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명일방주/통합 전략]]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version=743, uuid=43d91cae-bde3-485e-bec6-54440d70ad0d)]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명일방주)] [include(틀:명일방주/통합 전략)] ||<-2><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5567><tablewidth=550><tablebgcolor=#005567><colcolor=#fff> '''{{{+1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 ||<-2><bgcolor=#ffffff,#24245b><nopad> [[파일:사미로그라이크.png|width=100%]] || ||<-2> {{{#fff '''서버별 명칭'''}}} || ||<width=30%> {{{#fff '''중국 서버'''}}} ||<bgcolor=#fff,#1f2023> 探索者的银凇止境 || ||<width=30%> {{{#fff '''한국 서버'''}}} ||<bgcolor=#fff,#1f2023>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 ||<width=30%> {{{#fff '''글로벌 서버'''}}} ||<bgcolor=#fff,#1f2023> Expeditioner's Jǫklumarkar || ||<width=30%> {{{#fff '''일본 서버'''}}} ||<bgcolor=#fff,#1f2023> 探索者と銀氷の果て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005567><colcolor=#fff><nopad> [youtube(K-bIe_qSmU8)] || || '''PV''' || || 대지에게 말하나니.[br][br]크바마의 구상.[br]아에스타르의 서식.[br]암호가 선언을 기다리노라.[br][br]"과거의 기록을 뛰어넘는 재이가 다시 찾아왔어요."[br][br]어느 시대든 산을 오르고 끝없이 펼쳐진 빙원으로 향하는 탐험가들이 있다.[br]그리고 눈앞에는 일망무제[* 한눈에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다.]한 은백색과...[br]끝이 보이지 않는 어둠이 펼쳐졌다.[br][br]그들은 저 앞에서 기다리고 있는[br]운명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나아간다.[br][br]"이게 제 운명이니까요."[br][br]"우리는 어둠에 완전히 삼켜진 대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br]"우리는 빙원의 끝에 반드시 열리게 될 문을 본 적이 있습니다."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5567><width=600><nopad> [youtube(gy8SN6YFFcU)] || ||<bgcolor=#005567> {{{#fff 특별 PV 사미: 접촉 }}} || || {{{#!folding 【 전문 보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이 자료는 컬럼비아 메이랜더(Maylander) 탐사 협회 소속 자연 탐사 위원회에서 편찬하였으며, 사미 및 우르수스 북부 빙원 탐사 활동에 관심이 있는 개인 또는 단체를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의 정식 버전은 자연 탐사 위원회 담장 직원에게 문의하십시오.''' '''주의: 자료 내 특정 내용은 대중들의 혼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대중 및 언론 매체에 공유하지 마십시오.''' ---- 빙원은 다음 두 가지 경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나는 우르수스를 통하여, 또 다른 하나는 사미를 통하여 갈 수 있습니다. 컬럼비아와 우르수스 간의 갈등과 복잡한 정부 간 신청 절차를 고려했을 때, 사미 경로를 선택하여 빙원으로 진입할 것을 권장합니다. 컬럼비아 국경을 벗어난 뒤, 귀하는 사미의 다양한 루트 중 한 곳을 선택하여 빙원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미의 자연환경은 습지, 숲, 산악 지형이 복잡하게 분포돼 있어 경험이 많지 않은 탐사원의 경우,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사미의 원주민은 스스로를 사미피요드(Samifjod)라고 부릅니다. 그들의 대부분은 엘라피아이며, 소수의 독특한 살카즈와, 다른 희귀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미의 정치 구조, 문화, 산업은 대부분의 테라 문명과 비교했을 때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오늘날까지도 우리는 그들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습니다. 우리는 귀하의 탐사 활동을 통해 컬럼비아가 사미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기존에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사미인은 고대 부족 사회 제도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눈의 사제'라고 불리는 샤먼은 부족의 정치적 우두머리 역할을 할 뿐만이 아니라, 정신적, 군사적 지도자이기도 합니다. 탐사대가 사미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지 여부는 그들의 태도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눈의 사제'는 외부인을 환영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미에서 맞서야 하는 것은 자연만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사미를 무사히 통과하면, 당신은 빙원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컬럼비아의 여러 주요 기술 회사들의 후원으로 선행 탐사원들은 이곳에 다수의 상설 과학 연구 기지를 건설했으며, 탐사대는 이곳에서 휴식과 보급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거대한 활을 들고 있는 협력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빙원을 탐사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걸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물건을 발견한 경우, 즉시 탐사를 중단하고 돌아갈 것을 권고합니다. - 뿌리 없이 피어난 꽃 - 검은 눈 - 인간의 손과 유사한 물체 - 우르수스 군관과 유사한 유령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쁘신 와중에도 이 자료를 정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귀하가 탐사를 완수하여 컬럼비아 과학 기술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 '''THIS EXPLANATORY VIDEO IS SPONSORED BY''' ,,메이랜더 탐사 협회 소속 자연 탐사 위원회,, ,,라인랩 과학 조사과,, ,,타워마운틴 바이오 북부 연구실,, ,,볼보트 코찬스키 극한 환경 설비 테스트 부서,, ,,파라솔 테라 과학 연구 센터,,}}}}}} || >빙원에 뿌리가 없는 식물이 있다는 보고가 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전례 없는 규모의 연합 과학 탐사대가 사미의 최남단 도시로 집결하고 있습니다. >탐사대 명단에는 경험이 풍부한 오퍼레이터 마젤란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지 안내자로는 산탈라와 티폰도 함께 참여합니다. >과학탐사대는 사미의 신비로운 땅을 가로질러 빙원의 그 '꽃'과 여러 가지 이상 현상을 직접 탐구하려는 것 같습니다. >[[사미(명일방주)|사미]]에서 끝없는 빙원으로 향하는 탐험가, >사이클롭스가 빌려준 예지로 미래를 엿본다. >암호를 해독하고, 붕괴를 관측한다. >자연의 험난함을 넘어 문화의 벽을 녹인다. >이 혹한 끝까지. >물자도 인원도, 준비는 완벽하다. >당신은 탐사대와 함께 사미 최남단 도시에서 출발해 북쪽으로 향했다. >사미를 지나 빙원을 넘어 그 베일에 싸인 미지는 곧 밝혀질 것이다. ||<rowbgcolor=#000000> '''{{{#ffffff,#dddddd 개방 기간}}}''' || || 중국 서버: 2023년 7월 13일[br]요스타 서버: 2024년 3월 5일 || [[명일방주]]의 [[통합 전략]] 테마. [[사미(명일방주)|사미]] 북부와 빙원을 탐사하는 탐험가들과 '''[[데몬(명일방주)|데몬]]이라 불리는 붕괴체'''들을 주제로 하는 네 번째 통합 전략 테마다.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8203|플레이 방식]]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8601|메커니즘 및 효과]]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8959|시스템]]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8988|신규 적]]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9522|보상]]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409906|탐험가 파일]] [[https://ak.hypergryph.com/is/samiexpedition|중국 서버 공식 사이트]] [[https://arknights.kr/samiexpedition|한국 서버 공식 사이트]]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의 차이점 == * 신규 시스템인 '''암호판'''이 추가되었다. * '''등불'''과 '''열쇠'''가 '''간섭 방지 지수'''로 변경 및 통합되었다. * '''위매니의 부름'''과 '''거부반응'''이 '''붕괴'''로 변경 및 통합되었다. * 새로운 분대인 '''영원한 사냥 분대, 생존 지상 분대, 과학주의 분대'''가 추가되어, '''마음가짐 분대, 적재적소 분대, 인적자원 분대'''를 대체한다. 차이점이라면, 기본적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인지 형성에서 여러 번 업그레이드해야 했던 지난 테마의 분대들과는 다르게, 이번 테마의 분대들은 기본적으로는 잠겨 있지만 개방만 하면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가 없다. * 몇 승천으로 클리어했냐에 따라 분대에 표시되는 엔딩 마크 색이 달라지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새로운 유형의 노드인 '''운명의 암시'''가 등장한다. * '''긴급 수송'''은 '''앞서 출발'''로, '''풍운제회'''는 '''득과 실'''로, '''원더랜드'''는 '''울창한 숲길'''로 변경되었다. * 앞서 출발에서는 [[명일방주/적/2023년#9.11|끝없는 울림의 크레이즐리선]] 보스전에 진입할 수 있는 선택지도 발생한다. * 득과 실에서는 소장품 외에도 암호판을 교환할 수 있으며,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 보스전에 진입할 수 있는 선택지도 발생한다. * 울창한 숲길은 원더랜드와 달리 전투 노드가 아예 안 나올 수도 있고, 노드의 종류도 더욱 다양하게 등장하며 험난한 길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열쇠가 아니라 간섭 방지 지수를 소모해서 들어갈 수 있다. * 일부 소장품은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s-2|다원 기물]]'로 분류되어, 자연에 도전 단계가 상승할수록 효과가 강화되도록 변경되었다. * 보호 목표로 진입해도 목표 HP를 감소시키지 않는 [[명일방주/적/2023년#10.5|상자 시테러]]와 다르게, 동일한 포지션을 가진 이번 테마의 적인 [[명일방주/적/2023년#9.5|상자 넝쿨]]은 보호 목표에 진입하면 '''목표 HP를 2 감소시킨다.''' * 지난 테마가 [[명일방주/적/2022년#10.4|부유의 표류체]]를 격추하기 위한 CC가 중요했다면 이번 테마는 대공 및 저지 라인을 형성해 줄 수 있는 오퍼레이터들이 중요해졌다. 적의 스탯 자체가 지난 테마에 비해 훨씬 강력하며, 특히 이번 테마의 주적인 [[명일방주/적/2023년#9.1|오염된 껍데기]], [[명일방주/적/2023년#9.2|왜곡된 캐스터]], [[명일방주/적/2023년#9.3|붕괴 구조체]], [[명일방주/적/2023년#9.4|목열의 전사]]는 전부 DPS가 준수하고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정예 유닛인 목열의 전사는 기본 이동 속도가 '''2.5'''로 사냥개보다도 빠르다.] 탁월한 저지 또는 CC를 수행하는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 [[데겐블레허]], [[티폰(명일방주)|티폰]], 기타 디펜더 오퍼레이터[* 주로 힐링과 마법 딜러 지원 기능이 있는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대공과 2라인 저지 기능을 탑재한 [[제시카 더 리버레이티드]]가 선호된다. 지난 테마에서 디펜더 최고의 픽으로 꼽혔던 [[혼(명일방주)|혼]]은 디펜더 중에서 낮은 생존력과 저열한 근접전 성능으로 인해 선호도가 많이 떨어진 편이다.] 등이 선호되고 있다. 반면 부유의 표류체 격추만을 위해 모집했던 [[크루스 더 킨 글린트]] 등의 오퍼레이터는 입지를 잃었다.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 비판받았던 요소들이 대폭 개선되었다.''' * [[운빨좆망겜|순수한 운빨 요소]]인 주사위 시스템이 완전히 삭제되어서 눈앞에 있는 소장품을 먹지 못하거나 인카운터를 그대로 날려먹는 일이 사라졌다. 주사위를 대체해서 추가된 암호판 시스템은 운빨 요소도 훨씬 적고 디메리트가 없어서 주사위에 비해 크게 호평받고 있다. * 히든 엔딩 루트에 진입하기 훨씬 쉬워졌다. 파도 사냥의 기사를 게임 내내 지켜야 하거나, 루트 진입과 동시에 등불을 까버리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는 달리,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에서는 히든 엔딩 관련 소장품을 획득한 뒤 5층의 운명의 암시 노드에서 추가 선택지를 고르는 간편한 방식으로 히든 보스전에 진입할 수 있다. * 일렁이는 파도가 높아질수록 순수하게 페널티만 추가되었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는 달리,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에서는 자연에 도전이 높아지면 페널티 외에도 추가 강화를 받는다. 자연에 도전 문단에 서술되어 있다시피 페널티 자체도 더 합리적으로 바뀌었다. * 수직 방향 이동에 소모 아이템인 열쇠가 아니라 간섭 방지 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 이동이 더 편해졌고, 암호판 조합에 따라 특정 노드를 아예 다른 종류로 바꿔버릴 수도 있게 되었다. 덕분에 외길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전투 노드#통제 불능|통제 불능]] 같은 억까를 당하면 그대로 탐험이 끝나버렸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는 달리 고난도 전투 노드를 우회하기가 쉬운 편이다. * 상한과 변동 조건 및 그에 따른 페널티 요소도 많았던 등불에 비해 간섭 수치는 변동 폭도 줄고 조건이나 페널티도 간략화되었다. 대신 6까지만 누적되지만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열쇠보다는 자주 나오므로 관리가 훨씬 쉬워졌다. * 오퍼레이터 하나를 거의 사용 불능으로 만들고 억제할 방법도 극히 제한적이었던 거부 반응과 저주받은 고물들이 삭제되었다. 거부 반응을 대체해서 나온 붕괴 패러다임은 탐험 자체를 더 어렵게 만들 뿐 오퍼레이터를 아예 못 쓰게 만들지는 않으며 암호판만 조합해도 붕괴 수치가 감소해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고, 아예 붕괴 자체를 제거하는 데 특화된 영원한 사냥 분대도 존재한다. == 메인 화면 == === 이 달의 의뢰 목록 === 업데이트 기간 동안 매달 갱신되는 월간 퀘스트. 퀘스트가 갱신되면 진행도는 계승되지 않는다. 매달 A등급과 B등급 각각 한 개, C등급 의뢰를 두 개 수행해 최대 1000개의 주관적 상상을 얻을 수 있다. 원하지 않는 의뢰가 있을 경우, 최대 4번까지 새로고침해서 동일한 등급의 다른 의뢰로 바꿀 수 있다. === 문화 비교 === [[팬텀 & 크림슨 솔리테어]]의 무대 준비,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인지 형성과 같은 역할이다. 탐험으로 얻은 합리적 관점으로 문화 비교에서 노드를 점등해서 이후 탐험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문화 비교의 효과는 모든 모드에 적용된다. 일반 작전에선 점수 200점이 합리적 관점 1점으로 환산되며, 이렇게 얻은 합리적 관점으로 노드를 점등할 수 있다. 이전 [[통합 전략]]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노드를 밝힐 수 있는만큼만 지급되고 해당 분량을 모두 획득한 다음에는 획득할 수 없다. '''문화 비교 1단계''' * 속성 * 아군 유닛 공격력 +3% * 아군 유닛 방어력 +3% * 아군 유닛 HP +3% * 생태 표본 전환율 +5% * 탐색 * '득과 실' 노드 개방 * '앞서 출발' 노드 개방 * '울창한 숲길' 노드 개방 * 자연의 자비[* 자연에 도전 3 이상의 난이도에서 자동으로 적용된다.] * 아군 유닛 HP +3% * 지휘 경험치 획득 +5% * 초기 오리지늄각뿔 +2 '''문화 비교 2단계''' * 속성 * 아군 유닛 공격력 +3% * 아군 유닛 방어력 +3% * 아군 유닛 HP +3% * 지휘 경험치 획득 +10% * 배치 가능 인원수 +1 * 초기 오리지늄각뿔 +4 * 초기 최대 목표 HP +1 * 생태 표본 전환율 +10% * 탐색 * 목표 HP가 1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목표 HP +1 * '교활한 상인' 노드에서 새로고침 1회 가능 * 전투 노드에서 획득한 암호판에 효과 1가지 추가 * 제3구역 진입 시 간섭 방지 지수 +1 * 자연의 자비[* 자연에 도전 6 이상의 난이도에서 자동으로 적용된다.] * 아군 유닛 공격력 +3% * '앞서 출발' 노드에서 파견한 오퍼레이터가 복귀할 때 오리지늄각뿔 2 ~ 5 획득 * '교활한 상인'이 상품 2개 추가 판매 '''문화 비교 3단계''' * 속성 * 아군 유닛 공격력 +8% * 아군 유닛 방어력 +8% * 아군 유닛 HP +8% * 지휘 경험치 획득 +10% * 편성 가능 인원수 +1 * 초기 최대 목표 HP +1 * 탐색 * 목표 HP가 2 이하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목표 HP +1 (동종 효과 중첩 불가) * 분대 * 영원한 사냥 분대 해금 * 생존이 최고 분대 해금 * 과학주의 분대 해금 * 자연의 자비[* 자연에 도전 9 이상의 난이도에서 자동으로 적용된다.] * 아군 유닛 방어력 +3% * '안전한 곳' 노드 진입 시 목표 HP +1 * 목표 HP가 10 이상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실드 +1 '''문화 비교 4단계''' * 속성 * 아군 유닛 공격력 +6% * 아군 유닛 방어력 +6% * 아군 유닛 HP +6% * 지휘 경험치 획득 +10% * 초기 오리지늄각뿔 +4 * 생태 표본 전환율 +5% * 탐색 * 목표 HP가 3 이하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목표 HP +1 (동종 효과 중첩 불가) 문화 비교의 노드를 모두 점등하는데 필요한 합리적 관점은 총 100개이며, 그 효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속성 * 아군 유닛 공격력 +20% * 아군 유닛 방어력 +20% * 아군 유닛 HP +20% * 지휘 경험치 획득 +30% * 배치 가능 인원수 +1 * 초기 오리지늄각뿔 +8 * 편성 가능 인원수 +1 * 초기 최대 목표 HP +2 * 생태 표본 전환율 +20% * 탐험 * '득과 실' 노드 개방 * '앞서 출발' 노드 개방 * '울창한 숲길' 노드 개방 * 목표 HP가 3 이하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목표 HP +1 * '교활한 상인' 노드에서 새로고침 1회 가능 * 전투 노드에서 획득한 암호판에 효과 1가지 추가 * 제3구역 진입 시 간섭 방지 지수 +1 * 분대 * 영원한 사냥 분대 해금 * 생존이 최고 분대 해금 * 과학주의 분대 해금 * 자연의 자비[* 자연에 도전 9 이상 기준.] * 아군 유닛 공격력 +3% * 아군 유닛 방어력 +3% * 아군 유닛 HP +3% * 지휘 경험치 획득 +5% * 초기 오리지늄각뿔 +2 * '앞서 출발' 노드에서 파견한 오퍼레이터가 복귀할 때 오리지늄각뿔 2 ~ 5 획득 * '교활한 상인'이 상품 2개 추가 판매 * '안전한 곳' 노드 진입 시 목표 HP +1 * 목표 HP가 10 이상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실드 +1 === 미래를 위한 투자 === 교활한 상인 노드에 진입하면, 일정 확률로 특별한 투자 상품이 나오고 여기에 투자한 금액은 영구히 유지된다. 탐색이 길어질수록 등장 확률이 높아진다. 오리지늄각뿔을 일정 수 이상 투자하면 투자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ccc,#1c1c1c> '''예치금 잔액''' || '''투자 보상''' || || 25 || '미래를 위한 투자' 시스템의 '잔액 인출' 기능 개방 || || 100 || 캔낫이 진열장을 보여준다고? || || 200 || 교활한 상인이 상품 1개 추가 판매 || || 325 || 소장품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210|캔낫의 표식]]] 개방 || || 500 || 교활한 상인이 상품 1개 추가 판매 || 미래를 위한 투자는 정기 작전 모드에서만 등장하며, 다른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다른 통합 전략 테마의 '미래를 위한 투자'와는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잔액 인출'은 투자한 오리지늄각뿔을 인출할 수 있는 기능이다. 1개 인출할 때마다 수수료가 1개씩 증가하는 방식이며 상인 노드 한 곳에서 최대 12개까지 인출 가능하다.[* 즉, 각뿔 n개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n(n+1)/2개의 잔액을 소모해야 한다는 뜻이다. 참고로 [[팬텀 & 크림슨 솔리테어]]에서는 1개 인출할 때마다 소모량이 2배로 늘어났던지라(각뿔 n개를 인출하기 위해 2^n-1개의 잔액을 소모) 예전보다 인출 기능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캔낫이 진열장을 보여준다고?'는 캔낫에게 할인을 할 것을 간청한 뒤 전투를 치르고 상품을 공짜로 털어가는 기능이다. 제1구역~제3구역에서 캔낫과의 전투 시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장기 시용|장기 시용]]으로 진입하며, 제4구역~제6구역에서 캔낫과의 전투 시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자연의 섭리|자연의 섭리]]로 진입한다. 하지만 전투 후에는 해당 탐험 동안 앞으로 등장하는 교활한 상인 노드에서는 '캔낫이 떠났다'라는 설명만 있고 어떠한 상품도 판매하지 않게 된다. === 겨울밤 전시장 === 1. 암호 연구 탐험 중에 획득한 암호를 볼 수 있다. 2. 의식 용품 카탈로그 탐험 중에 획득한 소장품을 볼 수 있다. 3. 붕괴 패러다임 기록 탐험 중에 영향을 받은 붕괴 패러다임을 볼 수 있다. === 자연에 도전 === 자체적으로 난이도를 높이는 대신 점수 배율을 늘리고, 난이도별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시스템. 유저들에게는 [[Slay the Spire]]에서 유래한 '''승천'''으로 불린다. 첫 클리어 후 승천 단계를 올릴 수 있는 기능이 해금되며, 승천 단계를 올리려면 1승천부터 오름차순으로 클리어해 해금해야 한다. 훈장을 얻기 위해서는 '''4승천'''까지 클리어해야 하며, 코팅까지 할 경우 '''10승천'''까지 클리어해야 한다. 11승천부터는 특별한 보상은 없으며, 순수히 자기 만족용이다. 다만 이전 테마들과는 달리 '''몇 승천으로 클리어했냐에 따라 분대에 표시되는 엔딩 도장 색이 달라지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또한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후 '''12승천 이상 전용 엔딩 도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적 난이도'는 새 구역에 진입할 때마다 모든 적의 체력과 공격력이 n%씩 복리로 증가하는 효과이다. 적 난이도를 제외한 모든 제약은 서로 합연산된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1200><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ccc,#1c1c1c> '''단계''' ||<colkeepall> '''제약''' || '''점수 배율''' || '''적 난이도''' || '''암호의 수식 효과''' || ||<bgcolor=#b4f7ff><color=#000> '''자연에 도전'''[br]{{{-1 툰드라가 잠식되어 끝없는 음영이 드리운다}}} || 초기 최대 목표 HP가 높으며, 붕괴 패러다임 심화 속도 저하 || 0.6 ||<|5> - ||<|3> - || ||<bgcolor=#b4f7ff><color=#000> '''{{{+3 1}}}''' || 붕괴 수치가 12 이상일 경우, 붕괴 패러다임 심화 가속[*A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s-4.4|붕괴]]' 문단 참고.] || 0.8 || ||<bgcolor=#b4f7ff><color=#000> '''{{{+3 2}}}''' || 초기 최대 목표 HP -4 || 1 || ||<bgcolor=#b4f7ff><color=#000> '''{{{+3 3}}}''' || 비 완벽한 작전 시 붕괴 수치 +1 || 1.1 || 5% || ||<bgcolor=#b4f7ff><color=#000> '''{{{+3 4}}}''' || 정예 적의 공격력 +10% || 1.2 || 7.5% || ||<bgcolor=#b4f7ff><color=#000> '''{{{+3 5}}}''' || 모든 적의 공격력 +5%, HP +5% || 1.25 || +1 || 10% || ||<bgcolor=#b4f7ff><color=#000> '''{{{+3 6}}}''' || 4성 이상 오퍼레이터 모집 시 희망 소모 +1 || 1.3 || +2 || 12.5% || ||<bgcolor=#b4f7ff><color=#000> '''{{{+3 7}}}''' || 모든 적의 방어력 +10% || 1.35 || +3 || 15% || ||<bgcolor=#b4f7ff><color=#000> '''{{{+3 8}}}''' || 모든 적의 피격 물리 및 마법 대미지 -5% || 1.4 || +4 || 17.5% || ||<bgcolor=#b4f7ff><color=#000> '''{{{+3 9}}}''' || 배치 가능 인원수 -1 || 1.45 || +5 ||<|2> 20% || ||<bgcolor=#b4f7ff><color=#000> '''{{{+3 10}}}''' || 모든 적의 공격력 +10% || 1.5 || +6 || ||<-5><rowbgcolor=#eee,#3f3f3f> ⚠️ 난이도가 높으니 신중하시길 바랍니다 || ||<bgcolor=#9eedfb><color=#000> '''{{{+3 11}}}''' || 리더 적의 피격 물리 및 마법 대미지 -5% ||<|5> 1.5 || +8 ||<|5> 20% || ||<bgcolor=#9eedfb><color=#000> '''{{{+3 12}}}''' || 제1, 3, 5구역 진입 시 간섭 방지 지수 -1[br][확장판 Ⅱ] 추가: 확률적으로 다양한 험난한 길 출현[* 35% 확률로 제5, 6, 7구역의 험난한 길이 더 어려운 맵으로 변경된다. 변경되는 맵은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이 문서]]를 참고.] || +10 || ||<bgcolor=#9eedfb><color=#000> '''{{{+3 13}}}''' || 정예 및 리더 적의 피격 물리 및 마법 대미지 -5% || +12 || ||<bgcolor=#9eedfb><color=#000> '''{{{+3 14}}}''' || 모든 적의 방어력 +5%, HP +5% || +14 || ||<bgcolor=#9eedfb><color=#000> '''{{{+3 15}}}''' || 모든 적의 공격력, 방어력, HP +10%, 새 구역에 진입할 때마다 붕괴 수치가 추가로 1씩 증가[*A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s-4.4|붕괴]]' 문단 참고.] || +16 || 전반적으로 제약의 적 강화 수치가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보다 훨씬 작아졌다. 다만 겉보기로만 작아졌을 뿐 실제 15승천의 강화 수치는 오히려 훨씬 더 크며, 모든 적에게 적용되는 강화 제약이 3개에 불과했던 지난 테마와는 달리, 이번 테마는 6개나 되는지라 정예 외의 적도 난이도 차이가 크게 느껴지는 편. '사일런트 스쿼드' 소장품을 가지고 시작하는 이지 모드가 삭제되었고, 점수 배율도 1배가 아닌 0.6배에서 시작한다. 승천 등반을 일종의 컨텐츠로 삼은 듯하다. 적 난이도가 저승천에서는 아예 증가하지 않고, 고승천에서 더 크게 증가하도록 바뀌어 저승천의 부담이 줄어들었다. 지난 테마에서 혹평을 받았던 제약들이 수정되었다: * 2승천의 지나치게 운에 의존하는 '제3구역 진입 시 무작위 저주 소장품 1종 획득' 제약이 삭제되었다. * 4승천의 '3성 이상 오퍼레이터 모집 시 희망 소모 +1' 제약은 6승천의 '4성 이상 오퍼레이터 모집 시 희망 소모 +1'로 변경되었다. 4승천에서 6승천으로, 3성은 '''희망 소모 없이''' 모집할 수 있도록 하향되었다. 그 덕분에 희망 소모량 감소가 없는 분대도 지난 테마에 비해서 초반부가 더 숨통이 트였다. * 3승천과 12승천의 '모든 적의 마법 저항력 +10' 제약이 8승천, 11승천, 13승천의 '피격 물리 및 마법 대미지 -5%' 제약으로 대체되었다. 마법 딜러만 일방적으로 사장시켰던 지난 테마와 달리, 이번 테마는 물리 딜러와 마법 딜러 모두 합리적인 수치로 부담을 받았다. [확장판 Ⅱ] 업데이트에서 12승천부터 제5, 6, 7구역의 험난한 길이 35% 확률로 더 어려운 맵으로 강화되어서 등장하는 제약이 추가되었다. == 플레이 == === 탐험 준비 === 탐험 시작 전 분대를 선택할 수 있다. ||<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ccc,#1c1c1c> '''분대''' || '''효과''' || '''개방 조건''' || ||<colbgcolor=#000> [[파일:영원한 사냥 분대.png]][br]'''{{{#fff 영원한 사냥 분대}}}''' || 최대 목표 HP +2, 비 완벽한 작전 시 붕괴 수치가 추가로 +1, 완벽한 작전 시 붕괴 수치 -2 || 문화 비교에서 [인지의 한계] 개방 || || [[파일:생존 지상 분대.png]][br]'''{{{#fff 생존 지상 분대}}}''' || 초기에 랜덤 암호판 3개 보유, 예견 발동 시 암호판 확인 가능 || 문화 비교에서 [교류 패러다임] 개방 || || [[파일:과학주의 분대.png]][br]'''{{{#fff 과학주의 분대}}}''' || 초기 간섭 방지 지수 0, 새 구역에 진입할 때마다 간섭 방지 지수 +2 || 문화 비교에서 [도구의 합리성] 개방 || || [[파일:지휘분대.png]][br]'''{{{#fff 지휘 분대}}}''' || 최대 목표 HP +2, 전투가 종료될 때마다 추가로 목표 HP +1 || 기본 개방 || || [[파일:집합분대.png]][br]'''{{{#fff 집합 분대}}}''' || 편성 가능 인원수 +2, 배치 가능 인원수 +2 || 제3구역 [여명의 툰드라] 클리어 || || [[파일:지원분대.png]][br]'''{{{#fff 지원 분대}}}''' || 초기 오리지늄각뿔 +20, 초기 희망 +2 || 플레이 중 오리지늄각뿔 누적 200개 획득 || || [[파일:예봉분대.png]][br]'''{{{#fff 예봉 분대}}}''' || 목표 HP가 1로 변경, 모든 아군 유닛의 공격력 +15%, HP +15% || 목표 HP 10 이상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 || [[파일:돌격전술분대.png]][br]'''{{{#fff 강습 전술 분대}}}''' || 4성 이상 [가드], [뱅가드] 오퍼레이터 모집 시 소모 희망 -2, 랭크 상승 시 소모 희망 -1, 승급 오퍼레이터 출현 확률 대폭 상승[*전술_분대 각 전술 분대에 맞는 포지션을 모집할 때 일부 오퍼레이터는 '랜덤 승급'이라고 표시되며 이들은 랭크 상승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모집할 수 있다.] || 최소 5명의 가드 또는 뱅가드를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합계 5명 포함) || || [[파일:방어전술분대.png]][br]'''{{{#fff 방어 전술 분대}}}''' || 4성 이상 [디펜더], [서포터] 오퍼레이터 모집 시 소모 희망 -2, 랭크 상승 시 소모 희망 -1, 승급 오퍼레이터 출현 확률 대폭 상승[*전술_분대 각 전술 분대에 맞는 포지션을 모집할 때 일부 오퍼레이터는 '랜덤 승급'이라고 표시되며 이들은 랭크 상승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모집할 수 있다.] || 최소 5명의 디펜더 또는 서포터를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합계 5명 포함) || || [[파일:원거리전술분대.png]][br]'''{{{#fff 원거리 전술 분대}}}''' || 4성 이상 [메딕], [스나이퍼] 오퍼레이터 모집 시 소모 희망 -2, 랭크 상승 시 소모 희망 -1, 승급 오퍼레이터 출현 확률 대폭 상승[*전술_분대 각 전술 분대에 맞는 포지션을 모집할 때 일부 오퍼레이터는 '랜덤 승급'이라고 표시되며 이들은 랭크 상승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모집할 수 있다.] || 최소 5명의 메딕 또는 스나이퍼를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합계 5명 포함) || || [[파일:파괴전술분대.png]][br]'''{{{#fff 파괴 전술 분대}}}''' || 4성 이상 [캐스터], [스페셜리스트] 오퍼레이터 모집 시 소모 희망 -2, 랭크 상승 시 소모 희망 -1, 승급 오퍼레이터 출현 확률 대폭 상승[*전술_분대 각 전술 분대에 맞는 포지션을 모집할 때 일부 오퍼레이터는 '랜덤 승급'이라고 표시되며 이들은 랭크 상승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모집할 수 있다.] || 최소 5명의 스페셜리스트 또는 캐스터를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합계 5명 포함) || || [[파일:고급분대.png]][br]'''{{{#fff 고급화 분대}}}''' || 초기 모집 시 랜덤 정예 모집권 1장 추가 획득[* 임시 모집 5성 오퍼레이터가 등장하는 모집권 1장을 무작위 포지션으로 추가 획득한다.], 5성 승급 오퍼레이터 출현 확률 대폭 상승[* 모집 시 80% 확률로 5성 오퍼레이터 1명이 '랜덤 승급'이라고 표시되며 이들은 랭크 상승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모집할 수 있다.] || 오퍼레이터 15명 이상 보유한 상태로 엔딩 클리어 || || [[파일:특훈 분대.png]][br]'''{{{#fff 특훈 분대}}}''' || 초기 실드 +3, 희망 소모 없이 오퍼레이터 랭크 상승 || 플레이 중 지휘 경험치 누적 1000 획득 || * '''영원한 사냥 분대''' 이번 테마에서 새로 추가된 분대. 문화 비교에서 개방 가능하며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붕괴 수치 -2라는 특성 덕분에 게임을 잘만 풀어나가면 5층에 도달해도 붕괴 패러다임에 걸리지 않는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층을 지날 때마다 패러다임을 최소 하나씩은 받는 15승천에서 빛을 발하는 편. 반대로 말하자면 판이 꼬여 계속 완벽하지 않은 작전을 수행하게 되면 안 그래도 저절로 쌓이는 붕괴 수치가 더 가중되어 온갖 패러다임에 걸리는 끔찍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 '''생존 지상 분대''' 이번 테마에서 새로 추가된 분대. 처음부터 암호판을 3개 갖고 시작하며, 붕괴 수치가 일정량 이상일 때의 페널티인 '예지에서 암호판 획득 불가'를 무시하고 무조건 암호판을 예지한다. * '''과학주의 분대''' 이번 테마에서 새로 추가된 분대. 이번 테마의 중요한 기믹인 간섭 방지 지수를 처음부터 '''0'''으로 만들어 1층을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까막눈 상태로 시작하게 되지만, 반대로 다음 층 진입 시 간섭 방지 지수를 2 올려주기 때문에 게임을 진행할수록 간섭 방지 지수가 남아도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맵을 확실하게 밝힐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강력하지만, 다른 분대에선 코스트가 커서 사용하기 어려운 수직 이동이나 숨겨진 비경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어 더 많은 노드를 거칠 수 있다는 것이 이 분대의 진정한 의의. 사실상 최강의 분대라는 평이 많다. * '''지휘 분대''' HP를 잃었을 때 붕괴 수치가 증가하는 페널티 때문에 HP 회복을 능동적으로 써먹기 어려워 분대 자체의 성능은 모든 분대 중 가장 나쁘다. HP를 누적 소모하는 소장품을 해금할 때 쓰기도 한다. * '''집합 분대''' 편성 인원 수와 배치 인원 수 소장품을 많이 확보하지 못한다면 후반에 진가를 발휘하는 분대. 해당 소장품을 많이 확보한다면 상대적으로 분대의 가치가 떨어진다. 편성 인원 수는 최대치인 13을 넘기는 상황이 꽤 나와서 보통은 배치 인원 수에 좀 더 무게를 둔다. * '''지원 분대''' 초기 희망 +2 덕분에 모집권에 상관 없이 초반 오퍼레이터를 유연하게 모집할 수 있다. 6승천 이상 기준 3층 이상 진출 보너스 중 희망을 주는 것을 얻지 못해도 6성을 확정 채용할 수 있고 5성으로 스타팅을 했을 때도 지휘 레벨이 2레벨이 되었을 때 6성을 모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번 테마에서 상점 새로고침 1번은 공짜로 할 수 있게 되면서 간접 상향을 받았다. * '''예봉 분대''' 지난 테마들과 자체 성능은 차이점이 없다. 그러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는 완막해도 등불을 잃는 불합리한 단점 때문에 최악의 분대 소리를 들었던 반면, 이번 테마에서는 그런 문제가 없고 오히려 문화 비교의 '목표 HP가 3 이하일 때, 완벽한 작전 수행 시 목표 HP +1' 효과 덕분에 목표 HP를 1로 시작하는 단점도 상쇄되어 장점만 남게 된다. 그 덕에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아진 분대. * '''강습 전술 분대''' 전술 분대 중 가드 및 뱅가드 모집에 어드밴티지를 주는 분대. 1순위를 다투는 [[무에나]], [[데겐블레허]] 말고도 [[수르트(명일방주)|수르트]], [[치우바이]], [[외드레르]], [[좌락]] 등 희망 부족 문제로 인해 우선 순위가 밀렸던 2순위 가드들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뱅가드는 사실상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 원툴이라 뱅가드 모집권으로는 재미를 보기가 힘들어 가드에 크게 의존해야 하며, 그렇게 의존하는 가드 대부분이 고승천 후반에서는 [[명일방주/적/2023년#9.4|목열의 전사]] 등 너무 강력한 적을 저지하다 죽는 게 일상이기 때문에 후반에 망하지 않으려면 반드시 타 포지션이나 소장품 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애초에 다양한 포지션의 오퍼레이터를 골고루 사용하도록 압박하는 이번 테마 특성상, 특정 포지션만 주구장창 모집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랜덤 승급은 오로지 운에 맡겨야 하는데, 만일 6성 승급 모집을 적절히 띄우지 못한다면 희망 소모량 감소밖에 장점이 남지 않아 사실상 특훈 분대의 하위 호환으로 전락한다. 이는 다른 전술 분대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단점이다. * '''방어 전술 분대''' 전술 분대 중 디펜더 및 서포터 모집에 어드밴티지를 주는 분대. 지난 테마까지 전술 분대들 중 가장 나쁜 평가를 받은 것처럼 이번에도 마찬가지이다. 지난 테마보다는 그나마 쓸만한 오퍼레이터가 많아진 점이 위안. 스타팅 멤버로 [[링(명일방주)|링]], [[제시카 더 리버레이티드]]와 [[비르투오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호시구마]], [[니엔(명일방주)|니엔]],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슈(명일방주)|슈]], [[스즈란(명일방주)|스즈란]],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 등도 고려할 만하다. [[혼(명일방주)|혼]]은 저승천까지는 그럭저럭 쓸만하나, 고승천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픽이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 '''원거리 전술 분대''' 전술 분대 중 메딕 및 스나이퍼 모집에 어드밴티지를 주는 분대. 이번 테마 핵심 오퍼레이터인 [[티폰(명일방주)|티폰]], [[리드 더 플레임 섀도우]]와 명일방주 최고 [[밸런스 붕괴|밸붕]] 오퍼레이터라 불리우는 [[위셔델]]이 있어 해당 오퍼레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무난한 범용 힐러인 [[에이야퍄들라 더 크비트 아스카]]가 가장 많이 모집되며, 그 외에는 지상 오퍼레이터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켈시]], [[명일방주/적/2023년#9.11|끝없는 울림의 크레이즐리선]]의 마법 피해를 감소시켜 주는 [[나이팅게일(명일방주)|나이팅게일]],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를 스톨링하는 공략에서 탱커를 치료할 힐러로 간혹 선택되는 [[와파린(명일방주)|와파린]] 등이 희망 상황에 따라 고려된다. 시작부터 2정예 위셔델을 집어갈 수 있는 분대로 위셔델의 압도적인 대미지로 대부분의 맵들을 쉽게 넘길 수 있다. * '''파괴 전술 분대''' 전술 분대 중 캐스터 및 스페셜리스트 모집에 어드밴티지를 주는 분대. 스페셜리스트들만으로도 지난 테마에서 전술 분대 중 가장 고평가를 받은 분대였는데, 이번 테마에서는 마딜 억까에서 벗어난 캐스터까지 쓸 수 있으니 더할 나위 없이 좋다. 타 분대에서도 주력으로 모집되는 [[에이야퍄들라]],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키린R 야토]], [[엘라(명일방주)|Ela]] 외에도 희망 부족 문제로 인해 우선 순위가 밀렸던 [[도로시(명일방주)|도로시]], [[스와이어 디 엘리건트 위트]], [[스펙터 디 언체인드]] 등도 고려해볼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전술 분대 중에선 가장 밸류가 좋은 분대로 평가받는 중. * '''고급화 분대'''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 이미 상향을 받았었는데, 이번 테마에서 모집 시 높은 확률로 5성 랜덤 승급 오퍼레이터 1명을 제공하도록 또 상향되었다. 4명으로 시작하는 것 말고는 아무 메리트가 없었던 과거와는 달리 이번 테마에서는 희망과 모집권을 절약하면서 5성 오퍼레이터들을 모집할 수 있다. 5성 오퍼레이터들 특성상 성능 편차가 심한 것이 단점이지만, 적어도 이전까지의 시즌보단 훨씬 쓸만해졌다. 하지만 5성은 키우는 일부만 키우기에 확률 의존도가 높은 것은 그대로라 여전히 손이 안 가는 효과인 건 부정할 수 없다. 역시 저급화 분대로 불린다. * '''특훈 분대''' 이번 테마에서 새로 추가된 분대.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까지 있었던 '''연구 분대'''를 대체하여 추가되었다. 오퍼레이터 승급 시 '''희망을 소모하지 않는''' 특성 덕에 고승천의 희망 소모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분대다. 전술 분대와 비교할 경우 승급 모집 확률이 낮은 대신 모든 포지션에서 희망을 아낄 수 있어 운 요소와 관계 없이 안정성이 우수하다. 처음부터 실드를 가지고 시작한다는 점도 안정성을 높여준다. === 암호판 === 이번 테마의 핵심 기믹. 암호판을 조합해 다음 전투나 사건에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예 노드 자체를 바꿔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구성과 소재 조합 시 색이 서로 같을 경우 소재에 따라 '조합어'라는 부가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암호판 효과는 같은 효과라도 중첩이 가능하다. ---- '''{{{#9f2c2c 부족}}}''' 암호판은 모두 전투와 관련되어 있으며, 전투는 통합 전략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요소인만큼 낭비해선 안되는 암호판이다. 특히 전투 관련 노드에 적용한다는 것은 '''보스전에도 적용 가능함'''을 뜻하므로, 소장품 파밍이나 오퍼레이터 진급이 부족해도 고승천에서 억지로 엔딩까지 밀고 나갈 수 있는 힘이 되기도 한다. 특히 고승천 마지막 보스전에서 암호판 적용하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는게 좋다. 소재 중에서 '''노래'''의 효과가 매우 강력하다. 무려 '공격 속도 +50'인데, 이는 기사 계율 · 신편을 들고 오리지늄각뿔 50개를 모아야 달성할 수 있는 수치다. 강력한 성능에 비해 희귀도는 낮은 편이라 획득 확률도 높아서 자주 볼 수 있는 암호판이니 마지막 험난한 길에서 몰아서 사용하는 게 정석이지만, 긴급 작전이나 3층 중간 보스전이 불안하다면 아끼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1f6458 영혼}}}''' 암호판은 비전투 노드와 자원에 관련되어 있다. 하나의 구성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비전투 노드만 지정하며, 소재는 오리지늄각뿔, 희망, 상점, 모집권에 관련되어 있다. 영혼은 나머지 둘에 비해 선호되는 암호판은 아니다. 통합 전략 특성상 어느 정도 전투를 거쳐야 성장이 빠르게 되고, 정작 비전투 노드 중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앞서 출발이나 숨겨진 비경은 영혼이 아닌 자연에 들어있다. 따라서 영혼 암호판은 다른 구성과 조합하여 까다로운 전투를 없애버리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 '''{{{#214d6e 자연}}}''' 암호판은 탐험과 운영에 관련되어 있다. 임의의 노드 선택이 가능한 구성이나 전투 및 비전투 노드 모두 관여하는 소재 등 여러모로 범용성에 중점을 둔 암호판이다. 붕괴 수치 관리와 간섭 방지 지수 확보에 강점을 보이며, 노드를 긴급 작전으로 바꾸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노리거나, 반대로 앞서 출발로 바꾸어 리스크 없이 적당한 리턴을 노릴 수도 있다. 특히, 소재 '''순시'''는 적용된 노드에 관계 없이 조합 '''즉시''' 붕괴 수치를 감소시켜주므로 위험한 패러다임이 걸렸다면 부가 효과를 노리고 빠르게 사용하여 패러다임을 지우는 것이 가능하다. ---- '''{{{#ccc 상흔}}}'''과 '''{{{#ccc 공허}}}'''는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 보스전에 진입하기 위한 암호판이다. 득과 실에서 [붕괴 수치 4 증가, 특별한 암호판 1세트 획득]을 선택하면 획득할 수 있다. 구성 '''{{{#ccc 상흔}}}'''은 우측 근접한 노드를 지정하며, 소재 '''{{{#ccc 공허}}}'''는 해당 노드를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목열의 전조|목열의 전조]] 사건이 등장하는 운명의 암시로 변경시킨다. 여기서 소장품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226|나무 상처의 투구]]를 획득한 후 제5구역의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사미의 어깨를 지나|사미의 어깨를 지나]] 사건이 등장하는 운명의 암시에서 [투구를 쓴다]를 선택하면 비로소 보스전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조건 상 5층의 마지막 노드 2개는 변경할 수 없고 수직 노드도 지정할 수 없으므로 늦어도 마지막 노드 3개는 남긴 상태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주의. ==== 구성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배척}}}}}}'''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배척.png|width=100%]] ||<-2><bgcolor=#000> {{{#fff 우측 근접한 모든 전투 노드 선택}}}[br]''{{{#ccc 중죄는 용서할 수 없으니, 다시 모이는 일은 없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우측 근접’한 노드가 조건이라 반드시 현재 노드의 바로 오른쪽에 연결된 노드만 선택 가능하고, 현재 노드나 수직으로 연결된 노드엔 쓸 수 없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사냥꾼}}}}}}'''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사냥꾼.png|width=100%]] ||<-2><bgcolor=#000> {{{#fff 전투 노드 1개 선택}}}[br]''{{{#ccc 화살이 바람을 가르고, 사냥은 끝나는 날이 없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전사}}}}}}'''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전사.png|width=100%]] ||<-2><bgcolor=#000> {{{#fff 전투 노드 1개 선택, 추가로 전투 노드 1개 무작위로 지정}}}[br]''{{{#ccc 산처럼 높은 벽을 쌓고 나니, 투구에 서리가 내린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샤먼}}}}}}'''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샤먼.png|width=100%]] ||<-2><bgcolor=#000> {{{#fff 전투 노드 1개 선택, 추가로 전투 노드 2개 무작위로 지정}}}[br]''{{{#ccc 혜안으로 밀문을 해독하고, 큰 소리로 귀신을 쫓는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제사장}}}}}}'''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제사장.png|width=100%]] ||<-2><bgcolor=#000> {{{#fff 전투 노드 3개 무작위로 지정, 숨겨진 비경의 경우 임의의 노드로 변경}}}[br]''{{{#ccc 하늘에 점을 치고 만물을 알아내어, 자기 앞길을 찾는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영웅}}}}}}''' || ||<-2><|3><bgcolor=#464646> [[파일:부족 영웅.png|width=100%]] ||<-2><bgcolor=#000> {{{#fff 모든 전투 노드 선택}}}[br]''{{{#ccc 마른 해골에 가시가 자라나니, 죽음이 곧 귀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리더 적 \[[[명일방주/적/2023년#9.6-1|'데몬의 칼날']]] 누적 6회 처치 || 아래의 대지 암호판과 조합하면 험난한 길, 운명의 계시를 제외한 한 층의 모든 노드를 특정 노드로 뒤덮어 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수관}}}}}}''' || ||<-2><|3><bgcolor=#464646> [[파일:자연 수관.png|width=100%]] ||<-2><bgcolor=#000> {{{#fff 우연한 만남 노드 1개 선택}}}[br]''{{{#ccc 가지와 잎이 무성하니, 백수들이 오래 서식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기묘한 예감은 선택 불가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수면}}}}}}'''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수면.png|width=100%]] ||<-2><bgcolor=#000> {{{#fff 비전투 노드 1개 선택}}}[br]''{{{#ccc 눈이 머리와 피부를 씻어주어, 거울처럼 매끈하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눈동자}}}}}}'''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눈동자.png|width=100%]] ||<-2><bgcolor=#000> {{{#fff 우측 근접한 노드 1개 선택}}}[br]''{{{#ccc 본 것 아는 것 찾는 것, 모두 그윽한 어둠 속에 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아치}}}}}}'''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아치.png|width=100%]] ||<-2><bgcolor=#000> {{{#fff 비전투 노드 1개 선택, 추가로 비전투 노드 2개 무작위로 지정}}}[br]''{{{#ccc 비스트의 자취 은방울 소리, 저 끝에서 아른거린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빛}}}}}}'''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빛.png|width=100%]] ||<-2><bgcolor=#000> {{{#fff 비전투 노드 3개 무작위로 지정}}}[br]''{{{#ccc 땅 위의 횃불이 백주를 빌려, 추운 겨울밤을 비춘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대지}}}}}}''' || ||<-2><|3><bgcolor=#464646> [[파일:자연 대지.png|width=100%]] ||<-2><bgcolor=#000> {{{#fff 모든 비전투 노드 선택}}}[br]''{{{#ccc 만물이 뿌리로 돌아가고, 또 모든 게 여기서 시작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리더 적 \[[[명일방주/적/2023년#9.7-1|집착의 덩굴]]] 누적 6회 처치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오리지늄}}}}}}'''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오리지늄.png|width=100%]] ||<-2><bgcolor=#000> {{{#fff 임의의 노드 1개 선택}}}[br]''{{{#ccc 흙과 피와 섞이지 못하지만, 그 안에 만상이 비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교목}}}}}}'''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교목.png|width=100%]] ||<-2><bgcolor=#000> {{{#fff 수직 통로가 있는 노드 1개 선택}}}[br]''{{{#ccc 별처럼 높은 곳을 거닐며, 서리와 설경을 내려본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자갈}}}}}}'''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자갈.png|width=100%]] ||<-2><bgcolor=#000> {{{#fff 수직 통로가 있는 노드 2개 무작위로 지정}}}[br]''{{{#ccc 생기도 움직임도 없이, 영원히 조용하게 남아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관목}}}}}}'''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관목.png|width=100%]] ||<-2><bgcolor=#000> {{{#fff 우측 한 열의 모든 노드 선택}}}[br]''{{{#ccc 짐승처럼 낮게 기어 다니며, 뿔피리 소리를 듣는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짐승}}}}}}'''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짐승.png|width=100%]] ||<-2><bgcolor=#000> {{{#fff 임의의 노드 1개 선택, 추가로 임의의 노드 2개 무작위로 지정}}}[br]''{{{#ccc 돌과 고드름을 갉아 먹으며, 마음 가는 대로 움직인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인간}}}}}}''' || ||<-2><|3><bgcolor=#464646> [[파일:영혼 인간.png|width=100%]] ||<-2><bgcolor=#000> {{{#fff 임의의 노드 1개 선택, 추가로 수평으로 근접한 모든 노드 선택}}}[br]''{{{#ccc 글을 가르쳐 지혜가 생기면, 지혜는 대대로 이어진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리더 적 \[[[명일방주/적/2023년#9.8-1|함락의 제사장]]] 누적 6회 처치 || ---- ||<tablewidth=100%><width=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3f38, #3473ab, #34847c)" '''{{{#fff {{{+2 ✦}}}}}}'''}}} ||<width=15%><bgcolor=#b10021> '''{{{#fff {{{+2 비전}}}}}}''' ||<-2><width=8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f2c2c, #214d6e, #1f6458)" '''{{{#fff {{{+2 도착}}}}}}'''}}} || ||<-2><|2><bgcolor=#464646> [[파일:비전 도착.png|width=100%]] ||<-2><bgcolor=#000> {{{#fff 임의의 노드 1개 선택, 조합어 확정 발동}}}[br]''{{{#ccc 산천을 건너 마침내 도착했지만, 정해진 운명은 어쩔 수 없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확장판 Ⅱ]에서 추가된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3f38, #3473ab, #34847c)" '''{{{#fff {{{+2 ★}}}}}}'''}}} ||<width=15%><bgcolor=#b10021> '''{{{#fff {{{+2 비전}}}}}}''' ||<-2><width=8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f2c2c, #214d6e, #1f6458)" '''{{{#fff {{{+2 떠남}}}}}}'''}}} || ||<-2><|2><bgcolor=#464646> [[파일:비전 떠남.png|width=100%]] ||<-2><bgcolor=#000> {{{#fff 무작위로 노드 2개 지정, 조합어 확정 발동}}}[br]''{{{#ccc 소리와 형태는 점점 멀어져갔고, 변수는 이제 알 수 없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확장판 Ⅱ]에서 추가된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ccc> '''{{{+2 현상}}}''' ||<-2><width=80%><bgcolor=#ccc> '''{{{+2 상흔}}}''' || ||<-2><|4><bgcolor=#464646> [[파일:현상 상흔.png|width=100%]] ||<-2><bgcolor=#000> {{{#fff 우측 근접한 노드 1개 선택, 오직 '공허'와 조합 가능}}}[br]''{{{#ccc 재난과 시련이 이 땅에 내려, 길 가는 사람들의 영혼마저 혼탁해진다}}}''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득과 실에서 교환 불가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엔딩 클리어 || ||<width=10%><bgcolor=#ccc> '''{{{#000 획득 방법}}}''' || 득과 실에서 [붕괴 수치 4 증가, 특별한 암호판 1세트 획득] 선택 || ==== 소재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노래}}}}}}''' || ||<-2><|3><bgcolor=#464646> [[파일:부족 노래.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에서 전투 시 공격 속도 +50 (조합어: 투지 상승용 드론 출현)}}}[br]''{{{#ccc 노랫소리가 울려 퍼지고, 파울비스트가 숲에 머문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투지 상승용 드론은 해당 노드에 미리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지 않음 || 조합어를 발동시키지 않더라도 공격속도 +50은 불리한 전투를 뒤집기 충분하므로 들고갈 가치가 매우 높은 암호판이다. 사미의 의지 보스전에서는 조합어로 추가되는 투지 상승용 드론 중 하나가 좌상단 끝 매우 공격하기 어려운 위치에 출현한다. 골든글로우나 엠브리엘, 쉐이의 분노 소장품 없이 처치하는 것이 매우 힘든 편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침묵}}}}}}''' || ||<-2><|3><bgcolor=#464646> [[파일:부족 침묵.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에서 전투 시 최대 HP +50% (조합어: 아군 [[명일방주/적/메인 Act Ⅰ#7.2|방패병]] 출현)}}}[br]''{{{#ccc 나무에 길을 물어도 답이 없고, 바위는 우뚝 서 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아군 방패병은 해당 노드에 미리 설정된 수량을 초과하지 않으며, 작전 시작 즉시 특정 위치에 배치되고, 본 암호판의 HP 증가 효과를 받지 않음 || 아군의 생존력을 크게 늘려주고 조합어를 발동시키면 체력 20000, 방어력 1000의 방패병이 소환되어 길목을 막아주기에 매우 유용한 암호판이다. 특히 방패병의 도발 효과 덕분에 사미의 의지의 공격을 유도하기에 해당 보스전의 난이도가 더욱 하락한다. 크레이즐리선 보스전에서는 방패병이 애매한 위치에 생성되는데다 보스의 공격을 받고 금방 사라지기 때문에 방패병 자체는 별 효용성이 없으나, 고승천에서는 크레이즐리선의 공격에 오퍼레이터가 한 방에 터지냐 마냐로 희비가 매우 갈리기 때문에 여전히 가치가 높은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낭송}}}}}}'''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낭송.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목표 HP +4 (조합어: 최대 목표 HP +2)}}}[br]''{{{#ccc 옛 교훈으로 친족을 축복하고, 말로 마음을 안정시킨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변론}}}}}}'''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변론.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에서 전투 시 재배치 시간 -30% (조합어: 편성에 정예 오퍼레이터 1명 임시 투입)}}}[br]''{{{#ccc 노래가 끝나면 내가 등장하고, 생각에서 지식이 돋보인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이번 테마에서도 쾌속부활 오퍼레이터인 이네스, 특토, 특사스가 활약하기에 보유하고 있다면 가치가 있으나 이들 이외의 대부분의 오퍼레이터는 초기 SP 유물이라도 들고 있는 것이 아닌 이상 퇴각하는 것 자체가 손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거기에 조합어 효과도 애매한 편이라 대체로 위의 노래나 침묵에 비해 가치가 낮다고 여겨진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위로}}}}}}'''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위로.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희망 +2 (조합어: 추가로 희망 +2)}}}[br]''{{{#ccc 북을 쳐 선조의 혼을 불러내고, 속삭임으로 슬픔을 달래준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고해}}}}}}''' || ||<-2><|3><bgcolor=#464646> [[파일:부족 고해.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목표 HP +1 (조합어: 전투 관련 소장품 1개 획득)}}}[br]''{{{#ccc 고목이 홀로 회한을 하소연하며, 용서를 간청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누적 100회 전투 승리 || ---- ||<tablewidth=100%><width=5%><bgcolor=#b83f38> '''{{{#fff {{{+2 ★}}}}}}''' ||<width=15%><bgcolor=#9f2c2c> '''{{{#fff {{{+2 부족}}}}}}''' ||<-2><width=80%><bgcolor=#9f2c2c> '''{{{#fff {{{+2 도움 요청}}}}}}''' || ||<-2><|2><bgcolor=#464646> [[파일:부족 도움 요청.png|width=100%]] ||<-2><bgcolor=#000> {{{#fff 노드를 1개 선택할 때마다 목표 HP +2 (조합어: 경과 시 목표 HP +2)}}}[br]''{{{#ccc 처량한 뿔피리가 하늘을 진동하고, 외로운 나무가 숲을 이룬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확장판 Ⅱ]에서 추가된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희열}}}}}}'''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희열.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오리지늄각뿔 +8 (조합어: 희망 +2)}}}[br]''{{{#ccc 무지개 항아리 속 달그림자에, 꿋꿋하게 소원을 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놀람}}}}}}'''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놀람.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교활한 상인으로 변경 (조합어: 상품 가격 -50%)}}}[br]''{{{#ccc 생소한 곳에서 선물을 받고, 머뭇거리다 인사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분노}}}}}}'''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분노.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에서 모집 시 4성 또는 5성 임시 모집 확정 등장 (조합어: 6성 임시 모집 등장)}}}[br]''{{{#ccc 얼음이 깨지고 망치를 던져도, 파울비스트는 울지 않는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4~5성 오퍼레이터 모집의 가치가 급락한 이번 테마 특성상 조합어를 발동시켜야 하는데 하필이면 비전투 노드 위주인 초록색 암호판이라는 것이 문제. 제대로 효과를 보려면 상점 노드에 발동시키거나 우측 근접한 노드 선택하는 암호판과 조합시켜야 한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의혹}}}}}}'''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의혹.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득과 실로 변경 (조합어: 감소한 붕괴 수치가 2로 변경)}}}[br]''{{{#ccc 길이 얽히고설켜 나무에 물으니, 나무도 모른다 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동경}}}}}}'''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동경.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에서 2배의 오리지늄각뿔 획득 (조합어: 획득한 목표 HP, 희망도 2배로 증가)}}}[br]''{{{#ccc 넋을 잃고 꿈속을 거닐다, 눈을 뜨니 눈보라 속이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희망 획득량 증가는 소장품이나 암호판 등 부가적으로 얻는 것에만 적용되고 지휘레벨 증가로 인한 희망 획득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애착}}}}}}''' || ||<-2><|3><bgcolor=#464646> [[파일:자연 애착.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우연한 만남으로 변경 (조합어: 소원성취로 변경)}}}[br]''{{{#ccc 망망 툰드라는 끝이 없지만, 뜻이 있으면 불처럼 뜨겁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비전투 노드 100회 진입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847c> '''{{{#fff {{{+2 ★}}}}}}''' ||<width=15%><bgcolor=#1f6458> '''{{{#fff {{{+2 영혼}}}}}}''' ||<-2><width=80%><bgcolor=#1f6458> '''{{{#fff {{{+2 만족}}}}}}''' || ||<-2><|2><bgcolor=#464646> [[파일:자연 만족.png|width=100%]] ||<-2><bgcolor=#000> {{{#fff 노드를 1개 선택할 때마다 오리지늄각뿔 +4 (조합어: 경과 시 오리지늄각뿔 +4)}}}[br]''{{{#ccc 바구니에 식량과 물을 가득 채웠으니,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확장판 Ⅱ]에서 추가된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순시}}}}}}'''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순시.png|width=100%]] ||<-2><bgcolor=#000> {{{#fff 근접한 노드가 전면 탐사 상태로 변경, 감소한 붕괴 수치가 2로 변경 (조합어: 감소한 붕괴 수치가 3으로 변경)}}}[br]''{{{#ccc 나무에 올라 저녁까지 망보며, 불을 들어 종족을 지킨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전면 탐사 상태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의 간섭 방지 지수 문단 참조.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둥지}}}}}}'''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둥지.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실드 +2 (조합어: 최대 목표 HP +2)}}}[br]''{{{#ccc 가지를 주워 둥지를 틀고, 처마 밑에 찬바람이 안 분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수렵}}}}}}''' || ||<-2><|3><bgcolor=#464646> [[파일:영혼 수렵.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긴급 작전으로 변경 (조합어: 경과 시 목표 HP +2)}}}[br]''{{{#ccc 날카로운 발톱으로 기회를 노리고, 위험으로 담력을 키운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8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변경 전이나 수평으로 근접한 전투 노드와 동일한 긴급 작전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 || 긴급 작전으로 성장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암호판. 여러 개의 긴급 작전 클리어에 성공하면 상당한 경험치와 소장품을 쓸어담고 게임을 터뜨릴 수 있지만 반대로 까다로운 긴급 작전이 나와 바로 탐험이 종료될 수 있다. 조합어 효과가 썩 좋은 편은 아니므로 전투 횟수 자체를 늘리고 싶다면 초록색 암호판과 조합하는 것도 방법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약탈}}}}}}'''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약탈.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오리지늄각뿔, 희망, 실드 +1 (조합어: 간섭 방지 지수 +1)}}}[br]''{{{#ccc 약탈을 자행하고 불의를 행하면, 언젠가 그 빚을 갚게 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기본 효과는 그저 그렇지만 조합어 효과가 강력한 암호판.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번식}}}}}}'''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번식.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앞서 출발로 변경 (조합어: 경과 시 희망 +2)}}}[br]''{{{#ccc 초목이고 짐승이고 성쇠가 있으니, 오래 존속하길 기도한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이주}}}}}}''' || ||<-2><|4><bgcolor=#464646> [[파일:영혼 이주.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 경과 시 간섭 방지 지수 +1 (조합어: 울창한 숲길로 변경, 간섭 방지 지수가 최대치까지 상승)}}}[br]''{{{#ccc 숲을 헤치며 종족 나무를 떠나려니, 미련에 걷기 더욱 힘들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6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실제 효과는 '간섭 방지 지수 +6'[*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235|호박의 상처]] 소장품과의 시너지를 고려해 이렇게 설계되었다.]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플레이 중 간섭 방지 지수 누적 50 획득 || 간섭 방지 지수를 대량으로 얻는 암호판. 다수의 노드를 선택해주는 파란색 암호판과 조합한다면 숲길의 보상을 쓸어담고 게임을 터뜨릴 수 있다. 노드 하나에만 발동시킨다 해도 간섭 방지 지수를 6 획득하는 효과는 이후의 노드 선택을 매우 쾌적하게 하기에 밥값을 충분히 한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3473ab> '''{{{#fff {{{+2 ★}}}}}}''' ||<width=15%><bgcolor=#214d6e> '''{{{#fff {{{+2 자연}}}}}}''' ||<-2><width=80%><bgcolor=#214d6e> '''{{{#fff {{{+2 휴식}}}}}}''' || ||<-2><|2><bgcolor=#464646> [[파일:영혼 휴식.png|width=100%]] ||<-2><bgcolor=#000> {{{#fff 안전한 곳으로 변경 (조합어: 최대 목표 HP +2)}}}[br]''{{{#ccc 눈을 감고 꿈나라에 들어가, 잠시나마 일탈을 누려본다}}}'' || ||<width=10%><bgcolor=#ccc> '''{{{#000 가격}}}''' || 12 || [확장판 Ⅱ]에서 추가된 암호판이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ccc> '''{{{+2 현상}}}''' ||<-2><width=80%><bgcolor=#ccc> '''{{{+2 공허}}}''' || ||<-2><|4><bgcolor=#464646> [[파일:현상 공허.png|width=100%]] ||<-2><bgcolor=#000> {{{#fff 해당 노드가 목열의 전조로 변경, 오직 '상흔'[* 인게임에서는 '''상처'''로 오역했다.]과 조합 가능}}}[br]''{{{#ccc 과거의 행동은 속세 속에서 사라지고, 걱정과 고민은 허무로 돌아간다}}}''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득과 실에서 교환 불가 || ||<width=10%><bgcolor=#ccc> '''{{{#000 개방 조건}}}''' || 엔딩 클리어 || ||<width=10%><bgcolor=#ccc> '''{{{#000 획득 방법}}}''' || 득과 실에서 [붕괴 수치 4 증가, 특별한 암호판 1세트 획득] 선택 || ==== 수사 ==== 자연에 도전 3부터 일정 확률로 암호판에 추가되는 효과이다. 수사가 적용된 암호판은 우상단에 기호가 표시되며, 조합 시 해당 수사의 효과를 발동한다.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464646> '''{{{#fff {{{+2 수사}}}}}}''' ||<-2><width=80%><bgcolor=#464646> '''{{{#fff {{{+2 연장}}}}}}''' || ||<-2><|2><bgcolor=#464646> [[파일:수사학연속.png|width=100%]] ||<-2><bgcolor=#000> {{{#fff 첫 선언 시 소모하지 않음}}}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구성에만 적용 가능 ||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464646> '''{{{#fff {{{+2 수사}}}}}}''' ||<-2><width=80%><bgcolor=#464646> '''{{{#fff {{{+2 자족}}}}}}''' || ||<-2><|2><bgcolor=#464646> [[파일:수사학자족.png|width=100%]] ||<-2><bgcolor=#000> {{{#fff 조합어 발동 시 목표 HP +25%}}}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소재에만 적용 가능 ||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464646> '''{{{#fff {{{+2 수사}}}}}}''' ||<-2><width=80%><bgcolor=#464646> '''{{{#fff {{{+2 순환}}}}}}''' || ||<-2><|2><bgcolor=#464646> [[파일:수사학순환.png|width=100%]] ||<-2><bgcolor=#000> {{{#fff 조합어 발동 시 붕괴 수치 -1}}}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소재에만 적용 가능 || ---- ||<tablewidth=100%><width=5%><bgcolor=#6e6d6e> '''{{{#fff {{{+2 ◇}}}}}}''' ||<width=15%><bgcolor=#464646> '''{{{#fff {{{+2 수사}}}}}}''' ||<-2><width=80%><bgcolor=#464646> '''{{{#fff {{{+2 광활}}}}}}''' || ||<-2><|2><bgcolor=#464646> [[파일:수사학확장.png|width=100%]] ||<-2><bgcolor=#000> {{{#fff 추가로 임의의 노드 1개 무작위로 지정}}} || ||<width=10%><bgcolor=#ccc> '''{{{#000 특징}}}''' || 구성에만 적용 가능 || === 간섭 방지 지수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등불과 열쇠를 합친 개념이며, 기본적으로 0 ~ 6까지의 수치가 존재한다.[* '호박의 상처' 소장품은 간섭 방지 지수가 최대치인 6을 초과할 수 있게 만든다.] 수치가 낮을수록 자신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노드의 유형을 확인할 수 없어지고, 반대로 높을수록 멀리 있는 노드의 유형도 볼 수 있고, 심지어 노드의 상세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인카운터에서도 일정 수치 이상의 간섭 방지 지수가 없으면 선택이 불가능한 선택지가 등장할 수 있다. 또한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 열쇠를 사용해 경로를 변경했던 것처럼 이번 테마에서는 간섭 방지 지수를 이용해 경로 변경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초기 간섭 방지 지수는 '''3'''이다. 단, 과학주의 분대는 '''0'''이다. 노드를 확인하는 유형은 '''{{{#ff0000 예감}}}''', '''표준 탐사''', '''{{{#007fff 전면 탐사}}}'''로 총 세 가지가 있다. * '''{{{#ff0000 예감}}}''': 해당 노드가 '''{{{#7b56ba 불길한 예감}}}'''인지 '''{{{#448c9a 기묘한 예감}}}'''인지만 구별할 수 있다. * '''{{{#7b56ba 불길한 예감}}}''': 전투 노드임을 나타낸다. 단 일반 작전인지 긴급 작전인지도 구별할 수 없으며, 일단 전투를 시작했을 때 그 노드가 긴급 작전이라면 '이번 작전은 {{{#b83738 긴급 작전}}}'이라는 메시지로 알려준다. ''사냥꾼은 예리하지만, 사냥감 또한 영리하다. 문제는 당신은 자신이 어느 쪽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 '''{{{#448c9a 기묘한 예감}}}''': 비전투 노드임을 나타낸다. ''추위는 오랜 상처를 아프게 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 이 순간만큼은 바람이 칼날보다 날카롭지는 않다.'' * '''표준 탐사''': 해당 노드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 '''{{{#007fff 전면 탐사}}}''': 해당 노드의 유형 및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007fff 전면 탐사}}}'''로 알 수 있게 되는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7b56ba 작전}}}''', '''{{{#b83738 긴급 작전}}}''': 해당 작전 완료 시 획득할 수 있는 암호판을 알려준다. * '''{{{#8d5b98 울창한 숲길}}}''': 연결된 숨겨진 비경이 어떤 종류의 구성인지 알려준다.[* 전투 노드로만 구성된 종류와 비전투 노드로만 구성된 종류 등이 있다.] * '''{{{#448c9a 득과 실}}}''': 해당 득과 실 노드가 어떤 종류인지[*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저지대 시장|소장품을]]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눈과 나무의 울타리|교환하는 것]]과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암마탈|암호판을 교환하는 것]] 두 종류가 있다.] 알려준다. * '''{{{#448c9a 우연한 만남}}}''': 해당 사건이 어떤 보상을 주는지, 혹은 특수 전투인지 알려준다. * '''{{{#226153 교활한 상인}}}''': 어떤 상품이 있는지 알려준다. * '''{{{#317cb9 안전한 곳}}}''': 얻을 수 있는 가장 가치가 큰 보상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보상의 가치는 고급 인사배치서한 > 희망 +3 > 편성 가능 인원수 +1 > 최대 목표 HP +3 순이다.] * '''{{{#18a088 소원성취}}}''': 선택지로 등장하는 소장품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18a088 흥미진진}}}''': 어떤 재화를 지불하고 도전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지불하는 재화는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북지 주술사 경기|오리지늄각뿔]],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가장 좋은 친구|목표 HP]],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심연 입구|간섭 방지 지수]] 세 종류가 있다.] 험난한 길은 간섭 방지 지수에 상관 없이 항상 '''표준 탐사'''로 확인할 수 있다. ||<width=15%><rowbgcolor=#ccc><rowcolor=#000> '''간섭 방지 지수''' ||<width=10%> '''장비 상태''' ||<width=70%> '''조사 효과''' || ||<bgcolor=#a73035> '''{{{#fff MIN[br]0}}}''' || '''장비 고장''' || 모든 노드를 '''{{{#ff0000 예감}}}'''으로만 확인할 수 있음[br]''인력으로 최소한의 조사만 가능.'' || ||<bgcolor=#b97132> '''{{{#fff 1}}}''' ||<|2> '''장비 파손''' ||<|2> 현재 열의 노드를 '''표준 탐사'''로 확인할 수 있고, 그 이후의 노드는 '''{{{#ff0000 예감}}}'''으로 확인할 수 있음[br]''탐사 가능한 범위가 급격히 축소.'' || ||<bgcolor=#b97132> '''{{{#fff 2}}}''' || ||<bgcolor=#67912c> '''{{{#fff 3}}}''' || '''정상 작동''' || 현재 열의 노드와 다음 한 열의 노드를 '''표준 탐사'''로 확인할 수 있고, 그 이후의 노드는 '''{{{#ff0000 예감}}}'''으로 확인할 수 있음[br]''주변 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신 중.'' || ||<bgcolor=#26726d> '''{{{#fff 4}}}''' ||<|2> '''작동 양호''' ||<|2> 현재 열의 노드와 다음 두 열의 노드를 '''표준 탐사'''로 확인할 수 있고, 그 이후의 노드는 '''{{{#ff0000 예감}}}'''으로 확인할 수 있음[br]''자동으로 구역 정보 취합 완료.'' || ||<bgcolor=#26726d> '''{{{#fff 5}}}''' || ||<bgcolor=#317Cb9> '''{{{#fff 6[br]MAX}}}''' || '''전문 개조''' || 현재 열의 노드를 '''{{{#007fff 전면 탐사}}}'''로 확인할 수 있고, 그 이후의 노드는 '''표준 탐사'''로 확인할 수 있음[br]''구역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 중.'' || === 붕괴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위매니의 부름 및 거부반응과 비슷하게 부정적인 효과를 준다. 차이점이라면 한 구역에서만 한정되는 위매니의 부름과 달리, 붕괴 패러다임은 소멸하지 않는 한 탐험 내내 유지되며, 오퍼레이터 하나하나에만 영향을 주는 거부반응과 달리, 붕괴 패러다임은 탐험 진행 자체에 영향을 준다. 새로운 구역 진입 시, 완벽하지 않은 작전 수행 시 또는 기타 이유로 '''붕괴 수치'''가 누적되며, 일정량 누적되면 '''붕괴 패러다임'''이 발생한다. 발생 시에는 새로운 붕괴 패러다임이 적용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붕괴 패러다임이 심화될 수 있다. * 새 구역 진입 시 기본적으로 3 증가한다. * 단, 자연에 도전 15에서는 이 수치가 점차 1씩 증가한다.[* 제2구역 진입 시 3, 제3구역 진입 시 4, 제4구역 진입 시 5, 제5구역 진입 시 6, 제6구역 진입 시 7 증가하게 된다.] * 예외적으로 제1구역, 제7구역, 숨겨진 비경은 증가하지 않는다. * 완벽하지 않은 작전 수행 시 기본적으로 1 증가한다. * 단, 자연에 도전 3에서부터는 대신 2 증가한다. * 암호판 선언 시 기본적으로 1 감소한다. * 일부 암호판은 이 수치를 변화시키도 한다. * 그 외에도 붕괴 수치를 증감시키는 요소가 다양하게 있다. 붕괴 패러다임은 한 탐험에서 최대 4가지가 발동할 수 있으며, 붕괴 레벨당 무작위의 붕괴 패러다임 하나가 추가되거나 심화된다. 즉, 최고 레벨인 8레벨일 때는 붕괴 패러다임 4가지 모두가 심화된 상태가 된다. 일부 소장품이나 사건은 붕괴 수치를 낮추며, 이로 인해 붕괴 레벨이 하락하게 되면 붕괴 패러다임은 무작위로 약화되거나 소멸된다. 새로운 구역 진입 시 붕괴 수치가 증가하는 건 필연적이므로 제외한다 치면, 매 전투마다 최대한 완막을 해서 완벽한 작전을 수행해야 붕괴 진행을 최소한으로 늦출 수 있다. 이렇게 완막이 중요하다는 점은 이전 테마와 비슷하다. ||<|2><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2d2f34><bgcolor=#ccc,#1c1c1c> '''붕괴 레벨''' ||<-2><width=90%><bgcolor=#ccc,#1c1c1c> '''각 레벨 도달에 필요한 붕괴 수치''' || ||<width=45%><bgcolor=#eee,#3f3f3f> '''자연에 도전 0''' ||<width=45%><bgcolor=#eee,#3f3f3f> '''자연에 도전 1+''' || ||<colbgcolor=#eee,#3f3f3f> '''0''' ||<-2> 0 (+4) || || '''1''' ||<-2> 4 (+4) || || '''2''' ||<-2> 8 (+4) || || '''3''' || 12 (+4) || 12 '''{{{#9266b2 (+3)}}}''' || || '''4''' || 16 (+4) || '''{{{#9266b2 15 (+3)}}}''' || || '''5''' || 20 (+4) || '''{{{#9266b2 18 (+3)}}}''' || || '''6''' || 24 (+4) || '''{{{#9266b2 21 (+2)}}}''' || || '''7''' || 28 (+4) || '''{{{#9266b2 23 (+2)}}}''' || || '''8''' || 32+ || '''{{{#9266b2 25+}}}'''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ccc,#1c1c1c> '''아이콘''' || '''이름 및 효과''' || ||<|2><colbgcolor=#9266b2> [[파일:수적 붕괴 / 수적 붕괴 심화.png]] ||'''{{{+1 수적 붕괴}}}''' ---- 비전투 노드에서 희망, 오리지늄각뿔 소모 또는 붕괴 수치 증가 시, 25% 확률로 1 증가[br]''{{{#gray 숫자 간의 경계가 흐려져 인간은 자연수를 식별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 ||'''{{{+1 수적 붕괴 심화}}}''' ---- 비전투 노드에서 희망, 오리지늄각뿔 소모 또는 붕괴 수치 증가 시, 50% 확률로 2 증가[br]''{{{#gray 수의 개념 자체가 사라져 인간은 숫자를 사용하는 능력마저 완전히 상실했다.}}}'' || ||<|2> [[파일:실질적 붕괴 / 확산적 붕괴.png]] ||'''{{{+1 실질적 붕괴}}}''' ---- 전장에 [국가] 영역 4개 생성, [국가] 위 아군 유닛의 공격 속도 -50[br]''{{{#gray 일명 '국가'라는 현상이 점차 이 땅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 ||'''{{{+1 확산적 붕괴}}}''' ---- 전장에 [국가] 영역 8개 생성, [국가] 위 아군 유닛의 공격 속도 -75[br]''{{{#gray '국가' 현상이 대기 순환에 필적할 속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 ||<|2> [[파일:비선형 이동 / 비선형 행동.png]] ||'''{{{+1 비선형 이동}}}''' ---- 모든 [붕괴체]의 HP +15%, 이동 속도 +15%[br]''{{{#gray 두 점 사이, 가장 짧은 건 직선이 아니다.}}}'' || ||'''{{{+1 비선형 행동}}}''' ---- 모든 [붕괴체]의 HP +20%, 이동 속도 +20%, 공격 속도 +20[br]''{{{#gray 두 점 사이, 가장 빠른 건 [[사이클로이드|최단시간 곡선]]이 아니다.}}}'' || ||<|2> [[파일: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png]] ||'''{{{+1 정서의 실체화}}}''' ---- 적이 등장 시 5% 확률로 HP +100%[br]''{{{#gray 마음속 감정 기복이 적의 자양분과 흥분제가 될 때……}}}'' || ||'''{{{+1 공포의 실체화}}}''' ---- 적이 등장 시 10% 확률로 HP +100%[br]''{{{#gray 마음속 깊은 곳의 부정적인 감정이 실재하는 괴물이 될 때……}}}'' || ||<|2> [[파일: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png]] ||'''{{{+1 범사회적 역설}}}''' ----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 +25%[br]''{{{#gray 사회에 대한 정의가 바뀌면서 사회적 산물의 가치도 달라졌다.}}}'' || ||'''{{{+1 범문명적 역설}}}''' ----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 +50%, 희귀한 상품[* 가격이 오리지늄각뿔 16 이상인 상품] 경우 +100%[br]''{{{#gray 문명의 본질이 왜곡되어 모든 산물의 가치가 상식을 초월했다.}}}'' || ||<|2> [[파일:기압 이상 / 기압 무질서.png]] ||'''{{{+1 기압 이상}}}''' ---- 배치 코스트 자연 회복 속도 -20%[br]''{{{#gray 대기압이 한 구간에서 멋대로 변한 바람에, 적응하지 못한 비전투 인원의 행동이 느려졌다.}}}'' || ||'''{{{+1 기압 무질서}}}''' ---- 배치 코스트 자연 회복 속도 -40%[br]''{{{#gray 대기압이 완전히 불규칙적으로 변한 바람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모든 일이 불가피하게 지체되었다.}}}'' || ||<|2> [[파일:촉발성 손상 / 촉발성 위태.png]] ||'''{{{+1 촉발성 손상}}}''' ---- 모든 아군 유닛이 배치 즉시 HP -30% (유닛당 퇴각 전 1회만 발동)[br]''{{{#gray 생명은 행동의 전제이자 행동의 대가이다.}}}'' || ||'''{{{+1 촉발성 위태}}}''' ---- 모든 아군 유닛이 배치 즉시 HP -60% (유닛당 퇴각 전 1회만 발동)[br]''{{{#gray 생명은 행동의 전제이자 죽음의 전제이기도 하다.}}}'' || ||<|2> [[파일:일치성 소모 / 일치성 손실.png]] ||'''{{{+1 일치성 소모}}}''' ---- 간섭 방지 지수 감소 시 최대 목표 HP -1[br]''{{{#gray 장비가 소모되면 그 사용자도 같은 형태의 피해를 받는다.}}}'' || ||'''{{{+1 일치성 손실}}}''' ---- 간섭 방지 지수 감소 시 최대 목표 HP -2[br]''{{{#gray 장비는 사용자의 일부로, 장비의 소모는 사용자에 대한 피해와도 같다.}}}'' || ||<|2> [[파일:선택적 무시 / 안하무인.png]] ||'''{{{+1 선택적 무시}}}''' ---- 목표 HP 및 적의 HP 확인 불가[br]''{{{#gray 대뇌가 너무 '자연스럽게' 일부 정보를 건너뛰었고, 당신은 편안함을 느꼈다.}}}'' || ||'''{{{+1 안하무인}}}''' ---- 목표 HP 및 적의 HP 확인 불가, 모든 적의 HP +10%[br]''{{{#gray 눈에 안 보이면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지 않은 것은 신경 쓸 필요 없다. 모르는 게 약이라고 했던가……}}}'' || ||<|2> [[파일:이미지 에러 / 블랙아웃.png]] ||'''{{{+1 이미지 에러}}}''' ---- 배치된 아군 유닛의 모습 확인 불가[br]''{{{#gray PRTS의 실행 로그에 시스템 오류가 기록되지 않았지만, 어찌 된 영문인지 오퍼레이터들은 이미지가 삭제된 것처럼 보인다.}}}'' || ||'''{{{+1 블랙아웃}}}''' ---- 배치된 아군 유닛의 모습 확인 불가, 오퍼레이터의 배치 코스트 +1[br]''{{{#gray 이러한 상황이 당신의 업무에 이미 부담을 주고 있지만, PRTS는 자신이 정상이라고 주장하는데, 아무래도 정상은 아닌 것 같다.}}}'' || '''수적 붕괴 / 수적 붕괴 심화'''는 자원 및 붕괴 수치 관리를 방해한다. 비전투 노드에 있을 경우 한정으로 희망이나 오리지늄각뿔을 소모할 때 25%~50% 확률로 1~2만큼 더 소모하게 되며, 붕괴 수치를 획득할 때도 마찬가지로 1~2만큼 더 획득하게 된다. 다른 붕괴를 더 빠르게 부르는 스노우볼링형 붕괴지만, 비전투 노드 한정이기에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는 의외로 많지 않다. 희망을 소모할 때는 거슬릴 수 있으나, 오리지늄각뿔을 소모할 때는 아래의 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보다 낭비가 훨씬 적으며, 붕괴 수치가 증가할 때는 비전투 노드일 경우는 대개 우연한 만남에서 붕괴 수치가 증가하는 선택지를 선택하는 경우인데, 대놓고 '붕괴 수치 증가'라고 쓰여 있으므로 그걸 고르지 않으면 된다. 그리 치명적이진 않은 붕괴 패러다임이다. '''실질적 붕괴 / 확산적 붕괴'''는 맵의 무작위 배치 가능 타일 몇 개에 검은색의 '''국가''' 장판을 추가하며, 국가 위에 배치된 아군은 공격 속도가 감소한다. 말 그대로 무작위라서 운을 많이 타는 붕괴 패러다임인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깔렸다면 없는 것이나 다름없고, 중요한 위치에 깔렸다면 국가 때문에 그 판이 터질 수도 있다. 특히 크기가 작은 맵이라면 더욱 위험해진다. 검은색이라 일부 맵에서는 잘 안 보일 수도 있으니 주의. '''비선형 이동 / 비선형 행동'''은 모든 '''붕괴체'''의 체력, 이동 속도, (비선형 행동 한정) 공격 속도를 증가시킨다. 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치명적인 붕괴 패러다임으로, 특히 붕괴체들은 기본 이동 속도가 빠른 편이라 이동 속도 증가가 많이 부담된다. '''[[명일방주/적/2023년#9.4|목열의 전사]]'''가 빛의 속도로 달려와서 진형을 박살내는가 하면, 보스인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나 '''[[명일방주/적/2023년#9.11|끝없는 울림의 크레이즐리선]]'''[* 그나마 크레이즐리선은 직접 이동하지 않는 형태의 보스라 공격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비선형 이동의 경우 사실상 체력 증가 효과만 받는다. 하지만 그 특성상 체력 증가만으로도 치명적이고, 비선형 행동의 경우 공격 속도까지 증가해서 아군을 싹 쓸어버릴 위험이 높다.]도 붕괴체라 이 효과를 받고 엄청나게 강력해진다. '''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는 전투 중 플레이어의 운을 시험한다. 적이 전장에 등장할 때 5%~10% 확률로 그 적의 체력을 2배로 만든다. 단순히 계산하면 평균적인 적 체력 증가량은 고작 +5%~+10%지만, 재수 없게 정예 또는 '''리더''' 적에게 걸릴 경우 골치 아파진다. 확률 자체는 아주 낮지만 잠재적인 위험은 정말 크기에 간과할 수 없다. [[https://gall.dcinside.com/m/mibj/4951617|적이 아니라 중립 유닛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범사회적 역설 / 범문명적 역설'''은 교활한 상인 이용을 방해한다. 교활한 상인의 상품 가격을 증가시켜 플레이어의 성장을 저해시킨다. 지난 테마보다 교활한 상인의 이용 빈도 및 중요성이 훨씬 증가했기에 꽤 거슬리는 효과이다. 다만 범사회적 역설까지는 증가량이 크지 않고, 교활한 상인 말고도 긴급 작전, 득과 실, 숨겨진 비경 등 다른 성장 요소도 있으며, 전투 자체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하면 만만한 편이다. 5~6층에서 굳이 상점을 이용하겠다면 캔낫에게 싸움을 걸어서 직접 털어가는 방법도 있긴 하다. '''기압 이상 / 기압 무질서'''는 뱅가드 오퍼레이터 편성을 강제한다. [[위기 협약]]에서 자주 볼 수 있었던 효과인 배치 코스트의 자연 회복 속도를 20% ~ 40% 감소시키는 붕괴 패러다임이다. 하지만 뱅가드 오퍼레이터를 자유롭게 편성할 수 있는 위기 협약과는 달리, 통합 전략 특성상 뱅가드 오퍼레이터의 편성 가능 여부 자체가 불확실해 일반적으로는 '''가장 까다로운 붕괴 패러다임'''으로 취급된다. '''촉발성 손상 / 촉발성 위태'''는 아군이 배치되었을 때 체력을 일정 비율 깎는다. 그나마 한 번만 깎이고 끝나기 때문에 힐러가 있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힐러가 없거나 있더라도 힐을 받기도 전에 터져버리는 경우 상당한 체감이 된다. 특히 쾌속부활 오퍼레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감소한 체력으로 인해 던지자마자 바로 퇴각할 수도 있어서 꽤 까다롭다. 만일 아군 배치 시 실드를 생성하는 소장품이 있다면[* 해당 효과를 주는 소장품으로는 생존의 나무 갑옷, 린수 비늘 방패가 있다.] 날먹 수준의 붕괴 패러다임이 되는데, 배치 시 실드를 얻는 효과가 체력을 깎는 효과보다 우선 적용되어 '''체력을 깎는 효과를 실드가 1회 막아준다.''' '''일치성 소모 / 일치성 손실'''은 간섭 방지 지수가 감소할 때마다 최대 목표 HP가 같이 감소해서 간섭 방지 지수를 함부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최소 1의 목표 HP는 남는다.] 과학주의 분대 한정으로 정말 악랄한 붕괴 패러다임인데, 남아도는 간섭 방지 지수를 수직 방향 이동이나 울창한 숲길 진입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플레이에 상당한 부담이 된다. 다만 그 외의 분대는 간섭 방지 지수를 아껴 써야 하기 때문에 그리 큰 문제는 되지 않는 편이다. '''선택적 무시 / 안하무인'''은 최초에는 겨울밤 전시관에서 그 존재조차 알 수 없으며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해 발동될 확률이 0.015%로 훨씬 더 낮다. 목표 HP의 아이콘이 뒤틀리고, 수치는 ???로 표시되며, 적이 피해를 받아도 HP 바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정도 화력이면 이 적이 죽겠다'라고 오직 감으로만 딜을 계산해야 하며, 이는 위의 정서의 실체화 / 공포의 실체화와 중복되면 특히 더욱 까다로워진다. 가장 위험한 경우는 '''[[명일방주/적/2023년#9.10|'목열' 에이크티르니르]]'''나 '''[[명일방주/적/2023년#9.12-1|카란두 카간, 대지의 채찍]]''' / '''[[명일방주/적/2023년#9.12-2|루갈샤르거스, 역법의 왕]]'''을 상대할 경우인데, 체력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에이크티르니르에서는 [[카니팔라트]]를 이용한 스톨링 전략이 매우 어려워지고, 두 보스를 동시에 처치해야 하는 대지의 재앙, 카란두 카간 / 역법의 왕, 루갈샤르거스는 보스 처치 타이밍을 잡기 어려워진다. '''이미지 에러 / 블랙아웃'''은 최초에는 겨울밤 전시관에서 그 존재조차 알 수 없으며 다른 붕괴 패러다임에 비해 발동될 확률이 0.015%로 훨씬 더 낮다. [[https://gall.dcinside.com/m/mibj/4990503|모든 아군 유닛이 까맣게 변하여 실루엣으로만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실루엣만으로도 대놓고 누가 누군지 구별이 잘 되기에 별 의미가 없는 허술한 페널티. 블랙아웃의 추가 페널티도 배치 코스트가 고작 1 늘어나는 것이 끝이다 보니 만만한 붕괴 패러다임이다. === 예견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의 층계 주사위 굴림에 해당하는 기믹으로, 현재 붕괴 레벨에 따라 다음 층에서 일어날 일을 미리 보여준다. * 붕괴 레벨이 3 미만인 경우: 다음 층에서 랜덤한 암호판 1개 획득. ''집착의 눈이 현재를 스쳐 지나고, 희미한 미래가 찰나에 밝혀진다'' * 예견된 암호판은 다음 구역에 진입하기 전까진 '''미획득''' 상태이며 어떤 형태로든 활용할 수 없다. * 일단 암호판이 예견되었다면, 해당 층에서 붕괴 레벨이 3을 넘었더라도 다음 구역에서 예견된 암호판을 획득한다. * 붕괴 레벨이 3 이상인 경우: 다음 층에서 새로 적용되거나 심화되는 붕괴 패러다임을 지정. ''비운의 눈동자는 액운을 엿보고, 뒤틀린 미래는 빛을 삼키고 있다'' * 더 이상 예견을 통해 암호판을 획득할 수 없다. 단, 생존 지상 분대는 붕괴 레벨에 상관 없이 항상 암호판을 예견한다. * 예견이 현재 패러다임의 심화를 지정했을 경우, 붕괴 수치 하락으로 해당 패러다임을 소멸시켰다면 예견은 자동으로 이전과 같은 종류의 심화되지 않은 붕괴 패러다임을 새로 지정한다. 설정상으로 이는 미래의 위험과 파멸을 예견하는 사이클롭스들의 예견 능력이며, 그 중에서도 조사단과 동행하는 사이클롭스인 [[발라크빈]]의 예견이라고 한다. === 신규 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적/통합 전략, 문단=5)] ||<-4><tablewidth=100%><bgcolor=#005567><color=#fff><tablebordercolor=#005567> '''신규 적''' ||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파일:enemy_2043_smsbr.png|width=70%]][br]오염된 껍데기]]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2|[[파일:enemy_2044_smwiz.png|width=70%]][br]왜곡된 캐스터]] ||<width=20%> [[명일방주/적/2023년#9.3|[[파일:enemy_2045_smdrn.png|width=70%]][br]붕괴 구조체]]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4|[[파일:enemy_2046_smwar.png|width=70%]][br]목열의 전사]] ||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5|[[파일:enemy_2059_smbox.png|width=70%]][br]상자 넝쿨]]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6-1|[[파일:enemy_2048_smgrd.png|width=70%]][br]'데몬의 칼날']]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6-2|[[파일:enemy_2049_smgrd2.png|width=70%]][br]'데몬의 칼날', 배가본드]]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7-1|[[파일:enemy_2050_smsha.png|width=70%]][br]함락의 제사장]] || ||<width=20%> [[명일방주/적/2023년#9.7-2|[[파일:enemy_2051_smsha2.png|width=70%]][br]공허의 제사장]]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8-1|[[파일:enemy_2052_smgia.png|width=70%]][br]집착의 넝쿨]]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8-2|[[파일:enemy_2053_smgia2.png|width=70%]][br]고대의 넝쿨]]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9|[[파일:enemy_2054_smdeer.png|width=70%]][br]''''사미의 의지'''']] ||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0|[[파일:enemy_2055_smlead.png|width=70%]][br]''''목열' 에이크티르니르''']]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1|[[파일:enemy_2056_smedzi.png|width=70%]][br]'''끝없는 울림의 크레이즐리선''']]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2-1|[[파일:enemy_2057_smkght.png|width=70%]][br]'''카란두 카간, 대지의 채찍''']]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2-2|[[파일:enemy_2058_smlion.png|width=70%]][br]'''루갈샤르거스, 역법의 왕''']] ||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3-1|[[파일:enemy_2060_smshdw.png|width=70%]][br]카간섀도우]] ||<width=20%> [[명일방주/적/통합 전략#5.13-2|[[파일:enemy_2061_smhond.png|width=70%]][br]로얄 컴패니언]] ||<-2> || ===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전투 노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 ||<:><-13><tablealign=center><tablewidth=1200><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7b56ba, #b83738); color: #fff; font-size: 1.38889em" '''ISW-NO[br]작전 & 긴급 작전'''}}} || ||<:><|2><width=10%><bgcolor=#ced4e2>[[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3|[[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1층 표식.png]]]] ||<:><-6><width=4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사형수의 밤|사형수의 밤]] ||<:><-6><width=4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펜션의 원혼|펜션의 원혼]] || ||<:><-4><width=30%>[[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이끼손|이끼손]] ||<:><-4><width=30%>[[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도륙될 운명의 비스트|도륙될 운명의 비스트]] ||<:><-4><width=30%>[[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금기 숫자|{{{#!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금기 숫자}}}]][*Ⅱ [확장판 Ⅱ\] 업데이트 추가] || ||<:><|2><bgcolor=#5f98c9>[[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4|[[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2층 표식.png]]]]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끝없이 펼쳐진 길|끝없이 펼쳐진 길]]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저공 기동|저공 기동]]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유령과 귀신|유령과 귀신]] ||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위화감|위화감]]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뒤돌아보지 마|뒤돌아보지 마]]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적의 칼로 적 베기|{{{#!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적의 칼로 적 베기}}}]][*Ⅱ] || ||<:><|2><bgcolor=#6880a7>[[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5|[[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3층 표식.png]]]]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농담이 진담으로|농담이 진담으로]]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갈증의 제단|갈증의 제단]]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아홉 구멍|아홉 구멍]] || ||<:><-3><width=22.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빙해의 그림자|빙해의 그림자]] ||<:><-3><width=22.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지척천리|지척천리]] ||<:><-3><width=22.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생각 절단|생각 절단]] ||<:><-3><width=22.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경멸|{{{#!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경멸}}}]][*Ⅱ] || ||<:><|2><bgcolor=#4d6785>[[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6|[[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4층 표식.png]]]]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기업 갈등|기업 갈등]]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응용 테스트|응용 테스트]]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붕괴체의 오후|붕괴체의 오후]]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대이동|대이동]] ||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공격 대신 방어|공격 대신 방어]]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소음 교란|소음 교란]]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금지 구역|금지 구역]]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얼어붙은 곳|{{{#!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얼어붙은 곳}}}]][*Ⅱ] || ||<:><|2><bgcolor=#acc7db>[[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7|[[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5층 표식.png]]]]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음악 이론의 재난|음악 이론의 재난]]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접근 금지|접근 금지]]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혼란의 상징|혼란의 상징]]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소원의 적|소원의 적]] ||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망자의 행군|망자의 행군]]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산해중의 난|산해중의 난]]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본능 오염|본능 오염]]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인조물 페스티벌|{{{#!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인조물 페스티벌}}}]][*Ⅱ] || ||<:><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cc7db, #57b0c1)"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8|[[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6층 표식.png]]]]}}} ||<:><|2><-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서리와 모래|서리와 모래]] ||<:><|2><-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생명의 종점|생명의 종점]] || ||<:><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ebefe, #615993)"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9|[[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7층 표식.png]]]]}}} || ||<:><-13><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a38a2, #cf282b); color: #fff; font-size: 1.38889em" '''ISW-NO & ISW-DF[br]험난한 길'''}}} || ||<:><|3><bgcolor=#6880a7>[[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5|[[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3층 표식.png]]]]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칼날의 가리킴|칼날의 가리킴]]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호흡|호흡]]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새 부족|새 부족]]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나무 약탈자|나무 약탈자]]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자연의 분노|자연의 분노]]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깨어난 대지|깨어난 대지]] || ||<:><|2><bgcolor=#acc7db>[[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7|[[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5층 표식.png]]]]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우뚝 솟은 은빛 서리|우뚝 솟은 은빛 서리]]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극한 추위|{{{#!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극한 추위}}}]][*Ⅱ]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사미의 엔트로피|사미의 엔트로피]]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허무의 꼭두각시|{{{#!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허무의 꼭두각시}}}]][*Ⅱ] || ||<:><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cc7db, #57b0c1)"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8|[[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6층 표식.png]]]]}}}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가드너|가드너]]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보초병|{{{#!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보초병}}}]][*Ⅱ] || ||<:><nopad>{{{#!wiki style="padding: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ebefe, #615993)"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9|[[파일: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7층 표식.png]]]]}}}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시간의 모래|{{{#!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시간의 모래}}}]][*Ⅱ]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영원 속으로|{{{#!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영원 속으로}}}]][*Ⅱ] || ||<:><-13><bgcolor=#000><color=#fff,#ddd> {{{+2 '''기타 전투'''}}} || ||<:><width=10%><bgcolor=#000><color=#fff,#ddd><keepall>'''ISW-DF[br]덕로드 패밀리'''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얼치기의 여행|얼치기의 여행]]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창조 경제|창조 경제]]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고급 차 행렬|고급 차 행렬]] ||<:><-3>[[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정의의 사자'|'정의의 사자']] || ||<:><|4><width=10%><bgcolor=#000><color=#fff,#ddd><keepall>'''ISW-SP[br]특수한 전투'''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천도의 절반|천도의 절반]]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곧 이뤄질 소원|곧 이뤄질 소원]] ||<:><-4>[[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징벌|징벌]]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평범해진 영웅|평범해진 영웅]]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복배수적|복배수적]]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장기 시용|장기 시용]]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자연의 섭리|자연의 섭리]] ||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모래의 환상|{{{#!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모래의 환상}}}]][*Ⅱ] ||<:><-6>[[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고대의 원수|{{{#!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341f83; color: #281c58" 고대의 원수}}}]][*Ⅱ] ||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nopad> || ===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비전투 노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비전투 노드)] ===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소장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소장품)] === 보물 상자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 마찬가지로 보물 상자를 파괴해야 오리지늄각뿔을 얻을 수 있다. 보물 상자의 종류는 똑같이 3가지이며, 그 종류는 아래와 같다. 탐험 후반으로 갈수록 상자의 체력이 높아진다. * '''보물 상자''': 체력 5000, 공격력 0, 방어력 200, 마법 저항 0, 도발 레벨 -1.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파괴 시 오리지늄각뿔을 2개 드랍한다. 가장 평범한 보물 상자. * '''가시 돋은 보물 상자''': 체력 5000, 공격력 0, 방어력 200, 마법 저항 0, 도발 레벨 -1. 피격 시 입은 피해량의 40%만큼 공격자에게 반사 피해를 입힌다. 파괴 시 오리지늄각뿔을 4개 드랍한다. 무턱대고 건드렸다가 오히려 오퍼레이터가 먼저 갈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각종 스킬을 켠 상태거나 소장품으로 인해 강화된 상태라면 스치기만 해도 퇴각하는 경우가 있으니 배치 전 공격 범위와 범위 대미지를 생각하자. * '''[[명일방주/적/2023년#9.5|상자 넝쿨]]''': 피격 시 깨어나 적 유닛으로 변경되고 보호 목표를 향해 움직인다. 처치 시 오리지늄각뿔을 10개 드랍한다. [[미믹#s-7]]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명일방주/적/2022년#10.5|상자 시테러]]와는 달리, 보호 목표 진입 시 '''목표 HP가 2 감소'''한다. '''가장 까다로운 보물 상자'''로, 목표 HP를 감소시키지 않아서 못 잡겠으면 그냥 흘려버려도 됐던 상자 시테러와는 다르게 상자 넝쿨은 일단 건드렸다면 무조건 막아야 한다. 하지만 간혹 반드시 건드릴 수밖에 없는 위치에 등장하는 억까도 나오며, 이 녀석이 웬만한 적보다 터무니없이 강하다 보니 그게 쉽지가 않아서 문제. === 최다 출전 오퍼레이터 === ||<-4><tablewidth=500><tablebgcolor=#fff,#2d2f34><bgcolor=#ccc,#1c1c1c> '''중국 서버 기준 최다 출전 오퍼레이터 (2024년 5월 기준)''' || ||<|2><width=19%><colbgcolor=#000> [[파일:arknights_pioneer.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이네스아이콘.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머틀아이콘.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팽아이콘.png|width=100%]] || ||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 || [[머틀]] || [[팽(명일방주)|팽]] || ||<|2> [[파일:arknights_warrio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무에나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데겐블레허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수르트아이콘.png|width=100%]] || || [[무에나]] || [[데겐블레허]] || [[수르트(명일방주)|수르트]] || ||<|2> [[파일:arknights_tank.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사리아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스팟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혼아이콘.png|width=100%]] || ||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 [[스팟(명일방주)|스팟]] || [[혼(명일방주)|혼]] || ||<|2> [[파일:arknights_snipe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티폰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첸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크루스아이콘.png|width=100%]] || || [[티폰(명일방주)|티폰]] || [[첸 더 홀룽데이]] || [[크루스(명일방주)|크루스]] || ||<|2> [[파일:arknights_caste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에이야퍄들라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골든글로우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린아이콘.png|width=100%]] || || [[에이야퍄들라]] || [[골든글로우]] || [[린(명일방주)|린]] || ||<|2> [[파일:arknights_medic.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리드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에이야퍄들라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켈시아이콘.png|width=100%]] || || [[리드 더 플레임 섀도우]] || [[에이야퍄들라 더 크비트 아스카]] || [[켈시]] || ||<|2> [[파일:arknights_support.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스카디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링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비르투오사아이콘.png|width=100%]] || ||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 || [[링(명일방주)|링]] || [[비르투오사]] || ||<|2> [[파일:arknights_special.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텍사스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야토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스펙터아이콘.png|width=100%]] || ||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 [[키린R 야토]] || [[스펙터 디 언체인드]] || ||<-4><bgcolor=#ccc,#1c1c1c><color=#000,#ddd>※ 본 통계는 자연에 도전 난이도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난이도를 반영하였기 때문에, 소개된 오퍼레이터들 중 일부는 고승천에선 부적합할 수 있으며, 반대로 통계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마냥 성능이 나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진지하게 플레이하고자 할 때 '''본 통계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 ||<-4><tablewidth=500><tablebgcolor=#fff,#2d2f34><bgcolor=#ccc,#1c1c1c> '''전 서버 기준 최다 출전 오퍼레이터 (2025년 1월 기준)''' || ||<|2><width=19%><colbgcolor=#000> [[파일:arknights_pioneer.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이네스아이콘.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팽아이콘.png|width=100%]] ||<width=27%><nopad> [[파일:명일방주머틀아이콘.png|width=100%]] || || [[이네스(명일방주)|이네스]] || [[팽(명일방주)|팽]] || [[머틀]] || ||<|2> [[파일:arknights_warrio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무에나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데겐블레허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수르트아이콘.png|width=100%]] || || [[무에나]] || [[데겐블레허]] || [[수르트(명일방주)|수르트]] || ||<|2> [[파일:arknights_tank.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슈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스팟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사리아아이콘.png|width=100%]] || || [[슈(명일방주)|슈]] || [[스팟(명일방주)|스팟]] ||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 ||<|2> [[파일:arknights_snipe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티폰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W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크루스아이콘.png|width=100%]] || || [[티폰(명일방주)|티폰]] || [[위셔델]] || [[크루스(명일방주)|크루스]] || ||<|2> [[파일:arknights_caster.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에이야퍄들라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골든글로우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로고스아이콘.png|width=100%]] || || [[에이야퍄들라]] || [[골든글로우]] || [[로고스(명일방주)|로고스]] || ||<|2> [[파일:arknights_medic.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리드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에이야퍄들라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안셀아이콘.png|width=100%]] || || [[리드 더 플레임 섀도우]] || [[에이야퍄들라 더 크비트 아스카]] || [[안셀(명일방주)|안셀]] || ||<|2> [[파일:arknights_support.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스카디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비르투오사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스즈란아이콘.png|width=100%]] || || [[스카디 더 커럽팅 하트]] || [[비르투오사]] || [[스즈란(명일방주)|스즈란]] || ||<|2> [[파일:arknights_special.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텍사스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이격야토아이콘.png|width=100%]] ||<nopad> [[파일:명일방주엘라아이콘.png|width=100%]] || ||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 || [[키린R 야토]] || [[Ela(명일방주)|Ela]] || ||<-4><bgcolor=#ccc,#1c1c1c><color=#000,#ddd>※ 본 통계는 자연에 도전 난이도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난이도를 반영하였기 때문에, 소개된 오퍼레이터들 중 일부는 고승천에선 부적합할 수 있으며, 반대로 통계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마냥 성능이 나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진지하게 플레이하고자 할 때 '''본 통계를 맹신해서는 안 된다.''' || == 엔딩 ==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와 달리, 엔딩 1 ~ 4는 시간순으로 겪게 된 정사이다. 다만, 엔딩 이후에 등장하는 추가 후일담들은 정사인지 IF인지 모호한 부분들이 나온다.[* 가령 에이크티르니르는 프로스트 디재스터로 타락한 [[산탈라]]를 죽이는 과정에서 데몬에 오염되어 죽음을 맞았다고 언급되는데, 정작 그 이후 멀쩡한 산탈라가 에이크티르니르의 장례식을 치루는 등, 앞뒤가 안맞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 작중 등장인물들에게 벌어진 붕괴 패러다임이 스토리에도 일부 영향을 준 IF일 가능성도 크다.] ===# 뭇 산과의 대화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11997&exception_mode=recommend&page=1|'''ENDING 01 - 뭇 산과의 대화 (TO TALK WITH THE MOUNTAINS)''']] >산맥은 이미 정복했고, 끝없는 빙원엔 탐험가의 발자취도 남겼습니다. 갈라진 대지는 당신과 대화하며 당신에게 묻고 또 약속합니다. 지식 탐구는 끝이 없지만, 액운은 이제 시작일 뿐이죠.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06758|엔딩 1 후일담]] ===# 겨울이 올 때까지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12193&exception_mode=recommend&page=1|'''ENDING 02 - 겨울이 올 때까지 (WINTERFALL)''']] >운명은 끝자락에서 다가와 자신의 장막을 내렸고, 전사의 마지막 한 방울의 피는 흘러나오기 전에 얼어붙었습니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07114&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D.9B.84.EC.9D.BC.EB.8B.B4&page=1|엔딩 2 후일담]] ===# 깊은 심연 속으로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13460&page=1|'''ENDING 03 - 깊은 심연 속으로 (LONG INTO AN ABYSS)''']] >당신은 넘을 수 없는 짙은 어둠을 보았고, 어깨에 내려앉은 눈의 묵직한 무게도 느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고요함만 남았습니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07398&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D.9B.84.EC.9D.BC&page=1|엔딩 3 후일담]] ===# 끝과 시작 #=== [[파일:1701746210.png]]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72463|'''ENDING 04 - 끝과 시작 (WHAT BEGINS FOLLOWS WHAT ENDS)''']] >영원한 황사와 전쟁을 거치고, 당신은 거대 구조물 아래로 돌아왔습니다. 이는 긴 여정의 끝이자, 또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당신의 발자취를 따라 탐험가들은 거대 구조물 뒤편에 있는 광활한 대지를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진실을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엔딩 3에서 이어지며 스타게이트를 탈환한 로도스 아일랜드는 라이디언과 [[로고스(명일방주)|로고스]]를 필두로 사미의 사제와 엘프들, 컬럼비아의 과학자들, 라이타니엔의 고탑 캐스터들과 같은 각계의 사람들을 불러 모아 연구 기지를 세우고[* 설정상 엔딩 3까지는 탐험대가 실제로 겪은 빙원 탐사 과정이나 이후 엔딩 4를 향한 등반 과정은 빙원 연구 기지에 참여할 자격을 얻기 위해 로고스가 고안한 붕괴 패러다임 저항 능력을 실험하는 시뮬레이션으로 밝혀진다.] 스타게이트를 인류가 사용할 목적으로 재가동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이 열린 게이트는 '''나이츠모라 카간국의 카란두 카간과 [[사르곤(명일방주)|사르곤]]의 초대왕 루갈샤르거스가 푄 고온 지대에서 겨루던 시점'''과 연결된다. 탐험대는 두 대왕의 결전을 직접 눈 앞에서 목도하게 됨으로써 과거, 현재, 미래의 수많은 곳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게이트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확인했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72463&search_head=20&page=1|엔딩 4 후일담]]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472640|엔딩 1~3 추가 후일담]][* 정사가 아닌 엔딩 1 ~ 3에서 이어질 수 있는 배드 엔딩 IF이다.] == OST == ||<tablealign=center><nopad> [youtube(5ftXsgiMjnU)] || || Music 1 - '''Silverfrost Frontier''' ('''메인'''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3|제1구역]]~[[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5|제3구역]] 탐험 OST) || ||<nopad> [youtube(KETQcoKrsFg)] || || Music 2 - '''Infy Icefields'''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6|제4구역]]~[[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7|제5구역]] 탐험 OST) || ||<nopad> [youtube(U18oFSFwDFE)] || || Music 3 - '''Great Beyond'''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8|제6구역]] 탐험 OST) || ||<nopad> [youtube(-YtJ2Iebc2k)] || || Music 4 - '''Return to Wilderness'''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9|제7구역]]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10|숨겨진 비경]] 탐험 OST) || ||<nopad> [youtube(xEEMYxRAWpM)] || || Music 5 - '''Hunt'''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3|제1구역]]~[[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5|제3구역]] 전투 OST) || ||<nopad> [youtube(24b3l_zM0E8)] || || Music 6 - '''Evoke'''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5|제3구역]] 험난한 길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6|제4구역]]~[[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9|제7구역]] 전투 OST) || ||<nopad> [youtube(qA9ifEW3oZ0)] || || Music 7 - '''Destruction'''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s-12|ISW-SP]] 전투 OST) || ||<nopad> [youtube(_I2GQ4JLst8)] || || Music 8 - '''Fair Trade'''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장기 시용|장기 시용]]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자연의 섭리|자연의 섭리]] 전투 OST) || ||<nopad> [youtube(1TOH7ANPCtM)] || || Music 9 - '''Time Immemorial'''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우뚝 솟은 은빛 서리|우뚝 솟은 은빛 서리]]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혹한의 동상|혹한의 동상]] 전투 OST) || ||<nopad> [youtube(OoQUqxz-8cA)] || || Music 10 - '''Andarsár'''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사미의 엔트로피|사미의 엔트로피]]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허무한 꼭두각시|허무한 꼭두각시]] 전투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D8DIjunt3k, width=100%)]}}} || || Music 11 - '''Dimensional Escape'''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가드너|가드너]]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보초|보초]] 전투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r6WAlZ2ViA, width=100%)]}}} || || Music 12 - '''主宰'''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시간의 모래|시간의 모래]] 및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영원 속으로|영원 속으로]] 전투 OST) || == 기타 == * 전반적인 분위기는 미지를 헤쳐 나가는 탐험물의 분위기가 나지만 미지에 대한 공포를 각인 시키듯이 애매하게 설명하거나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반적으로 시궁창 분위기가 넘치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 때와는 달리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알 수 없고, 암시를 던져서 상상하게 만드는 기법이 자주 쓰인다. * 지금까지 이름만 등장하며 언급만 되던 [[데몬(명일방주)|데몬]]의 명확한 실체가 드러난 테마이다. 그리고 데몬들에 대한 설정이 드러나며 나온 평가는 '''시테러만큼이나 위험한 종족'''. 심지어 개체차는 있겠지만 그나마 인류와의 의사소통 및 화친이 제한적으로라도 가능한 시테러와는 달리 이쪽은 아예 '''인류와 공존이 절대 불가''' 라고 제대로 딱지가 붙었다. 단, '''적응 능력이 정말 답도 없다'''고 평가 받은 시테러와는 다르게 이쪽은 인간의 의지에 따라서는 퇴치할 수도 있고, [[명일방주: 엔드필드|먼 훗날]]이긴 하나 데몬의 존재를 역이용한 붕괴 무기[* 프롤로그에서 관리자를 수송하던 항공기를 격추한 대공 미사일이 터질 때 데몬의 징표가 드러난다. 즉, 이 시대 인류는 데몬마저도 무기화하는데 성공한 것이다.]란 것이 등장해서 퇴치 불가능은 아니라는 수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제는 이조차도 '데몬을 지금처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전제라는 것이다. 만약 데몬의 존재를 무분별하게 테라 인류에게 밝히는 순간, 데몬은 그를 인식하고 그만큼 더 강해지는 골때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칫했다간 지금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위험해진다. [[파일:사미록라엔딩.jpg]] * 중국 서버에서는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 업데이트 완결을 기념하여 [[https://weibo.com/6279793937/O39Jsn3cU|테마 종료 축전]]을 공개하였다. 여기서 박사와 사미 관련 인물들이 데몬의 형태를 본뜬 눈장식을 들고 개그 포즈를 취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어 한국과 일본 등의 해외서버 유저들이 이를 반영한 팬아트들을 그리기도 하였다. 2024년 5월 시점에도 중국 서버를 제외한 다른 서버는 아직 업데이트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팬아트들이 계속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이전 테마인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가 요스타 서버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1달 이상 미뤄서 출시가 되었고 이 때문에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도 영향을 받아 미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6개월 간격 기준으로 출시될 것이라 예상되었던 2024년 1월 중순에 출시되지 않는 것이 확정되며 본 테마도 2024년 3월 5일에 개방하게 되었다. === 문제점 === 무작위 요소가 굉장히 심했던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 비해 상당 부분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암호판 시스템으로 대부분의 불리한 상황에 대처가 가능한 점 덕분에 확장판 Ⅱ 업데이트 전까지는 크게 비판받을 점이 없는, 성공적인 통합 전략으로 평가받았다. 그나마 완막에 실패했을 때 굴러가는 붕괴 스노우볼 때문에 완막을 심하게 강요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나, 완막을 강요하는 점은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도 마찬가지였고 붕괴는 거부반응에 비해 제어가 쉽기 때문에 크게 지적되는 문제점은 아니었다. 하지만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후 비판 의견이 늘어났는데, 가장 큰 이유는 12승천부터 적용되는 '''35% 확률로 제5, 6, 7구역의 험난한 길이 강화되는 제약''' 때문이다. 일단 35%라는 확률 자체도 무시할 수 없으며, 각 험난한 길마다 35% 확률로 강화될 수 있기에 보스를 2명 이상 잡아야 하는 깊은 심연 속으로 / 끝과 시작 엔딩을 볼 경우 더욱 크게 체감된다. 그런데 이렇게 강화된 험난한 길이 기존 버전에 비해 지나치게 어렵다고 평가받기 때문에, 사실상 '''12승천 이후 각 보스마다 35% 확률로 게임을 폭파'''시키는 악랄하고 불합리한 제약이라는 평가가 많다. 게다가 이 제약은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후 '''유저가 선택할 여지 없이 무조건 적용'''되기 때문에, 유저가 원치 않더라도 12승천 이후로는 강화된 험난한 길을 마주칠 35%의 확률을 감수해야만 한다. 유저가 개입할 수 있는 요소가 없다시피 한 순수 확률이기 때문에[* 제5구역 한정으로 강화 '사미의 의지'가 등장했을 경우, 나무 상처의 투구를 얻은 뒤 '목열' 에이크티르니르 보스전으로 바꾸는 것으로 어느 정도 개입할 수는 있다. 다만 이렇게 했을 때 다시 강화 '목열' 에이크티르니르가 등장할 확률이 있으며, 제6구역과 제7구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서 비판받았던 '순전히 운에 의해 중요한 승패가 좌우되는 억까'를 부활시켰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특히 이 제약이 크게 비판받는 이유는 이번 테마에서 각 분대를 이용해 엔딩을 한 번씩 보는, 일명 '''도장작'''이 '''갑자기 한 단계 더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전에는 '''10승천''' 이상에서 엔딩을 보면 도장작이 끝났지만, 업데이트 이후로는 도장작 단계가 추가되어 '''12승천''' 이상에서 엔딩을 봐야 도장작이 끝나는데, 하필 12승천이라 도장작을 끝내려면 강화된 험난한 길이 등장할 확률을 감수해야만 한다. 즉,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전에 도장작을 12승천까지 완료하지 못했을 경우 도장작 난이도가 매우 높아진다.'''[* 그마저도 확장판 Ⅱ 이후 추가되는 '끝과 시작' 엔딩의 경우 강화된 험난한 길을 감수하면서 도장작을 해야만 한다. 그나마 다른 엔딩은 확장판 Ⅱ 업데이트 전에 도장작을 끝냈을 경우 다시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다행이다.] 이런 정보 없이 확장판 Ⅱ 업데이트를 받은 중국 서버에서는 10승천으로 도장작을 한 유저들이 강하게 통수를 맞은 사례가 많이 나왔으며, 미래시가 있는 요스타 서버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도장작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사실에 불쾌해하는 반응을 보이면서 확장판 Ⅱ 업데이트 이전에 12승천 도장작을 하는 사람들이 속출했다. 사실 고승천 기준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에서 등장하는 보스의 난이도가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에 비해 오히려 쉽다는 평도 들었던 만큼 난이도를 상승시킨 강화 보스 스테이지를 넣은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지만, 강화 보스의 등장에 유저의 선택권 없이 확률에만 의존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강화 보스 없이 그냥 클리어하고 싶은 유저한테는 상기한 이유로 불합리한 제약이 되었고, 개인적인 도전을 위해 강화 보스만 클리어하고 싶은 유저 역시 원하는 타이밍에 강화 보스를 볼 수 없어 둘 다 만족시키지 못한 최악의 선택이 나온 것이다. 비단 강화 보스 시스템으로만 욕을 먹은 것은 아니고, 확장판 Ⅱ 업데이트 자체가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뇌절 업데이트라는 소리를 듣는다. 우선 통합 전략의 전통과 다름없는 '''확장판에 지나치게 난이도가 높은 맵 추가'''가 그대로 이어졌는데,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금기 숫자|금기 숫자]],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적의 칼로 적 베기|적의 칼로 적 베기]],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전투 노드#인조물 페스티벌|인조물 페스티벌]]처럼 추가 맵들의 난이도가 너무나도 높다. 특히 이번 테마의 간섭 방지 지수 기믹과 엮여서 영문도 모르고 이런 지뢰 맵들에 들어갔다가 사출당하는 일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게다가 업데이트로 추가된 소장품들은 대부분이 쓰잘데기 없는 성능인데도 기존의 소장품이 나올 자리를 대신 차지할 수 있어 난이도가 더욱 높아졌다. 요약하자면 '''유저가 강해질 여지는 더욱 악화시킨 채, 난이도만 더럽게 높인 업데이트'''다. 더 무서운 점은 상술한 문제점이 '''아직 18승천이 추가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평가라는 점. 이전 테마인 [[팬텀 & 크림슨 솔리테어]]는 출시 후 3년이 지난 후에 15승천이, [[미즈키 & 카이룰라 아버]]는 출시 후 2년이 지난 후에 18승천이 추가되었으며, 다음 차례로 해당 테마의 18승천이 추가 될 차례이다. ---- 이로 인해 탐험가의 은빛 서리 끝자락의 확장판 Ⅱ는 지나치게 어렵고 불합리한 뇌절이라는 악평이 상당했다. 그 때문인지 다음 테마인 [[살카즈의 영겁 기담]]에서는 엔딩 도장 컷을 처음부터 4단계로 나누었으며, '''추후 확장판 업데이트에서도 엔딩 도장 컷은 새로 추가하지도, 변경하지도 않을 것'''이라 못 박아 놓아 이런 문제가 두 번 다신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살카즈의 영겁 기담에서도 강화 보스 시스템은 존재하지만, '''확률이 아닌 선택'''으로 바뀌어 원치 않게 강화 보스를 상대하게 되는 문제, 강화 보스에 도전하고 싶은데 막상 강화 보스가 안 뜨는 문제 모두 해결되었다. 또한 확장판에 추가된 소장품들도 이번 테마와는 달리 쓸 만한 것들이 많다. 추가 맵으로 난이도를 높이는 전통은 살카즈의 영겁 기담에서도 이어졌으나, 이쪽은 지뢰 맵들을 피해가기가 비교적 쉬운 환경이라 사정이 좀 낫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