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인테르마리움(폴란드 여왕 키우기)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폴란드 여왕 키우기]][[분류:개변된 역사]]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폴란드 여왕 키우기)]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eb0013><bgcolor=#eb0013> {{{#fff {{{+1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5 (1569~1697)}}}}}}[br] '''[{{{#fff Królestwo Polskie i Wielkie Księstwo Litewskie}}}]'''}}}[br]{{{#fff {{{+1 '''삼중 연방'''{{{-5 (1697~1711)}}}{{{-3 [* 작중 1697년 볼라조약으로 루테니아 대공국 신설과 함께 재편되었다.]}}}}}}[br] '''[{{{#fff Rzecczpospolia Trajga Narodów}}}]'''}}} {{{#fff {{{+1 '''미엥지모제/인테르마리움'''{{{-5 (1711~)}}}{{{-3 [* 작중 프로이센 대공 즉위와 함께 개편되었다.]}}}}}}[br] '''[{{{#fff Międzymorze/intermarium}}}]'''}}} || ||<-2><width=50%>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 국기.png|width=100%]] || ||<-2><bgcolor=#eb0013> '''{{{#fff 국기}}}'''[* 엘라가 즉위하면서 바뀐 국기] || ||<-3><bgcolor=#fff> {{{#eb0013 '''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br]{{{#eb0013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신데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는가"'''[* 로마서 8,31, 원역사에서도 구호였으나 엘라가 먼저 사용했다.]}}}[br]{{{#eb0013 '''Imperium Nationum Terrarumque Eternum Regnat'''}}}[br]{{{#eb0013 '''영원한 제국이 만민과 만토를 다스린다.'''[* 줄여서 I.N.T.E.R.로 합스부르크의 Alles Erdreich ist Österreich untertan'(지상의 모든 왕국이 오스트리아에 복종한다), A.E.I.O.U에서 착안하여 정훈이 만든 국시.]}}}[br]{{{-3 '''(1699~)'''}}} || ||<-6><bgcolor=#fff,#212121> {{{#!wiki style="margin: -5px -10px" }}} || ||<-6><:><bgcolor=#fff,#212121> {{{#000,#ddd {{{-1 작중 지도나 팬제작 지도 첨부}}}}}} || ||<-6><:><rowbgcolor=#eb0013> '''{{{#fff [[1569년|{{{#fff 1569년}}}]] ~ }}}''' || ||<width=25%><bgcolor=#eb0013> {{{#fff '''국가'''}}} ||<-2>[[https://www.youtube.com/watch?v=kU75BwCUXnU|어머니 폴란드여, 기뻐하라]] || ||<bgcolor=#eb0013>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2>[[크라쿠프]](1569 ~ 1596[* 명목상 1569~])[br][[바르샤바]](1596~) || ||<bgcolor=#eb0013> {{{#fff '''정치 체제'''}}} ||<-2>[[군주제]][* [[봉건|세습군주제]](1569년 ~ 1572년)→[[선거군주제]](1573년 ~)]([[귀족공화제]]) || ||<bgcolor=#eb0013> {{{#fff '''국가 원수'''}}} ||<-2>[[왕]][* 폴란드 국왕]&[[대공]][* 리투아니아 대공 및 루테니아 대공 및 프로이센 대공]→[[왕]](인테르마리움)→[[황제]](인테르마리움)|| ||<bgcolor=#eb0013> {{{#fff '''주요 군주'''}}} ||<-2>[[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1569~1572)[* 폴란드의 왕으로서는 1548년부터 재위.][br][[스테판 바토리]], [[안나 야기엘론카]](1575~1587)[br][[지그문트 3세 바사]](1587~1632)[br][[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1632~1648)[br][[얀 3세 소비에스키]](1674~1697)[br]야쿠프 소비에스키(1697~1699)[br][[엘주비에타 안나 소비에스카 ]]& [[정훈 바코비에]](1699~) || ||<bgcolor=#eb0013> {{{#fff '''인구'''}}} ||불명 || ||<bgcolor=#eb0013> {{{#fff '''민족'''}}} ||<-2>[[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 [[우크라이나인|루테니아인(루스인)]], [[벨라루스인]], [[독일계 폴란드인|독일인]], [[아슈케나짐]], [[조선인]] 등 || ||<bgcolor=#eb0013> {{{#fff '''언어'''}}} ||<-2>[[폴란드어]][br][[리투아니아어]][br]루테니아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전신][br][[독일어]][* [[그단스크|단치히]], [[프로이센 공국]],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에서 사용][br][[라틴어]][br][[이디시어]][br][[인터슬라빅]]|| ||<bgcolor=#eb0013> {{{#fff '''종교'''}}} ||<-2>[[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유대교]][* 원역사와 마찬가지로 여러 인종과 함께 종교가 혼재되어있다.] 등 || ||<bgcolor=#eb0013> {{{#fff '''통화'''}}} ||<-2>[[폴란드 즈워티|즈워티]] || ||<bgcolor=#eb0013> {{{#fff '''주요 사건'''}}} ||<-2>'''[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left: 0px; margin-top: -22px" {{{#!folding '''[[루블린 조약|연방 설립]]''' [[1569년]][br]'''데울리노 조약''' [[1618년]][br]'''[[대홍수(역사)|대홍수]]''' [[1648년]][br]'''몰다비아 원정''' [[1691년]][br]'''포돌레 원정''' [[1692년]][br]'''1693년 세임''' [[1693년]][br]'''1694년 로코슈''' [[1694년]][br]'''아치칼레 원정''' [[1695년]]~[[1697년]][br]'''볼라 조약''' [[1697년]][br]'''[[대북방전쟁]] 참전''' [[1698년]]~[[1699년]][br]'''엘라 여왕과 바코비에 공동 즉위''' [[1699년]]}}}}}} || [clearfix] [목차] == 개요 == 대체역사물 웹소설 [[폴란드 여왕 키우기]]에 등장하는 미엥지모제(인테르마리움)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 국명 == 작중에서 이름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 작중 시작 시점에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었다가 [[루테니아]]를 합쳐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삼중 연방이 되었고, 확장 과정에서 프로이센을 정복하며 잠깐 사중연방이 되었다가 미엥지모제(인테르마리움)로 또 한 번 이름을 바꾸게 된다. [[미엥지모제]] 또는 인테르마리움은 원 역사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몰락한 뒤 폴란드에서 여러 차례 제안되었던 지정학적 기획으로, [[폴란드 제2공화국]]의 독재자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것이 가장 유명하다. "미엥지모제"는 "바다와 바다 사이"라는 뜻으로, 여기서 바다란 각각 [[발트해]]와 [[흑해]]를 뜻한다. 폴란드판 [[레벤스라움]]과 유사성이 있으나, 당연히 [[나치 독일]]처럼 폴란드인 외에 타 민족을 절멸시켜야 한다는 사고방식은 절대 아니고 [[스위스]]의 건국 과정처럼 동유럽~중부 유럽 내 약소한 세력들이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를 중심으로 뭉쳐 다중연방을 결성하자는 [[미합중국]], [[대오스트리아 합중국]]에 가까운 개념이다. 이중연방, 삼중연방을 넘어서 제한 없는 다중연방을 상징하는 미엥지모제는 발트해부터 흑해까지의 패권주의를 상징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키고 정훈과 엘라가 황제가 되면서 동로마 제국의 국체를 이어받았다고 선포하였다. 다만 역사적, 문화적 특성상 [[신성로마제국]]이 [[서로마 제국]]을 이어받았다 자칭한 것에 더 가깝다. 차이점이 있다면 본작의 러시아 제국은 동로마 제국을 이어받은 제3의 로마라 자칭했다가 얼마 안 가 망한 반면 본작에서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교회로부터 인정받은 동로마판 카롤루스에 가깝다. == 영토 == >우리의 힘이 세계를 삼키리라(Virtus Nostra Devorabit Orbem) >---- >349화 中 처음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로 시작했지만, 점차 영토 확장을 꾀한 끝에 과거의 [[몽골 제국]]과 같은 유라시아 대륙의 정복을 열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인공들의 네 아들의 분봉 떡밥이 나오면서 사실상 몽골 제국 리버스 버전으로 취급된다. 최신화(323. 개선) 기준으로 자치권이 없는 속국을 포함한 인테르마리움의 '''프로빈치아(Prowincja, 대관구)'''는 다음과 같다. * '''마조프셰''' 수도는 [[바르샤바]], 현실의 [[폴란드]] 중부 및 동부 * '''마워폴스카(소폴란드)''' 주도는 [[크라쿠프]], 현실의 [[폴란드]] 남부 * '''비엘코폴스카(대폴란드)''' 주도는 [[포즈난]], 현실의 [[폴란드]] 중서부 * '''서포모제 공국''' 수도는 [[코샬린]], 현실의 [[폴란드]] 북서부. 베를린 조약에 의해 연방의 속국이 되었으며, 거의 권한은 없다. * '''실롱스크 공국''' 수도는 [[브로츠와프]], 현실의 [[폴란드]] 남서부. 제4차 빈 공방전의 결과인 빈 조약에 의해 실롱스크는 정훈의 사돈인 레오폴드가 다스리는 공국이 되었으며 레오폴드는 정훈에게 충성 맹세를 했다. * '''프로이센''' 정치적 주도는 [[칼리닌그라드|크룰레비에츠]], 경제 핵심 도시는 [[그단스크]], 현실의 [[폴란드]] 북부 및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일대 * '''적루테니아(갈리치아/적러시아)''' 주도는 [[르비우|르부프]], 현실의 [[우크라이나]] 서부 * '''포돌리아''' 주도는 [[카미야네치포딜스키|카미에니에츠]], 현실의 [[우크라이나]] 남서부 * '''백루테니아(벨라루스/백러시아)''' 주도는 [[민스크]], 현실의 [[벨라루스]] * '''몰다비아 공국''' 수도는 [[이아시]], 현실의 [[몰도바]] 및 [[루마니아]] 북동부. 작중 초반 몰다비아 원정 성공 이후 왕위에 귀속되었다.[* 사실상 연방의 일부 취급이지만 엄밀하겐 바코비에-소비에스키 가문 직속이다.] 작중 중반 시점부터 공작위는 후계자에게 수여되는 작위가 되었다. * '''공동통치령 실레스트라''' 현실의 [[루마니아]] 남동부 및 [[불가리아]] 북동부 접경지 일대 * '''트라키아''' 주도는 [[이스탄불|콘스탄티노플]], 현실의 [[불가리아]] 남동부 및 [[튀르키예]] 유럽 지역 * '''트로이''' 명목상 주도는 [[부르사]], 실제 대부분의 업무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처리, 현실의 [[튀르키예]] 북서부([[마르마라해]]) * '''몰타''' 현실의 [[몰타|몰타 공화국]] * '''키프로스''' 수도는 [[니코시아]], 현실의 [[키프로스|키프로스 공화국]] *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수도는 [[쿨디가]], 현실의 [[라트비아]] 서부. 작품이 시작하기 전부터 속국이었다. * '''리투아니아 대공령''' 수도는 [[빌뉴스]], 현실의 [[리투아니아]] 및 [[라트비아]] 동부 * '''흑루테니아(흑러시아)''' 주도는 [[모스크바]], 현실의 [[러시아]] 중서부(모스크바 중심) * '''[[크림 칸국]]''' 현실의 [[크림반도]] 및 [[러시아]] 남부([[크라스노다르 지방]]). 오스만 원정 이후 정훈에게 충성맹세를 했다. * '''청루테니아(자포리자)''' 주도는 [[미콜라이우|엘주비에투프]], 현실의 [[우크라이나]] 남동부 * '''아스트라한''' 주도는 [[아스트라한]], 현실의 [[러시아]] 남부(볼가 하류·카스피 해 북서) * '''블라디미르-수즈달''' 현실의 [[러시아]] 중부(모스크바 북동부) * '''스몰냐''' 주도는 [[스몰렌스크]], 현실의 [[러시아]] 서부(스몰렌스크 주) * '''돈''' 주도는 [[아조프]], 현실의 [[러시아]] 남서부(로스토프주·돈강 하류 유역) * '''황루테니아''' 주도는 [[키이우|키유프]], 현실의 [[우크라이나]] 중북부(키이우 및 드니프로강 중류) * '''야이크''' 주도 없음, 현실의 [[카자흐스탄]] 서북부(우랄강/야이크강 유역) * '''볼가''' 주도는 [[볼고그라드|카간그라드]], 현실의 [[러시아]] 남부(볼가강 중하류) * '''녹루테니아''' 주도는 [[탐보프]], 현실의 [[러시아]] 남서부(탐보프 및 보로네시 초원 일대) * '''카잔''' 주도는 [[카잔]], 현실의 [[러시아]] 중부(타타르스탄 공화국 중심) 다음은 자치권을 인정받는 인테르마리움의 속국이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현실의 [[러시아]] 북서부 * '''시베리아 대공국''' 수도는 [[토볼스크]], 현실의 [[러시아]] [[시베리아]] 일대 === 인종 === 거대한 제국을 이룬 만큼 인종 또한 다양해서 크게 봐도 여덟 개나 되는 인종으로 나뉜다. ~~당연하지만~~ 주류인 폴란드계, 연합왕국이자 가장 오랜 세월을 자랑하는 리투아니아계, 프로이센 병합 이후 그 세력을 보이는 독일계, 정훈이 처음부터 자리잡고 있었던 루테니아계, 러시아계, 그리스계, 타타르계가 주 인종이며, 한 나라 안에 이 인종을 녹여내기 위한 여러 장려 정책들이 자리잡고 있다.[* 같은 교육, 서로 다른 민족끼리의 결혼 장려, 민담에 여러 민족을 섞는 등.] 다만 마지막 계열인 유태인의 경우에는 통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정치 == === 행정부 === === 입법부 === === 사법부 === == 외교 == * 인테르마리움-러시아 관계 * 인테르마리움-프랑스 관계 * 인테르마리움-스페인 관계 == 문화 == * [[블루 보틀|푸른 병]] 아래의 집 엘라가 개혁을 위해 만든 카페. 동명의 카페를 인수해 만들었다. * 요세오니안 양식 조선에서 온 도공들을 통해 유럽에서의 도자기 산업을 선점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럽적인 요소를 가미한 독창적인 도자기 양식을 개발한다. 요세오니안은 '조선'을 폴란드식으로 읽은 '요센'식 영식이라는 뜻. === 언론 === === 학교 === === 종교 === === 시설 === === 스포츠 === * 피겨 스케이트 야쿠프가 권위가 거의 없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왕에 즉위한 후 루이 14세의 절대왕정을 부러워했다. 그래서 루이 14세의 발레를 모방해 무용+발레+스케이트를 섞어서 피겨 스케이트를 발명하게 되었다. * 레슬링 == 경제 == === 산업 === * 농업 루테니아의 흑토와 4윤작법 덕분에 동유럽 최고 수준이 되었다. * 공업 '과학자 왕'이라고까지 불린 정훈 덕분에 공업 또한 빠르게 발달하고 있다. 특히, [[자포네스크]]의 유행을 알았던 정훈은 도자기 도공을 조선에 사신으로 보낼 때 요청했고, 이때 넘어온 4명의 도공들에 의해 도자기 산업이 놀랍게 발달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뒤에 직접 기름을 뒤집어 쓰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돈과 시간이 있는 귀족들이 새로운 발명을 주도하는' 문화를 만들고 있다. == 군사 == === 육군 === 원 역사라면 [[30년 전쟁]]에서 스웨덴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징병제]]를 기반으로 하는 보병을 갖추고 있다. 루테니안 블루라고 불리게 되는 [[프러시안 블루]]를 기반으로 하는 군복이 특징이며, 소작농을 혁파하고 중산층을 이루게 된 자영농들로 이루어진 병사들은 황제에게 충성을 바치는 정예군이다. 실제로 그 군기가 엄정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흔히 전쟁에서 일어나는 [[전쟁 범죄]]가 극히 드물다. 약탈 등으로 얻는 전리품의 경우, 우선 군대에서 모두 수거하여 세운 공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고, 주인공이 갖고 있는 특유의 능력 때문에 '''부대 안에서 전쟁범죄가 일어날 경우''' 황제가 우선 직접 저승으로 보내 버리기 때문에 [* 실제 에피소드 중에서 강간을 저지르려고 한 병사 세 명을 눈치채자마자 그쪽으로 직접 간 황제(당시는 왕)가 두 명을 죽여 버리고, 그 뒤에 황제를 급히 따라간 후사르에 의해 한 명이 죽는 일도 있었다.] 병사들은 그 엄정함을 신뢰하여 군기가 매우 정렬되어 있다. 기병으로 따지면 말이 필요없는 최강의 중장 기병대인 [[윙드 후사르]]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인 만큼, 기병도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황제의 전폭적인 지지 하에 포병대 또한 급격하게 발전해서, 적어도 지금 1:1로 인테르마테움을 이길 수 있는 육군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혁명 시절, 전 유럽을 후드려 패고 다니는 프랑스 육군을 생각하면 상상이 쉽다.[* 실제로 그 당시 프랑스 육군은 징병제를 바탕으로 하는 숫자의 폭력+높은 사기를 갖고 있었고, 전 유럽을 상대로 다 후드려 패고 다닌 깡패 군대였다.] 이후 체르스크에 사관학교를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장교를 육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면서 기병도 세고, 포병도 세고, 강력한 징병제를 바탕으로 하는 숙련된 부사관까지 확보하면서 그냥 육지에서 싸우면 다 털어버릴 수 있는 수준까지 다다랐다. === 해군 === 원래 폴란드는 전성기에는 스웨덴을 견제하기 위해 해군을 양성했으나 세임의 견제로 인해 하락세였다. 그러나 얀 3세가 스페인에 범선을 발주하였고, 로코슈 결과로 루보미르스키 가문이 조선 산업에 투자하였으며, 스페인이 폴란드에게 건조 과정을 유학 허락, [[윌리엄 키드]]를 해군경에 키움으로서 해군력을 강화하였다 ==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란드 여왕 키우기/등장인물, 앵커=폴란드)] == 개변된 역사 == * 몰다비아 원정 성공 원 역사에서 실패했던 원정이었으나 이번에는 정훈이 원역사의 실책들을 메우다 못해 대활약하며 몰다비아 공국의 작위를 소비에스키 가문 명의로 가져온다. * 식문화 발전 엘라의 전생 취미가 제과와 제빵이어서 마카롱 등 다양한 디저트를 만들게 되었다. 또 정훈은 사탕무로 만든 설탕의 사용법을 고심하다가 정수를 통해 보드카를 개량하였다. 그 결과 프랑스계인 마리 왕비도 감탄하고 프랑스 대사도 (자존심 때문인지) 프랑스 바로 밑이라고 평가하게 되었다. * 사탕무 종자 개량 엘라가 제과와 제빵을 하던 도중 설탕을 더 추출하기 위해서 사탕무의 종자를 개량하였다. * 포돌레 원정 얀 3세가 정훈에게 약혼을 조건으로 건 임무. 이로 인해 폴란드는 브라츠와프까지 영토를 얻게 되었다. * 1693년 세임 몰다비아 원정, 포돌레 원정 성공 및 얀 3세의 정치적 술수로 인해 정훈을 브라츠와프의 스타로스타 및 포돌레의 보예보다-대리로 임명하고 비벤테 레게와 피아스트 법을 통과시켰다.[* 다만 비벤테 레게에 대한 철회를 요구한 1694년 로코슈로 인해, 로코슈 이후에 완전히 통과된다.] * 경자유전 제도 포돌레의 보예스타가 된 이후 포돌레에 한해서 소작금지, 최소 경작지와 최대 경작지의 존재[* 여기에는 이익의 최소 경작지 개념(한전론)과 박지원의 최대 경작지(한전론) 개념을 차용했다.]라는 개념을 가진 경자유전의 원칙이 세워졌다. 이로 인해 인구조사와 토지조사가 원활하게 되고 징병을 하더라도 토지 및 자영농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높은 징병률이 나타났다. * 1694년 결혼식 암살미수 및 로코슈 소비에스키 가문이 몰다비아 원정 및 포돌레 원정을 바탕으로 개혁을 추진하자 이에 반감을 품은 라돔 연맹이 결혼식에서 정훈을 암살 시도하고 실패하자 합법적 반란인 로코슈를 일으킨다. 야누시 비시니오비에스키의 개인적 원한으로 테레사 쿠데군다의 결혼식에서 돌아오던 콘스탄티 왕자가 피살된다. 로코슈는 왕실파의 압도적 승리로 끝났으며 비벤테 레게(국왕 생전 선거법)과 피아스트의 법(피선거권 연방인 제한)이 완전히 통과되고 헨리크 조항 중 '세습에 의해 계승되지 아니한다.'라는 구절을 삭제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헨리크 조항의 일부를 수정함으로써 '설령 마그나트라도 반란 주동자는 처벌될 수 있다'는 국왕의 징벌권이 생겼다. 또한 토바고에 히에로님을 유배시킴으로서 유배에 대한 전례가 생겼고 소비에스키 가문은 주동자 가문의 땅을 얻고 정훈은 그 땅의 사람, 기술을 얻게 되었다. * 카페 사업 [[블루 보틀|푸른 병]] 아래의 집이라는 카페를 인수해 엘라가 발전시킨 디저트 기술을 더해 카페를 운영한다. 카페는 엘라의 의도대로 토론의 장이 되어서 개혁의 바람을 불어넣게 되었다. * 아치칼레 원정 대 튀르크 전쟁 중 1695년~1697년까지의 폴란드-오스만 사이의 전쟁. 폴란드는 이 원정을 통해 포돌레 전역, 드니프로 강 우안을 얻고 몰다비아 공국의 종주권을 공식적으로 얻었다. * 사윤작법 보급 정훈과 엘라가 포돌레에 한하여서 사윤작법을 보급하였다. 이로 인해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시기에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생산력은 나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생산량은 경자유전의 원리와 흑토와 사윤작법 덕에 1인당 농업 생산량이 동유럽 최고이고 네덜란드 같은 나라와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밀리지는 않게 되었다. * 포돌레의 세이마크와 네칸 만화 창설 포돌레 지역의 세이마크(지방의회)가 열렸는데 다른 지역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정훈이 경자유전 제도를 세워서 대다수의 자영농이 있다는 점과 다수결의 원리를 따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포돌레의 세이마크는 자영농에 의해 이끌어지게 되었다. 또한 포돌레의 자영농에게 신문을 나눠주었으나 자영농이 글자를 못 읽는다는 점을 고려해 만화를 만들게 되었다.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재편 정훈의 원정(몰다비아 원정, 포돌레 원정, 아치칼레 원정) 성공으로 인해 대폭 늘어난 남부 영토인 루테니아 일대는 코자키 문제나 폴리투 연방과 괴리된 정체성, 정훈의 반쯤 독자적 영지에 가까운 특성[* 작중 소비에스키 가문의 몰다비아 공국과 유사하지만, 몰다비아 공국은 작위를 넘겨받은 타국이라면 루테니아는 탈환한 폴리투의 영토라는 차이가 있다.]을 고려한 중재안 격으로 루테니아를 공국으로 승격하고 정훈이 루테니아 대공으로 즉위하며 삼중연방으로 재편된다. 삼중연방은 기존 폴란드, 리투아니아에 루테니아를 추가하며 폴리루 연방이라는 별칭을 얻는다. * [[인터슬라빅|미엥지스워비안스키]] 개발 [[폴란드어]], [[루테니아어]][* 현대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 [[리투아니아어]] 등 다양한 언어가 쓰이는 연방의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엘라가 인터슬라빅과 17세기 당시 폴란드어, 루테니아어 등을 절충하여 인공어를 만들었다. 이후 군대 등에서부터 보급해 나가면서 연방의 공용어로 정착시키려고 노력하는 중. 현실에서는 2006년에 만들어진 언어인데[* 정확히는 과거는 물론이고 현대에도 [[슬로비오]] 등 범 슬라브 권역 국제어를 목표로 한 여러 인공어 프로젝트들이 나왔는데, 2006년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슬로비안스키와, 2009년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슬로비오스키와 네오 슬라브어가, 2011년에 인터슬라빅이라는 하나의 프로젝트로 합쳐지며 생겨난 언어다.], 17세기 폴란드어와 루테니아어로 만들었다는 것을 보아 현실의 인터슬라빅과는 제법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신 수도 엘주비에투프 건설 정훈은 엘주비에타의 도시라는 뜻의 '시비엥타 엘주비에티', 줄여서 엘주비에투프라는 도시를 원 역사의 [[미콜라이우]] 건너편 [[남부크강|남보흐강]] 하구에 런던을 모델로 건설하여 루테니아 공국의 신 수도로 삼는다. * 대북방 전쟁 승전 덴마크 왕을 포로로 잡고 루스 차르국의 군대를 처부수며 진군한 스웨덴 군은 연방의 매국노인 빌노 연맹의 협조를 받아 바르샤바를 공격, 국왕 야쿠프를 사로잡는데 성공했으나 정훈이 스웨덴과 회전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승전으로 끝난다. 패배한 [[칼 12세]]도 정훈을 훌륭한 전사로 인정하여 유감없이 평화조약을 맺고 폴란드는 대북방 전쟁에서 빠지게 된다. 야쿠프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자진 퇴위하고 엘주비에타와 정훈이 폴란드 공동 국왕에 즉위한다. * 여왕의 개혁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엘주비에타는 빌노연맹의 마그나트들을 처형하고 재산을 몰수한다. 즉위 초의 유리함을 이용, 세임의 무제한 거부권인 리베룸 베토를 철폐하는 데 성공한다. 또 약화됐던 마그데부르크 법을 다시 부활시켜 슐라흐트의 힘을 빼놓는데 성공하고 비밀경찰인 국가보호청(UOP)를 창설한다. * 연방사관학교 개설 및 군복 통일 연방사관학교는 더 일찍 계획되었지만 거듭된 전쟁 때문에 스웨덴과의 전쟁이 끝난 이후 승전을 기념해 만들어졌다. 또한 스웨덴과의 전쟁이 끝난 이후 루테니아 군복도 통일되기 시작했는데 군복은 대부분 모직코트에 일부는 버프 코트이고 모구는 트레후그와 트리코튼으로 정해졌다. 다만 비용 문제로 곧바로 모두에게 지급되지는 못했다. * 3차 오스만 원정 이번 원정에서는 [[도나우 강]] 하류의 오스만 점령지들을 공격해 [[왈라키아 공국]]을 수복하는 것을 목표했으나 오스만에서 내분이 일어난 틈을 타 라소바에서 오스만 제국군을 전멸시키고 발칸산맥을 넘어, 반란군을 피해 [[무스타파 2세]] 황제가 은거하던 [[에디르네]]까지 도달한다. 그리고 주인공은 에디르네의 황궁으로 들어가 무스타파 2세와 대면하여 조약을 받아낸다. * 프로이센 공령 수복과 사중연방, 미엥지모제로의 국호 변경 사국연합과의 유럽대전쟁 중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을 격파하고 프로이센 공령을 되찾아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프로이센 사중연방을 선포하게 된다. 독일 전역의 승전과 신한자동맹 창설 이후 폴란드어로 미엥지모제, 라틴어로는 인테르마리움으로 완전히 새로운 국명을 정한다. * 실롱스크 획득 제4차 빈 공방전의 결과인 빈 조약에 의해 실롱스크는 정훈의 사돈인 레오폴드가 다스리는 공국이 되었다. 다만 레오폴드는 연방에 충성을 했고 아들이 없으면 딸의 후손인 소비에스키-바코비에 가문에 귀속될 예정이다. * 콘스탄티노플 수복. 이로써 종교적 명분은 거의 MAX를 찍었다고 봐도 될 정도로, 콘스탄티노플 대주교는 생전에 정훈의 시성을 준비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아우토크라토르]]의 칭호를 바치면서 제국으로 승격되었다. * [[몰타 기사단]]의 영입 아들인 수호가 몰타 기사단을 인테르마리움으로 편입하는 데 성공했다. 원래 가장 큰 랑그를 가지고 있던 프랑스의 랑그의 후원자인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가 몰타 기사단의 지원을 그만두면서 새로운 폴란드계 랑그가 생겼고, 이 폴란드계 랑그가 몰타 기사단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몰다비아 공작이 몰타 기사단의 그랜드마스터를 역임하게 되면서 인테르마리움으로 귀속되었다. * 러시아 제국 정벌 엄밀하게 말하면 러시아 제국의 '정벌'이 아닌, '승계'와 가까운 모양새로 표트르 1세를 '대공'으로 격하하여 자연스럽게 모스크바 대공의 자리를 받은 정훈이 러시아 제국의 영토를 획득하는 식으로 하여 인테르마리움은 무려 청나라와 그 국경을 마주할 정도의 거대한 국가가 되었다. == 기타 == 독자들은 원 역사 전성기 [[폴란드-리투아니아]]와 [[모스크바 대공국]]-[[루스 차르국]]의 포지션을 합친 국가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근대까지 유럽과 반쯤 따로 놀았던 [[러시아/역사]]와 달리[* 근대까지도 유럽에서는 러시아를 '하얀 타타르'라 부르며 러시아를 다소 이질적으로 여기고 있었고, 현대에도 러시아의 지정학적 포지션은 유럽과는 이질적이라는 평을 듣는다.] 미엥지모제는 그 위치상 확실히 중유럽~동유럽이 중심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태생부터 다민족 연합제국이라는 특성 때문에 주인공 사후 [[민족주의]] 시대에 비슷한 유럽 다민족 제국을 추구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처럼 해체될지, 아니면 [[러시아 제국]]-[[소련]]처럼 특정 이데올로기(ex:[[마르크스-레닌주의]]) 아래 하나로 유지될지에 대해 궁금하다는 독자들이 많다. 이 때문에 주인공 사후 근대기 미엥지모제가 어떻게 되는지 다뤄달라는 의견도 있다. 독자들은 우스갯소리로 '밭에서 얀[* '러시아는 밭에서 이반을 캐온다'라는 말에서 따온 것.]을 캐오긴 하는데 농민 얀에서 슐라흐타[* 폴란드어로 '귀족'이라는 뜻으로, 폴란드 왕국 시절부터 형성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루테니아 등지의 귀족 계급을 뜻하는 말로 확장되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인구의 8%가 슐라흐타 계급이었으며 세임과 같은 대귀족에 속하지 않는 슐라흐타도 폴란드 사회의 지배층으로서 '황금의 자유'로서의 권리를 갖고 있었다. 즉 한국 역사에서는 조선의 '양반'에 대응하는 계층이다. 작중에서 정훈-엘라 부부는 폴란드의 모든 농민을 농노에서 슐라흐타로 신분 상승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얀으로 업그레이드된 상태에서 수확한다'라고 평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폴란드 여왕 키우기/개변된 역사, uuid=628caccc-3348-468a-92b9-a7f35826f357, version=10)]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인테르마리움(폴란드 여왕 키우기), version=5cde786f-85f7-42ad-b836-7b5c9f1c7830, uuid=4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