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 오브 레전드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정보)]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right><bgcolor=#111111> {{{#!wiki style="margin: 15px" [[파일:롤-전설의전당-로고 크림.svg|width=90%]]}}} || ||<width=25%><colbgcolor=#000000><colcolor=#F1EAE2> '''운영주체''' ||[[라이엇 게임즈]] || || '''수여기관''' ||[[라이엇 게임즈]][br][[메르세데스-벤츠]] || || '''컬러''' ||{{{+5 {{{#111 ■}}} {{{#F1EAE2 ■}}}}}} || ||<-2><bgcolor=#fff,#1c1d1f> [[https://halloflegends.leagueoflegends.com/ko-kr/|[[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width=16&theme=light]][[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 블루.svg|width=16&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nopad>[youtube(Q0dR_cbNVQs, width=100%)]|| ||<bgcolor=#111> {{{+1 {{{#F1EAE2 ''''전설의 전당'[*전설 출범년도인 2024년에는 Hall of Legends를 직역한 '전설의 전당'으로 소개되었다.]을 소개합니다.'''}}}}}}[br]{{{-1 {{{#F1EAE2 나레이션: [[전용준|{{{#F1EAE2 전용준}}}]]}}}}}}[*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될 '선수'는 아니지만, 전용준 캐스터 역시 [[e스포츠]] 해설자 중에서는 살아 있는 전설로서 홀 오브 레전드를 소개하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 ||<bgcolor=#fff,#1c1d1f> '''지금까지 많은 선수들이 최고의 경지에 오르는 것을 지켜봤습니다. 이제, 새로운 단계가 탄생합니다. 바로 명예의 전당입니다.[br]전설의 전당[*전설]을 소개합니다. 위대함이 영원히 기록되는 곳이죠.''' || [[LoL 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명예의 전당]]. == 기준 및 투표 == >1부 리그[* LTA, LEC, LCP, LPL, LCK(현행 5대 지역 리그). TCL, OPL, 러시아, LCS, LLA, CBLOL, PCS, VCS, LJL 등 과거 1부 리그 또한 포함.] 선수로서 해당 리그에서 누적 5년 이상 활동했다면 누구나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될 수 있습니다. 현역 선수와 은퇴 선수 모두 선정 후보에 포함됩니다. 이는 현역으로 활동 중인 프로 선수가 e스포츠 및 게임에서 보여주는 활약을 기념하고 보상할 기회를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각 지역 리그를 대표하는 심사위원단과 e스포츠 커뮤니티가 국제 및 지역 성적, e스포츠 및 대회 메타에 대한 공헌도, 수상 경력 등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후보군에서 투표를 통해 헌액자를 결정합니다. == 혜택 == >홀 오브 레전드 헌액자는 업적을 기리는 트로피를 받습니다. 협곡에서 헌액된 선수를 기념하고자 게임 패스와 컬렉션을 아우르는 게임 내 이벤트도 열립니다. 팬들은 홀 오브 레전드에 입성한 선수를 축하하는 동시에 헌액자 본인과 선수 생활 중 역사적 순간을 품격 있게 반영하는 장식 콘텐츠로 팬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헌액자와 소속 팀은 판매 건마다 패스와 세트 수익의 일정 비율을 받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우승팀 스킨|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스킨]]과 유사하게, 헌액자와 소속 팀은 홀 오브 레전드 이벤트 수익의 30%를 전달받는다. [[LoL e스포츠]]의 글로벌 파트너와 협업하여 헌액자에게 선물을 주며, 초대 헌액자인 [[이상혁|페이커]]는 [[메르세데스-벤츠]]에서 특별 제작한 [[메르세데스-AMG SL]] 63을 선물받았다. == 헌액자 == === 001 - [[이상혁|Faker]]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FFF,#1c1d1f><-2><nopad>[youtube(xdfVomq3lAc)]|| ||<nopad><-2> [[파일:롤-전설의전당-001.png|width=200]]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35)] || [[이상혁|{{{#000,#e0e0e0 '''{{{+1 Faker}}}'''[br]이상혁}}}]] || || '''출생''' || [[1996년]] [[5월 7일]][*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509001617217|#]] [[음력]] 1996년 3월 20일] || || '''포지션''' ||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미드]] || || '''데뷔일''' || 2013년 4월 6일 || || '''은퇴일''' || [*ACT 현역 선수] || || '''헌액일''' || 2024년 6월 14일 || || '''역대 소속팀''' || '''[[T1/리그 오브 레전드|T1]] (2013.02.13 ~)''' || || '''주요 경력'''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 5회 {{{#Gold '''우승'''}}}, 2회 {{{#Silver '''준우승'''}}}[* 헌액 당시에는 4회 우승, 2회 준우승이었지만 [[2024 월즈]]에서 우승함으로써 우승 기록을 1회 추가했다.][br][[Mid-Season Invitational|MSI]] 2회 {{{#Gold '''우승'''}}}, 3회 {{{#Silver '''준우승'''}}}[br][[Esports World Cup|EWC]] 1회 {{{#Gold '''우승'''}}}[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AG]] {{{#Gold '''금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AG]] {{{#Silver '''은메달'''}}}[br][[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10회 {{{#Gold '''우승'''}}}, 6회 {{{#Silver '''준우승'''}}}[br][[리프트 라이벌즈|RR]] 1회 {{{#Gold '''우승'''}}}, 2회 {{{#Silver '''준우승'''}}}[br][[IEM]] 1회 {{{#Gold '''우승'''}}}[br][[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NLB]] 1회 {{{#Gold '''우승'''}}} || || '''개인 수상''' || 2013 LCK 서머 MVP[br]2013 - 2014 LCK 윈터 MVP[br]2015 LCK 서머 포스트시즌 MVP[br]2016 MSI 파이널 MVP[br]2016 Worlds MVP[br]2023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br]2023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br]2024 EWC MVP[br]2024 Worlds 파이널 MVP[br]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br]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br]LCK 올프로팀 1st 2회[* 2022 스프링, 2023 스프링.][br] LCK 올프로팀 2nd 2회[* 2022 서머, 2024 스프링.][br] LCK 올프로팀 3rd 1회[* 2020 스프링.] || ||<-2><colbgcolor=#111><colcolor=#F1EAE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정 스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2><nopad>[[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1|[[파일:ahri_Immortalizedlegend.jpg|width=100%]]]]|| ||<#111><-2>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1|{{{#F1EAE2 ''' 불멸의 전설 아리'''}}}]] || ||<width=50%><nopad>[[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파일:ahri_Risenlegend.jpg|width=100%]]]]||<width=50%><nopad>[[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파일:leblanc_Immortalizedlegend (~2025).jpg|width=100%]]]]|| ||<#111>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F1EAE2 '''떠오른 전설 아리'''}}}]] ||<#111>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F1EAE2 '''떠오른 전설 르블랑'''}}}]] ||}}}}}}}}}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111><color=#111,#F1EAE2>'''LoL 이스포츠 전설의 전당[*전설]에 입성한 Faker 선수를 환영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LoL 이스포츠와 함께 전설의 전당 제1호 헌액자를 기립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에서 전설의 전당 제1호 헌액자로 “Faker” 이상혁 선수를 맞이하게 되어 자랑스럽습니다. Faker 선수는 능통한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플레이, LoL 이스포츠에 수차례 기여한 업적, 전 세계 수백만의 팬에게 영감을 준 공로를 인정받아 전설의 전당에 오릅니다. Faker 선수는 12년이 넘는 시간에 걸쳐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과 이스포츠에 굉장한 헌신을 보여주었습니다. T1의 미드 라이너로서 활동하며 뛰어난 기술적 역량과 게임의 판도를 뒤집는 플레이를 만들어 내는 능력 덕분에 오래전부터 이름을 날렸고 ‘불사대마왕’이라는 별칭까지 얻었습니다. 개인 기량과 게임 내 지도력으로 수차례 거듭해 팀의 승리를 이끌어내면서 통산 LCK 10회 우승,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2회 우승, 월드 챔피언십 4회 우승이라는 기록을 쌓았습니다. 존 니덤 라이엇 게임즈 이스포츠 부문 최고책임자는 “Faker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이스포츠 역사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영향력 있는 인물입니다. LoL 이스포츠에서 우수함의 대명사이며 전설의 전당 최초 헌액자에 걸맞은 자격을 갖추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협곡에서 Faker 선수를 기리는 게임 내 이벤트가 열리며 팬들은 정상까지의 여정을 기념하는 특별한 장식 콘텐츠를 얻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현실과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를 융합해 Faker 선수에게 바치는 예술 작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예술 작품에는 Faker 선수의 경력에서 손꼽을 만한 위업을 리그 오브 레전드 특유의 화풍으로 조명하는 묘사가 담깁니다. 작품에서는 Faker 선수에게 주어지는 또 다른 특별한 선물인 맞춤 제작 메르세데스-AMG SL 63을 엿볼 수 있기도 합니다. 브리타 제거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경영이사회 마케팅 및 영업 총괄은 “이스포츠의 기세가 점점 커지는 가운데 메르세데스-벤츠는 모든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의 공식 자동차 협력사로서 역할을 확장해 전설의 전당에도 함께할 수 있어서 대단히 기쁩니다. Faker 선수를 최초의 헌액자로 기릴 수 있다니 더할 나위 없이 뿌듯합니다. 앞서 성공적으로 커뮤니티에 중점을 둔 행사를 진행하고 챔피언십 반지와 같은 전통을 공동으로 만든 만큼 전설의 전당은 라이엇 게임즈와 계속 이어가는 협력관계의 다음 단계라고 믿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설의 전당 게임 내 이벤트는 Faker 선수의 경력을 되짚어 보며 결정적 순간, 업적 등을 조명하는 이벤트 패스를 포함합니다! 전설의 전당 헌액 기념으로 대마왕 테마의 장식 콘텐츠, 컬렉션, 스킨을 얻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 || >[[전용준]]: 사실 페이커 선수는 떡잎부터 달랐죠. >[[성승헌]]: Mr. LoL이죠. Sir. LoL 이렇게 불러야 되나? >[[정언영|Impact]]: 얘가 게임을 잘 알았구나. 5~6년은 앞서 있구나, 생각을 많이 했어요. >[[허수(프로게이머)|ShowMaker]]: 모든 프로게이머의 우상이 되시는 분이라. >[[에퓨 데포얼테레|Sjokz]]: 제2의 페이커 선수가 나올 수 있겠냐고요? '''아뇨.''' >[[성승헌]]: 페이커 선수는 사실 되게 불편한 위치에 있어요.[br]게임만 잘하면 안 돼요. 게임'도' 잘해야 돼요.[br]팀도 이끌어야 하는데, 상징성이 있어요.[br]흔들려서도 안 돼요. 그리고 못해서도 안 돼요.[br]계속, 데뷔 이후 11년인데도. >'''듣기만 해도 불편하지 않나요?''' [[2024년]] [[5월 23일]] 00:00(KST), [[LoL e스포츠]] 공식 홈페이지 및 [[X(SNS)|X]] 계정을 통해 발표되었다. [[https://lolesports.com/article/lol-%EC%9D%B4%EC%8A%A4%ED%8F%AC%EC%B8%A0-%EC%A0%84%EC%84%A4%EC%9D%98-%EC%A0%84%EB%8B%B9%EC%97%90-%EC%9E%85%EC%84%B1%ED%95%9C-faker-%EC%84%A0%EC%88%98%EB%A5%BC-%ED%99%98%EC%98%81%ED%95%A9%EB%8B%88%EB%8B%A4/blt71dc04544f535ae0|#]] [[https://x.com/lolesports/status/1792208591719678390|#]][* 트레일러에 등장하는 인물은 순서대로 페이커, [[전용준]], [[송경호(프로게이머)|스멥]], [[이서행|쿠로]], [[마크 라몬트|캐드럴]], [[류상욱|류]], [[정언영|임팩트]], [[박재혁(1998)|룰러]], 페이커의 부친, [[에퓨 데포얼테레|샥즈]], [[허수(프로게이머)|쇼메이커]], [[라스무스 뷘터|캡스]], [[이재완|울프]], [[배준식|뱅]], [[김동하(프로게이머)|칸]], [[곽보성|비디디]], [[이민형|구마유시]], [[성승헌]]이다.] 모두의 예상대로 홀 오브 레전드의 명예로운 첫 헌액자는 [[이상혁|페이커]]로 확정되었다. 단순 우승 경력 및 누적 상금만 봐도 '''[[LoL e스포츠]] 최고의 선수'''임을 부정할 수 없고, 게임 외적으로도 페이커의 평소 행실에 대한 미담은 익히 알려져 있을 정도로 관계자들이 입을 모아 칭찬하는 훌륭한 인품의 소유자다. 실력과 인성 양면에서 찬사를 받는 페이커는 개인적으로 진행한 기부 활동도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알려졌으며, [[유니세프]]의 '페이커 패키지'를 통해 하루 만에 1억 원에 가까운 기금을 모으는 등 사회적 공헌도 역시 높다. 즉 그 누구도 이견을 제시할 수 없는 최고의 LoL 플레이어이자 [[e스포츠]]의 아이콘임과 동시에 인품과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력까지 모두 갖춘, 그야말로 홀 오브 레전드에 가장 부합하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현역 선수가 홀 오브 레전드에 선정되는 것에 다소 떨떠름해하는 반응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그런 사람들조차 페이커를 제치고 다른 누군가가 처음으로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되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분위기이다. 사실상 1, 2세대 라인의 선수가 대부분 은퇴한 상황에서 더 이상 미루기 어려웠던 홀 오브 레전드를 페이커의 4번째 월즈 우승에 맞춰 현역 선수지만 동시에 이견이 없는 최초 헌액자로서 명분을 갖추고 발족한 것이다. 당장 LoL e스포츠 역사상 최초의 [[RISE(리그 오브 레전드)|개인 헌정곡]]을 받은 [[강찬용|앰비션]]을 비롯해 초창기 프로 리그 부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최초의 슈퍼스타 [[홍민기(프로게이머)|매드라이프]],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LCS]]에서 수년간 최정상 바텀 라이너로 군림하며 리그의 수준을 올린 [[피터 펭|더블리프트]], [[League of Legends Pro League|LPL]] 데뷔 이래 은퇴 직전까지의 폼만으로는 [[역체원]] 반열에 가장 가까웠던 [[젠쯔하오|우지]], 데뷔 이후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LEC]]에서 가장 많은 트로피를 들어올린 [[폴 부아예|소아즈]] 등 헌액 대상으로는 차고 넘칠 만한 선수들이 많았음에도 홀 오브 레전드 발촉이 미뤄졌던 이유는 모두가 인정하는 [[GOAT]]인 페이커가 여전히 현역이었기 때문이다. [* 이후 페이커는 헌액된 해에 다시한번 월즈 우승을 차지하고 다음 해에는 2029년까지의 계약 연장을 발표하면서 진짜로 페이커 은퇴까지 기다렸다간 라이엇이 큰일 날 뻔 했다는 반응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첫 번째 헌정 스킨 챔피언인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는 페이커가 월즈에서 [[소환사의 컵]]을 최초로 들어올렸을 때부터 우승 스킨으로 선택될 뻔한 챔피언이다. 그러나 당시는 선수들이 우승 스킨을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페이커의 아리 스킨 선택이 반영되지 않았고[* 당시엔 지금처럼 선수들을 따로 초대해서 함께 의견을 나누는 것이 아닌, 월즈에서 플레이한 챔피언 중에 하나를 라이엇 측에서 선정해서 우승 스킨으로 만드는 식이었다. 거기에 때마침 당시 출시되었던 팝스타 아리와 겹쳤기 때문에 아리를 선택한 선수의 의중은 반영이 안 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규정은 이후 폐지되었다.], 현재의 방식대로 변경된 후인 2015년과 2016년에는 아리가 메타에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에 픽하지 못했으며 2023년에는 이미 내부적으로 홀 오브 레전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아리가 선택되지 못했다. 월즈 우승 직후 팀원들의 언급까지 나올 정도로 아리의 월즈 우승 스킨이 '''10년''' 만에 성사될 뻔했으나, 페이커가 라이엇과의 미팅 후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로 변경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아리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는 떡밥을 뿌리기도 했다. 페이커는 예전부터 아리의 스킨을 원한다는 언급을 해왔으므로 라이엇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대화를 나누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아리의 스킨은 월즈 우승 스킨보다는 홀 오브 레전드 헌액 스킨으로 만드는 것이 여러모로 더 좋을 것이라는 합의에 이르렀으리라는 추측이 충분히 가능하다.[* 홀 오브 레전드 헌액 투표 시기가 11월 초였기 때문에 페이커가 저 언급을 했던 시기는 이미 투표가 완료되어 내부적으로 이미 페이커로 결정됐을 확률이 매우 높은 상태다.] 결국 페이커는 첫 우승 당시의 소원이던 아리의 스킨을 홀 오브 레전드의 첫 헌정 챔피언이라는 영광스러운 스킨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또한 아리라는 챔피언 자체도 [[구미호#s-4.1|한국 구미호]]를 모티브로 디자인된, 페이커의 국적인 [[대한민국]]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가 런칭되는 걸 기념으로 제작된 챔피언이라[* 각 지역에서 런칭될 때 여러 챔피언들의 스킨이 추가된 적은 많았지만, 챔피언이 추가된 것은 아리가 유일하다.] 한국 유저들에게는 소위 [[국뽕]]에 취할 수 있는 첫 번째 전설이 되었다는 점도 큰 의의가 있다. 두 번째 헌정 스킨 챔피언인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은 페이커의 전성기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페이커를 대표하는 챔피언 중 하나로, 2015 시즌 AP 챔피언 최초의 펜타 킬과 '''12전 12승''' 및 2022 시즌 '''14전 14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바 있다. 게다가 40세트 이상 플레이한 챔피언 중 가장 높은 승률인 '''82%'''를 기록하고 있어 페이커의 시그니처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 아리의 경우 2023 월즈 우승 기념 스킨이 아리에서 오리아나로 변경되었을 때 페이커가 직접 개인 방송에서 팬들을 달래주며 한 발언[* "혹시 이제 또 내년에 4회 우승 기념으로 스킨 만들어줄 수도 있잖아요. 아리도 그렇고, 르블랑도 내년에 만들어줄 수도 있잖아요?"]으로 많은 사람들이 예측하고 있었다. 하지만 르블랑은 당시 아리와 함께 지나가듯 언급되었기에 아무도 신경쓰지 않고 있다가, 트레일러 막바지에 아리와 함께 모습을 드러내며 뒤늦게 많은 팬들이 반색했다. ====# 관련 영상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111><tablecolor=#F1EAE2><-3> {{{+1 '''Trailer''' }}} || ||<width=33%><nopad>[youtube(jZ75J51yI14)]||<width=33%><nopad>[youtube(upeTtEF2ioc)]||<width=33%><nopad> [youtube(h8UGJmWJGu8)] || || '''Hall of Legends: Faker Trailer''' || '''대마왕의 시험[br]불멸의 전설 아리 스킨 트레일러''' || '''대마왕의 유산[br]홀 오브 레전드 이벤트 트레일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111><tablecolor=#F1EAE2><-3> {{{+1 '''Faker's History'''}}} || ||<width=33%><nopad>[youtube(e3rkCXuFTuQ)]||<width=33%><nopad>[youtube(b4P5kBGGNBo)]||<width=33%><nopad>[youtube(ItyWn4_s0No)]|| || '''The Plays : Faker''' || '''The Words : Faker''' || '''The Numbers : Faker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111><tablecolor=#F1EAE2><-3> {{{+1 '''Dear Faker'''}}} || ||<width=33%><nopad>[youtube(44XZ_nDjaUE)]||<width=33%><nopad>[youtube(j2KdHjihCDg)]||<width=33%><nopad>[youtube(h1Me0j5wujo)]|| || '''Dear Faker''' || '''Congratulations PART1''' || '''Congratulations PART2'''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111><tablecolor=#F1EAE2><-2> {{{+1 '''Hall of Legends'''}}} || ||<width=50%><nopad>[youtube(HvW85ySTGvE)]||<width=50%><nopad>[youtube(xdfVomq3lAc)]|| || '''Pass Intro''' || '''Hall of Legends: Faker''' || ==== 이벤트 내용 ==== 롤의 여느 이벤트와 같이 임무 보상을 통해 레벨을 올리고, 레벨에 맞는 보상을 취득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tablewidth=100%><width=10%> 레벨 ||<width=20%> 보상 ||<width=60%> 설명 ||<width=10%> 비고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천재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무명 시절 "개인 랭크의 마왕"으로 불린 Faker 선수는 화려한 플레이로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을 격파하며 단심에 인기를 얻었습니다. Faker 선수의 여정은 로스앤젤레스로 이어졌고, [[소환사의 컵]]이 걸린 극적인 결전을 치렀습니다. || ||<width=10%> 1 ||<width=20%> 2024 전설의 전당: Faker의 취임식 아이콘 ||<width=60%> Faker 선수는 2012년에 이미 한국 랭크 1위를 달성했으며, 이후 2013년 2월 [[T1|SKTelecom T1]]에 입단했습니다. ||<width=10%> || || 2 || 10승 경험치 부스트 || 2013년 4월: Faker 선수는 강팀 [[CJ 엔투스 블레이즈|Cj Entus Blaze]]를 상대로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12강#s-2.3|프로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 || || 3 || 2024 전설의 전당: 니달리의 창 아이콘 || Faker 선수는 프로 데뷔전에서 Blaze의 스타 미드 라이너였던 [[강찬용|Ambition]] 선수를 상대로 첫 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해당 레벨에선 설명에 맞는 영상 자료를 보여준다.] || || 4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는 현재의 닉네임을 사용하기 전에는 "고전파"란 닉네임으로 활동했습니다. || || || 5 ||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 영원석 시리즈 1 || Faker 선수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와 자주 게임을 즐겼고, 그 영향으로 게임에 대한 애정을 키워나갔습니다. || || || 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MMR이 너무 높아 일반 게임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랭크 게임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 || || 7 || 파랑 정수 500개 || Faker 선수가 첫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에서 고른 챔피언은 바로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였습니다. || || || 8 || 마법공학 상자 || Faker 선수가 한국 랭크를 올릴 무렵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애니비아]]였습니다. || || || 9 || 주황 정수 150개 || 학창 시절 Faker 선수가 가장 좋아한 과목은 과학이었습니다. || || || 10 || 떠오른 전설 르블랑 || 2013년 4월: Faker 선수는 MVP Blue와 [[마포고등학교|학교]] 동창이었던 [[김혁규|Deft]] 선수를 상대로 르블랑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12강#s-2.7.2|불과 18분 만에 10킬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11 || 파랑 정수 250개 || 2013년 5월: Faker 선수는 Najin Shield와의 경기에서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를 처음 선보였고,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8강#s-2|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1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데뷔 첫해 11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으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13 || 르블랑 챔피언 파편 || 2013년 6월: Faker 선수는 CJ Entus Frost를 상대로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3,4위전|승리를 거둬 3위를 차지]]하며 첫 국내 시즌을 마무리 했습니다. || || || 14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가 첫 번째 프로 시즌 중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였습니다. || || || 15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3년 7월: Faker 선수는 [[DRX/리그 오브 레전드|Incredible Miracle]]과의 경기에서 [[카사딘]]을 처음 선보였고, [[HOT6 Champions Summer 2013/16강#s-4.1|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16 || 주황 정수 150개 || 2013년 8월: Faker 선수는 서머 시즌에서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2014 시즌 이전|MVP Ozone]]을 꺾으며 [[HOT6 Champions Summer 2013/4강|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의 패배를 갚았습니다.]] || || || 17 || "대체 뭐야 ?????" 감정표현 || 2013년 8월: OGN Champions Summer 결승에서 Faker 선수는 [[류상욱|Ryu]] 선수의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에 맞서 제드를 꺼내들었고, [[류또죽|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18 || 파랑 정수 500개 || Faker 선수는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Bullets]]를 상대로 역전승에 성공하며 [[HOT6 Champions Summer 2013/결승전|첫 OGN Champions 우승을 손에 넣었습니다.]] || || || 19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는 2013 OGN Champions Summer의 시즌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20 || "환술사의 엄지 척"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르블랑으로 12-0이란 기록을 달성하며 커리어의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 [* 참고로 페이커의 시그니쳐 포즈가 엄지 척이다.] || || 21 || 파랑 정수 250개 || Faker 선수는 한국 지역 예선에서 다시 한번 경쟁자 kt Rolster Bullets를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6.5|첫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얻었습니다.]] || || || 2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3년 9월: Faker 선수는 [[Lemondogs]]와의 경기에서 리븐을 처음 선보였고,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A조#3.1.2|승리를 쟁취 했습니다.]] || || 23 || 2024 전설의 전당: 오리아나 아이콘 || Faker 선수의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는 선수 생활 통산 60회가 넘는 승리를 달성해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승리한 챔피언이 되었습니다. || || || 24 || 수수께끼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데뷔 첫해 19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을 사용했습니다. 그중 유일하게 승리하지 못한 챔피언은 럭스뿐이었죠. || || || 25 || SKT T1 제드 온전한 스킨 || 2013년 10월: Faker 선수는 로스엔젤레스에서 [[Royal Club]]을 3-0으로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결승|첫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왕조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LOL e스포츠가 성장세를 그리는 가운데, SKT T1과 Faker 선수는 국제 무대 제패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후 Faker 선수는 3년 동안 3회 연속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그러나 두 번의 우승을 차지한 후 경쟁자였던 SSG와의 승부에서 끝내 쓰라린 고배를 들이켜고 말았습니다. || ||<width=10%> 26 ||<width=20%> 주황 정수 150개 ||<width=60%> 2014년 1월: Faker 선수는 Champions Winter에서 15-0 기록을 달성하며 무패 기록으로 [[PANDORA 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두번째 국내 대회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width=10%> || || 27 || 경험치 부스트: 1일 || 2014년 1월: Faker 선수가 2회 연속 Champions 시즌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 28 || 파랑 정수 500개 || 2014년, Faker 선수는 르블랑, 야스오, 제드, 신드라, 그라가스, 리븐, 트위스티드 페이트 7명의 챔피언으로 무패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29 || 주황 정수 150개 || 2015년 1월: Faker 선수는 전 세계 팀들의 엄청난 러브콜을 거절하고 SKT에 잔류했습니다. || || || 30 || 떠오른 전설 테두리(르블랑) || 2015년 1월: Faker 선수는 [[나진 e-mFire/리그 오브 레전드|NJE]]를 상대로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1주차#s-2.3|선수 생활 최초이자 유일무이한 펜타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31 || 파랑 정수 250개 || 2015년 3월: Faker 선수는 kt Rolster와의 경기에서 빅토르를 처음 선보였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8주차#s-4.3|큰 승리를 거뒀습니다.]] || || || 3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5년 5월: Faker 선수는 [[ROX Tigers/2017년 이전|Tigers]]를 꺾고 국내 대회 3회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우승을 달성했습니다.]] || || || 33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15년 6월: Faker 선수는 CJ Entus와의 경기에서 마스터 이를 처음 선보였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4주차#s-6.2|승리를 쟁취했습니다.]] || || || 34 || 수수께끼의 와드 스킨 || 2015년 8월: Faker 선수는 이번엔 kt Rolster를 3-0으로 꺾고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LCK 연속 우승을 쟁취했습니다.]] || || || 35 || SKT T1 라이즈 온전한 스킨 || 2015년 10월: Faker 선수는 베를린에서 Tigers를 3-1로 꺾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결승|두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손에 넣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36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의 2015 월드 챔피언십 KDA는 7.3이었습니다. || || || 37 || SKT T1 라이즈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2015년 라이즈로 7-0 기록을 세워 완벽한 유종의 미를 거두었습니다. || || || 38 || 파랑 정수 500개 || 2015 월드 챔피언십을 통틀어 Faker 선수와 SKT는 단 한 번만 패배했습니다. || || || 39 || 마법공학 상자 || Faker 선수의 2015 대회 시즌 종합 승률은 80%를 넘어설 정도였습니다. || || || 40 || 브로콜리 머리 감정표현 || Faker 선수는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이후 팬들의 밈에 화답하여 브로콜리를 먹는 세리머니를 선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41 || 파랑 정수 250개 || 2016년 3월: Faker 선수는 IEM World Championship에서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을 꺾고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리그 오브 레전드/결승|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4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16년 4월: Faker 선수는 또 한번 Tigers를 무너뜨리며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다섯 번째 국내 대회 트로피를 가져갔습니다.]] || || || 43 || 아리 챔피언 파편 || 2016년 5월: Faker 선수는 첫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Counter Logic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CLG]]를 꺾고 [[2016 Mid-Season Invitational/결승|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44 || 르블랑 영원석 시리즈 2 || 2016년 7월: Faker 선수가 국내 플레이 통산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8주차#s-1.1|1000번째 킬을 달성했습니다.]] || || || 45 || SKT T1 신드라 온전한 스킨 || 2016년 10월: Faker 선수가 로스엔젤레스에서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를 꺾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결승|세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46 || 주황 정수 150개 || Faker 선수는 2016 월드 챔피언십 MVP로 선정되었으며, 빅토르로 6/2/4 기록을 세우며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 47 || 10승 경험치 부스트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삼겹살과 훠궈입니다. || || || 48 || 파랑 정수 500개 || 2017년 4월: Faker 선수는 다시 한번 결승에서 kt Rolster를 만났고, 승리를 쟁취하며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여섯 번째 국내 대회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 || || 49 || 마법공학 상자 || 2017년 10월: 월드 챔피언십 8강, Faker 선수와 SKT는 언더독이었던 [[Misfit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Misfits]]를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8강#s-4.2|아슬아슬한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 || || 50 || 2024 전설의 전당: 갈리오 아이콘 || 2017년 10월: Faker 선수의 갈리오가 맹활약을 펼치면서 SKT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4강#s-3.1|월드 챔피언십 4강에서 RNG를 꺾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고난의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선수 생활을 통틀어 가장 힘겨운 패배를 당한 Faker 선수와 T1은 부진을 딛고 재건에 성공했습니다. 불사대마왕이란 칭호를 되찾기 위해 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좇았고, 매년 높아지기만 하는 시련의 벽에 전력을 다해 달려 들었습니다. || ||<width=10%> 51 ||<width=20%> 명품 상자 ||<width=60%> 2017년 11월: Faker 선수와 SKT는 베이징에서 열린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SSG에 3-0으로 패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결승|그렇게 왕조는 막을 내렸습니다.]] ||<width=10%> || || 52 || 파랑 정수 500개 || 2018년 1월: 2017 월드 챔피언십 이후, SKT는 팀 리빌딩에 심혈을 기울였고 Faker 선수 역시 새로운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 || || 53 || 신화 정수 5개 || 2018년 6월: Faker 선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합류해 [[2018 아시안 게임]]에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출전했습니다.]] || || || 54 || 주황 정수 150개 || 2018년 8월: Faker 선수는 선수 생활 최초로 국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고, 그렇게 팀 순위 7위로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LCK를 마무리했습니다.]] || || || 5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음악 장르는 클래식과 뉴에이지입니다. || || || 56 || 주황 정수 150개 || 2018년 Faker 선수에게 최고의 챔피언은 갈리오였으며, 13-6 기록으로 한 해를 마무리했습니다. || || || 57 || 신화 정수 10개 || Faker 선수는 2018년 대회 시즌 중 28명의 서로 다른 챔피언을 기용했습니다. || || || 58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18년 Faker 선수는 아칼리, 잭스, 럼블, 아트록스, 모데카이저를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 || || || 59 || 주황 정수 300개 || 2019년 4월: Faker 선수는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을 꺾고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일곱 번째 LCK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1년 만의 첫 트로피였습니다. || || || 60 || 2024 전설의 전당: 사일러스 아이콘 || 2019년 5월: Faker 선수는 [[2019 MSI]] 무대에서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를 상대로 기적과도 같은 사일러스 플레이를 [[2019 Mid-Season Invitational/4강#s-2.2|선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6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 장르는 SF입니다. || || || 62 || 파랑 정수 500개 || 2019년 8월: Faker 선수와 SKT는 다시 한번 Griffin을 꺾고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여덟 번째 국내 대회 트로피를 가져갔습니다.]] || || || 63 || 신화 정수 5개 || 2019 LCK 서머 시즌, Faker 선수는 아지르로 9-0이란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64 || 주황 정수 150개 || 2019년 11월: Faker 선수는 또 한 번 유럽의 G2 Esports에 패해 무너지며 2019 월드 챔피언십을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4강#s-3.2|3~4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6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Faker 선수는 2019년 대회 시즌에서 리산드라로 17-1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66 || 주황 정수 150개 || 2020년 3월: Faker 선수가 국내 플레이 통산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5주차#s-5.2|2000번째 킬을 달성했습니다.]] || || || 67 || 신화 정수 10개 || 2020년 4월: Faker 선수는 국내 대회 결승에서 [[Gen.G/리그 오브 레전드|Gen.G]]를 3-0으로 격파하며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아홉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 || 68 || Hide on bush 와드 || 이젠 모르는 사람이 없는 "Hide on bush"는 Faker 선수가 한국 랭크에서 사용하는 ID입니다. || [*기억_재생] || || 69 || 주황 정수 300개 || Faker 선수가 대회 참가를 위해 방문한 여러 도시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곳은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였다고 합니다. || || || 70 || 신화 정수 25개 || 2021년 10월: 월드 챔피언십 4강, Faker 선수는 전 감독 kkOma의 [[DWG KIA|DWG]]을 상대로 5세트에 이르는 접전을 치렀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4강#s-3.1|끝내 패하고 말았습니다.]] || || || 71 || 명품 상자 || 2022년 2월: Faker 선수는 경쟁자 kt Rolster를 상대로 자신의 상징과도 같은 르블랑을 꺼내 들었고, 승리를 거머쥐며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5주차(1라운드)#s-6.1|프로 통산 1000번째 경기를 마무리했습니다.]] || || || 72 || 주황 정수 150개 || 2022년 3월: Faker 선수와 T1이 완벽한 18-0 기록을 세우며 LCK 스프링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73 || 신화 정수 5개 || 2022년 4월: LCK 결승, Faker 선수는 Gen.G에 맞서 3-1로 승리하며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국내 대회 10회 우승이란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 || || 7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Faker 선수는 상대하기 가장 재미있는 미드 라이너로 [[Chovy]] 선수를 꼽았습니다. || || || 7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22년 11월: 샌프란시스코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Faker 선수는 Deft 선수의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에 맞서 분투했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결승|결국 패배하고 말았습니다.]]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되찾은 영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풍부한 경험으로 단련된 Faker 선수는 솔로 킬 천재에서 노련한 리더로 성장했고, 팀원과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최고의 팀들을 꺾고 왕좌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누구도 Faker 선수의 앞을 가로막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 ||<width=10%> 76 ||<width=20%> 마법공학 열쇠 조각 ||<width=60%> 2023년 1월: [[제오페구케|Faker, Zeus, Oner, Gumayusi, Keria]] 선수가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목표로 2022년 팀을 재결성했습니다. ||<width=10%> || || 77 || 신화 정수 10개 || 2023년 3월: Faker 선수와 T1 선발 선수 전원이 LCK 스프링 시즌 ALL-Pro Team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선발 선수 전원이 뽑힌 것은 이번이 역대 최초였습니다. || || || 78 || 2024 전설의 전당: 계획이 다 있는 펭구 아이콘 || 게임 외적으로 Faker 선수는 환경 보호와 독서에 깊은 애정을 품고 있습니다. || [*기억_재생] || || 79 || 주황 정수 300개 || 2023년 5월: Faker 선수와 T1은 2023 MSI 하위권 대진 결승에서 [[Bilibili Gaming Pingan Bank|BLG]]에 패하며 [[2023 Mid-Season Invitational/브래킷 스테이지/하위권#s-6.1|3위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 80 || 신화 정수 25개 || 2023 MSI 기간 중 Faker 선수의 크산테는 4-0 무패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8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는 2023 시즌 중 그라가스로 7-0 기록을 세워 완벽한 기록을 세웠습니다. || || || 82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8월: 부상으로 한 달간의 휴식을 취하고 돌아온 Faker 선수는 T1을 LCK 플레이오프로 이끌었습니다. || || || 83 || 신화 정수 5개 || 2023년 8월: 활력을 되찾은 Faker 선수와 T1은 플레이오프에서 파죽지세로 치고 올라갔으나, Gen.G에 가로막혀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2위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 8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9월: Faker 선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과 함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결승전|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 || || 85 || 2024 전설의 전당이라구 || 2023년 10월: 새로운 스위스 스테이지 형식이 적용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2023 월드 챔피언십]], Faker 선수와 T1은 [[Team Liquid Honda|Team Liquid]]를 꺾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스위스 스테이지/1라운드#s-3.1|포문을 열었습니다.]] || || || 8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BLG를 무너뜨리며 복수에 성공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스위스 스테이지/4라운드#-4.3|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로 진출했습니다.]] || || || 87 || 신화 정수 10개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한때의 후배였던 [[이예찬|Scout]] 선수와 [[LNG Ninebot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NG Esports]]를 격파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8강#s-4.4|월드 챔피언십 8강전을 휩쓸었습니다.]] || || || 88 || 모든 길은 내게로 통한다 감정표현 || 2023년 10월: Faker 선수는 [[JDG Intel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JD Gaming]]과 6년 전 자신의 왕조를 끝낸 장본인, [[Ruler]] 선수에 맞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4강#s-3.2|월드 챔피언십 4강전을 치렀습니다.]] || [*기억_재생] || || 89 || 주황 정수 300개 || 2023 월드 챔피언십은 Faker 선수가 모국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치른 월드 챔피언십이기도 했습니다. || || || 90 || 2024 전설의 전당: 불사대마왕 테두리 || Faker 선수의 아지르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4강#s-3.2.2.3|골든 로드로 향하던 Ruler 선수와 JDG를 멈춰 세웠습니다.]] || || || 91 || 명품 상자 || Faker 선수의 월드 챔피언십 결승 진출 기록은 6회로,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그 어떤 선수 보다도 많습니다. || || || 92 || 불사모자왕 감정표현 || 아리는 Faker 선수가 다섯 번째로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입니다. || || || 93 || 신화 정수 5개 || Faker 선수가 첫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출전했을 당시, T1 탑 라이너 [[최우제|Zeus]] 선수는 9살이었습니다. || || || 94 || 마법공학 열쇠 조각 3개 || Faker 선수는 2023 월드 챔피언십 결승으로 나아갈 동안, LPL 팀을 상대로 한 다전제 경기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습니다. || || || 95 || 2024 전설의 전당: 월드 챔피언십 아이콘 || 2023년 11월: Faker 선수는 서울에서 진행된 Weibo Gaming과의 결승전에서 3-0 전승을 거두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96 || 마법공학 열쇠 조각 3개 || 10년이 넘는 선수 생활 중 Faker 선수는 15번 넘게 주요 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 || || 97 || 신화 정수 10개 || Faker 선수가 가장 많이 플레이한 챔피언은 아지르로, 통산 100회가 넘습니다. || || || 98 || 2024 전설의 전당: 떠오른 전설 미니미 르블랑 아이콘 || Faker 선수는 선수 생활 중 총 83명의 챔피언을 플레이했고, 이 기록은 계속 상승 중입니다. || || || 99 || 브로콜리 남작 || Faker 선수는 모든 선수 생활을 단 하나의 팀, [[T1/리그 오브 레전드|T1]]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 ||}}}}}}}}} || ||<-4> '''계속되는 전설...''' || ||<-4> 국내 챔피언십 우승 10회. MSI 우승 2회. 월드 챔피언십 우승 4회. 수많은 업적을 세운 Faker 선수는 역대 최고의 선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지치는 법이 없는 의지와 승리를 향한 열망이 Faker 선수를 살아있는 전설로 만들었습니다. || ||<width=10%> 100 ||<width=20%> 떠오른 전설 르블랑 (신화 등반자) ||<width=60%> 오늘, Faker 선수가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결승|다섯 번째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노립니다. ||<width=10%> [*Faker의_편지 홀 오브 레전드 헌액과 패스 진행에 감사를 표하는 페이커의 영상편지가 재생된다.] || ==== 스킨 가격 관련 ==== 홀 오브 레전드의 위상과 스킨의 퀄리티와는 별개로, 첫 헌액자인 [[이상혁|페이커]]의 컬렉션인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1|불멸의 전설 아리]]의 가격이 32430RP(약 30만 원), 후술할 시그니처 버전의 가격이 59260RP(약 50만 원)으로 책정되어 국내외에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우선 이러한 가격 책정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은 '페이커의 팬심을 드러내고픈 하드 코어 팬층을 겨냥해 애초에 살 사람만 사도록 만든 명품과 비슷한 것이니 형편에 맞는 패키지를 사면 된다'라는 의견이다. 실제로 가장 싼 가격인 떠오른 전설 르블랑의 패스 가격은 1950RP(약 2만 원대)이고, 스킨만 원한다면 5430RP(약 5만 원대)의 떠오른 전설 아리 스킨이 있다. 한정 아이콘 및 감정 표현, Hide on Bush 와드 등의 상품이 포함된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의 패키지 또한 제공하는 만큼 팬심 기반의 [[굿즈]]가 아닌 상품이 필요한 사람은 이쪽을 선택하면 된다는 것. 이와 비슷하게 '페이커의 10년간의 커리어와 팬에게 준 즐거움에 비하면 50만 원도 납득하겠다'라는 등의 의견도 있다. 즉 이 세트를 팬심을 기반으로 제작된 명품 내지는 굿즈라 생각하면 실제로 다른 종목의 스포츠 스타나, 아이돌 등의 굿즈 가격 중에는 수십만 원이 넘는 것들도 많으니 [[e스포츠]]라고 해서 이러한 가격이 어색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러한 가격 책정에 반발하는 입장의 의견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상품 구성에 비해 과도한 가격''' 일반적인 초월급 스킨의 가격이 3250RP인 것을 고려하면 스킨 3개와 아이콘, 감정 표현 등이 포함된 패키지의 가격이 32430RP / 59260RP인 것은 구성에 비해 과하다. 불멸의 전설 아리의 퀄리티가 초월급 스킨 이상인 것은 인정하지만, 가격 역시 초월급 스킨보다 조금 더 비싼 수준에서 머물러야지 몇 배 이상 뛰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다. 심지어 글로벌 통일 가격이기에 그나마 북미나 대한민국 같은 구매력이 있는 나라에서는 좀 나은 편이지 동남아시아나 남미 쪽으로 넘어가면 체감 가격은 훨씬 더 비싸다.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는 해당 스킨을 사려면 2단계 패스만 해도 (최저 시급 기준) 한 달 월급을 그대로 다시 내야 하고, 가장 비싼 패키지는 1.5달 월급에 준하는 가격이다. 한국 체감 물가로 비교하면 스킨을 사려고 2단계 패스 200만 원, 3단계 패스에 300만 원에 달하는 가격을 지불해야만 하는 꼴이다. * '''끼워 팔기''' 많은 이들이 원하는 '페이커 사인 포탑 파괴 효과'나 '쉿' 특별 감정 표현은 59260RP대라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의 패키지에만 들어 있다. 또 이 두 효과는 따로 장착하는 치장템이 아닌 스킨에 종속되어 있는 효과라 떠오른 전설 아리 및 르블랑을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조차 없기에, 이 효과만을 원한다 해도 반드시 최고 가격의 패키지를 구매해야 한다. 아리나 르블랑을 사용하지 않는 유저들도 페이커를 기념할 수 있도록 포탑 파괴 효과나 쉿 감정 표현을 스킨과 분리하여 별도 치장템으로 판매하기만 했어도 논란이 상당수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 '''한정 판매''' 판매 방식 역시 '판매 기간이 끝나면 관련 상품의 재판매 및 재조합도 없을 것'이라 라이엇이 못박아버린 상태인데, '명예의 전당이 특정 선수를 인게임에서 "영구적으로" 기억하고 축하하기 위해서 만든 건데 정작 그 스킨은 특정 기간 동안만 얻을 수 있고 이후엔 절대로 구할 수 없다는 건 모순 아니냐'라는 지적이다. * '''스킨 판매 수익의 30%가 팀과 선수에게 돌아감''' 당장 페이커의 경우는 아직 현역인 데다 [[원 클럽 플레이어]]라서 아무런 문제 없이 소속 팀과 나눌 수 있지만, 사실 페이커가 특이 케이스인 거고 다음 홀 오브 레전드에 등록될 선수는 대부분 은퇴한 상태일 텐데 이 경우엔 수익 분배를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반응이 많다. [[김혁규|데프트]], [[한왕호|피넛]]처럼 [[저니맨|선수 생활 내내 여러 팀을 옮겨 다닌 선수]]나 소속 팀이 해체된 선수, 선수를 상징하는 팀과 은퇴 시점 소속 팀이 다른 선수 등 여러 케이스가 있는데, 만약 다음 홀 오브 레전드 등록 선수가 이런 케이스라면 어느 팀에 수익을 어떻게 분배할 것이냐는 문제로 골머리가 아플 것이며 그렇다고 다음 선수부터는 팀과 수익을 나누지 않고 수익을 선수 본인만 가져간다면 '그럼 페이커는 왜 팀에 수익을 뺏겨야 했냐'로 논란이 될 것이다.[* MLB 명예의 전당의 사례를 보면, 여러 팀에서 활약한 선수의 경우 선수 본인이 원하는 팀의 모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다만, 특정 팀과의 금전적 계약을 통해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을 내릴 경우 사무국에서 임의로 모자를 변경한다.] 실제로 다음 헌액자인 우지는 자신의 커리어 전성기를 상징하는 소속팀인 RNG와 계약 관련으로 법적 분쟁 중이다. * '''실물 특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가격과 별개로 전부 롤을 직접 플레이하는 사람에게만 의미가 있는 인게임 아이템이며, 특히 대부분은 아리나 르블랑을 사용하는 사람들만 완전히 활용할 수 있는 상품이기에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LoL e스포츠]]도 기성 스포츠들과 유사하게 프로 경기는 보지만 실제 게임을 하지는 않는 팬층의 규모도 이제는 결코 적지 않아졌고, 특히 페이커 개인의 팬일 뿐 롤 자체에는 큰 관심은 없는 이들도 상당히 많다. 이런 팬층까지 고려해서 실물이 포함된 구성이 있었어도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비슷하게 2020 [[담원 게이밍/리그 오브 레전드|담원]] 월즈 우승 스킨 세트나 2022 DRX 월즈 우승 스킨 세트 같은 경우에도 몇십만 원에 달하는 가격이었지만, 해당 상품은 [[장패드]]나 [[바람막이]] 같은 실물 굿즈가 포함되어 있어 롤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굿즈를 노리고 구매하는 팬도 여럿 있었다.] 사실 팬들 입장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이유보다도, 페이커와 명예의 전당을 그저 한탕 장사,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감성적인 영역에서 오는 반발이 더 큰 상황이다.[* 물론 그런 사람 중에도 객관적으로 가격 대비 구성품이 충분하다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아리나 르블랑 유저가 아니어서 스킨이 꼭 필요하지 않더라도 순수하게 축하해주고, 기쁜 마음으로 사며 기념하고 싶었는데 파격적인 가격과 끼워 팔기, 한정 판매 등 대놓고 상술인 게 보이니 '모두의 축제인 줄 알았는데 VIP 라운지였다'라는 의견처럼 실망스럽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페이커 본인부터가 인게임에서 스킨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로 유명하고, 개인 성품 또한 검소한 편인데 이런 선수를 기리는 스킨 패키지의 가격이 50만 원 가량인 것이 아이러니하다는 반응도 있다. 결론적으로 이걸 헌액이라고 불러야 할지, 라이엇이 그저 페이커의 이름을 라이선스비를 주고 사용하는 상품일 뿐인지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페이커의 스킨을 이 정도 가격으로 팔아도 논란이 발생하는데, 과연 훗날 홀 오브 레전드에 등록될 다른 선수들의 패키지도 페이커와 동급의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이 회의감을 표하고 있다. 앞으로 거론될 선수들 중에서는 은퇴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나 팬덤이 약해진 선수들이나 롤의 인기가 높지 않은 지역에 속한 선수들도 많다. 당장 롤이 가장 흥행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인 한국만 봐도 자국 팀 외에는 별 관심이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선수는 페이커뿐이라는 점에서 홀 오브 레전드가 지속 가능한 콘텐츠인지 의문을 표하는 의견도 많다. 홀 오브 레전드가 그저 정말로 선수의 헌액을 위해서 존재한다면 모를까 라이엇이 보여준 행보로는 홀 오브 레전드를 새로운 수익 구조로 여기고 있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수익이 나오지 않는다면 컨텐츠가 중단되거나 간소화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 그렇다고 가격대를 다르게 설정하면 형평성에 어긋나기에 다른 방식의 수익 모델이 필요하다는 지적 또한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반발로 해외 지역에서는 비싼 스킨을 사봤자 아리를 쓸 수 없도록 밴을 하자는 '아리 보이콧 운동' 또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홀 오브 레전드가 출시된 패치 직후에 아리의 전체 밴율은 9%에서 15%로 증가했는데, 특히 유럽이나 북미에서는 매우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때문에 성능 개선이 하나도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북미와 유럽의 티어 등급 통계가 튀어오르는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했다. 공식 스킨 프리뷰 채널인 Skinspotlights나 정보를 정리하는 공식 매체에 근접한 유저들 또한 너무 높게 책정된 가격을 지적하는 의미인지 불멸의 전설 아리를 '500$(500달러) 아리'로 간소화시켜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스킨 가격 책정에 관해 현 라이엇 총괄 프로듀서 안드레이 반 룬이 [[레딧]]에 글을 남겼다. [[https://old.reddit.com/r/leagueoflegends/comments/1ddga6w/gameplay_esports_arcane_dev_update_league_of/l84pmy8/|#]] 요약하자면 "e스포츠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새로운 방안을 찾았다. 비교적 저렴한 패스 또한 준비되어 있다. 반대로 매우 독점적이고 특별한 상품을 원하는 유저들을 위해 비싼 가격의 패키지도 준비했다." 정도이다. 다만 좋아요에 비해 1100개 이상의 싫어요가 박히는 등 유저들의 반응은 매우 좋지 못한 상황이다. === 002 - [[젠쯔하오|Uzi]]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FFF,#1c1d1f><-2><nopad>[youtube(LwYOQl1vptg)]|| ||<nopad><-2> [[파일:롤-홀오브레전드-002.png|width=200]]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35)] || [[젠쯔하오|{{{#000,#e0e0e0 '''{{{+1 Uzi}}}'''[br]简自豪 | 젠쯔하오}}}]] || || '''출생''' || [[1997년]] [[4월 5일]] || || '''포지션''' || [[바텀(리그 오브 레전드)|바텀]] || || '''데뷔일''' || 2012년 11월 19일 || || '''은퇴일''' || [*NR 은퇴 비선언자] || || '''헌액일''' || 2025년 6월 11일 || || '''역대 소속팀''' || '''[[Star Horn Royal Club]] (2012.10.08 ~ 2014.12.11)'''[br][[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h My God]] (2014.12.11 ~ 2015.12.14)[br][[Newbee/리그 오브 레전드|Qiao Gu Reapers]] (2015.12.14 ~ 2016.05.16)[br]'''[[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2016.05.16 ~ 2020.06.03)'''[br][[Bilibili Gaming DreamSmart|Bilibili Gaming Pingan Bank]] (2021.12.15 ~ 2022.06.02)[br][[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Hycan]] (2023.06.10 ~ 2023.12.15) || || '''주요 경력'''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 2회 {{{#Silver '''준우승'''}}}[br][[Mid-Season Invitational|MSI]] 1회 {{{#Gold '''우승'''}}}[br][[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AG]] {{{#Gold '''금메달'''}}}[br][[League of Legends Pro League|LPL]] 2회 {{{#Gold '''우승'''}}}, 4회 {{{#Silver '''준우승'''}}}[br][[리프트 라이벌즈|RR]] 1회 {{{#Gold '''우승'''}}} || || '''개인 수상''' || 2014 LPL 어워드 MVP[br]2014 LPL 어워드 베스트 ADC[br]2017 LPL 어워드 베스트 ADC[br] 2018 LPL 스프링 파이널 MVP[br] 2018 MSI 파이널 MVP[br] 2018 LPL 서머 파이널 MVP[br] 2018 LPL 어워드 베스트 ADC[br] 2019 LPL 어워드 베스트 ADC[br] LPL 올프로팀 1st 2회[*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br] LPL 올프로팀 2nd 2회[* 2018 서머, 2019 서머][br] LPL 올프로팀 3rd 1회[* 2019 스프링][br] LPL 위대한 선수 10인 || ||<-2><colbgcolor=#111><colcolor=#F1EAE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정 스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2><nopad>[[카이사/스킨#s-3.11.1|[[파일:kaisa_ImmortalizedLegend.jpg|width=100%]]]]|| ||<#111><-2> [[카이사/스킨#s-3.11.1|{{{#F1EAE2 '''불멸의 전설 카이사'''}}}]] || ||<width=50%><nopad>[[카이사/스킨#s-3.11|[[파일:kaisa_Risenlegend.jpg|width=100%]]]]||<width=50%><nopad>[[베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파일:vayne_Risenlegend.jpg|width=100%]]]]|| ||<#111> [[카이사/스킨#s-3.11|{{{#F1EAE2 '''떠오른 전설 카이사'''}}}]] ||<#111>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F1EAE2 '''떠오른 전설 베인'''}}}]] ||}}}}}}}}}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111><color=#111,#F1EAE2>'''LoL e스포츠가 Uzi 선수를 홀 오브 레전드에 맞이합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전설적인 선수에게만 주어지는 영예, 홀 오브 레전드의 두 번째 헌액자로서 'Uzi' 젠쯔하오 선수를 소개하게 되어 무척이나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Uzi 선수는 바텀 라이너로서 독보적인 기량을 선보이며 게임에 끝없이 헌신했고, 전 세계 e스포츠에 영원히 남을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이번 헌액은 Uzi 선수의 눈부신 커리어와 e스포츠에 대한 공헌에 보내는 찬사입니다. Uzi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바텀 라이너 중 한 명으로 널리 평가받고 있으며, 기계처럼 정교하고 대담한 플레이로 수많은 팬에게 짜릿한 전율을 선사하였습니다. Royal Club에서 LPL 유망주로 두각을 드러낸 Uzi 선수는 Royal Never Give Up(RNG)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프로 세계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습니다. Uzi 선수의 치열한 경쟁심, 팬과의 깊은 유대는 중국에서 e스포츠가 주류 문화로 자리잡는 데 결정적인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Uzi 선수는 2013년 및 2014년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인 후, 2018년 절정에 달한 기량으로 세계가 인정하는 아이콘으로서 위상을 굳건히 다졌습니다. LoL e스포츠 글로벌 총괄 크리스 그릴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Uzi 선수의 유산은 단순한 우승 기록이나 성과를 뛰어넘습니다. 우리가 바텀 라이너를 바라보는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에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흔적을 새겼죠. 이 선수의 열정과 투지는 수백만 명을 감화시켰습니다. 전 세계에서 참여한 투표 결과를 확인하면서 Uzi 선수가 LoL e스포츠에 남긴 영향이 얼마나 깊은지 분명히 알 수 있었죠. 이렇게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하게 되어 진심으로 영광입니다." Uzi 선수는 홀 오브 레전드의 두 번째 헌액자로 선정됨으로써 단순한 경쟁을 넘어 리그 오브 레전드에 강렬한 영향을 끼친 최고의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전 세계 심사위원들로부터 압도적인 표를 받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선수 중 한 명임을 굳건히 증명하기도 했습니다. 젊은 신예에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Uzi 선수의 여정은 오늘날에도 많은 프로게이머 지망생과 팬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소환사의 협곡에서는 한국 시각 6월 12일부터 Uzi 선수의 헌액을 축하하는 홀 오브 레전드 게임 내 이벤트가 시작됩니다. 이벤트 기간에는 Uzi 선수의 커리어를 되짚어보는 이벤트 패스와 더불어 '광견'을 테마로 하는 헌정 장식 아이템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곧 자세한 정보가 공개될 예정입니다. 또한, Uzi 선수는 오는 6월 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공식 홀 오브 레전드 헌액식을 통해 영광의 순간을 맞이하게 됩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현실과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맞춤 제작 아트를 통해 Uzi 선수의 영광을 기념할 예정입니다. 독창적인 비주얼 스타일로 제작된 이번 아트워크는 Uzi 선수의 찬란한 커리어와 그 이면에 숨은 개인적인 여정을 함께 조명합니다. 마지막으로, EQ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맞춤형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가 기념 선물로 전달됩니다. 이벤트에 관한 세부 사항은 향후 몇 주 내로 공개됩니다. 메르세데스-벤츠 디지털 & 커뮤니케이션 부문 부사장 베티나 페처는 다음과 같이 전했습니다. "Uzi 선수의 독보적인 커리어에 걸맞은 특별한 선물로 예우를 표현하고 싶었고, 그 뜻을 담아 EQ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MANUFAKTUR 맞춤형 G클래스를 준비했습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이 자동차가 언제나 Uzi 선수의 곁에서 위대한 업적을 떠올리게 하는 동반자가 됐으면 합니다." Uzi 선수와 홀 오브 레전드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5월 27일 홀 오브 레전드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피터 펭|Doublelift]]: 매 순간 피해를 교환하고 미니언 하나마다 싸움을 걸었죠. 정신이 나간 것처럼 플레이 했어요. > [[웡박칸|Tabe]]: 미친 개처럼 플레이했어요. > [[전용준]]: 우지를 보고 '캐리가 이런 거구나'라는 (생각을 했죠.) > [[마틴 라르손|Rekkles]]: 그는 사람들에게 단지 기대된 일을 하는 것 이상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줬죠.[* 트레일러 영상에도 "헌액받을 만하다."(Well deserved 🥰)라고, 다큐 영상에도 "넌 자격 있어."(You earned it ❣)라고 각각 댓글을 달았다.] >'''The crownless king, now rules the world!''' >[[무관의 제왕|왕관 없는 왕]]이 세상을 지배합니다! 많은 이들의 예상대로 우지가 두 번째 홀 오브 레전드 헌액자로 선정되었다. LCK가 세계를 호령하던 시절, LPL의 최전선에서 '''LCK의 대항마'''로 군림하며 숱한 명경기와 명장면을 남겼고 비록 아쉽게도 당대 압도적인 위상을 자랑했던 LCK의 그늘에 가려져 월즈 우승 커리어를 얻지는 못했으나 개인의 역량만큼은 누구도 의심한 적 없는 선수였다. 현재까지도 선수, 관계자들이 그 실력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는 선수로, 만약 월즈 우승을 한 번이라도 차지했다면 역체원 논쟁에도 종지부를 찍었을 것[* 다만 너무 '만약'에 매몰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게, 10년이 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 동안 여러 서사들이 쌓이면서 우지와 동급, 혹은 그 이상으로 비교될 만한 상황이 많이 생겼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퍼포먼스만 따져도 우지와 충분히 비교될 만한 선수들인 [[구승빈|임프]], [[김혁규|데프트]], [[배준식|뱅]], [[박재혁(1998)|룰러]], [[박도현(2000)|바이퍼]], [[이민형|구마유시]] 다 월즈 트로피를 한 번 이상 들어올렸고, 특히 데프트는 한때 LPL에서 중체원을 경쟁했던 사이기도 하며 전성기가 지난 후 주어진 단 한 번의 기회를 살려 우승컵을 들어올렸기에 더더욱 비교될 수밖에 없다.]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일 정도다.[* 특히 퍼포먼스를 매우 중요시하는 서양권에서의 평가가 유독 높으며, 퍼포먼스 못지않게 커리어를 중요시하는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이상혁|페이커]]라는 불세출의 천재에게 막혔을 뿐 LCK가 독주하던 시절 가장 LCK에게 위협적이었던 대단한 선수였다고 인정한다.] 우지는 [[LoL e스포츠]]가 태동한 후 급격히 인기를 얻기 시작하던 시즌 3~2014 시즌 당시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 [[김혁규|데프트]], [[구승빈|임프]], [[채광진|피글렛]]과 함께 전 세계 사람들에게 '원딜 캐리'라는 것을 각인시켜준 기념비적인 선수로, 특히 당시 [[중국]] 내에서는 '''최초의 하이퍼 캐리형 선수'''라는 입지와 2연속 월즈 결승 진출이라는 성적을 가지고 있어 그 상징성이 다른 선수들과는 차원이 달랐다. 실제로 우지는 비록 본인이 LPL의 전성기의 주인공이 되지는 못했지만[* 얄궃게도 LPL의 전성기가 찾아올 무렵인 2018년부터 우지 본인은 이전부터 조짐이 보였던 건강 문제가 본격적으로 터져나오면서 선수 커리어의 끝이 다가오기 시작했다.], 황금기 시절 LCK에게 가장 격렬하게 대항했던 선수이면서 LCK 암흑기와 LPL 전성기의 '''첫 신호탄을 쏴올린 선수'''이기도 하다. 2014 시즌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엑소더스]] 사태가 터지며 2014 시즌을 지배했던 LCK의 강자들이[* 데프트, [[송의진|루키]], [[허원석|폰]], [[배어진|다데]], 임프, [[조세형(e스포츠)|마타]], [[이병권|카카오]], [[최천주|천주]], [[이호종|플레임]], [[이다윤|스피릿]] 등] 대거 LPL로 유출되며 LPL의 경쟁력이 압도적으로 높아졌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2015 Mid-Season Invitational|2015 MSI]]를 제외하면 그런 강력한 선수들이 있었음에도 LPL의 리그 경쟁력과 국제전 성적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NG]]에 합류한 뒤 우지는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삼성 갤럭시]] 등의 당대 LCK 국제전 강팀들에게 위협을 가하며 LPL의 리그 수준을 상향 평준화시켰다. 그리고 2018 시즌에는 LCK의 국제전 패배라는 것은 감히 상상도 안 되던 때에 [[2018 Mid-Season Invitational|2018 MSI]]에서 어나더 레벨이라고 불리던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킹존 드래곤X]]를 원딜 캐리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LPL의 황금기의 시작을 알렸다.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 게임]] 등의 국제전에서도 LCK를 연속으로 침몰시키며 LPL 팬들에겐 환호를, LCK 팬들에게는 지금까지 겪어본 적이 없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뿐만 아니라 그 해 모든 대회와 모든 MVP를 쓸어담으며 '''LoL e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골든 로드]]에 도전했던 선수'''라는 점 역시 우지에게 엄청난 기대감을 갖게 했다. 다만 LoL 프로게이머 커리어상 가장 중요한 [[무관(스포츠)|월즈 우승이 없다]]는 치명적인 약점 탓에 유관 선수를 선정해야 했던 게 아닌가라는 의견이 있지만 LPL 유관 선수 중 소거법을 거치다보면 결국 우지밖에 남지 않는 게 현실이기도 하다.[* 탑 선수 중에서는 단연 [[강승록|더샤이]]가 꼽히지만 중국인이 아니라는 점에서 걸리고, 미드는 1회 헌액자인 페이커와 포지션이 겹칠 뿐더러 아예 전원 한국인이다. 페이커가 워낙 독보적이라 그렇지 원딜의 [[위원보|재키러브]], 정글의 [[가오텐량|티안]], 서포터의 [[톈예|메이코]], MSI 3회 우승의 [[리위안하오|샤오후]]는 현역이기에 아직 은퇴도 안 한 선수를 명예의 전당에 선정하기도 애매하다. 정글 캐리를 보여주며 LPL 첫 월즈 우승 달성, LPL의 전성기를 연 [[가오전닝|닝]]이 우지와 비교될 만하지만 전성기가 너무 짧았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더군다나 월즈 커리어를 기준으로 평가할 거라면 그냥 홀 오브 레전드를 따로 만들 필요도 없이 우승 횟수 기준으로 정렬해서 선정해 버리면 그만이다.[* 이렇게 되면 LoL e스포츠의 전설적인 선수들을 기념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크게 퇴색된다. 월즈 우승 수로 따지자면 월즈를 5번이나 우승한 T1과 연관된 선수들이 과하게 많아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당장 월즈를 2회 이상 우승한 선수들 중에 T1 소속이었던 적이 없는 선수로 한정하면 남는 건 '''[[조건희|베릴]] 한 명뿐'''이다. 물론 월즈를 리핏한 [[배성웅|벵기]]-[[배준식|뱅]]-[[이재완|울프]] 아니면 제오구케 등의 선수들이 저평가받을 이유는 전혀 없지만, LoL e스포츠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선수를 선정하는 홀 오브 레전드에 필요한 기준이 월즈를 비롯한 국제 대회 우승만 있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또한, 월즈 우승 경력을 기준으로 삼아버리면 북미 출신 선수는 누구도 대상이 될 수 없고 유럽도 초대 프나틱 선수들을 제외하면 아무도 자격이 없어진다.] 다시 말해 홀 오브 레전드는 선수 개개인이 LoL e스포츠에 미친 파급력과 영향도를 종합적으로 산정해서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영상 초반부에서도 이러한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홀 오브 레전드는 단순히 업적만으로 그 유산을 기념하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대놓고 못박았다. 1호 헌액자인 [[이상혁|페이커]]가 압도적인 우승 커리어뿐만 아니라 '''LCK를 넘어 LoL e스포츠 최고의 슈퍼스타'''라는 상징성도 갖고 있는 만큼 단순히 뛰어난 커리어만이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하기 위한 근거로 작용한 것은 아니다. 물론 무관이라는 점은 라이엇도 충분히 인지했는지, 홀 오브 레전드 트레일러에서 우지를 일컫어 '''"The crownless king"'''(왕관 없는 왕)이라고 묘사했다. 시그니처 챔피언은 그 무력과 특유의 카이팅 능력으로 자신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린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베인]]이다. 베인과 더불어 LPL 원딜러의 상징과도 같은 [[카이사]]까지 헌정 스킨이 출시되었다. 카이사는 [[위원보|재키러브]]의 2018 월즈 우승 스킨이었고, 베인은 [[린웨이샹|Lwx]]의 2019 월즈 우승 스킨이었으며 우지 본인도 중국 서버 한정으로 출시된 베인 크로마의 주인이기 때문에 기념 스킨 또한 LPL의 전설에 대한 헌정이라는 취지에 맞다고 볼 수 있다.[* LPL 원딜의 우승 스킨 중 나머지 하나는 [[박도현(2000)|바이퍼]]의 [[아펠리오스]]인데, 바이퍼는 한국인 선수인데다 아펠리오스는 카이사에 비하면 LPL을 대표하는 픽이라 보기도 어려우며, 우지의 1차 은퇴 이후에 출시된데다 우지가 잠시 프로로 복귀한 시기에도 많이 쓰지 않았다. 또 카이사에 비해 챔피언의 역사도 2년 가까이 짧고 프로 대회에서의 입지 및 앞으로의 예상되는 사용률도 훨씬 뒤떨어져서 베인, 카이사, 아펠리오스 중 아펠리오스를 배제한 것은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홀 오브 레전드 헌정 스킨 수익은 팀과 수익을 나누어서 가져가고 있는데, 첫 번째 헌액자 페이커는 (SKT) T1 원 클럽 플레이어라 별 문제가 없었지만 우지는 여러 팀을 거쳐왔고, 자신의 커리어에서 가장 많은 영광을 함께한 팀인 RNG와는 사이가 파탄나다 못해 법정 분쟁까지 겪고 있기 때문에 수익 배분이 어찌될지는 미지수이다. ====# 관련 영상 #==== ==== 이벤트 내용 ==== ||<tablewidth=100%><width=10%> 레벨 ||<width=20%> 보상 ||<width=60%> 설명 ||<width=10%> 비고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설의 시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젠 쯔하오라는 이름의 천재적인 어린 선수가 [[Royal Club]]에 영입되어 [[LPL]]에 합류했고, 'Uzi'라는 닉네임으로 2013년 3월 16일에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Uzi 선수는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손꼽히는 유명 인사가 되었습니다. || ||<width=10%> 1 ||<width=20%> Uzi의 취임식 아이콘 ||<width=60%> 젠 쯔하오 선수는 1997년 4월 5일에 태어났습니다. 십 대 초부터 'Uzi'라는 이름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하기 시작했죠. ||<width=10%>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광견의 여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Uzi 선수 고유의 원거리 딜러 포지션 접근법은 하단 공격로 플레이 방식을 완전히 뒤바꿔놓았습니다. 팬들의 성원과 애정에도 불구하고, Uzi 선수는 아직 국내 및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리지 못했습니다. 젊은 선수는 스스로를 갈고닦기 시작했습니다. || ||<width=10%> 2 ||<width=20%> 파랑 정수 100개 ||<width=60%> 리그 오브 레전드 출시 전 어린 시절 Uzi 선수는 실시간 전략 게임을 즐겼고, 다양한 게임에서 타고난 실력을 보였습니다. ||<width=10%> || || 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처음 플레이한 챔피언은 [[신 짜오]]였습니다. 신 짜오를 선택한 이유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입니다. || || 4 || 마법공학 열쇠 || Uzi 선수의 중국 서버 첫 번째 ID는 狂小禹(광샤오위)였습니다.[* 미칠 광, 작을 소, 임금 우.] || || || 5 || "귀환해도 될까요?" 감정표현 || 2012년, 그는 중국 랭크 상위권에서 Royal Club으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았고 2013 LPL 시즌 Royal Club의 선발 원거리 딜러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 || 6 || 수수께끼 아이콘 || 2013년 3월 16일, Uzi 선수는 LPL에 데뷔했고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MG]]와의 경기에서 커리어 첫 승리와 게임 MVP를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7 || 마법공학 상자 || Uzi 선수와 Royal Club은 15-13 기록과 함께 2013 LPL 스프링을 마무리했고 간발의 차로 스프링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 || || 8 || 베인 챔피언 || Royal Club은 2013 LPL 서머에서 대폭 향상된 성적을 거뒀습니다. 13-8 기록과 함께 정규 시즌을 2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9 || 신화 정수 5개 || 2013 월드 챔피언십 LPL 대표 선발전에서 Royal Club은 패자조를 뚫고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7|OMG를 3-1로 꺾었습니다.]] || || || 10 || 떠오른 전설 베인 || Uzi 선수는 데뷔 시즌에 첫 번째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2013)에 진출했습니다. Royal Club은 대회에서 LPL의 1번 시드였습니다. || || || 11 || 주황 정수 50개 || Royal Club은 2013 월드 챔피언십 8강에서 다시 한번 라이벌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8강#s-4.4|OMG를 만나 승리했습니다.]] 4강에서는 [[Fnatic]]을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4강#s-3.2|승리했죠.]] || || || 12 || 파랑 정수 100개 || Uzi 선수는 2013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처음 [[Faker]] 선수와 맞서게 되었습니다. [[SKT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T1]]은 Royal Club을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결승|3-0 전승을 거뒀습니다.]] || || || 1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Royal Club은 2013 오프시즌 기간 동안 Uzi 선수를 중심으로 팀을 재구성했고, 불안정한 경기력으로 인해 2014 LPL 스프링을 6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14 || 주황 정수 50개 || Royal Club은 2014 LPL 서머에 앞서 다시 한번 팀을 재구성했습니다. 이는 훨씬 더 성공적이었고, 정규 시즌을 3위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15 || 떠오른 전설 테두리 (베인) || 2014 LPL 서머 플레이오프: Uzi 선수와 Royal Club은 라이벌 OMG에 두 번 패배했고 플레이오프를 3위로 마무리하며 월드 챔피언십 대표 선발전으로 향했습니다. || || || 16 || 주황 정수 5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2014 월드 챔피언십 LPL 대표 선발전]]: Royal Club은 OMG를 상대로 반격에 성공했으나, 결국에는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 || || 1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와 Royal Club은 2014년에 다시 한번, 이번에는 LPL의 2번 시드로서 월드 챔피언십에 돌아왔습니다. || || || 18 || 파랑 정수 10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2014 월드 챔피언십]]: Royal Club은 TSM에 1패만을 내주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그룹 스테이지]]를 압도했고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했습니다. || || || 19 || 신화 정수 5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와 Royal Club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8강#s-4.3|8강에서는 EDG를]],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4강#s-3.2|4강에서는 OMG를 상대로 승리하며]] 브래킷 스테이지에서 지역 라이벌 두 팀을 모두 격파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20 || 밴들의 사수 게이머 아이콘 || 2014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전년도에 이어 연속으로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올랐으나 결과적으로 [[삼성 갤럭시 화이트|SSW]]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결승|1-3으로 패배했습니다.]] || || 21 || 신화 정수 5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결승은 최고의 라이벌 중 한 명인 [[구승빈|Imp]] 선수와의 첫 대결이었습니다. 두 선수는 당시 세계 최고의 원거리 딜러 자리를 놓고 경쟁했습니다. || || || 22 || 파랑 정수 100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Royal Club과 [[SK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K]] 간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s-3.1.5|그룹 스테이지 경기]]를 시청한 Imp 선수는 Uzi 선수에게 (전해지기로는) '당신이 세계 최고의 원거리 딜러다'라고 말했습니다. || || 23 || 이즈리얼 챔피언 || 2014 월드 챔피언십 결승 기록: Uzi - KDA 1.5, 평균 CS 240 Imp - KDA 5.1, 평균 CS 201 [br] Uzi 선수는 Imp 선수를 6번, Imp 선수는 Uzi 선수를 3번 처치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24 || 주황 정수 50개 || Uzi 선수는 개인적으로 Imp 선수를 자신의 커리어 최고 라이벌로 꼽았습니다. 2014 월드 챔피언십에서 있었던 둘의 공격로 맞대결을 좋은 추억으로 생각하죠. || || || 25 || 서릿빛 이즈리얼 스킨 || 그는 2014년 오프시즌 기간에 라이벌 팀이었던 OMG로 이적하며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 || || 26 || 파랑 정수 100개 || OMG와 함께한 Uzi 선수의 첫 스플릿은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2015 LPL 스프링]]이었고 해당 정규 시즌은 3위로 마무리했습니다. 한편, Royal Club은 10위였죠. || [*기억_재생] || || 2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OMG와 Uzi 선수의 2015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는 일찍 끝났습니다.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LGD]]를 상대로 1라운드 만에 탈락했죠. || || || 28 || 파랑 정수 100개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2015 LPL 서머]]의 OMG는 상황이 더 나빴습니다.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를 7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29 || 신화 정수 5개 ||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며 Uzi 선수의 2015 시즌이 끝났습니다. || || || 30 || 불타는 농부 아이콘 || Uzi 선수는 2016 스프링에 앞서 OMG를 떠나 [[Newbee/리그 오브 레전드|Qiao Gu Reapers]]에 합류했고 훗날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미드라이너 [[Doinb]] 선수와 함께 플레이하게 되었습니다. || || || 31 || 주황 정수 50개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2016 LPL 스프링]]에서 QG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11-5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32 || 파랑 정수 100개 || 2016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EDG를 상대하게 된 4강에서 QG는 [[Newbee/리그 오브 레전드/2016 시즌#s-1.2.3|비극적이게도 출전할 선수가 부족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s-5.2|팀은 기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 3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6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QG는 대체 미드라이너를 구해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WE]]와의 3위 결정전에 나섰으나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s-5.3|0-3으로 패배했습니다.]] || || || 34 || 주황 정수 50개 || [[2016 MSI]] 진출에 실패한 이후, Uzi 선수는 QG를 떠났습니다. ||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위대함을 향한 비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Uzi 선수는 국내에서 신적인 피지컬로 자신을 증명했으나, 국제 대회 트로피가 없다는 사실은 그의 업적에 오점이 될 수 있었습니다. 실력이 향상되면서, 순위도 올라갔습니다. 과연 국제 대회 챔피언이라는 그의 목표가 이뤄질 수 있을까요? || ||<width=10%> 35 ||<width=20%> 매서운 깃털 아이콘 ||<width=60%> Uzi 선수는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2016 LPL 서머]]에 앞서 Royal Club(현재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으로 복귀했습니다. ||<width=10%> || || 36 || 파랑 정수 100개 || RNG의 새로운 2016 서머 선수 명단에는 [[Looper]], [[Mlxg]], [[Xiaohu]], Uzi, [[Mata]]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 || 3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RNG에서 동료가 되기 전에, Mata 선수는 2015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SSW 소속 서포터로 플레이하며 Uzi 선수를 꺾은 바 있습니다. || || || 38 || 주황 정수 100개 || 2016년 5월 27일: Uzi 선수는 떠오르는 신예 미드라이너 Xiaohu 선수와 함께 첫 경기에 나섰습니다. 두 선수는 이후 3년 동안 함께 플레이하게 됩니다. || || || 39 || 신화 정수 5개 || RNG로 복귀한 뒤, Uzi 선수는 자신의 플레이스타일을 더욱 팀 중심으로 개선했습니다. 이는 패권을 향한 Uzi 선수의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 || || 40 || 군중 제어 효과 면역 감정표현 || 2016 LPL 서머: Uzi 선수와 RNG는 정규 시즌에서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고, 13-3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41 || 파랑 정수 200개 || 2016 LPL 서머 플레이오프 결승에 진출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s-4.4|EDG에게 3-0으로 패배했습니다.]] || || || 42 || 수수께끼 와드 스킨 || RNG는 LPL의 2번 시드로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2016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Uzi 선수의 세 번째 국제 대회 참가였습니다. || || || 43 || 파랑 정수 200개 || 2016 월드 챔피언십: RNG는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SG]], [[Team SoloMid/리그 오브 레전드|TSM]], [[Movistar KOI/리그 오브 레전드|Splyce]]와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어려운 조]]에 배정되었습니다. || || || 44 || 주황 정수 100개 || 2016년 월드 챔피언십: RNG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1.6|SSG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2.4|2번]], Splyce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2.2|1번]] 패배했고 아슬아슬하게 D 그룹 2위로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했습니다. || || || 45 || 빙하 샤워 아이콘 || 팬들은 Uzi 선수를 '샤워 형'이라고 부릅니다. 이 별명은 그가 2015년 스트리밍 중 게임을 하다 화가 나 그대로 샤워를 하러 가 만들어졌습니다. 수년간 채팅창에서 장난스럽게 놀림을 받은 끝에, Uzi 선수는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으로 그 별명을 받아들였습니다. || || 46 || 신화 정수 5개 || 'YYDS'는 Uzi 선수의 많은 별명 중 하나이며, '영원한 신'을 뜻하는 중국어 앞 글자를 따 만들었습니다. 한 스트리머가 경기 도중에 해당 칭호를 연호했고 이것이 그대로 별명이 되었습니다.[* 永远的神, '''Y'''ǒng'''y'''uǎn '''d'''e '''s'''hén을 줄인 것으로 우지뿐 아니라 중국에서 누군가를 찬양할 때 자주 쓰는 말이다.] || || || 47 || 수수께끼 아이콘 || 2016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2일 차, Uzi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1.4|Splyce와의 경기]]에서 전설적인 쿼드라 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8 || 루시안 챔피언 || 2016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8강에서 다시 한 번 라이벌 Faker 선수와 만났습니다. 국제 무대에서 벌이는 두 번째 대전이었습니다. || || || 49 || 주황 정수 100개 || 2016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Faker 선수와 SKT T1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8강#s-4.2|1-3으로 패배하며 또다시 월드 챔피언십에서 탈락했습니다.]] || || || 50 || 프로젝트: 루시안 스킨 || Uzi vs Faker: Uzi 선수는 Faker 선수와 동반 출전한 월드 챔피언십마다 협곡에서 맞붙었습니다. 두 선수의 상대 전적은 Faker 선수가 11-3으로 앞섭니다. || || || 51 || 파랑 정수 200개 || Uzi vs Faker: '[[RISE(리그 오브 레전드)|Rise]](2018 월드 챔피언십 주제곡)' 뮤직비디오에서 Uzi 선수와 Faker 선수는 모두 [[강찬용|Ambition]] 선수의 라이벌로 등장합니다. Uzi 선수는 베인의 석궁을, Faker 선수는 라이즈의 주문서를 이용해 싸웁니다. || || || 52 || 수수께끼 감정표현 ||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16 올스타]]: Uzi 선수는 [[MadLife]], Optimus, [[Levi]], [[xPeke]], [[황이탕|Maple]] 선수를 무찌르고 1대1 대결에서 우승했습니다. || || || 53 || 파랑 정수 200개 || RNG는 2017 시즌에 앞서 다음과 같이 선수단을 재구성했습니다. [[옌쥔쩌|Letme]], Mlxg, Xiaohu, Uzi, [[스썬밍|Ming]] || || || 54 || 주황 정수 100개 || Uzi 선수와 RNG는 2017 시즌을 뜨겁게 시작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2017 LPL 스프링]] 정규 시즌을 12-4 기록과 함께 1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55 || 푸우웁 감정표현 || Uzi 선수는 2017 LPL 스프링 정규 시즌에서 [[섹와이호|AmazingJ]], [[샹런제|Condi]], Doinb, [[톈예|Meiko]] 선수와 함께 All Pro-Team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 || 56 || 파랑 정수 200개 || RNG는 2017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4강에서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s-4.2|EDG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s-4.4|결과적으로 WE에 패배하며]] [[2017 MSI]] 진출에 실패했습니다. || || || 5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2017 LPL 서머]]: RNG는 다시 한번 정규 시즌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12-4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58 || 주황 정수 100개 || 2017 LPL 서머 플레이오프: RNG는 상대로 EDG를 만나 또다시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s-4.4|플레이오프 결승에서 패배했습니다.]] || || || 59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2017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습니다. 이번이 4번째 국제 대회 출전이었습니다. || || || 60 || 광견 코스프레 아이콘 || 2017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와 RNG는 지난 월드 챔피언십에서 패배했던 SSG를 상대로 2승을 따내는 등,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C조|그룹 스테이지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61 || 파랑 정수 200개 ||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8강#s-4.3|8강에서 Fnatic을 무찌른]] RNG는 4강에서 Faker 선수와 맞붙게 되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4강#s-3.1|SKT T1이 3-2로 승리하며]], Uzi 선수는 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에서 탈락했습니다. || || || 62 || 수수께끼 감정표현 ||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17 올스타]]: Uzi 선수는 Levi, [[brTT]], [[PraY]], [[Bjergsen]] 선수를 무찌르고 2년 연속으로 1대1 대결에서 우승했습니다. || || || 63 || 마법공학 열쇠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2018 LPL 스프링]]은 Uzi 선수의 가장 성공적인 한 해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RNG는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lash Wolves]]로부터 상징적인 정글러 [[Karsa]] 선수를 영입했습니다. || || || 64 || 주황 정수 100개 || 2018 LPL 스프링: RNG는 정규 시즌 동안 다양한 선수 조합을 실험했고 결과적으로 그룹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65 || 흠뻑 적셔 와드 || 2018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RNG는 브래킷 스테이지를 휩쓸며 1위를 차지했고 [[2018 MSI]]에 진출했습니다. Uzi 선수는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66 || 수수께끼 아이콘 || 2018 MSI를 앞둔 Uzi 선수는 정점의 경기력을 선보였고 마침내 첫 LPL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국제 대회 우승뿐이었습니다. || || || 67 || 파랑 정수 200개 || 2018 MSI: RNG는 7-3 기록과 함께 강한 모습을 보이며 그룹 스테이지를 마무리했고, Karsa 선수의 이전 팀인 Flash Wolves와 상대하게 되었습니다. || || || 68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8 MSI: RNG는 긴장감 넘치는 단판승제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2018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2라운드#s-3.4.1|Flash Wolves와 맞붙었습니다.]] Uzi 선수의 이즈리얼이 놀라운 8/0/3의 K/D/A와 함께 RNG를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 || || 69 || 신화 정수 10개 || 2018 MSI: RNG는 4강에서 Fnatic을 [[2018 Mid-Season Invitational/4강#s-4.1|3-0으로 꺾었습니다.]] Uzi 선수는 국제 대회에서 Fnatic을 세 번 탈락시켰습니다. || [*기억_재생] || || 70 || 실력 차이 감정표현 || 2018 MSI: RNG는 결승에서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Z]]를 만났습니다. Uzi 선수는 KZ의 PraY 선수를 압도하는 활약을 펼치며 RNG를 승리로 이끌었고 [[2018 Mid-Season Invitational/결승|사상 첫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 [*기억_재생] || || 71 || 파랑 정수 200개 || 2018 MSI: Uzi 선수는 시리즈 이후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 72 || 신화 정수 10개 || MSI 이후 Uzi 선수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2018 아시안게임 e스포츠]] 시험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중국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습니다. || || || 73 || 애쉬 챔피언 || 중국 국가대표팀은 RNG의 Uzi, Letme, Mlxg. Ming 선수와 WE [[Xiye]] 선수 및 EDG Meiko 선수로 구성되었습니다. 중국 국가대표팀은 8승 2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습니다. || || || 74 || 주황 정수 100개 || 중국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했습니다. || || || 75 || 승리의 맛 감정표현 || 2018 아시안 게임: 중국 국가대표팀은 4강에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s-6|중화 타이베이를 격파하고]] 결승에서 라이벌 대한민국을 만났습니다. 대회 기간 동안 대한민국과 만나 여러 번 패배했음에도, 중국 국가대표팀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s-8|3-1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Uzi 선수는 금메달을 손에 넣었습니다. || || || 76 || 수수께끼 감정표현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2018 LPL 서머]]: RNG는 압도적인 한 해를 이어 나갔고,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를 꺾으며 LPL 연속 우승을 쟁취했습니다. Uzi 선수는 다시 한번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77 || 파랑 정수 20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18 월드 챔피언십]]: RNG는 LPL의 1번 시드로 진출해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그룹 스테이지]]에서 [[Cloud9 Kia|Cloud9]]을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이며 플레이오프로 향했습니다. || || || 78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8 월드 챔피언십 8강: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이변 중 하나가 일어났고, RNG는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8강#s-4.2|3대2로 패배하며 무너졌습니다.]] RNG는 8강에서 탈락했지만, 라이벌인 IG는 승승장구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결승|대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79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는 2019년에 엇갈린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RNG는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2019 LPL 서머]] 플레이오프를 2위로 마무리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2019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으나, Fnatic과 SKT T1에 밀려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C조|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끊임없는 성장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MSI와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한 후, Uzi 선수는 건강 문제로 인해 은퇴했습니다. 이후 수년간, 그는 체력 단련에 전념했습니다. 고된 노력을 통해 Uzi 선수는 병을 극복하고 마라톤 주자 및 운동선수가 되었습니다. || ||<width=10%> 80 ||<width=20%> 정령용 애쉬 스킨 ||<width=60%> 2019 월드 챔피언십 이후, Uzi 선수는 건강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젠쯔하오/선수 경력/2020 시즌#s-2|프로 무대에서 은퇴했습니다.]] ||<width=10%> || || 81 || 파랑 정수 600개 || 2019년 9월, Uzi 선수는 LPL에서 500게임을 플레이한 첫 번째 선수가 되었습니다. || || || 82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는 三万(산완) 및 黑仔(헤이자이)라는 이름의 프렌치 불도그 2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 || || 83 || 파랑 정수 600개 || 2021년, Uzi 선수는 오랜 여자 친구에게 청혼했습니다. 그들은 Uzi 선수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춘 Ming 선수에게 영상 통화를 걸어 바로 이 소식을 전했습니다. || || 84 || 주황 정수 500개 || 2020년 은퇴 이후, Uzi 선수는 스트리밍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까지도 그는 인기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입니다. || [*기억_재생] || || 85 || 수수께끼 와드 스킨 || 3년에 가까운 휴식기 이후, Uzi 선수는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2022 LPL 스프링]]에서 [[Bilibili Gaming Pingan Bank|BLG]] 소속으로 프로 무대 복귀를 깜짝 발표했습니다. || || || 86 || 파랑 정수 600개 || BLG는 2022 LPL 스프링에서 자리를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를 8위로 마무리했습니다. Uzi 선수는 BLG를 떠났습니다. || || || 87 || 정령용의 헌신 아이콘 || 2022년, Uzi 선수의 아들이 태어났습니다. 아들의 별명은 小枣(작은 대추)이며, 이는 Uzi 선수의 많은 별명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 || 88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는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2023 LPL 서머]]에 마지막으로 LPL에 복귀했습니다. 이번에는 EDG 소속이었습니다. 어려운 여건이었음에도, EDG의 2023 서머는 안정적이었습니다. || || 89 || 신화 정수 10개 || 2023 LPL 지역별 결승: EDG는 2023 월드 챔피언십 최종 선발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PL#s-4.3|WBG에 패배했습니다.]] WBG는 해당 대회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90 || 무자비한 사냥꾼 휘장 || 2023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아깝게 실패한 이후, Uzi 선수는 다시 한번 마지막으로 LPL에서 은퇴했습니다. || || || 91 || 파랑 정수 600개 || 첫 번째 은퇴 이후 Uzi 선수는 자신의 건강 관리에 큰 관심을 쏟았습니다. 지속적인 체력 훈련을 통해 그는 근본적인 건강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 || || 92 || 신화 정수 10개 || 이제 Uzi 선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깁니다. 현재 가장 좋아하는 종목은 테니스입니다. || || || 9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요즘 Uzi 선수가 재미로 플레이할 때는, 야스오를 주로 선택합니다. 그는 전투에서 다양한 야스오 연계기를 실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 || || 94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쇼생크 탈출]]이며, 그 이야기로부터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합니다. || || || 95 || 미니 떠오른 전설 베인 아이콘 || 선수 생활 내내 그를 괴롭혔던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Uzi 선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혹독한 체력 훈련을 한 Uzi 선수는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습니다. || || 96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의 마라톤 완주 기록은 5시간 41분이었습니다. || || 97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은 [[Vitas]] 님의 'Opera #2'입니다. 그는 스트리밍 도중 수차례 해당 곡을 따라 부르려 시도했고, 이는 팬 커뮤니티에서 밈이 되었습니다. || || || 98 || 광견 || Uzi 선수는 다양한 별명을 갖고 있으나, 가장 상징적인 별명은 '광견'입니다. 이는 선수 생활 초반 어린 나이와 극도로 공격적인 플레이스타일로 인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 || || 99 || 신화 정수 25개 || 리그 오브 레전드는 여전히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이며, 아직도 종종 플레이하고 스트리밍합니다. || ||}}}}}}}}} || ||<-4> '''계속되는 전설...''' || ||<-4> 스트리머. 아버지. 운동선수. 프로게이머. Uzi 선수는 프로 의식과 발전을 향한 집념으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해 냈습니다. 현재까지도 Uzi 선수는 '끊임없는 성장의 아이콘'이라는 칭호에 걸맞은 삶을 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width=10%> 100 ||<width=20%> 떠오른 전설 베인 (신화 등반자) ||<width=60%> 현재 Uzi 선수는 전업 스트리머입니다. 아내, 아들 그리고 반려견 두 마리와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죠. ||<width=10%> || === 003 - [[미정]] === 2025년 7월경 라이엇 내부에서 헌액자 투표가 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후보로는 [[더샤이]], [[캡스]], [[더블리프트]] 등이 거론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 version=561, uuid=8fdb4f1d-ac01-4ce7-bcf4-3cca21a53cfc)]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분류:명예의 전당]][[분류:e스포츠]]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홀 오브 레전드, version=498, uuid=31f9f80d-b6b1-4ae3-bb29-c202b16823a1)]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