미드 라이너로 [[Chovy]] 선수를 꼽았습니다. || || || 7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22년 11월: 샌프란시스코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Faker 선수는 Deft 선수의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에 맞서 분투했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결승|결국 패배하고 말았습니다.]]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되찾은 영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풍부한 경험으로 단련된 Faker 선수는 솔로 킬 천재에서 노련한 리더로 성장했고, 팀원과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최고의 팀들을 꺾고 왕좌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누구도 Faker 선수의 앞을 가로막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 ||<width=10%> 76 ||<width=20%> 마법공학 열쇠 조각 ||<width=60%> 2023년 1월: [[제오페구케|Faker, Zeus, Oner, Gumayusi, Keria]] 선수가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목표로 2022년 팀을 재결성했습니다. ||<width=10%> || || 77 || 신화 정수 10개 || 2023년 3월: Faker 선수와 T1 선발 선수 전원이 LCK 스프링 시즌 ALL-Pro Team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선발 선수 전원이 뽑힌 것은 이번이 역대 최초였습니다. || || || 78 || 2024 전설의 전당: 계획이 다 있는 펭구 아이콘 || 게임 외적으로 Faker 선수는 환경 보호와 독서에 깊은 애정을 품고 있습니다. || [*기억_재생] || || 79 || 주황 정수 300개 || 2023년 5월: Faker 선수와 T1은 2023 MSI 하위권 대진 결승에서 [[Bilibili Gaming Pingan Bank|BLG]]에 패하며 [[2023 Mid-Season Invitational/브래킷 스테이지/하위권#s-6.1|3위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 80 || 신화 정수 25개 || 2023 MSI 기간 중 Faker 선수의 크산테는 4-0 무패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8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는 2023 시즌 중 그라가스로 7-0 기록을 세워 완벽한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8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8월: 부상으로 한 달간의 휴식을 취하고 돌아온 Faker 선수는 T1을 LCK 플레이오프로 이끌었습니다. || || || 83 || 신화 정수 5개 || 2023년 8월: 활력을 되찾은 Faker 선수와 T1은 플레이오프에서 파죽지세로 치고 올라갔으나, Gen.G에 가로막혀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2위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8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9월: Faker 선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과 함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결승전|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 || || 8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23년 10월: 새로운 스위스 스테이지 형식이 적용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2023 월드 챔피언십]], Faker 선수와 T1은 [[Team Liquid Honda|Team Liquid]]를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스위스 스테이지/1라운드#s-3.1|포문을 열었습니다.]] || || || 8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BLG를 무너뜨리며 복수에 성공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스위스 스테이지/4라운드#-4.3|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출했습니다.]] || || || 87 || 신화 정수 10개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한때의 후배였던 [[이예찬|Scout]] 선수와 [[LNG Ninebot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NG Esports]]를 격파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8강#s-4.4|월드 챔피언십 8강전을 휩쓸었습니다.]] || || || 88 || 모든 길은 내게로 통한다 감정표현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JDG Intel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JD Gaming]]과 6년 전 자신의 왕조를 끝낸 장본인, [[Ruler]] 선수에 맞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4강#s-3.2|월드 챔피언십 4강전을 치렀습니다.]] || [*기억_재생] || || 89 || 주황 정수 300개 || 2023 월드 챔피언십은 Faker 선수가 모국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치른 월드 챔피언십이기도 했습니다. || || || 90 || 2024 전설의 전당: 불사대마왕 테두리 || Faker 선수의 아지르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4강#s-3.2.2.3|골든 로드로 향하던 Ruler 선수와 JDG를 멈춰 세웠습니다.]] || || || 9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의 월드 챔피언십 결승 진출 기록은 6회로,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그 어떤 선수 보다도 많습니다. || || || 92 || 불사모자왕 감정표현 || 아리는 Faker 선수가 다섯 번째로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입니다. || || || 93 || 신화 정수 5개 || Faker 선수가 첫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출전했을 당시, T1 탑 라이너 [[최우제|Zeus]] 선수는 9살이었습니다. || || || 9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3개 || Faker 선수는 2023 월드 챔피언십 결승으로 나아갈 동안, LPL 팀을 상대로 한 다전제 경기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습니다. || || || 95 || 2024 전설의 전당: 월드 챔피언십 아이콘 || 2023년 11월: Faker 선수는 서울에서 진행된 Weibo Gaming과의 결승전에서 3-0 전승을 거두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9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3개 || 10년이 넘는 선수 생활 중 Faker 선수는 15번 넘게 주요 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 || || 97 || 신화 정수 10개 || Faker 선수가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아지르로, 통산 100회가 넘습니다. || || || 98 || 2024 전설의 전당: 떠오른 전설 미니미 르블랑 아이콘 || Faker 선수는 선수 생활 중 총 83명의 챔피언을 플레이했고, 이 기록은 계속 상승 중입니다. || || || 99 || 브로콜리 남작 || Faker 선수는 모든 선수 생활을 단 하나의 팀, [[T1/리그 오브 레전드|T1]]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 ||}}}}}}}}} || ||<-4> '''계속되는 전설...''' || ||<-4> 국내 챔피언십 우승 10회. MSI 우승 2회. 월드 챔피언십 우승 4회. 수많은 업적을 세운 Faker 선수는 역대 최고의 선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지치는 법이 없는 의지와 승리를 향한 열망이 Faker 선수를 살아있는 전설로 만들었습니다. || ||<width=10%> 100 ||<width=20%> 떠오른 전설 르블랑 (신화 등반자) ||<width=60%> 오늘, Faker 선수가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결승|다섯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노립니다. ||<width=10%> [*Faker의_편지 홀 오브 레전드 헌액과 패스 진행에 감사를 표하는 페이커의 영상편지가 재생된다.]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