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 오브 레전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001 - [[이상혁|Faker]]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11><tablebgcolor=#FFF,#1c1d1f><-2><nopad>[youtube(xdfVomq3lAc)]|| ||<nopad><-2> [[파일:롤-전설의전당-001.png|width=200]]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35)] || [[이상혁|{{{#000,#e0e0e0 '''{{{+1 Faker}}}'''[br]이상혁}}}]] || || '''출생''' || [[1996년]] [[5월 7일]][*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509001617217|#]] [[음력]] 1996년 3월 20일] || || '''포지션''' ||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미드]] || || '''데뷔일''' || 2013년 4월 6일 || || '''은퇴일''' || [*ACT 현역 선수] || || '''헌액일''' || 2024년 6월 14일 || || '''역대 소속팀''' || '''[[T1/리그 오브 레전드|T1]] (2013.02.13 ~)''' || || '''주요 경력'''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orlds]] 5회 {{{#Gold '''우승'''}}}, 2회 {{{#Silver '''준우승'''}}}[* 헌액 당시에는 4회 우승, 2회 준우승이었지만 [[2024 월즈]]에서 우승함으로써 우승 기록을 1회 추가했다.][br][[Mid-Season Invitational|MSI]] 2회 {{{#Gold '''우승'''}}}, 3회 {{{#Silver '''준우승'''}}}[br][[Esports World Cup|EWC]] 1회 {{{#Gold '''우승'''}}}[br][[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AG]] {{{#Gold '''금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2018 AG]] {{{#Silver '''은메달'''}}}[br][[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10회 {{{#Gold '''우승'''}}}, 6회 {{{#Silver '''준우승'''}}}[br][[리프트 라이벌즈|RR]] 1회 {{{#Gold '''우승'''}}}, 2회 {{{#Silver '''준우승'''}}}[br][[IEM]] 1회 {{{#Gold '''우승'''}}}[br][[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NLB]] 1회 {{{#Gold '''우승'''}}} || || '''개인 수상''' || 2013 LCK 서머 MVP[br]2013 - 2014 LCK 윈터 MVP[br]2015 LCK 서머 포스트시즌 MVP[br]2016 MSI 파이널 MVP[br]2016 Worlds MVP[br]2023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br]2023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br]2024 EWC MVP[br]2024 Worlds 파이널 MVP[br]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미드[br] 2024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br]LCK 올프로팀 1st 2회[* 2022 스프링, 2023 스프링.][br] LCK 올프로팀 2nd 2회[* 2022 서머, 2024 스프링.][br] LCK 올프로팀 3rd 1회[* 2020 스프링.] || ||<-2><colbgcolor=#111><colcolor=#F1EAE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정 스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2><nopad>[[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1|[[파일:ahri_Immortalizedlegend.jpg|width=100%]]]]|| ||<#111><-2>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1|{{{#F1EAE2 ''' 불멸의 전설 아리'''}}}]] || ||<width=50%><nopad>[[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파일:ahri_Risenlegend.jpg|width=100%]]]]||<width=50%><nopad>[[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파일:leblanc_Immortalizedlegend (~2025).jpg|width=100%]]]]|| ||<#111>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6|{{{#F1EAE2 '''떠오른 전설 아리'''}}}]] ||<#111>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F1EAE2 '''떠오른 전설 르블랑'''}}}]] ||}}}}}}}}}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헌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111><color=#111,#F1EAE2>'''LoL 이스포츠 전설의 전당[*전설]에 입성한 Faker 선수를 환영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LoL 이스포츠와 함께 전설의 전당 제1호 헌액자를 기립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에서 전설의 전당 제1호 헌액자로 “Faker” 이상혁 선수를 맞이하게 되어 자랑스럽습니다. Faker 선수는 능통한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플레이, LoL 이스포츠에 수차례 기여한 업적, 전 세계 수백만의 팬에게 영감을 준 공로를 인정받아 전설의 전당에 오릅니다. Faker 선수는 12년이 넘는 시간에 걸쳐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과 이스포츠에 굉장한 헌신을 보여주었습니다. T1의 미드 라이너로서 활동하며 뛰어난 기술적 역량과 게임의 판도를 뒤집는 플레이를 만들어 내는 능력 덕분에 오래전부터 이름을 날렸고 ‘불사대마왕’이라는 별칭까지 얻었습니다. 개인 기량과 게임 내 지도력으로 수차례 거듭해 팀의 승리를 이끌어내면서 통산 LCK 10회 우승, 미드시즌 인비테이셔널 2회 우승, 월드 챔피언십 4회 우승이라는 기록을 쌓았습니다. 존 니덤 라이엇 게임즈 이스포츠 부문 최고책임자는 “Faker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이스포츠 역사에서 가장 상징적이고 영향력 있는 인물입니다. LoL 이스포츠에서 우수함의 대명사이며 전설의 전당 최초 헌액자에 걸맞은 자격을 갖추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협곡에서 Faker 선수를 기리는 게임 내 이벤트가 열리며 팬들은 정상까지의 여정을 기념하는 특별한 장식 콘텐츠를 얻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현실과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를 융합해 Faker 선수에게 바치는 예술 작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예술 작품에는 Faker 선수의 경력에서 손꼽을 만한 위업을 리그 오브 레전드 특유의 화풍으로 조명하는 묘사가 담깁니다. 작품에서는 Faker 선수에게 주어지는 또 다른 특별한 선물인 맞춤 제작 메르세데스-AMG SL 63을 엿볼 수 있기도 합니다. 브리타 제거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경영이사회 마케팅 및 영업 총괄은 “이스포츠의 기세가 점점 커지는 가운데 메르세데스-벤츠는 모든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의 공식 자동차 협력사로서 역할을 확장해 전설의 전당에도 함께할 수 있어서 대단히 기쁩니다. Faker 선수를 최초의 헌액자로 기릴 수 있다니 더할 나위 없이 뿌듯합니다. 앞서 성공적으로 커뮤니티에 중점을 둔 행사를 진행하고 챔피언십 반지와 같은 전통을 공동으로 만든 만큼 전설의 전당은 라이엇 게임즈와 계속 이어가는 협력관계의 다음 단계라고 믿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설의 전당 게임 내 이벤트는 Faker 선수의 경력을 되짚어 보며 결정적 순간, 업적 등을 조명하는 이벤트 패스를 포함합니다! 전설의 전당 헌액 기념으로 대마왕 테마의 장식 콘텐츠, 컬렉션, 스킨을 얻고 구매할 수 있습니다. ||}}}}}}}}} || >[[전용준]]: 사실 페이커 선수는 떡잎부터 달랐죠. >[[성승헌]]: Mr. LoL이죠. Sir. LoL 이렇게 불러야 되나? >[[정언영|Impact]]: 얘가 게임을 잘 알았구나. 5~6년은 앞서 있구나, 생각을 많이 했어요. >[[허수(프로게이머)|ShowMaker]]: 모든 프로게이머의 우상이 되시는 분이라. >[[에퓨 데포얼테레|Sjokz]]: 제2의 페이커 선수가 나올 수 있겠냐고요? '''아뇨.''' >[[성승헌]]: 페이커 선수는 사실 되게 불편한 위치에 있어요.[br]게임만 잘하면 안 돼요. 게임'도' 잘해야 돼요.[br]팀도 이끌어야 하는데, 상징성이 있어요.[br]흔들려서도 안 돼요. 그리고 못해서도 안 돼요.[br]계속, 데뷔 이후 11년인데도. >'''듣기만 해도 불편하지 않나요?''' [[2024년]] [[5월 23일]] 00:00(KST), [[LoL e스포츠]] 공식 홈페이지 및 [[X(SNS)|X]] 계정을 통해 발표되었다. [[https://lolesports.com/article/lol-%EC%9D%B4%EC%8A%A4%ED%8F%AC%EC%B8%A0-%EC%A0%84%EC%84%A4%EC%9D%98-%EC%A0%84%EB%8B%B9%EC%97%90-%EC%9E%85%EC%84%B1%ED%95%9C-faker-%EC%84%A0%EC%88%98%EB%A5%BC-%ED%99%98%EC%98%81%ED%95%A9%EB%8B%88%EB%8B%A4/blt71dc04544f535ae0|#]] [[https://x.com/lolesports/status/1792208591719678390|#]][* 트레일러에 등장하는 인물은 순서대로 페이커, [[전용준]], [[송경호(프로게이머)|스멥]], [[이서행|쿠로]], [[마크 라몬트|캐드럴]], [[류상욱|류]], [[정언영|임팩트]], [[박재혁(1998)|룰러]], 페이커의 부친, [[에퓨 데포얼테레|샥즈]], [[허수(프로게이머)|쇼메이커]], [[라스무스 뷘터|캡스]], [[이재완|울프]], [[배준식|뱅]], [[김동하(프로게이머)|칸]], [[곽보성|비디디]], [[이민형|구마유시]], [[성승헌]]이다.] 모두의 예상대로 홀 오브 레전드의 명예로운 첫 헌액자는 [[이상혁|페이커]]로 확정되었다. 단순 우승 경력 및 누적 상금만 봐도 '''[[LoL e스포츠]] 최고의 선수'''임을 부정할 수 없고, 게임 외적으로도 페이커의 평소 행실에 대한 미담은 익히 알려져 있을 정도로 관계자들이 입을 모아 칭찬하는 훌륭한 인품의 소유자다. 실력과 인성 양면에서 찬사를 받는 페이커는 개인적으로 진행한 기부 활동도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알려졌으며, [[유니세프]]의 '페이커 패키지'를 통해 하루 만에 1억 원에 가까운 기금을 모으는 등 사회적 공헌도 역시 높다. 즉 그 누구도 이견을 제시할 수 없는 최고의 LoL 플레이어이자 [[e스포츠]]의 아이콘임과 동시에 인품과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력까지 모두 갖춘, 그야말로 홀 오브 레전드에 가장 부합하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현역 선수가 홀 오브 레전드에 선정되는 것에 다소 떨떠름해하는 반응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그런 사람들조차 페이커를 제치고 다른 누군가가 처음으로 홀 오브 레전드에 헌액되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분위기이다. 사실상 1, 2세대 라인의 선수가 대부분 은퇴한 상황에서 더 이상 미루기 어려웠던 홀 오브 레전드를 페이커의 4번째 월즈 우승에 맞춰 현역 선수지만 동시에 이견이 없는 최초 헌액자로서 명분을 갖추고 발족한 것이다. 당장 LoL e스포츠 역사상 최초의 [[RISE(리그 오브 레전드)|개인 헌정곡]]을 받은 [[강찬용|앰비션]]을 비롯해 초창기 프로 리그 부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최초의 슈퍼스타 [[홍민기(프로게이머)|매드라이프]],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LCS]]에서 수년간 최정상 바텀 라이너로 군림하며 리그의 수준을 올린 [[피터 펭|더블리프트]], [[League of Legends Pro League|LPL]] 데뷔 이래 은퇴 직전까지의 폼만으로는 [[역체원]] 반열에 가장 가까웠던 [[젠쯔하오|우지]], 데뷔 이후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LEC]]에서 가장 많은 트로피를 들어올린 [[폴 부아예|소아즈]] 등 헌액 대상으로는 차고 넘칠 만한 선수들이 많았음에도 홀 오브 레전드 발촉이 미뤄졌던 이유는 모두가 인정하는 [[GOAT]]인 페이커가 여전히 현역이었기 때문이다. [* 이후 페이커는 헌액된 해에 다시한번 월즈 우승을 차지하고 다음 해에는 2029년까지의 계약 연장을 발표하면서 진짜로 페이커 은퇴까지 기다렸다간 라이엇이 큰일 날 뻔 했다는 반응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첫 번째 헌정 스킨 챔피언인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아리]]는 페이커가 월즈에서 [[소환사의 컵]]을 최초로 들어올렸을 때부터 우승 스킨으로 선택될 뻔한 챔피언이다. 그러나 당시는 선수들이 우승 스킨을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페이커의 아리 스킨 선택이 반영되지 않았고[* 당시엔 지금처럼 선수들을 따로 초대해서 함께 의견을 나누는 것이 아닌, 월즈에서 플레이한 챔피언 중에 하나를 라이엇 측에서 선정해서 우승 스킨으로 만드는 식이었다. 거기에 때마침 당시 출시되었던 팝스타 아리와 겹쳤기 때문에 아리를 선택한 선수의 의중은 반영이 안 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규정은 이후 폐지되었다.], 현재의 방식대로 변경된 후인 2015년과 2016년에는 아리가 메타에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에 픽하지 못했으며 2023년에는 이미 내부적으로 홀 오브 레전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아리가 선택되지 못했다. 월즈 우승 직후 팀원들의 언급까지 나올 정도로 아리의 월즈 우승 스킨이 '''10년''' 만에 성사될 뻔했으나, 페이커가 라이엇과의 미팅 후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로 변경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아리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는 떡밥을 뿌리기도 했다. 페이커는 예전부터 아리의 스킨을 원한다는 언급을 해왔으므로 라이엇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대화를 나누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아리의 스킨은 월즈 우승 스킨보다는 홀 오브 레전드 헌액 스킨으로 만드는 것이 여러모로 더 좋을 것이라는 합의에 이르렀으리라는 추측이 충분히 가능하다.[* 홀 오브 레전드 헌액 투표 시기가 11월 초였기 때문에 페이커가 저 언급을 했던 시기는 이미 투표가 완료되어 내부적으로 이미 페이커로 결정됐을 확률이 매우 높은 상태다.] 결국 페이커는 첫 우승 당시의 소원이던 아리의 스킨을 홀 오브 레전드의 첫 헌정 챔피언이라는 영광스러운 스킨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또한 아리라는 챔피언 자체도 [[구미호#s-4.1|한국 구미호]]를 모티브로 디자인된, 페이커의 국적인 [[대한민국]]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가 런칭되는 걸 기념으로 제작된 챔피언이라[* 각 지역에서 런칭될 때 여러 챔피언들의 스킨이 추가된 적은 많았지만, 챔피언이 추가된 것은 아리가 유일하다.] 한국 유저들에게는 소위 [[국뽕]]에 취할 수 있는 첫 번째 전설이 되었다는 점도 큰 의의가 있다. 두 번째 헌정 스킨 챔피언인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르블랑]]은 페이커의 전성기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페이커를 대표하는 챔피언 중 하나로, 2015 시즌 AP 챔피언 최초의 펜타 킬과 '''12전 12승''' 및 2022 시즌 '''14전 14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바 있다. 게다가 40세트 이상 플레이한 챔피언 중 가장 높은 승률인 '''82%'''를 기록하고 있어 페이커의 시그니처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 아리의 경우 2023 월즈 우승 기념 스킨이 아리에서 오리아나로 변경되었을 때 페이커가 직접 개인 방송에서 팬들을 달래주며 한 발언[* "혹시 이제 또 내년에 4회 우승 기념으로 스킨 만들어줄 수도 있잖아요. 아리도 그렇고, 르블랑도 내년에 만들어줄 수도 있잖아요?"]으로 많은 사람들이 예측하고 있었다. 하지만 르블랑은 당시 아리와 함께 지나가듯 언급되었기에 아무도 신경쓰지 않고 있다가, 트레일러 막바지에 아리와 함께 모습을 드러내며 뒤늦게 많은 팬들이 반색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