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42.53.191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소유권 이전과 관련한 공지
현실을 예견한 작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미래에 생겨날 물건/개념을 예견한 경우 === 미래에 생겨날 법한 것들을 예견한 경우로, 주로 [[사이언스 픽션]]에서 자주 나타난다. 다만 주제가 '''나중에 만들어질 법한 것을 최대한 현실적으로 예언해보자'''가 아닌 다른 주제를 지닌 작품이 많으므로 오독에 유의하자. 그런 주제를 다룬 작품을 찾자면 [[서기 3000년]]이나 [[100년 후]]와 같이 미래학적 면모를 지닌 작품들을 찾아 읽는 게 나을 것이다. * [[serial experiments lain]](1998): 현대 사회의 모습을 예측한 모든 예시는 문서 참조. 거대 인터넷 커뮤니티,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친목질]], [[PK]] 등 인터넷이 주류문화로 자리잡고, 인터넷 내에서의 자신과 현실 세계의 자신 사이에서 혼동을 느끼는 등 '''인터넷이 단순한 유희거리가 아니라 현실에 큰 영향을 끼치고, 현실과 가상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모습'''을 '''[[1998년]]'''에 묘사했다.[* 사실 이 애니메이션은 [[Apple|애플]]의 CEO를 역임한 [[존 스컬리]]가 무려 '''1987년'''에 주창한 개념인 [[지식 탐색기]]에서 시작했다고 보는 게 맞다. 마침 제작진들도 [[앱등이|애플빠]]마냥 간접광고를 부어 줬고.] * [[1984(소설)|1984]](1949): [[CCTV]], 정확히는 '''대중을 끊임없이 감시하는 사회'''를 예견했다. 다행스럽게도 오웰이 예언한 전체주의 사회가 영미권에 다가가지는 않았지만 그의 예언대로 국민들이 [[PRISM|여러가지 장치]]를 통해 감시받고 있다는 게 아이러니. 그리고 [[중국]]과 [[미국]]은 [[세서미 크레딧]] 안면 인식 스캐너, 스마트폰 검문 등 이를 현실로 이루어내고 있다.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968년작. 우주선과 우주에서의 생활모습 등을 묘사했는데 현재 와서 거의 다른 것도 없고, 이 영화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기 전에 만들어졌다. 즉, 현실보다 먼저 현실적으로 구현해낸 셈. 게다가 [[태블릿 컴퓨터]]의 등장 역시 여기서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다. * [[강철군화]](1908): [[디스토피아]]물의 효시. 작중의 배경인 미국이 작품의 예언대로 [[파시즘|파시스트]]적 [[독재]]국가가 되지는 않았기에 미국 내부에 대한 예언은 죄다 빗나갔지만, [[제1차 세계 대전|독일과 영국, 미국의 전쟁]]이나 [[파시즘]]의 등장, [[태평양 전쟁|인도를 노린 일본과 영국 간의 갈등]] 등등의 예언은 어느 정도는 맞았다. * [[록맨 에그제 시리즈]](2001): 작 중 등장 기기인 [[PET]]는 현실의 [[스마트폰]]으로, [[넷 내비]]는 현실의 [[인공지능]] 비서 프로그램으로[* 더 나아가서는 [[강인공지능]]의 개념을 보여주었다.], 작 중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현실의 [[유비쿼터스]] 시스템, [[사물인터넷]] 등으로 구현되었다. 문제는 '''작중 등장하는 각종 인터넷 범죄 또한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9&state=view&idx=47003|현실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 여기에 [[증강현실]]에 [[가상현실]]까지 더해지면 현실화 된 정도가 아니라 더 발전될 것 같다. 만약 넷내비에 해당되는 기술인 [[강인공지능]]까지 구현된다면, 작 중 등장하는 기술은 모두 구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리얼 스틸]]: [[거대로봇물]]이 [[거대로봇 결투|현실로 다가온 사건]]으로 해당 사건을 일으킨 당사자들은 실제로 이런 스포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확히는 [[로봇파워]], [[로봇 워]]에서 다룬 [[배틀로봇]]을 거대화한 것에 가깝지만 말이다. * [[서기 2000년대의 생활의 이모저모]] - [[이정문(만화가)|이정문]] 화백의 작품. 1965년에 발표된 한 컷 만화로 2017년 기준으로 모든 산물들이 달나라 여행 빼고 전부 상용화되었다. 작가 이정문은 이 작품을 계기로 2017년 SK텔레콤 광고모델로 기용되기도 했다. * 스노우 크래쉬(1992): 닐 스티븐슨의 [[사이버펑크]] 소설. [[세컨드 라이프]]와 완전히 일치하는 가상세계인 메타버스가 등장하고[* 요새는 잘 쓰지 않지만 한때 유행했던 단어인 메타버스가 여기서 유래했다.], 현대 [[VR]]/[[AR]]의 구현방법과 완전히 일치하는 VR/AR 기기, [[구글 어스]]와 유사한 프로그램등 온갖 가상현실 기술들이 등장한다. 다만 여러가지 개념들이 현실화된 것과는 다르게 [[사이버펑크]]라는 장르 특성상 사회상은 현실과 차이가 큰 편. * [[쥘 베른]]의 작품들 * [[달 세계 여행]](1865년 발간, 1902년 영화화): [[로켓]]과 [[달]] [[아폴로 계획|착륙]]을 최초로 고안한 소설. 이후 이 소설이 영화화되면서 영화 작품이 최초의 낭만주의 영화, 최초의 SF영화를 비롯한 각종 [[세계 최초]] 타이틀을 거머쥔 전설적인 영화가 되었고, 이 덕분에 원작 소설은 단순히 현실을 예견한 것보다 더 큰 가치를 지닌 작품이 되었다. * [[http://solidstateflows.tistory.com/27|2889년]](1889): 현대의 영상 통화나 뉴스방송을 예견한 단편소설. * 20세기 파리(1863): 1994년에 출판되었지만 원고는 1863년에 완성되었다. 에어컨, TV, 엘레베이터 등 20세기 중반에서야 탄생한 현대 문명의 산물들이 등장했다. * [[인도 왕비의 유산]](1878): 책에 나오는 전투묘사가 2차대전의 화학전과 유사하며, 인공위성과 비슷한 것이 등장한다. * [[쥬라기 공원]]: 고대 생물의 복원을 예견했다. 실제로 공룡은 아니지만 [[매머드]] 복원이 추진 중인데 혼혈종으로 복원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 개봉했을 당시 [[벨로시랩터]]의 크기를 본 고생물학자들은 '''저런 거대한 크기의 랩터는 없ㅋ음ㅋ'''이라고 했는데 '''몇달 뒤 [[유타랍토르|그 거대한 크기의 랩터]]가 발견됐다.''' 그나마 유타랍토르는 크기가 조금 더 크기도 하고 2010년대 이후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랩터의 모습과는 다르다고 밝혀졌으나... 2015년 몬태나 헬 크릭 층에서 '''[[다코타랍토르|영화판과 유사한 크기는 물론이고, 심지어 티라노사우루스와 공존까지 한 랩터]]가 발견됐다!'''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2000)의 한국군: 한국군에서 [[해리어(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해리어]]를 대체할 전투기 유닛으로 [[보라매(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보라매]]라는 전투기가 등장했는데, 해당 게임이 발표되고 21년 뒤 [[KF-21 보라매|진짜로 대한민국 공군에 보라매 전투기가 등장했다.]] 거기다 게임 내 세계관에서 한국군이 [[항모전단]]을 보유한다는 설정이 있는데, 이 또한 [[CVX]]의 등장으로 인해 실현될 수 있는 설정이 되었다. * [[타임머신]]: 처음에는 소설에서 시작된 이야기였으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2435696|현재 시뮬레이션 실험까지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현재로서는 양자 세계 시뮬레이션으로만 가능한 일. * [[터미네이터(영화)|터미네이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2735759|생체세포 씌운 로봇은 진짜로 개발됐다.]] 또한 인간과 동일하게 두 발로 걷고, 달리고, [[파쿠르]] 동작까지 할 수 있는 로봇도 [[보스턴 다이내믹스]]에서 개발됐다. * [[화씨 451]](1953): 벽걸이형 TV와 '''대중 미디어에 중독되어 비판 의식을 잃어버린 사람들'''을 예견했다. 책을 금지하고 불태우는 것은 이 비판 의식의 부재를 더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서술적 장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2.53.191)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42.53.191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