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인증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인증]][[분류:행정]][[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 [목차] == 개요 == {{{+1 [[認]][[證]] / Certification, Accreditation}}} '''인증'''은 무엇인가를 공신력 있는 방법으로 확인하고 및 증명하는 일이다. == 공적 인증 == 어떠한 행위 또는 문서의 성립·기재가 정당한 절차로 이루어졌음을 공적 기관이 증명하는 일. [[공학교육인증]]과도 관계가 있을지도... ISO 9001 같은 국제표준에 대한 인증이 궁금한 경우 [[국제표준화기구]] 항목 참조. == 품질 인증 == 제품의 품질이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증명하는 제도이다. [[전파인증]]이나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인증, 에너지 소비 효율등급 표시 같은 강제인증은 국내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거나 외국의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고자 할 때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최초의 사용자들은 개인적으로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하며 전파인증을 받았다. 인증이란 제품이 표준화된 성능을 보장받기 위한 일종의 기준점이지만 과도할 경우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종종 악용되어 소형무역업자들이 물품을 수입할 때 종종 발목을 잡기도 한다. 특히 소형무역업자들이 병행수입을 할 때 걸리는 부분이다. 인증은 필요하지만 너무 많은 인증규제를 비판하는 기사도 나왔다. [[http://www.bloter.net/archives/193827|10만원짜리 폰 수입에 인증 비용 5천만원?]] == [[대한민국]] [[인터넷 용어]] == === 보안을 위한 [[본인확인]]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인터넷 상에서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기타 권한이 필요한 작업 등을 할 시 '본인이 맞다'라고 증명하는 행위. 일반적으로 범용 혹은 제한 [[공인인증서]], [[휴대폰]], [[주민등록번호]], [[팩스]] 등 [[오프라인]]을 활용한 방법 등이 사용된다. 대부분 이를 혼합적으로 사용하는데, 만일 하나 둘 정도의 수단으로 제한할 경우에는 인증이 안 되어서 사용에 제한을 두게 된다.[* 비밀번호 유출사고 이후 상당수의 홈페이지는 비밀번호 변경 활동을 벌였는데 그 때 이런 일이 많이 발생했고 이는 현재진행형이다. 대표적인 예는 휴대폰 인증만으로 제한을 두어서 휴대폰이 없는 사람들이 애초에 손을 털게 만드는 것이다. 문화상품권을 발매하는 한국문화진흥재단의 컬쳐랜드마저 이 꼴이다. 모든 업체가 그러진 않지만 휴대폰 명단을 브로커에게 돈을 받고 넘길 수도 있다.] * 대표적인 본인인증 방법 * [[휴대전화 본인인증]] 및 유선전화 인증 - SMS 및 ARS * [[공인인증서]] - 범용인증서만 되는 곳과 일반인증서도 되는 곳 두군데로 나뉨. * 신분증 인식 스마트폰 앱 - 주로 증권사 비대면 계좌개설 과정에서 사용된다. 다만 다른 본인인증 수단과 결합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입금자명 확인 - 본인명의 계좌에 1원을 입금받은 후, 입금자명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해야 한다. * [[팩스]] - 신분증 카피 등을 팩스로 보내서 확인하는 곳도 있음. * [[아이핀]] * [[주민등록번호]] * [[OTP]] * 기타 인증 방법 * 고객센터(...) === [[인터넷 커뮤니티]] === ==== 개요 ==== 남들에게 자신의 학력, 재산, 자격증, 게임캐릭터, 이름, 얼굴 등을 아이피 또는 자신의 아이디가 적힌 쪽지와 함께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리는 것으로 [[온라인]] 인증이다. 자신이 해당 커뮤니티의 분위기와 흘러가는 방향을 꿰뚫고 있다는 자신감이 받쳐주어야 하므로 상당히 대담한 행위로 친다. 주로 자신의 우월성을 자랑하거나 올드비 멤버로서의 증명 혹은 키배(...) 시 상대를 공격하기 위한 목적까지 다양한 이유로 시도된다. 평화롭게 서로의 정보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약육강식]](...)의 상황에서 리스크를 감수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일종의 자기 과시라고 볼 수 있다. ==== [[디시인사이드]] ==== 대상은 실로 다양하며 [[공무원 시험]] 합격증 인증이 [[HIT 갤러리]]에 등록되어 부러움을 사기도 한다. [[자랑거리 갤러리]]는 인증이 기본이다. [[차유람]]은 인증을 위해 디시인사이드 본사를 방문했다. ==== 폐해 ==== 하지만 인증도 지나치면 안 좋은 법이다. "오오 본좌 오오!" 찬양하다 얼굴색 하나 안 바꾸고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찾아 터는 경우도 있다. 가끔 서로 [[키보드 배틀]]를 뜨다 먼저 인증을 까는 쪽이 승리하기도 하는데 승리한 쪽이 위의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 털리는 경우도 있다. 서양인들은 자기만족을 위해 값비싼 전자기기를 발매 당일날 사서 [[상품파괴인증]]을 하는 경우도 자주 보인다(특히 발매 당일). 인증을 일종의 말돌리기나 계급 프레임 형성용으로 사용하는 '인증 만능주의적'잘못된 예도 있다. 가끔씩 특정 집단이 경쟁적으로 '''우리 중에는 이런이런 사람들도 있다''' 는 식으로 인증 러시를 한 뒤 집단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우리는 이렇게 대단하므로 외부의 시각은 틀리다고 주장하는 식. 물론 선망받는 재산/학력/직업 등을 공개해서 억누른다고 그들의 발언이 모두 우월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분야 관계자 전반에 망신살을 뻗치게 할 위험이 있다. 자신감이 충만해도 웬만하면 자제하도록 하자. 인증에 너무 빠지면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더욱 자극적이거나 [[어그로]]성이 다분한 인증을 올리면서 [[관종]]이 되어가기 시작한다. 이 정도만 해도 주변의 많은 [[네티즌]]들에게 민폐를 끼치며 다니고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고 다니는 수준인데 더 악화될 경우에는 '''심각한 비윤리적 행위나 [[범죄]] 행위들을 저지른 후 이를 인터넷에 인증하고 다니기 시작한다.''' [[부평동 청소년 범죄인증사건]]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범죄]]를 인증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범죄'''이다. 이는 다른 비윤리적인 행위도 마찬가지다. 인증하는 순간 경찰 등 행정기관은 물론 전국 국민들의 [[어그로]]를 끌게 되며 이미 '''개인정보를 남기면서'''까지 범죄를 저질렀으니 [[완전범죄]]는 물 건너가 버린다. 여기에 [[무죄추정의 원칙]]의 적용으로 무죄 판정을 받는다고 해도 이미 혐의 자체가 인정되기 때문에 민사상 소송을 호되게 당할 각오를 해야 한다. 단순 미수로 그쳤다고 해도 경찰에 직접 자수하는 것보다는 형사 처벌이 결코 작을 수 없다. 실제로 [[코로나19]] 시국에 물감을 칠해 [[마스크]] 착용으로 위장한 유튜버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추방되는 등 범죄 인증이 민형사상 불이익으로 이어진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https://youtu.be/3OYnbiVhtjg|'마스크 그림' 유튜버…발리서 추방]]) 가끔 등장하는 유명인들에게 인증을 요구했다가 말그대로 탈탈 털리고 [[데꿀멍]]하는 사례도 발견된다. 그것도 실명과 익명자 모두에게. [[루리웹 만지소 인증사건]]은 익명으로 활동하던 만화가 [[양경일]]에게 인증 요구 등을 하다가 망가졌고, [[디시인사이드]]의 임재범 갤러리는 [[임재범]]이 글을 남긴 것에 대해서 인증요구를 하면서 난리를 쳤다. 전자는 그나마 관대하게 대하긴 했지만 결국 공식적으로 활동을 접었고 후자는 더 심각해서 분개해서 팬카페를 탈퇴하는 상황까지 전개되었다.[* 결국 10여 일 후에 복귀하기는 했다.] ==== [[상품 파괴 인증|상품 파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상품 파괴 인증)] == 의료기관 인증 == 의료기관인증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인증을 의미한다. == 관련 문서 == * [[비밀번호]] * [[로그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인증, version=153, uuid=f4655db4-e984-4aa5-9dbe-53c3046dfc6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