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졸업(버츄얼 유튜버)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버츄얼 유튜버/용어]][[분류:은퇴]] [목차] == 개요 == '''졸업'''([ruby(卒業, ruby=そつぎょう)], graduation)은 기업 기반으로 프로듀싱하는 [[버츄얼 유튜버]] 그룹에서 소속 멤버가 나가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원래 [[졸업(아이돌 용어)|졸업]]은 아이돌 멤버의 은퇴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일본 버츄얼 유튜버 업계에서도 이를 받아들여 쓰고 있다. 특히 아이돌 노선을 표방하는 [[hololive]]가 대표적인 케이스. 졸업을 하게 되면 보통 그 캐릭터로 더 이상 방송을 하지 않게 되며, 굿즈 등 수익 창출 활동도 모두 중단된다. 은퇴와 비슷하나 졸업을 했어도 전생처럼 다른 캐릭터를 준비해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므로 엄밀히 따지면 은퇴와는 다르다. 물론 진짜로 완전히 방송을 접고 일반인으로 살아가려고 떠나는 것일 수도 있다. == 저작권 == 기획사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버튜버의 경우 대부분 기획사 쪽에서 캐릭터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며, 안의 사람은 성우처럼 연기를 하는 입장이다. 그래서 해당 버추얼 캐릭터의 상표권이나 모델의 저작권 등의 각종 권리도 기획사 쪽에 있기 때문에 졸업을 하게 될 경우 이것들을 전부 회사에 반납해야 한다. 이러면 사실상 캐릭터 아바타는 폐기되게 된다. 즉, 졸업을 하게 될 경우 해당 모습으로는 다시 활동할 수 없으며 안의 사람이 다시 활동하려면 아바타를 새로 구하고 RP 설정을 새로 짜야 하는 전생 과정을 거치거나 독립하여 개인세 버튜버가 된다. 그냥 몇 대 몇으로 부가 수익을 나누면 되지 않느냐, 혹은 어차피 안의 연기자가 없으면 캐릭터는 무용지물인데 그냥 연기자에게 캐릭터 아바타를 양도하면 되지 않느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와 관련해서 유튜브 영상, 캐릭터 상품 등 정산해야 할게 많고, 무엇보다 버튜버들이 추후에 회사에서 나가려는 마음을 품을 수도 있어서 허용하려고 하지 않는다.[[https://www.youtube.com/watch?v=IfiLk2SH8Wo|#]][* 물론 이를 실제로 실행한 [[스오우 파트라]]와 같은 사례도 있지만 이쪽은 소속사였던 [[나나시잉크]]의 유연한 프로듀싱 방침과 연기자 본인의 빵빵한 재력이 모두 맞물린 결과이므로 어디까지나 예외 사례에 가깝다. 비슷한 사례로 개인세로 활동하다가 회사에 소속되어서 그 캐릭터로 계속 활동하다가 졸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원래 개인세로 시작한 캐릭터이니만큼 연기자가 캐릭터에 관한 권한이 회사보다 커서 졸업 후에도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가기도 한다. [[VEE]]에 소속되어 있던 안신인 미사가 이런 케이스로, 본래 개인세로 활동하다가 VEE에 입사해서 그대로 활동했고 졸업 후에도 그대로 개인세로 다시 전환하여 활동중이다.] 다만 한국의 경우 일본 버튜버 기획사의 한국지사같이 이 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한 곳은 이를 따르기도 하나, 그러지 않고 개인이 캐릭터나 이름에 대한 권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이세계아이돌]] 같은 경우가 대표적. 다만 이렇게 되면 안의 사람은 졸업 후 캐릭터를 통한 수익 창출이 끊어지고 해당 버튜버로 활동한 경력을 미래에 활용하기 힘들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고민은 버튜버 여명기인 2020년대 초부터 이미 존재했다. 본인이 특정 버튜버로 활동을 했다고 명시하면 [[빨간약(버츄얼 유튜버)|빨간약]]이 되기 때문. == 기업별 모습 == === hololive 프로덕션 === [[hololive 프로덕션]]에서는 대체로 졸업을 수개월 앞두고 졸업을 공지하며, 당일까지는 계속 활동을 이어간다. 그동안 당사자의 희망에 따라 졸업 멤버를 향한 이벤트, 졸업 라이브 등이 개최된다. 유튜브 채널과 X도 채널명에 졸업이나 활동종료 타이틀만 붙고 영상과 게시글들은 그대로 남는다. 다만 더 이상 새로운 영상이 올라가지 않아 유튜브 규정에 따라 수익 창출이 해제되므로 멤버십 서비스가 종료되고, 이에 따라 멤버십 한정 영상은 비공개 처리된다. [[키류 코코]]는 멤버십 종료와 함께 모든 멤버십 한정 영상이 비공개처리됐지만 [[미나토 아쿠아]]는 멤버십을 종료하면서 멤버십 한정 영상 중 불러보았다 영상을 일반 공개로 전환해서 졸업 이후로도 볼 수 있도록 했다.[[https://x.com/minatoaqua/status/1827304804751667228|#]] 그리고 [[세레스 파우나]]는 졸업과 동시에 아예 모든 멤버십 영상을 공개 처리한 것을 보면 졸업 이후 멤버십 영상의 공개 여부는 졸업하는 멤버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용하던 아바타와 관련 IP는 모두 [[커버(기업)|커버]]에 반납하게 된다. 졸업의 경우 홈페이지에도 졸업 멤버로써 그대로 소개되며, 남아있는 기존 멤버들도 자유롭게 졸업 멤버에 대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반면 계약 해지의 경우 불명예스러운 사유로 인한 해고이므로 은퇴 이벤트 없이 소속사의 계약 해지 통보와 함께 바로 활동이 종료되고 채널 영상도 삭제 또는 비공개되며 홈페이지에서도 삭제된다. 다만 활동종료 당일 바로 영상이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정도의 여유를 주고 언제까지 공개된다고 공지를 한다. 굿즈의 경우 임의로 제작, 판매를 종료해버리면 제작사측에 위약금을 물어내야 하기 때문에 계약이 해지됐다고 해서 굿즈 제작이 바로 중단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기존 멤버들이 계약 해지를 당한 멤버를 언급하는 것을 아예 막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졸업과 달리 멤버들도 언급을 다소 조심하는 편이다. 한편 졸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왓슨 아멜리아]]가 소속사와의 합의하에 졸업 대신 활동 종료(conclusion)라는 어휘를 쓰면서 미래에 카메오 출연을 하거나 복귀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후 [[사카마타 클로에]]도 방송 활동 종료(졸업)이라는 어휘를 쓰면서 역시 아멜리아처럼 차후 제휴 형태로 등장할 수 있다는 암시를 주었으며, 아멜리아와 사카마타가 각각 [[타카나시 키아라|키아라]]가 개최한 라이브와 [[무라사키 시온]]의 [[예토전생|졸업 라이브에 게스트 출연]]하는 데에 성공하면서, hololive 팬들에게 비로소 활동 종료가 졸업과 다르다는 것을 제대로 실감시켰다. === 니지산지 === [[니지산지]]에서는 졸업한 멤버의 컨텐츠를 전부 비공개함은 물론이고 해당 멤버의 SNS 계정까지 비공개 계정으로 전환시킨다. 다만 해당 멤버가 컨텐츠를 남겨주기를 원할 경우 졸업하기까지 어느정도 남은 시점에서 회사와 상의하면 컨텐츠를 남겨둘 수 있다. [[아즈치 모모]], [[스즈카 우타코]]의 사례가 대표적인 예시. 또한 [[나루세 나루]]처럼 본인의 커버곡만 남겨두거나 [[타카 라지만]], [[제아 코르넬리아]]처럼 커버곡은 전체 공개, 방송 아카이브는 일부 공개 형식으로 남겨두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해당 멤버가 졸업 일자를 선택하지 않고 바로 졸업하게 될 경우 회사 측에서도 해당 멤버의 컨텐츠를 빠르게 비공개로 전환 시켜버리기 때문에 졸업 공지가 올라온 시점에는 이미 모든 컨텐츠가 사라져있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관련된 사례로는 [[아이크 이브랜드]]가 대표적인 예시. 여담으로 회사 측에서는 졸업 공지를 올린 이후부터 해당 멤버의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는 작업에 들어가기 때문에 타이밍을 잘못 맞출 경우 일부 컨텐츠는 비공개가 된 상태로 남을 수도 있다. 그리고 니지산지 JP의 경우에는 졸업한 멤버일지라도 방송 내에서 자유롭게 언급이 가능하나 [[니지산지 EN]]의 경우에는 졸업 멤버에 대한 언급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졸업한 멤버에 대해 언급하려면 그 멤버를 연상시킬만한 다른 표현으로 돌려서 이야기를 하거나 회사에 건의해서 언급이 가능하도록 허락을 받아야 한다. 니지산지의 중화권 지부라고 볼 수 있는 [[VirtuaReal]] 소속 버튜버 중에서는 정말 특이한 형태로 졸업한 버튜버가 있는데, 바로 13기인 키로우가 '''사망'''[* 평소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는지 활동 중단을 알리기 23일 전부터 '키로우가 추락하기 전까지 n일'이라는 제목으로 단편 애니메이션을 올렸다. 그 D-day가 된 날에는 활동중단을 알리면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임을 암시했는데 이날은 다름도 아닌 본인의 생일이었다. 그후 4개월 동안 잠적했으며 팬들이 안부 메시지를 보내면 자기를 기억해줘서 감사하며 앞으로도 행복하라는 내용의 자동 응답 메시지가 가도록 설정했다. 결국 본인에게 연락이 닿지 않아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다가 다름도 아닌 본인과 동기들이 데뷔 1주년을 맞이한 날에 사망 및 졸업 사실이 발표됐다.]하며 영영 활동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것. 이 역시도 졸업으로 처리 되었다. === 페이즈 커넥트 === [[페이즈 커넥트]]에서는 졸업한 멤버의 컨텐츠를 모두 삭제하는 것이 규정이다. 물론 멤버에 대한 보복이나 처벌같은 이유가 아니라, CEO인 Sakana가 '계약 관계가 파기될 때는 양측이 모두 손해를 봐야 건강한 계약이다.'는 확고한 원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멤버가 졸업해도 회사가 졸업한 멤버의 컨텐츠 및 IP를 이용해 계속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 해당 멤버에 비해 회사는 잃는 것이 크지 않아 계약관계를 유지할 동기가 작아지게 되니, 이는 좋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졸업과 동시에 모든 컨텐츠를 삭제하면 회사도 잃는 것이 많아지기 때문에 계약 파기를 더욱 신중하게 고려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속 멤버들과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서로 합의점을 찾아 계약 관계를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https://www.youtube.com/watch?v=Vu0_lFVssS0&t=2983s|#]] === 노리프로 === [[노리프로]]에서는 멤버가 졸업할 경우 해당 멤버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주는 방향으로 졸업 시켜준다. 원래는 유튜브 계정을 삭제하고 SNS도 비공개로 전환시키는 게 일반적이지만 해당 멤버가 계정을 남겨주길 원할 경우 SNS만 비공개로 전환 시키기도 한다. 또한 멤버들의 의사를 존중하는 만큼 [[호오즈키 와라베]]처럼 버츄얼 유튜버가 아닌 회사 스태프로서 남기를 원할 경우 스태프로 전환 시켜주기도 하며, [[히메사키 유즈루]]나 [[네코제노 신]]처럼 회사와 원만한 합의 끝에 개인으로 전환하는 멤버들도 있다. === FIRST STAGE PRODUCTION === [[FIRST STAGE PRODUCTION]]에서는 멤버가 졸업할 경우 니지산지의 운영 방식과 비슷하게 해당 멤버의 컨텐츠들을 비공개하며 SNS 계정 역시 비공개로 전환하는데, 졸업과 동시에 전환하는 것이 아닌 졸업하는 달 마지막날 또는 졸업한 다음달 1일에 비공개로 전환을 한다. 졸업하는 멤버가 5월달 안에 졸업을 하겠다고 선언할 경우 회사 측에서는 5월 31일 또는 6월 1일에 그동안 해왔던 모든 컨텐츠 및 SNS 계정을 비공개로 돌리는 식. 이때 졸업을 했다고 해서 당장 회사 측에서 계정을 가져가는 것도 아니기에 계정이 비공개로 전환되기 전까지 팬들과 작별 인사를 나누는 멤버들도 많다. === BRAVE GRUOP === [[게임부 프로젝트]]와 [[RIOT MUSIC]]이 소속된 기업으로, 이쪽은 안의 사람이 자의든 타의든 퇴사하면 그 모델링은 회사가 계속 이용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게임부 프로젝트는 아예 본인들과 갈등을 빚은 성우들을 해고하고는 새 성우를 고용한 뒤 자사 버튜버들은 Character에서 따온 C튜버라는 해명을 내세웠으며, 이들 중 도묘지 하루토는 (그렇게 강판된) 2대 성우조차 졸업한 뒤에도 동생인 도묘지 코코아의 영상에 모습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와는 별개로 한때 BRAVE GRUOP에 소속됐던 아오기리 고교의 경우, 원년멤버인 나츠키는 졸업한 뒤에도 유튜브 채널의 배너에서 모습을 보였으며 동기인 타마코가 신의상을 보였을 때는 아예 본인이 출연해서 축하하기까지 했다. 그것도 다른 기업처럼 목소리만 등장한 것이나 간접적으로 언급된 게 아니라 안의 사람이 예전의 모델링을 들고 와서 그대로 출연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졸업(동음이의어), version=29, uuid=fce84441-2ab9-4ef6-b080-41307b23769b, title2=버츄얼 유튜버/용어, version2=129, uuid2=372d46f4-90c4-4f5d-8333-fe31c0def9b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