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 오브 레전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이벤트 내용 ==== ||<tablewidth=100%><width=10%> 레벨 ||<width=20%> 보상 ||<width=60%> 설명 ||<width=10%> 비고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설의 시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젠 쯔하오라는 이름의 천재적인 어린 선수가 [[Royal Club]]에 영입되어 [[LPL]]에 합류했고, 'Uzi'라는 닉네임으로 2013년 3월 16일에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Uzi 선수는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손꼽히는 유명 인사가 되었습니다. || ||<width=10%> 1 ||<width=20%> Uzi의 취임식 아이콘 ||<width=60%> 젠 쯔하오 선수는 1997년 4월 5일에 태어났습니다. 십 대 초부터 'Uzi'라는 이름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하기 시작했죠. ||<width=10%>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광견의 여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Uzi 선수 고유의 원거리 딜러 포지션 접근법은 하단 공격로 플레이 방식을 완전히 뒤바꿔놓았습니다. 팬들의 성원과 애정에도 불구하고, Uzi 선수는 아직 국내 및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리지 못했습니다. 젊은 선수는 스스로를 갈고닦기 시작했습니다. || ||<width=10%> 2 ||<width=20%> 파랑 정수 100개 ||<width=60%> 리그 오브 레전드 출시 전 어린 시절 Uzi 선수는 실시간 전략 게임을 즐겼고, 다양한 게임에서 타고난 실력을 보였습니다. ||<width=10%> || || 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처음 플레이한 챔피언은 [[신 짜오]]였습니다. 신 짜오를 선택한 이유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 때문입니다. || || 4 || 마법공학 열쇠 || Uzi 선수의 중국 서버 첫 번째 ID는 狂小禹(광샤오위)였습니다.[* 미칠 광, 작을 소, 임금 우.] || || || 5 || "귀환해도 될까요?" 감정표현 || 2012년, 그는 중국 랭크 상위권에서 Royal Club으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았고 2013 LPL 시즌 Royal Club의 선발 원거리 딜러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 || 6 || 수수께끼 아이콘 || 2013년 3월 16일, Uzi 선수는 LPL에 데뷔했고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MG]]와의 경기에서 커리어 첫 승리와 게임 MVP를 거머쥐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7 || 마법공학 상자 || Uzi 선수와 Royal Club은 15-13 기록과 함께 2013 LPL 스프링을 마무리했고 간발의 차로 스프링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 || || 8 || 베인 챔피언 || Royal Club은 2013 LPL 서머에서 대폭 향상된 성적을 거뒀습니다. 13-8 기록과 함께 정규 시즌을 2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9 || 신화 정수 5개 || 2013 월드 챔피언십 LPL 대표 선발전에서 Royal Club은 패자조를 뚫고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7|OMG를 3-1로 꺾었습니다.]] || || || 10 || 떠오른 전설 베인 || Uzi 선수는 데뷔 시즌에 첫 번째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2013)에 진출했습니다. Royal Club은 대회에서 LPL의 1번 시드였습니다. || || || 11 || 주황 정수 50개 || Royal Club은 2013 월드 챔피언십 8강에서 다시 한번 라이벌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8강#s-4.4|OMG를 만나 승리했습니다.]] 4강에서는 [[Fnatic]]을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4강#s-3.2|승리했죠.]] || || || 12 || 파랑 정수 100개 || Uzi 선수는 2013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처음 [[Faker]] 선수와 맞서게 되었습니다. [[SKT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T1]]은 Royal Club을 상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결승|3-0 전승을 거뒀습니다.]] || || || 1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Royal Club은 2013 오프시즌 기간 동안 Uzi 선수를 중심으로 팀을 재구성했고, 불안정한 경기력으로 인해 2014 LPL 스프링을 6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14 || 주황 정수 50개 || Royal Club은 2014 LPL 서머에 앞서 다시 한번 팀을 재구성했습니다. 이는 훨씬 더 성공적이었고, 정규 시즌을 3위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15 || 떠오른 전설 테두리 (베인) || 2014 LPL 서머 플레이오프: Uzi 선수와 Royal Club은 라이벌 OMG에 두 번 패배했고 플레이오프를 3위로 마무리하며 월드 챔피언십 대표 선발전으로 향했습니다. || || || 16 || 주황 정수 5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선발전|2014 월드 챔피언십 LPL 대표 선발전]]: Royal Club은 OMG를 상대로 반격에 성공했으나, 결국에는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 || || 1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와 Royal Club은 2014년에 다시 한번, 이번에는 LPL의 2번 시드로서 월드 챔피언십에 돌아왔습니다. || || || 18 || 파랑 정수 10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2014 월드 챔피언십]]: Royal Club은 TSM에 1패만을 내주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그룹 스테이지]]를 압도했고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했습니다. || || || 19 || 신화 정수 5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와 Royal Club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8강#s-4.3|8강에서는 EDG를]],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4강#s-3.2|4강에서는 OMG를 상대로 승리하며]] 브래킷 스테이지에서 지역 라이벌 두 팀을 모두 격파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20 || 밴들의 사수 게이머 아이콘 || 2014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전년도에 이어 연속으로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 올랐으나 결과적으로 [[삼성 갤럭시 화이트|SSW]]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결승|1-3으로 패배했습니다.]] || || 21 || 신화 정수 5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결승은 최고의 라이벌 중 한 명인 [[구승빈|Imp]] 선수와의 첫 대결이었습니다. 두 선수는 당시 세계 최고의 원거리 딜러 자리를 놓고 경쟁했습니다. || || || 22 || 파랑 정수 100개 || 2014 월드 챔피언십: Royal Club과 [[SK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K]] 간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s-3.1.5|그룹 스테이지 경기]]를 시청한 Imp 선수는 Uzi 선수에게 (전해지기로는) '당신이 세계 최고의 원거리 딜러다'라고 말했습니다. || || 23 || 이즈리얼 챔피언 || 2014 월드 챔피언십 결승 기록: Uzi - KDA 1.5, 평균 CS 240 Imp - KDA 5.1, 평균 CS 201 [br] Uzi 선수는 Imp 선수를 6번, Imp 선수는 Uzi 선수를 3번 처치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24 || 주황 정수 50개 || Uzi 선수는 개인적으로 Imp 선수를 자신의 커리어 최고 라이벌로 꼽았습니다. 2014 월드 챔피언십에서 있었던 둘의 공격로 맞대결을 좋은 추억으로 생각하죠. || || || 25 || 서릿빛 이즈리얼 스킨 || 그는 2014년 오프시즌 기간에 라이벌 팀이었던 OMG로 이적하며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 || || 26 || 파랑 정수 100개 || OMG와 함께한 Uzi 선수의 첫 스플릿은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2015 LPL 스프링]]이었고 해당 정규 시즌은 3위로 마무리했습니다. 한편, Royal Club은 10위였죠. || [*기억_재생] || || 2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OMG와 Uzi 선수의 2015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는 일찍 끝났습니다. [[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LGD]]를 상대로 1라운드 만에 탈락했죠. || || || 28 || 파랑 정수 100개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2015 LPL 서머]]의 OMG는 상황이 더 나빴습니다.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를 7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29 || 신화 정수 5개 ||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며 Uzi 선수의 2015 시즌이 끝났습니다. || || || 30 || 불타는 농부 아이콘 || Uzi 선수는 2016 스프링에 앞서 OMG를 떠나 [[Newbee/리그 오브 레전드|Qiao Gu Reapers]]에 합류했고 훗날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미드라이너 [[Doinb]] 선수와 함께 플레이하게 되었습니다. || || || 31 || 주황 정수 50개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2016 LPL 스프링]]에서 QG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11-5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32 || 파랑 정수 100개 || 2016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EDG를 상대하게 된 4강에서 QG는 [[Newbee/리그 오브 레전드/2016 시즌#s-1.2.3|비극적이게도 출전할 선수가 부족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s-5.2|팀은 기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 3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6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QG는 대체 미드라이너를 구해 [[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WE]]와의 3위 결정전에 나섰으나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s-5.3|0-3으로 패배했습니다.]] || || || 34 || 주황 정수 50개 || [[2016 MSI]] 진출에 실패한 이후, Uzi 선수는 QG를 떠났습니다. ||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위대함을 향한 비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Uzi 선수는 국내에서 신적인 피지컬로 자신을 증명했으나, 국제 대회 트로피가 없다는 사실은 그의 업적에 오점이 될 수 있었습니다. 실력이 향상되면서, 순위도 올라갔습니다. 과연 국제 대회 챔피언이라는 그의 목표가 이뤄질 수 있을까요? || ||<width=10%> 35 ||<width=20%> 매서운 깃털 아이콘 ||<width=60%> Uzi 선수는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2016 LPL 서머]]에 앞서 Royal Club(현재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으로 복귀했습니다. ||<width=10%> || || 36 || 파랑 정수 100개 || RNG의 새로운 2016 서머 선수 명단에는 [[Looper]], [[Mlxg]], [[Xiaohu]], Uzi, [[Mata]]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 || 3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RNG에서 동료가 되기 전에, Mata 선수는 2015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SSW 소속 서포터로 플레이하며 Uzi 선수를 꺾은 바 있습니다. || || || 38 || 주황 정수 100개 || 2016년 5월 27일: Uzi 선수는 떠오르는 신예 미드라이너 Xiaohu 선수와 함께 첫 경기에 나섰습니다. 두 선수는 이후 3년 동안 함께 플레이하게 됩니다. || || || 39 || 신화 정수 5개 || RNG로 복귀한 뒤, Uzi 선수는 자신의 플레이스타일을 더욱 팀 중심으로 개선했습니다. 이는 패권을 향한 Uzi 선수의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 || || 40 || 군중 제어 효과 면역 감정표현 || 2016 LPL 서머: Uzi 선수와 RNG는 정규 시즌에서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고, 13-3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41 || 파랑 정수 200개 || 2016 LPL 서머 플레이오프 결승에 진출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s-4.4|EDG에게 3-0으로 패배했습니다.]] || || || 42 || 수수께끼 와드 스킨 || RNG는 LPL의 2번 시드로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2016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Uzi 선수의 세 번째 국제 대회 참가였습니다. || || || 43 || 파랑 정수 200개 || 2016 월드 챔피언십: RNG는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SG]], [[Team SoloMid/리그 오브 레전드|TSM]], [[Movistar KOI/리그 오브 레전드|Splyce]]와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어려운 조]]에 배정되었습니다. || || || 44 || 주황 정수 100개 || 2016년 월드 챔피언십: RNG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1.6|SSG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2.4|2번]], Splyce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2.2|1번]] 패배했고 아슬아슬하게 D 그룹 2위로 브래킷 스테이지에 진출했습니다. || || || 45 || 빙하 샤워 아이콘 || 팬들은 Uzi 선수를 '샤워 형'이라고 부릅니다. 이 별명은 그가 2015년 스트리밍 중 게임을 하다 화가 나 그대로 샤워를 하러 가 만들어졌습니다. 수년간 채팅창에서 장난스럽게 놀림을 받은 끝에, Uzi 선수는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으로 그 별명을 받아들였습니다. || || 46 || 신화 정수 5개 || 'YYDS'는 Uzi 선수의 많은 별명 중 하나이며, '영원한 신'을 뜻하는 중국어 앞 글자를 따 만들었습니다. 한 스트리머가 경기 도중에 해당 칭호를 연호했고 이것이 그대로 별명이 되었습니다.[* 永远的神, '''Y'''ǒng'''y'''uǎn '''d'''e '''s'''hén을 줄인 것으로 우지뿐 아니라 중국에서 누군가를 찬양할 때 자주 쓰는 말이다.] || || || 47 || 수수께끼 아이콘 || 2016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2일 차, Uzi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s-3.1.4|Splyce와의 경기]]에서 전설적인 쿼드라 킬을 달성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8 || 루시안 챔피언 || 2016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8강에서 다시 한 번 라이벌 Faker 선수와 만났습니다. 국제 무대에서 벌이는 두 번째 대전이었습니다. || || || 49 || 주황 정수 100개 || 2016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는 Faker 선수와 SKT T1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8강#s-4.2|1-3으로 패배하며 또다시 월드 챔피언십에서 탈락했습니다.]] || || || 50 || 프로젝트: 루시안 스킨 || Uzi vs Faker: Uzi 선수는 Faker 선수와 동반 출전한 월드 챔피언십마다 협곡에서 맞붙었습니다. 두 선수의 상대 전적은 Faker 선수가 11-3으로 앞섭니다. || || || 51 || 파랑 정수 200개 || Uzi vs Faker: '[[RISE(리그 오브 레전드)|Rise]](2018 월드 챔피언십 주제곡)' 뮤직비디오에서 Uzi 선수와 Faker 선수는 모두 [[강찬용|Ambition]] 선수의 라이벌로 등장합니다. Uzi 선수는 베인의 석궁을, Faker 선수는 라이즈의 주문서를 이용해 싸웁니다. || || || 52 || 수수께끼 감정표현 ||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16 올스타]]: Uzi 선수는 [[MadLife]], Optimus, [[Levi]], [[xPeke]], [[황이탕|Maple]] 선수를 무찌르고 1대1 대결에서 우승했습니다. || || || 53 || 파랑 정수 200개 || RNG는 2017 시즌에 앞서 다음과 같이 선수단을 재구성했습니다. [[옌쥔쩌|Letme]], Mlxg, Xiaohu, Uzi, [[스썬밍|Ming]] || || || 54 || 주황 정수 100개 || Uzi 선수와 RNG는 2017 시즌을 뜨겁게 시작했고,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2017 LPL 스프링]] 정규 시즌을 12-4 기록과 함께 1위로 마무리했습니다. || || || 55 || 푸우웁 감정표현 || Uzi 선수는 2017 LPL 스프링 정규 시즌에서 [[섹와이호|AmazingJ]], [[샹런제|Condi]], Doinb, [[톈예|Meiko]] 선수와 함께 All Pro-Team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 || 56 || 파랑 정수 200개 || RNG는 2017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4강에서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s-4.2|EDG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s-4.4|결과적으로 WE에 패배하며]] [[2017 MSI]] 진출에 실패했습니다. || || || 57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2017 LPL 서머]]: RNG는 다시 한번 정규 시즌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12-4 기록과 함께 그룹 1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58 || 주황 정수 100개 || 2017 LPL 서머 플레이오프: RNG는 상대로 EDG를 만나 또다시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s-4.4|플레이오프 결승에서 패배했습니다.]] || || || 59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2017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습니다. 이번이 4번째 국제 대회 출전이었습니다. || || || 60 || 광견 코스프레 아이콘 || 2017 월드 챔피언십: Uzi 선수와 RNG는 지난 월드 챔피언십에서 패배했던 SSG를 상대로 2승을 따내는 등,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C조|그룹 스테이지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 [*기억_재생] || || 61 || 파랑 정수 200개 ||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8강#s-4.3|8강에서 Fnatic을 무찌른]] RNG는 4강에서 Faker 선수와 맞붙게 되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4강#s-3.1|SKT T1이 3-2로 승리하며]], Uzi 선수는 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에서 탈락했습니다. || || || 62 || 수수께끼 감정표현 ||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17 올스타]]: Uzi 선수는 Levi, [[brTT]], [[PraY]], [[Bjergsen]] 선수를 무찌르고 2년 연속으로 1대1 대결에서 우승했습니다. || || || 63 || 마법공학 열쇠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2018 LPL 스프링]]은 Uzi 선수의 가장 성공적인 한 해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RNG는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lash Wolves]]로부터 상징적인 정글러 [[Karsa]] 선수를 영입했습니다. || || || 64 || 주황 정수 100개 || 2018 LPL 스프링: RNG는 정규 시즌 동안 다양한 선수 조합을 실험했고 결과적으로 그룹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 || || 65 || 흠뻑 적셔 와드 || 2018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 RNG는 브래킷 스테이지를 휩쓸며 1위를 차지했고 [[2018 MSI]]에 진출했습니다. Uzi 선수는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66 || 수수께끼 아이콘 || 2018 MSI를 앞둔 Uzi 선수는 정점의 경기력을 선보였고 마침내 첫 LPL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국제 대회 우승뿐이었습니다. || || || 67 || 파랑 정수 200개 || 2018 MSI: RNG는 7-3 기록과 함께 강한 모습을 보이며 그룹 스테이지를 마무리했고, Karsa 선수의 이전 팀인 Flash Wolves와 상대하게 되었습니다. || || || 68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8 MSI: RNG는 긴장감 넘치는 단판승제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2018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2라운드#s-3.4.1|Flash Wolves와 맞붙었습니다.]] Uzi 선수의 이즈리얼이 놀라운 8/0/3의 K/D/A와 함께 RNG를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 || || 69 || 신화 정수 10개 || 2018 MSI: RNG는 4강에서 Fnatic을 [[2018 Mid-Season Invitational/4강#s-4.1|3-0으로 꺾었습니다.]] Uzi 선수는 국제 대회에서 Fnatic을 세 번 탈락시켰습니다. || [*기억_재생] || || 70 || 실력 차이 감정표현 || 2018 MSI: RNG는 결승에서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Z]]를 만났습니다. Uzi 선수는 KZ의 PraY 선수를 압도하는 활약을 펼치며 RNG를 승리로 이끌었고 [[2018 Mid-Season Invitational/결승|사상 첫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 올렸습니다.]] || [*기억_재생] || || 71 || 파랑 정수 200개 || 2018 MSI: Uzi 선수는 시리즈 이후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 || 72 || 신화 정수 10개 || MSI 이후 Uzi 선수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2018 아시안게임 e스포츠]] 시험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중국 국가대표로 선발되었습니다. || || || 73 || 애쉬 챔피언 || 중국 국가대표팀은 RNG의 Uzi, Letme, Mlxg. Ming 선수와 WE [[Xiye]] 선수 및 EDG Meiko 선수로 구성되었습니다. 중국 국가대표팀은 8승 2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습니다. || || || 74 || 주황 정수 100개 || 중국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에 이어 조 2위를 기록했습니다. || || || 75 || 승리의 맛 감정표현 || 2018 아시안 게임: 중국 국가대표팀은 4강에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s-6|중화 타이베이를 격파하고]] 결승에서 라이벌 대한민국을 만났습니다. 대회 기간 동안 대한민국과 만나 여러 번 패배했음에도, 중국 국가대표팀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본선#s-8|3-1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Uzi 선수는 금메달을 손에 넣었습니다. || || || 76 || 수수께끼 감정표현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2018 LPL 서머]]: RNG는 압도적인 한 해를 이어 나갔고,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를 꺾으며 LPL 연속 우승을 쟁취했습니다. Uzi 선수는 다시 한번 결승전 MVP로 선정되었습니다. || [*기억_재생] || || 77 || 파랑 정수 200개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18 월드 챔피언십]]: RNG는 LPL의 1번 시드로 진출해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그룹 스테이지]]에서 [[Cloud9 Kia|Cloud9]]을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이며 플레이오프로 향했습니다. || || || 78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2018 월드 챔피언십 8강: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이변 중 하나가 일어났고, RNG는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 Esports]]에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8강#s-4.2|3대2로 패배하며 무너졌습니다.]] RNG는 8강에서 탈락했지만, 라이벌인 IG는 승승장구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결승|대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79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는 2019년에 엇갈린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RNG는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2019 LPL 서머]] 플레이오프를 2위로 마무리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2019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했으나, Fnatic과 SKT T1에 밀려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C조|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했습니다.]] || [*기억_재생] ||}}}}}}}}}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끊임없는 성장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4> MSI와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한 후, Uzi 선수는 건강 문제로 인해 은퇴했습니다. 이후 수년간, 그는 체력 단련에 전념했습니다. 고된 노력을 통해 Uzi 선수는 병을 극복하고 마라톤 주자 및 운동선수가 되었습니다. || ||<width=10%> 80 ||<width=20%> 정령용 애쉬 스킨 ||<width=60%> 2019 월드 챔피언십 이후, Uzi 선수는 건강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젠쯔하오/선수 경력/2020 시즌#s-2|프로 무대에서 은퇴했습니다.]] ||<width=10%> || || 81 || 파랑 정수 600개 || 2019년 9월, Uzi 선수는 LPL에서 500게임을 플레이한 첫 번째 선수가 되었습니다. || || || 82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Uzi 선수는 三万(산완) 및 黑仔(헤이자이)라는 이름의 프렌치 불도그 2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 || || 83 || 파랑 정수 600개 || 2021년, Uzi 선수는 오랜 여자 친구에게 청혼했습니다. 그들은 Uzi 선수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춘 Ming 선수에게 영상 통화를 걸어 바로 이 소식을 전했습니다. || || 84 || 주황 정수 500개 || 2020년 은퇴 이후, Uzi 선수는 스트리밍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까지도 그는 인기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입니다. || [*기억_재생] || || 85 || 수수께끼 와드 스킨 || 3년에 가까운 휴식기 이후, Uzi 선수는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2022 LPL 스프링]]에서 [[Bilibili Gaming Pingan Bank|BLG]] 소속으로 프로 무대 복귀를 깜짝 발표했습니다. || || || 86 || 파랑 정수 600개 || BLG는 2022 LPL 스프링에서 자리를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를 8위로 마무리했습니다. Uzi 선수는 BLG를 떠났습니다. || || || 87 || 정령용의 헌신 아이콘 || 2022년, Uzi 선수의 아들이 태어났습니다. 아들의 별명은 小枣(작은 대추)이며, 이는 Uzi 선수의 많은 별명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 || 88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는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2023 LPL 서머]]에 마지막으로 LPL에 복귀했습니다. 이번에는 EDG 소속이었습니다. 어려운 여건이었음에도, EDG의 2023 서머는 안정적이었습니다. || || 89 || 신화 정수 10개 || 2023 LPL 지역별 결승: EDG는 2023 월드 챔피언십 최종 선발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PL#s-4.3|WBG에 패배했습니다.]] WBG는 해당 대회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결승|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 || || 90 || 무자비한 사냥꾼 휘장 || 2023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아깝게 실패한 이후, Uzi 선수는 다시 한번 마지막으로 LPL에서 은퇴했습니다. || || || 91 || 파랑 정수 600개 || 첫 번째 은퇴 이후 Uzi 선수는 자신의 건강 관리에 큰 관심을 쏟았습니다. 지속적인 체력 훈련을 통해 그는 근본적인 건강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 || || 92 || 신화 정수 10개 || 이제 Uzi 선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깁니다. 현재 가장 좋아하는 종목은 테니스입니다. || || || 93 || 2025 홀 오브 레전드 상자 || 요즘 Uzi 선수가 재미로 플레이할 때는, 야스오를 주로 선택합니다. 그는 전투에서 다양한 야스오 연계기를 실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 || || 94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쇼생크 탈출]]이며, 그 이야기로부터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합니다. || || || 95 || 미니 떠오른 전설 베인 아이콘 || 선수 생활 내내 그를 괴롭혔던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Uzi 선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혹독한 체력 훈련을 한 Uzi 선수는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습니다. || || 96 || 주황 정수 500개 || Uzi 선수의 마라톤 완주 기록은 5시간 41분이었습니다. || || 97 || 신화 정수 10개 ||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은 [[Vitas]] 님의 'Opera #2'입니다. 그는 스트리밍 도중 수차례 해당 곡을 따라 부르려 시도했고, 이는 팬 커뮤니티에서 밈이 되었습니다. || || || 98 || 광견 || Uzi 선수는 다양한 별명을 갖고 있으나, 가장 상징적인 별명은 '광견'입니다. 이는 선수 생활 초반 어린 나이와 극도로 공격적인 플레이스타일로 인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 || || 99 || 신화 정수 25개 || 리그 오브 레전드는 여전히 Uzi 선수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이며, 아직도 종종 플레이하고 스트리밍합니다. || ||}}}}}}}}} || ||<-4> '''계속되는 전설...''' || ||<-4> 스트리머. 아버지. 운동선수. 프로게이머. Uzi 선수는 프로 의식과 발전을 향한 집념으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해 냈습니다. 현재까지도 Uzi 선수는 '끊임없는 성장의 아이콘'이라는 칭호에 걸맞은 삶을 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width=10%> 100 ||<width=20%> 떠오른 전설 베인 (신화 등반자) ||<width=60%> 현재 Uzi 선수는 전업 스트리머입니다. 아내, 아들 그리고 반려견 두 마리와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죠. ||<width=10%>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