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하비에르 밀레이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당선 이후 === 당선 후에는 후보 시절의 과격한 언행과 반대되는 활동을 하는 중이다. [[프란치스코(교황)|좌파라며 비난하던 교황]]과 공손하게 통화를 하고[* 선거운동 때 빌어먹을 사회주의자라고 호칭했던 교황을 취임 후 통화에서 교황 [[성하(호칭)|성하]](Su Santidad)라고 호칭했다고 한다.] [[중국]]이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와 같은 좌익 진영과는 상종하지 않겠다는 말과는 달리 [[시진핑]]의 당선 축전에 감사를 표하거나 룰라를 취임식에 초청하는 등 중국과 [[브라질]]과 평범하게 외교를 하는 중이다.[* 브라질과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1, 2위 교역국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국교단절]] 같은 외교적 불이익은 감수할 수 없다. 다만 조금씩 교역을 줄이고 다른 국가와 교역을 늘리는 정책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BRICS|브릭스]] 참가는 거부했지만 당초 비판적인 입장이었던 [[메르코수르]]에 대해서는 지지 입장을 밝혔다. 경제장관에는 [[미국 달러|달러]]화 사용 및 중앙은행 폐쇄 반대론자인 루이스 토토 카푸토 전 재무장관을 내정했다. 현지 매체들은 카푸토 내정자가 [[페소]]화를 대신해 달러화를 도입하는 것 등에 부정적인 점을 언급하며 그가 [[중앙은행]] 폐쇄 등 밀레이 당선인의 급진적 공약을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펼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https://m.yna.co.kr/view/AKR20231201002600087?section=international/all|#]] 의회도 여전히 [[페론주의]]당이 다수기 때문에 많은 공약들을 실현하는데 애로사항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차기 총선에서 대승하지 않는 이상 공기업 [[민영화]]와 보조금 폐지 정도의 공약만 실현될 가능성이 크다. 밀레이 스스로도 정권 초 [[긴축|재정긴축정책]]으로 인해 강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 자유주의|자유시장주의자]]답게 경제부 상업차관실을 폐지했고, 가격 통제나 관리는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으며, '돈이 없으면 돈이 없는 것'이라며 재정적자 때문에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낼 일은 없다고 말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31201003900009?input=1195t|#]] 중국•브라질과 달리 중요도가 떨어지는 [[니카라과]][* 밀레이가 좌파 독재 국가라고 비난한 나라 중 하나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니카라과는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영유권 분쟁에서 아르헨티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을 취임식에 초청하지 않기로 하면서 외교 분쟁이 발생했다. 니카라과는 주 아르헨 대사를 철수시켰다. 그 외에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국가주석이 초청에서 제외되었다. [[https://naver.me/x95tb93r|#]]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