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정훈 바코비에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폴란드 여왕 키우기/등장인물]]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폴란드 여왕 키우기)] ||<-2><tablealign=right><tablewidth=4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0000><colcolor=#fff> '''{{{#fff 인테르마리움 초대 황제}}}[br]{{{+1 정훈 바코비에}}}[br]Dżonghun Bakowie''' || ||<-2><nopad> [[파일:폴란드 여왕 키우기.jpg|width=100%]] || ||<width=100> '''이름''' ||박정훈(朴征勳)→정훈 바코비에(Dżonghun Bakowie) || || '''출생''' ||[[1674년]] || ||<|12> '''재위기간''' ||<#f5f5f5,#2d2f34>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국왕 || ||[[1699년]] [[8월]]~[[1711년]][*1 인테르마리움 왕위에 귀속 ] || ||<#f5f5f5,#2d2f34>인테르마리움 국왕 || ||[[1711년]]~[[1715년]] || ||<#f5f5f5,#2d2f34>인테르마리움 황제[* 오스만 제국을 멸망시키고 콘스탄티노플을 수복하면서 동로마제국의 계승자 자격으로 황제에 오른다.] || ||[[1715년]]~ || ||<#f5f5f5,#2d2f34>루테니아 대공 || ||[[1697년]]~[[1699년]][*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왕위에 귀속 ] || ||<#f5f5f5,#2d2f34>몰다비아 공작 || ||[[1699년]]~[[1714년]][* 아들 수호한테 양위] || ||<#f5f5f5,#2d2f34>프로이센 대공 || ||[[1711년]]~[[1711년]][*1 인테르마리움 왕위에 귀속 ] || ||<-2><bgcolor=#fff,#1f2023><color=#373a3c,#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0000><colcolor=#fff> '''배우자''' ||[[엘주비에타 안나 소비에스카]] (1694년 결혼) || || '''본관''' ||[[밀양 박씨]] || || '''종교''' ||[[로마 가톨릭]] ||}}}}}}}}} || [clearfix] [목차] == 개요 == 대체역사소설 [[폴란드 여왕 키우기]]의 남주인공. == 작중 행적 == 한국인 청년. 본인은 평범하다고 주장하나 작중 묘사를 보면 군대에서 행정병으로 복무하면서 간부들의 온갖 짬처리를 처리하다 보니 전략 전술에 대해 자신도 모르게 숙달하게 되었고 전역 후 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대전략 게임[* 게임 플레이 묘사와 국내 유저층이 적다는 서술을 보아 [[토탈 워 시리즈]]로 추정.]을 하다 보니 유저들[* 여기서 전작의 주인공인 김상민이 언급되어, 독자들은 "불멸의 용에게 선택받아 트립 했다"라는 드립을 쳤다(...).] 사이에서 이름이 알려진 고수가 되었다. 여행 중 프라하의 식당에서 우연히 폴란드 출신의 엘라와 만나 연인이 되었다. 그렇게 둘은 바르샤바에서 동거를 시작하였고, 그러던 어느 날 [[빌라누프 궁전]]에서 데이트를 하다가 정훈이 청혼한 순간 러시아의 핵무기가 [[바르샤바]] 시내에 떨어지며 엘라와 함께 트립 하였다. 17세기로 떨어진 후 사랑하는 엘라와 함께하기 위해 [[윙드 후사르]] 부대에 들어가면서 당대인에겐 타타르 출신으로서 귀족이 된 명장으로 알려진다.[* 가끔 독자들 중엔 [[온달]]과 [[평강공주]] 희망 편 아니겠냐는 반응도 있다.] 환생 후에는 혼자서 전장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전지적인 안목[* 정훈 본인의 묘사에 따르면 '심상(心想)의 매'가 내려다본다고 하며 반경 10~20km 정도를 관조할 수 있다.]을 가지게 되는 등 전략전술에 통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신체적으로도 엄청난 괴력과 회복력을 갖게 되어 항우나 리처드 1세가 환생한 것 같은 전투력까지 보여준다.[* 심지어는 우연에 가깝다고 하나 날아오는 총탄을 베어버리는 묘기까지 보여준다.]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 얀 3세에 대항하는 폴란드 귀족들의 반란도 진압한 후 엘라와 결혼하여 [[루테니아]] 대공국의 대공으로 즉위한다. 폴란드에서는 성씨인 박 씨를 '바코비에'라고'라고 불러 바코비에 대공이라고 불린다. 엘라가 폴란드 여왕으로 즉위할 때 정훈을 공동 국왕으로 지명하여 폴란드 국왕이 된다. 처음에는 박혁거세의 후손인 밀양 박씨여서 얀 3세는 그를 '먼 동방의 왕국 조선의 천오백 년 전 왕실의 후예'로 포장했고, 마리 왕비는 '[[프레스터 존]]의 먼 후손'등으로 포장했다. 이후 조선에서는 먼 유럽 나라와 친해질 수 있다는 명분 하에 대략 밀양 박씨 일가의 일원이라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현재 대외적인 정훈의 집안은 '''옛날 청나라에 의해 끌려갔던 밀양 박씨 일가의 먼 후손''' 정도라고 볼 수 있다. 1715년 대 오스만 전쟁에서 승리하고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면서 동로마 제국을 이은[* 작중에서 로마의 제관을 받았다고 서술된다.] 인테르마리움 제국 황제로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의 추대를 받아 등극한다. == 능력 == > "그러면 대체 승리왕은 누가 막을거요?" > (중략) > "그를 막을 수 있는 자가 대영제국에 존재하기나 하오? 아니, 유럽에 존재하긴 하오?" >----- > [[존 처칠]], 221화 대(大)한파 (2) > 그래, 승리왕이 이상한 놈이었다 > 인간들의 싸움은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식이다. > (중략) > 이 시대, 시간 단위로 군대를 정밀하게 움직이는 괴물은 오직 그밖에 없었다. 전열과 기세를 유지하며 비상식적인 거리를 행군하는 괴물도 그밖에 없었다. >----- > [[표트르 1세]], 262화 왕의 분노(2) 작중에서 정훈의 뛰어난 군사적 재능이 지속적으로 강조된다. 그의 군사적 재능을 나타내는 별명으로는 '승리왕'[* 승리왕이라 불린 다른 왕을 찾자면 스웨덴의 [[에리크 6세]]나 '''백년 전쟁을 프랑스의 승리로 끝낸''' [[샤를 7세]]가 있다.]과 ‘군신’이 있으며, 이는 그의 전술적 역량과 전공을 반영한다. 동로마 황제의 제관을 쓴 후에는 왕에서 격이 더 올라간 '상승제(常勝帝)' 등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작가가 공개한 크루세이더 킹즈 기준 정훈의 능력치는 1692년 당시 전쟁: 30, 기량: 31이었으며, 1699년에는 전쟁: 32, 기량: 33으로 성장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전쟁에서 유리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지금까지 백전불패의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주인공 치트 같은 능력이지만, 타고난 신체부터 굉장히 건강하며 그 건강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훈련과 식이요법으로 더욱 강인한 육체를 만들었다. 거기에다가 치트급의 능력으로, [[독수리의 눈|마치 새가 하늘을 보는 것처럼 전장을 관조하는 능력]]도 있는데, 거리는 약 20km까지 가능하다고. 이 20km 안에서는 마치 '직접 보는 것'처럼 군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그가 다른 장군들보다 높은 군사적 재능을 보이는 비법이다. 한 마디로 '''머릿속에 토탈 워 전장 맵이 3D로 펼쳐지고 AI 예측 시스템까지 탑재'''된 셈. 이 관조하는 능력은 복수귀 야누쉬에게 저격을 당해 부상을 입으면서 일시적으로 사라졌으나 곧 다시 회복되었고, 더욱 성장하여 이제 한 전장이 아니라 전체 전세를 조종할 수 있을 정도로 더 성장했다. == 여담 == 최신화 기준으로 4남 2녀+@를 얻을 정도로 많이 해대고(..) 있다. 물론 영아사망률이 높은 시절이기 때문에 각종 소독 등을 더욱 신경 쓴 것도 있고, 두 사람이 건강[* 일단 정훈이야 말할 것도 없고, 여왕 또한 원래보다 더 건강이 좋아졌다는 작중 표현이 있다.]한 것도 있지만 일단 많이 해대는 것(..)은 확실하다.[* 작중 표현에 따르면 [[코스프레|하녀복 한 벌이 사라졌다가 세탁되어 놓여 있기도 하고,]] [[카섹스|마차 안에서 해서 생긴]] 자식도 있다.] 물론 저 당시 세계에서 다산은 오히려 신의 축복이기도 하고, 정훈이 바람을 피우는 것도 아니니 오히려 다른 귀족들과 비교했을 때 더 긍정적이기도 하다.[* 단적인 예로, 그의 숙적이라 할 수 있는 [[표트르 1세]]의 경우 자신의 아들인 알렉세이 왕자의 애인인 [[예카테리나 1세|마르타 헬레나 스코브론스카]]와 애인이 된 끝에, 임신까지 시켰으니...] 작중에서 아예 소비에스키-바코비에 가문에는 '''순애의 피'''가 흐른다고 할 정도. 이런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듯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굉장히 보수적인 구석이 강해서, 아들인 얀이 사라와 외도를 한 것을 알고 물건을 부러뜨려 버리겠다고 노발대발하기도 했다.[* 그 때 기준으로 보면 매우 보수적인 것이 맞은 것이, 외도에 쌍외도는 거의 기본이었으니...] 또한 의외로 유치한 구석이 있는데, [* 물론 실제 황제에게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건 여황 뿐이지만.] 자신이 쓰러뜨린 강자들의 칼을 일일히 압수해 보관하는 취미가 있다. 실제로 그 강자들의 칼만을 모아 둔 검 전시실인 '승리의 방'은 '''궁전 두 개'''에 각각 따로 있고, 그 취미의 절정을 보이기 위해 모스크바에서는 일반 병사들과 장교들의 총과 칼을 녹여 [[철왕좌]]를 만들기도 했다. === 참전일지 === * 몰다비아 원정(1691년) * 이아시 전투 * 포돌레 원정(1692년) * 로코슈(1694년) * 라바 전투 * 드제비차 전투 * 아치칼레 원정(1695년~1697년) * 대북방전쟁(1698년~1699년) * 3차 오스만 원정 * 라소바 전투 * 유럽대전쟁(1706년~) * 그룬발트 전투 * 미엥질레시에 전투 === 별명 === 작중에서 다양한 별명이 나온다. * 이아시의 사자 * 포돌레의 사자 * 이아시의 악마와 샤이탄: 오스만인들에게 불린다. * '''승리왕(The Victorious)''': 참전한 모든 전투에서 승리하여서 붙여진 별명. 유럽 전역에서 불린다. * '''세계의 재건자(Restitutor Orbis, Ἀνακαινιστὴς τοῦ κόσμου)'''[*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받았던 칭호이다.], 상승제(The Invincible/Invictus): 콘스탄티노폴을 수복하여 황제 자리까지 오르자 불린 별명. 그 외에도 연방의 황제, 정교회의 수호자, 초원의 검, 그리스도의 검(또는 사탄/샤이탄)의 검, 두 제국의 파괴자 등이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폴란드 여왕 키우기/등장인물, version=1, uuid=dc0003e0-6963-4a88-a034-8c8e6db25af2)]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정훈 바코비에, version=69, uuid=65943982-2ba5-4f6f-8231-f911d351458d)]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