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프루티거 에어로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디자인/기법]][[분류:시각 디자인]][[분류:예술]][[분류:미술]][[분류:에스테틱]] ||<width=450><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skyblue><nopad>[[파일:Windows 7 DWM.png|width=100%]]||<width=450><#fff><nopad>[[파일:삼성 YP-K5 MP3 플레이어.jpg|width=100%]]|| ||<rowbgcolor=skyblue><rowcolor=#fff> '''▲''' [[Windows Vista|{{{#fff '''Windows'''}}}]]'''의 [[Microsoft Windows/디자인#s-5|{{{#fff Aero UI}}}]] (2009)''' || '''▲''' [[삼성전자|{{{#fff '''삼성전자'''}}}]] '''YP-K5 MP3 플레이어의 패키지 디자인 (2006)'''[* 이러한 스타일은 프루티거 메트로라고 부르기도 한다.] || ||<width=450><#fff><nopad>[[파일:프루티거 에어로 1.webp|width=100%]]||<width=450><#fff><nopad>[[파일:Windows Media Player 9 (2002).png|width=100%]]|| ||<rowbgcolor=skyblue><rowcolor=#fff> '''▲''' '''프루티거 에어로 스타일의 대표적인 예시 (2007)'''[* 한국 디자인 업체인 [[https://ko.wikipedia.org/wiki/아사달_(기업)|아사달]]에서 제작한 이미지다. [[http://editphoto.asadal.com/view.htm?code=AS1000006444&pattern_no=407400&page=|#]]. 후술할 [[https://aesthetics.fandom.com/wiki/Frutiger_Aero|Aesthetics Wiki의 Frutiger Aero 문서]]에서는 아예 이 회사도 이 디자인 스타일을 유행시킨 곳으로 본다. 추적하다 보면 애초에 포토샵으로 가공하기 쉽게 만든 소스 이미지들을 팔려고 만든 것이었는데 모종의 이유로 유출된 다음 당초 목적이었던 가공 편의성으로 인해 엄청난 속도로 전세계로 퍼진 듯 하다. 이런 류 이미지에서 묘하게 느껴지는 동질성 역시 결국 같은 회사에서 제작한 것 때문이었고, 지구본이 한반도가 강조되는 위치로 자주 보이는 것과 [[63빌딩]]같은 한국 건물들이 등장하는 것도 기분 탓이 아니다.] || '''▲''' '''[[Windows Media Player|{{{#fff Windows Media Player}}}]] 9 (2002)'''[* 사진 자체는 2024년 2월 12일 촬영된 것으로 [[Windows XP]]에서 구동한 것을 배경 제거한 것이다. 이 영상은 [[팬택 스카이 시리즈]]의 [[스카이 이자르]] CF으로, 안드로이드 마스코트 옆에 앉아있는 사람은 [[구혜선]]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1 Frutiger Aero}}} [[Y2K(동음이의어)|Y2K]]가 끝난 후 약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광고, 미디어, 이미지 등등에 퍼진 디자인 스타일을 일컫는다. [[유비쿼터스]]라는 신조어가 떠오를 당시 활발하게 쓰인 디자인 형식이다. 광택 질감 표현, 맑은 하늘, 열대어와 과일, 물과 거품, 유리, 렌즈, 패턴, 에어로 글라스, 추상적 테크, 오로라, 주로 푸른색의 밝고 활기찬 색상과 그 색상 계열의 자연 풍경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연 풍경은 주로 [[초원]]이나 해변 등에 쾌청한 날씨가 합쳐지면 이렇게 본다. 주로 [[스큐어모피즘]]과 궤를 같이 한다.[* 이는 인터페이스 한정으로, 하드웨어는 이미 미니멀리즘에 접어든 시기였다. 다만 다른 시기와 비교했을때 이 시기 하드웨어 디자인은 유광 플라스틱 등의 글로시한 재질로 마감한 것이 대표적인 특징([[포탈 시리즈]]에서 보여주는 분위기를 생각해보자). 오히려 이 [[에스테틱]]과 어울리는 하드웨어를 가져오라고 하면 [[iMac]] G3같은 투명 플라스틱이 많이 쓰인 Y2K 시절 물건이 자주 거론되는 편.] 선형 그라디언트, 글로우, 사실적인 요소를 부각하기 위한 빛 표현을 포함하고 있으며 얼핏 보면 Y2K 디자인 방식과 비슷한 것 아니냐고 오해할 수 있지만 프루티거 에어로는 Y2K에 비해서 고화질 이미지와 덜 원시적인 3D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HD 비디오의 상용화와 기술 발전에 의한 것으로 약간 이전에 비해서 세련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 명칭 == 원래 이 기법 자체는 이름이 붙지는 않았었는데, 넓은 개념의 미학이라기 보다는 어떠한 특정 스타일과 더 관련이 있었다. 때때로 '''Web 2.0 Gloss (웹 2.0 글로스)'''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는 미학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라기보다는 미학 내부에서의 광택 표현 요소를 일컫는 형용사로 사용되었다. '프루티거 에어로'라는 이름은 [[https://cari.institute/|CARI(소비자미학연구소)]] 의 '소피 리'가 2017년에 만든 것으로 2022년, 이 같은 스타일이 유행을 타게 되면서 다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21세기 초반 사용이 급증한 휴머니스트 산세리프 [[글꼴]]의 시조격인 디자이너 아드리안 프루티거(1928~2015)[* 휴머니스트 산세리프는 기존 Grotesque, Geometric sans-serif 서체에 비해 기계적, 기하학적인 인상이 약한 서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범위가 넓지만, 그 중에서도 프루티거의 Frutiger(1976)를 기반으로 하는 서체가 대세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2020년대까지 현재진행형. 다만 스큐어모피즘을 주도했던 [[Apple|애플]]은 휴머니스트 산세리프를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으며, 그로테스크 계열의 [[San Francisco]]가 주력이다.]와 [[Windows Vista]], [[Windows 7]]의 UI 테마의 이름인 [[Windows Aero|Aero]]에서 따온 것. == 역사 == === 초기 === ||<width=600><tablebordercolor=skyblue><tablealign=center><nopad><#fff> [[파일:Windows XP 배경화면.jpg|width=100%]] || ||<bgcolor=skyblue><color=#fff> '''▲''' '''[[Windows XP|{{{#fff Windows XP}}}]]의 [[초원#s-2|{{{#fff 배경화면}}}]] (2001)'''[* 1996년 1월에 찍혔고 2001년부터 [[Windows XP]]의 기본 바탕화면이 된 [[초원#s-2|사진]]이다.] ||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Windows Vista]]의 초기 개발명인 [[https://frutiger-aero.org/frutiger-aero|Windows Longhorn]]과 [[Mac OS X]]에서 사용된 [[스큐어모피즘|스큐어모픽 디자인]]에 뿌리를 둔다. 시간대가 이르긴 하지만 Y2K 시대였던 1997년 [[꼬꼬마 텔레토비]]의 초원도 사람들이 [[https://aesthetics.fandom.com/wiki/Frutiger_Aero|프루티거 에어로로 여긴다]]. 다만 [[https://www.reddit.com/r/y2kaesthetic/comments/1f7x19e/is_teletubbies_y2k_futurism/?sort=old|우주선 내부]][* 공식 명칭은 "토비트로닉 슈퍼둠(Tubbytronic Superdome)"이다.]는 Y2K로 여긴다. 여담으로 Y2K와 프루티가 에어로의 경계는 관련 커뮤니티에서 잊을 만하면 한번씩 논쟁거리로 거론되는 수준으로 상당히 희미한 편이다. === 전성기 === 이후 2004년부터 2007년까지 [[Windows Media Player]]와 7세대 비디오 게임에서 이러한 디자인을 채택하면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5~2006년 사이에 [[Windows Vista]], [[Wii]], [[닌텐도 DS Lite]], [[PlayStation 3]], [[Xbox 360]]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에어로 스타일이 적용되며 일반화되었고 [[iPhone]]과 [[Windows 7]]의 출시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 암흑기 === ||<tablewidth=900><tablebordercolor=skyblue><tablealign=center><nopad><width=33.3%><#fff> [[파일:Q8KbK2i.jpg|width=100%]] ||<nopad><width=33.3%><#fff> [[파일:OS X Yosemite 데스크탑.png|width=100%]] || ||<rowbgcolor=skyblue><rowcolor=#fff> '''▲''' '''[[Windows 8|{{{#fff '''Windows 8'''}}}]]{{{#fff '''의 시작 센터 (2012)'''}}}''' [* Windows 8은 시작 버튼을 없애고 시작 화면이라는 기능을 도입했는데, 이 변화가 소비자로부터 쓸데없는 변화라고 역풍을 맞으며 실패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비자에게 더 익숙한 기능을 변화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는 성공 여부에 지장이 있을 수 있는 큰 도박수인데, [[Microsoft]]는 이 도박에서 결국 실패한 것이다.] || '''▲''' '''[[OS X Yosemite|{{{#fff '''스큐어모픽 디자인을 탈피한 OS X Yosemite (2014)'''}}}]] ''' [* [[Apple]] 공식 홈페이지는 2014년 초까지 기존 디자인을 유지하다가 2014년 중반이 되어서야 개편했다.] || 하지만 2012년부터 이러한 프루티거 에어로의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은 플랫 디자인에 밀려 퇴색되기 시작했다. 주된 이유는 무엇보다 플랫 디자인에 비해 디자인에 사용되는 비용이 훨씬 비싸다는 것이었고, 에어로 스타일을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던 UI 분야에서 스타일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윈도우는 8을 기점으로, 안드로이드에서도 스마트폰 제조사마다 UI가 다르긴 하지만 대략 2013년 [[Android Kitkat|안드로이드 킷캣]] 출시를 기점으로 플랫 스타일로 대부분 넘어가게 된다. 이는 Apple도 마찬가지여서 2013년 [[iOS 7]], 2014년 [[OS X Yosemite]]의 출시로 Apple 또한 플랫 디자인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프루티거 에어로를 마지막까지 적용하던 콘솔 제조사 [[닌텐도]]의 경우, 2012년 [[Wii U]]가 1356만 대만 판매되며 상업적으로 실패하자[* [[Wii U]]의 실패는 프루티거 에어로의 쇠퇴에 더더욱 기여했다.] 에어로 적용을 포기하고, 2017년 [[Nintendo Switch|닌텐도 스위치]]에서는 에어로 스타일을 탈피하였다. 직후 마이크로소프트와 소니 모두 에어로 스타일을 탈피한 신제품인 [[PlayStation 4]]와 [[Xbox One]]을 발표하며 에어로 스타일에 종말을 고했다. 주요 디지털 기업들이 이 정도이고, 이후부터는 광고계와 디자인 업계에서도 에어로 스타일이 사실상 소멸되며 프루티거 에어로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한편 이 시기에도 Oversimplified logo 등의 밈이 명맥을 이을 정도로 이 디자인 문법을 달갑지 않아하는 여론은 꾸준히 있어왔다. === 재부흥, 그리고 네오-에어로 === 위에서 서술했던 바와 같이, 프루티거 에어로라는 용어 또한 프루티거 에어로 스타일이 유행했던 때가 아닌 2017년이나 되어서 소피 리에 의해 다시 만들어진 용어이다. 이 용어가 생기고 난 이후로 2022년 후반 이후 [[TikTok]] 같은 플랫폼에서 #frutigeraero 태그가 3000만 번 이상 재생되면서 큰 반응을 얻었다. 여기서 재부흥이란 새로운 스타일로 주목받았다기보다는 [[향수(감정)|노스탤지어]]같이 추억돋는다는 반응으로 날아오르게 된 것이다. 언론 매체에서 이러한 과거 문화의 재발견 및 유행을 [[복고|뉴트로(복고)]]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와 비슷한 [[유행]]이라고 보면 된다. 이는 프루티거 에어로가 처음 등장한 이후 18년 만에 재부흥한 것이다.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youtube(WzdWQeV3LsI)] || ||<bgcolor=skyblue><color=#fff> {{{#fff '''2024년 들어서 Y2K 감성이 시들해지자 새롭게 각광받는다.'''}}} || === Liquid Glass로의 계승 === ||<tablewidth=9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width=33.3%><nopad>[[파일:macOS Tahoe 제어 센터.jpg|width=100%]]||<bgcolor=#fafafa,#fafafa><width=33.3%><nopad>[[파일:iOS 26 SpringBoard.jpg|width=100%]]|| ||<rowbgcolor=skyblue> '''[[macOS Tahoe|{{{#fff,#fff macOS Tahoe}}}]]{{{#fff,#fff 의 제어 센터}}}''' || '''[[iOS 26|{{{#fff,#fff iOS 26}}}]]{{{#fff,#fff 의 홈 화면}}}''' || Apple이 [[WWDC25]]에서 발표한 [[Liquid Glass]]는 [[macOS 11]] 때 [[뉴모피즘]] 차용 여부를 부정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푸르티거 에어로의 특성들을 전적으로 표방하여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Liquid Glass는 기존의 글래스모피즘에서 한 단계 더 진보하여 프루티거 에어로처럼 투명하고 깨끗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했으며, '현대화된 프루티거 에어로'라고 평가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Liquid Glass]] 문서 참조. == 하위 에스테틱 == === 프루티거 에코 ===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파일:그린 유토피아.webp|width=100%]] || ||<bgcolor=skyblue><color=#fff> {{{#fff '''자연 요소를 집어넣은 디자인이다. 프루티거 에어로 파생 애스태틱이 다 그렇듯, 맑고 밝은 물빛 나는 색감이 자연물을 통해 더욱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파일:snsd_intel_2010.jpg|width=100%]] || ||<bgcolor=skyblue><color=#fff> {{{#fff '''[[소녀시대]] - Visual Dreams 자켓. [[Intel]] 스페셜 콜라보 싱글(2010)'''}}} || === 펑키 시즌 ===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파일:nano-chromatic.webp|width=100%]] || ||<bgcolor=skyblue><color=#fff> {{{#fff '''[[iPod nano#s-2.4|iPod nano(4세대)]] 광고 포스터 - 'nano-chromatic''''}}} ||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youtube(wdYovrcx2Vk)] || ||<bgcolor=skyblue><color=#fff> {{{#fff '''[[DJMAX TECHNIKA TUNE]] 광고'''}}} || === 프루티거 메트로 === ||<width=45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skyblue><nopad> [youtube(y0zcDFtsw8A)]||<width=450><#fff><nopad> [youtube(jBxW22JLUmg)] || ||<rowbgcolor=skyblue><rowcolor=#fff> '''▲''' '''COX 인터넷의 TV 광고 (2004)''' || '''▲''' [[소녀시대|{{{#fff '''소녀시대'''}}}]]'''- Visual Dreams (2010)[* [[Intel]] 스페셜 콜라보 MV]''' || ||<width=450><#fff><nopad> [youtube(NkVxVlBjwbE)] ||<width=450><#fff><nopad> [youtube(TE4EEwQAfxo)] || ||<rowbgcolor=skyblue><rowcolor=#fff> '''▲''' '''NOH! (2023)''' || '''▲''' '''[[아이팟 셔플|{{{#fff '''iPod Shuffle'''}}}]] 1세대 광고 (2005)''' [* CF에서 나오고 있는 음악은 The Caesars의 Jerk It Out이라는 음악이다.] ||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에 유행했으며 주로 장평을 좁힌 [[윤고딕]]과 손글씨 폰트를 조합한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으로 넘어오던 과도기 [[에스테틱]]이다. 메트로라는 이름도 [[Windows 8]]의 메트로 UI에서 따온 것이다.[* 정작 이 [[Windows 8]]이 시작 버튼 제거, 편의성 문제 등으로 실패한 것이 프루티거 메트로가 몰락한 계기가 되어버렸다.] === 테크노젠 === ||<width=400><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skyblue><nopad> [[파일:iMac Technozen.webp|width=100%]]||<width=300><#fff><nopad> [[파일:테크노젠 욕실.jpg|width=100%]]|| ||<width=300><#fff><nopad>[[파일:Metro Subway (Technozen).webp|width=100%]]||<width=300><#fff><nopad>[[파일:버디버디 그린그린.jpg|width=100%]]|| == 외부 링크 == * [[FANDOM]]의 [[https://aesthetics.fandom.com/wiki/Frutiger_Aero|Aesthetics Wiki의 Frutiger Aero 문서]]: 본 문서는 이 위키에서 발췌한 부분이 많다. * [[레딧]]의 [[https://www.reddit.com/r/FrutigerAero/|프루티거 에어로 서브레딧]]: 공식 디스코드 서버도 있는데, 한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들이 있는 것이 특징. * [[위키백과]]의 [[https://en.wikipedia.org/wiki/Windows_Aero#Frutiger_Aero|Windows Aero 문서의 Frutiger Aero 문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프루티거 에어로, version=119, uuid=d3068a59-4edd-4897-91c3-65f3d95d881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