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자유지상주의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자유의지에 대한 형이상학적 입장인 자유의지주의, 문서명1=자유의지, 문단1=3.2.2)] [include(틀:자유지상주의)] [목차] == 개요 == ||<table 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ddd><nopad> [[파일:IALP logo.jpg|width=100%]] || ||<#ddd> {{{#000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전 세계 자유지상주의 정당들이 모여 결성한 국제 정당 연합 조직.]의 로고'''}}} || ||<table 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ddd><nopad> [[파일:Libertarian_Party_(United_States).png|width=100%]] || ||<#ddd> {{{#000 '''국가별 자유지상주의 정당 중 가장 크고 오래된 [[자유당(미국)|미국 자유당]]의 로고'''}}} || '''자유지상주의'''([[自]][[由]][[至]][[上]][[主]][[義]], libertarianism)는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이에 대한 최대한의 보장을 주장하는 이념이다. == 어원 == 지금 자유지상주의자(libertarian)라고 하면 현재는 보통 [[우파 자유지상주의|우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을 의미하는 용어로 주로 사용되지만 실제 역사를 살펴보면 19세기 이전에도 자유지상주의라는 단어는 여러면서 간혈적으로 사용되고는 했으며 지금 단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와는 별개로 어떤 대중적인 정치운동을 지칭하기 위해 '자유지상주의자' 라는 용어가 맨 처음 사용된 것은 '''조셉 데자크(Joseph Déjacque)'''라는 [[아나코 공산주의|아나코 공산주의자]] 작가가 아나키즘 사회주의 운동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한 것이 그 시초라고 한다.[* Marshall, Peter (2009). 『Demanding the Impossible: A History of Anarchism』. p. 641.[br]"The word 'libertarian'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anarchism, and has been used repeatedly throughout this work. The term originally denoted a person who upheld the doctrine of the freedom of the will; in this sense, Godwin was not a 'libertarian', but a 'necessitarian'. It came however to be applied to anyone who approved of liberty in general. In anarchist circles, it was first used by Joseph Déjacque as the title of his anarchist journal Le Libertaire, Journal du Mouvement Social published in New York in 1858. At the end of the last century, the anarchist Sébastien Faure took up the word, to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anarchists and authoritarian socialists"] 그리고 그 이후에도 여러 방면으로 사용되다가 20세기 중반 미국에서 우파 자유지상주의들이 자신들을 부르는데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대략 지금과 같은 쓰임새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 번역 == [[한국어]]에서 자유지상주의는 '자유의지주의'로 번역되기도 하며, [[일본어]]에서는 '완전자유주의(完全自由主義)'로 번역하고 '리버테리아니즘(リバタリアニズム)'으로 불리기도 하며, [[중국어]]에서는 '방임자유주의(放任自由主義)' 및 '자유의지주의(自由意志主义)' 로 번역되기도 한다. 일본어와 중국어 모두 '자유인주의(自由人主義)'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2013년]]에는 [[경희대학교]] [[철학과]] 정연교 교수가 '자유지선주의'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에서는 '완전자유주의', '순수자유주의', '자유원칙주의', '자유중심주의'를 제안한 적도 있었다. 그 밖에도 '절대자유주의', '자유해방주의' 등으로 번역된 적도 있다. [[대한민국|한국]]에서 '[[권위주의]]'의 반대 표현으로서 사용되는 '자유주의'는 이론적으로 따지면 이 문서에서 말하는 자유지상주의를 가리킨다. 영어권 학술 자료나 [[정치 나침반]]만 봐도 알 수 있으나 Authoritarianism의 반대 끝에 배치하는 것은 Liberalism[*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자유주의]]라고 번역한다.]이 아니라 Libertarianism이다. 즉 Authoritarianism vs Libertarianism는 한국어 문법상 '권위주의 vs 자유지상주의'라고 번역해야 맞지만, 대조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자유주의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아 혼동을 빚기도 한다.[* 다만 이는 이론적 개념이 그렇다는거지 사실 한국에서 일반인들이 받아들이는 느낌 자체는 비슷하긴 하다. 사실 아나키즘이나 자유지상주의의 개념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은게 현실이니...] 실제로 [[케인스주의]] 등 [[국가주의]](statist) 경제 정책을 지지하는 [[뉴딜 자유주의]], [[진보적 자유주의]], [[자유협동조합주의|자유 조합주의]]자들이 있기 따문에 서구권에서는 Liberalism과 Libertarianism이 더 엄격하게 구별된다.[* 자유지상주의자들은 국가주의를 부정적으로 본다.] 권위주의(Authoritarianism)가 특정 세력, 개인의 국가적 권위와 지배를 긍정하는 사상이라면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는 권위와 지배를 일체 거부한다.[* 다만 현실에선 자유지상주의를 말하는 사람들도 그 범위에 있어선 갑론을박이 생기는 편이다. 아나키즘도 마찬가지. 궁극적 목표 정도로 이해해도 된다.] 자유주의(Liberalism)는 부당한 권위와 지배를 거부할 뿐이지 정부나 공권력 등의 필요성 즉, 부분적인 권위와 지배는 필요악으로 여기기 때문에 자유주의가 권위주의와 상극이긴 해도 스펙트럼 상 완전히 정반대에 위치한 사상은 아니다. 그래도 당연히 권위주의보단 자유지상주의 쪽에 훨씬 가깝긴 하다.[* 실제로 각종 자유지상주의 사상은 자유주의에서 파생된 경우가 다수이다.] == 역사 == 역사적으로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 리버테리어니즘)는 17-18세기 유럽 [[계몽주의]]에서부터 시작된 [[자유주의]](liberalism / 리버럴리즘)가 출현한 지 약 100년 후에 [[아나키즘]]에서부터 생겨나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조제프 데자크가 처음으로 libertarianism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유주의가 왕권에 대한 거부라면,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을 구속하는 일체의 모든 형태의 국가, 강압체에 대한 거부이다. 다만 많은 자유지상주의 분파들은 [[고전적 자유주의]]에 영향을 받았거나 그와 유사하니 자유주의와 자유지상주의가 연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굳이 따지면 자유지상주의는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에 속한다. 실제로 [[우파 자유지상주의]]의 경우엔 [[계몽주의]]와 [[고전적 자유주의]] 철학과 연관이 있으며, 미국에선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을 편의상 [[미국의 자유지상주의|자유지상주의]]자라고 칭하기도 한다. [[좌파 자유지상주의]] 역시 자유주의에 영향을 받은 이념들이 존재한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개인의 개인에 대한 완전한 소유'를 주장하고 있다. 그렇기에 개인이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면 개인의 자유도 무한정 존중받아야 된다는 주장이다. 현대 일부 국가의 용법과는 다르게 원래 리버테리언이라는 말은 아나키스트 그 중에서도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들이 처음 사용한 말이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리버럴]]이란 용어를 [[사회자유주의]]자들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고전적 자유주의]]자들과 그보다 더 급진적인 [[자유시장]]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새로운 용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현대 미국 등의 국가에선 자유지상주의가 [[우파 자유지상주의]]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자유지상주의라고 개인의 자유를 무제한 적으로 주장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타인의 자유[* [[우파 자유지상주의]]를 예로 들면 [[재산권]]과 [[생명]]]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주장하는 것이다. 어쨋든 리버테리안 사회 역시 공동체가 없는 것이 아니기에[* 가령 [[아나키즘]] 사회라도 공동체 개념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 내부에서 조율할 수단들이 존재한다. 물론 무제한 적인 자유를 주장하는 쪽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흔한 사례는 아니다. 미국의 제3당 [[자유당(미국)|자유지상당]]은 정확히는 이걸 모토로 하는 당이다. 유명 정치인으로는 [[론 폴]] 등이 있다. 참고로 미국에 한정해보자면, 자유지상주의를 내세우는 정치 세력은 우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이 많은 편이다. 이들은 작은 정부 혹은 무정부, 규제철폐, 사기업들에 대한 낮은 세금 혹은 비과세를 지지한다. 외교적으로는 [[불간섭주의]], [[고립주의]]를 지향하는 편. 그렇기에 러시아,북한,중동([[하마스]] 등)에 대한 미국의 제재를 미국의 부채증가 및 안보공백을 이유로 반대한다. 다만 그중에서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자유지상당도 [[양당제]]가 확고한 미국에서는 한자리수 득표율에 머물고 있는 소수정당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C%A0%EB%8B%B9_(%EB%AF%B8%EA%B5%AD)|위키백과]]도 참고. == 인물 == [[좌파 자유지상주의]]자는 ◀, [[우파 자유지상주의]]는 ▶로 표시. 한국에서 자유지상주의 하면 마냥 비주류에 극단적인 사상으로만 인식되고 실제로 그런 케이스도 있지만, 젤렌스키나 마크롱, 서누누 같이 온건한 중도나 중도우파의 주류 정치 쪽 케이스도 꽤 존재한다. * [[가브리엘 보리치]]◀ * [[게리 존슨]] * [[놈 촘스키]]◀ * [[데이비드 D. 프리드먼]]▶ - 일반적인 신자유주의자에 가까웠던 아버지 밀턴 프리드먼과 달리 훨씬 급진적인 아나코 캐피탈리스트에 가깝다. * [[랜드 폴]]▶ * [[로버트 노직]]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리즈 트러스]][* 출처 : [[https://www.politico.eu/article/everything-know-liz-truss-afraid-ask/|폴리티코]], [[https://www.cbsnews.com/news/who-is-liz-truss-britains-new-prime-minister/|CB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9-03/your-saturday-uk-briefing-why-truss-s-supporters-are-on-edge|블룸버그통신]]]▶ - 사실 그녀는 대학 시절에도 자유지상주의 단체 Oxford Hayek Society 회원으로 활동했었다고 한다.[* 출처 : [[https://www.telegraph.co.uk/opinion/2022/09/04/liz-truss-must-apply-conservative-philosophy-reform-energy-market/|데일리 텔레그래프]]] 심지어 [[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에 가까운 [[자유민주당(영국)|자민당]] 당원 시절에도 당내 비주류 [[고전적 자유주의]]자로 여겨졌었다. * [[머리 로스바드]]▶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루트비히 폰 미제스]]의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학에 영향을 받아 [[아나코 캐피탈리즘]]이란 개념을 만들었다. * [[한스-헤르만 호페]]▶ * [[밀턴 프리드먼]]▶ * [[빌 마]] - 자유주의적 자유지상주의자(liberal libertarian)로 여겨진다. * [[아인 랜드]]▶ - 본인은 자유지상주의자임을 부정하고 고전적 자유주의자라를 자칭했기에 애매하다. * [[에마뉘엘 마크롱]] * [[https://en.wikipedia.org/wiki/Walter_Block|월터 블록]]▶ * [[윌리엄 모리스]]◀ * [[조지프 슘페터]] * [[줄리언 어산지]] - 실제로 자유지상주의자로 여겨지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단명한 정당인 [[https://en.wikipedia.org/wiki/WikiLeaks_Party|위키리크스당(WikiLeaks Party)]]의 당수이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사이버 아나키스트(Cyber-Anarchist)라고 부르기도 한다. * [[칼 포퍼]] * [[캘빈 쿨리지]]▶ * [[크리스 서누누]] - [[온건주의]]자이지만 [[https://en.wikipedia.org/wiki/Libertarian_Republican|자유지상주의 공화당원]]으로도 분류된다. * [[털시 개버드]] *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 * [[미하일 바쿠닌]]◀ * [[벤저민 터커]]◀ * [[표트르 크로포트킨]]◀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하비에르 밀레이]]▶ * [[https://en.wikipedia.org/wiki/Vaush|보시 (Vaush)]](본명 이언 앤서니 코친스키)◀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성향의 정치 스트리머. 소아성애도 도덕적으로 용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 힐렐 슈타이너◀ - 영미권에서 로더릭 롱과 더불어 가장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좌파 자유지상주의 정치철학자이다. * 케빈 카슨◀ - 상호주의 아나키스트 경제학자이자 좌파 자유지상주의 정치철학자로도 유명하다. * 로더릭 롱◀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면서도 좌파 성향 사상가로 분류되며 좌익시장 아나키즘을 주장한다. 성향으로 따지자면 중도적인 입장에 가까운 중도적 자유지상주의자이다. 그 외에 '''모든 [[아나키스트]]들'''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 정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자유지상주의 정당)] == 분파 == === [[우파 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파 자유지상주의)] === [[좌파 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좌파 자유지상주의)] === 중도 자유지상주의/그 외 === ==== 급진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급진주의)] 고전적 자유급진주의(classical liberal radicalism)라고도 한다. ==== [[동정적 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정적 자유지상주의)] 이들을 '''피를 흘리는 심장 자유지상주의(Bleeding-Heart Libertarianism)'''그룹[* 영어 관용어 ‘bleeding heart’는 문자 그대로는 ‘피를 흘리는 심장’이지만, 보통 '동정적인', ‘동정심이 많은’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Bleeding Heart Libertarianism은 한국어로 ‘동정적 자유지상주의’라고 옮길 수 있다.]이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학술적으로 이들을 ‘애리조나 학파 자유지상주의'(Arizona School libertarianism)라고도 부르며, 이는 [[애리조나 대학교]](University of Arizona) 철학·경제학 진영에서 활동하던 학자들이 논의를 주도한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애리조나 학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전통적 자유지상주의가 강조해 온 자유시장과 개인 자율성을 통해 사회적 약자에게도 실질적으로 도움이되는 자유시장을 통한‘사회정의’의 실현을 함께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요 학자로는 데이비드 슈미츠(David Schmidtz), 제이슨 브레넌(Jason Brennan), 맷 즈월린스키(Matt Zwolinski) 등이 있으며, 이들은 경험적 자료와 정책 평가를 중시하는 ‘관찰기반(Observation-based)·실증책임(Empirical accountability)’ 접근을 강조해 자유지상주의 내부에서도 뚜렷한 색채를 이룬다. 한편, 아나코 캐피탈리스트 학자 [[데이비드 D. 프리드먼]](David D. Friedman)은 이들 피를 흘리는 심장 자유지상주의자들이 사회정의를 자유지상주의와 결부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그 실체가 불분명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참고자료''' *Matt Zwolinski and John Tomasi (2012) [[https://www.cato-unbound.org/2012/04/02/matt-zwolinski-john-tomasi/bleeding-heart-history-libertarianism/ |A Bleeding Heart History of Libertarianism]][[https://web.archive.org/web/20250513004949/https://www.cato-unbound.org/2012/04/02/matt-zwolinski-john-tomasi/bleeding-heart-history-libertarianism/ |(보존)]]. Cato Unbound. *Matt Zwolinski (2012) [[https://bleedingheartlibertarians.com/2011/03/bleeding-heart-libertarianism/ |Bleeding Heart Libertarianism]][[https://web.archive.org/web/20230906034301/https://bleedingheartlibertarians.com/2011/03/bleeding-heart-libertarianism/ |(보존)]]. Bleeding Heart Libertarians. *Kabaservice, Geoff (17 April 2025). [[https://www.niskanencenter.org/the-old-weird-history-of-libertarianism-with-matt-zwolinski/ |"The old, weird history of libertarianism, with Matt Zwolinski"]][[https://web.archive.org/web/20250617072416/https://www.niskanencenter.org/the-old-weird-history-of-libertarianism-with-matt-zwolinski/ |(보존)]]. Niskanen Center. ==== [[녹색 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녹색 자유지상주의)] ==== [[시민 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민 자유지상주의)] ==== [[지공자유지상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공자유지상주의)] === 국가별 양상 ===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미국의 자유지상주의|미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의 자유지상주의)] == 관련 문서 == * [[반국가주의]] * [[반권위주의]] * [[아나키즘]] * [[자유지상당]] == 둘러보기 == [include(틀:자유주의)] [[분류:자유지상주의]][[분류:동음이의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자유지상주의, version=202, uuid=3a100ece-6f1b-4a4a-b1d6-7bca23914a5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