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작가)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이상(작가)]][[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1910년 출생]][[분류:1937년 사망]][[분류:강릉 김씨]][[분류:결핵으로 죽은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공과대학]][[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이상(작가), version=1177, uuid=5c3cd35d-1351-4879-a29c-47de6cafc0b7)] [include(틀:한국을 빛낸 100명의 인물들의 등장인물 및 단체)] [include(틀:한국의 현대문학)] ||<-2><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0000><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373a3c,#ddd> '''{{{+1 이상}}}[br]李箱 | Ri Sang'''[* 이상 본인이 사용한 로마자 표기. 현대에 들어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주로 Yi Sang으로 표기되며, 간혹 Lee Sang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 ||<-2><nopad> [[파일:external/file2.instiz.net/6052f8a4ffd30d2923db78df8eb2f091.jpg|width=100%]] || ||<width=20%> '''본명''' ||김해경 (金海卿) || ||<|2> '''출생''' ||[[1910년]] [[9월 23일]] || ||[[한성부]] [[종로구|서서]] [[사직동(서울)|인달방 사직동계 사직동]][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7길 18)[* 지번: 통인동 154-10] || ||<|2> '''사망''' ||[[1937년]] [[4월 17일]] (향년 26세) || ||[[도쿄도|도쿄부 도쿄시]] [[분쿄구|혼고구]]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br](現 도쿄도 분쿄구 도쿄대학 부속병원) || || '''직업''' ||[[시인(문학)|시인]],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화가]] || ||<-2><bgcolor=#ffffff,#1c1d1f><color=#373a3c,#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373a3c,#ddd><colbgcolor=#000><colcolor=#fff> '''필명''' ||'''이상 (李箱)'''[* 가장 많이 사용한 필명. 한자로는 '李箱'이라 표기하나, 동료 소설가이자 친구였던 [[박태원(소설가)|박태원]]의 결혼식에서는 예외적으로 '以上’이라고 표기했다.][br]비구 (比久)[*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을 발표할 때 사용한 필명.][br]보산 (甫山)[* 단편소설 '휴업과 사정'을 발표할 때 사용한 필명.][br]하융 (河戎)[* 소설 등의 삽화를 그릴 때 사용한 필명. [[박태원(소설가)|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삽화 또한 해당 필명을 쓰고 그려주었다.] || || '''본관''' ||[[강릉 김씨]][* 36세손 ○卿 항렬.] || || '''가족''' ||아버지 김연창[* 호적명 김영창(金永昌)], 어머니 박세창[br]남동생 김운경, 여동생 김옥희 || || '''배우자''' ||변동림 ^^(1936년 결혼)^^[*A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 관계였으므로 족보에는 변동림의 이름이 없다.] || || '''학력''' ||신명학교 {{{-2 (졸업)}}}[* [[순헌황귀비]]의 남동생이자 진명여학교 설립자 [[https://ko.m.wikipedia.org/wiki/%EC%97%84%EC%A4%80%EC%9B%90|엄준원]]이 설립한 학교로, 현재의 누상동에 위치해있다.][br][[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보통학교]] {{{-2 (졸업)}}}[* 본래는 동광학교에 입학했으나 보성고보와 통폐합되었다.][br][[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s-3.7|경성고등공업학교]] {{{-2 (건축과 / 졸업)}}}[*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의 전신이지만 당시 [[구제대학]]이 아니었으며, [[구제전문학교]]인 고등실업학교([[고등상업학교]], [[고등농림학교]], [[고등공업학교]] 등)였기에 정식 [[학사]]를 수여한 것 아니었다. 그러나 조선인으로선 웬만한 수재가 아니면 입학하기 힘든 엘리트 학교였다. 당시 건축과 졸업생들 중 조선인은 이상 한 명 뿐이었다.] || || '''장지''' ||[[경기도]] [[고양시/역사#s-5|고양군]] [[서울특별시/강북|숭인면]] [[미아동|미아리]] 산69 미아리공동묘지[br]→ [[경기도]] [[광주시/역사#s-2.5|광주군]] [[강남구|언주면]] [[개포동|반포리]][* 미아리공동묘지가 도시개발이 진행되면서 광주군 언주면의 공동묘지(현 [[국립중앙도서관]] 일대)로 이장되었다.][br]→ '''미상'''[* 6.25 전쟁 중 수차례 폭격이 떨어져 묘가 소실되었고, 이후 이상의 묘가 있던 곳의 일대 역시 새마을운동 등 여러 개발사업을 거치면서 현재는 정확한 소재지를 찾을 수가 없어진 상태다.] || || '''신체''' ||168cm, 51kg {{{-2 (1926년 기준)}}} || || '''등단''' ||『12월 12일』[br]{{{-2 ''(十二月 十二日, [[1930년|1930]],《조선》)''}}} || || '''대표작''' ||『[[오감도]]』[br]{{{-2 ''(烏瞰圖, [[1934년|1934]],《조선중앙일보》)''}}}[br]『[[날개(소설)|날개]]』[br]{{{-2 ''([[1936년|1936]],《조광》)''}}} ||}}}}}}}}}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align=left><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width=100%><bgcolor=#ffffff,#1c1d1f>{{{#!wiki style="margin: 10px"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 ---- {{{#!wiki style="margin: 8px" {{{-1 — 소설 <[[날개(소설)|날개]]>}}}}}} || [[일제강점기]] 조선의 [[작가]]. [[모더니즘|모더니스트]]이자 [[아방가르드]] 작가였으며, [[1930년]] 등단 후 약 7년 동안 다수의 시, 소설, 수필 등을 집필하며 인간 사회의 도구적 합리성을 극복하고 미적 자율성을 정립하고자 했다.[* 저자 '이상' 주요작품 및 작품세계, 예술지식백과,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참조.] 그의 [[초현실주의]]적 작품활동은 한국 근대 문학이 국제적 · 선진적 사조에 합류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 생애 ==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화실의 이상.jpg|height=200]] 경성고등공업학교의 화실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external/dimg.donga.com/28096080.1.jpg|height=200]] 경성고등공업학교의 건축과 실습실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external/file2.instiz.net/6773bb973eab07cf4faf6ac0ab6d1969.jpg|height=200]] [[1929년]] 졸업 앨범 '추억의 가지가지'에서[*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20410/45430878/1|전체 사진]] 특이한 옷차림을 컨셉으로 한 사진으로, 여기서 이상은 여성 한복을 입어 여장을 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186372059183516.png|height=200]] 동기 [[원용석]]과 함께[* 왼쪽이 원용석, 오른쪽이 이상으로, 이 둘은 보성고등보통학교와 경성고등공업학교를 같이 다닌 동기다. 이 사진은 현대에 이르러 이상을 소개할 때 자주 인용되는 사진이 되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시인 이상.jpg|height=200]] 문학가로 활동할 당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130018575.jpg|height=200]] [[1936년]] [[흥천사]]에서[* 친구인 정인택과 옛 연인 권순옥의 결혼식 당시이다. 이상은 이들 결혼식의 사회자를 담당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attachment/Isang_01.jpg|height=200]] [[1936년]] 창문사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SSI_20180126172132.jpg|height=200]] 변동림과의 혼인 당시}}}}}} === 성장기 === [[1910년]] 아버지 김연창(金演昌)과 어머니 박세창(朴世昌)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나고 3년 후인 [[1913년]] 몰락한 양반인 [[백부]] 김연필의 집으로 입양되었다. 김연필은 어린 이상의 천재성이 집안을 일으킬 것이라 여겨 유교와 한문을 교육시키며 그를 지원해 주었으나, 애정은 주지 않은 채 엄하게만 대했다고 한다.[* 일례로, 이상이 새어머니에게 차별을 당하는 상황에서도 백부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상의 여동생인 김옥희는 이상 특유의 염세적인 성격이 이때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측했다. 어렸을 때부터 길바닥에 버려져 있던 목단 열 끗을 똑같이 그려내어 사람들을 놀라게 하거나, 자 없이도 반듯한 직선을 긋는 등 그림에 대한 천부적인 재능이 있었으며, 본인 또한 화가를 꿈꾸었다. 그러나 가난한 화가보다 배곯을 일 없는 기술자가 되라는 김연필의 반대로, 이상은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를 졸업 후 [[1927년]]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경성고등공업학교]]에 입학해 [[1929년]]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고,[* 일본 제국 기준으로는 직공학교 수준이었을지언정, 당시 경성고등공업학교에서는 [[도쿄대학]] 공학부에서도 사용하던 교재로 수업했기 때문에 1920년대 기준의 최신 수학·과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이는 훗날 그의 시풍에 두고두고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건축기사로 복무하였다. === 필명의 유래 === 그의 필명인 이상의 유래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다. 유력한 설은 친구 [[구본웅]]이 선물한 미술도구 상자에서 따왔다는 설로, 경성고등공업학교에 입학했을 당시 선물받은 오얏나무(李)로 만들어진 상자(箱)를 받고 이에 감동해 필명을 이상(李箱)으로 지었다는 설이다.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 앨범에 동기들의 친필과 함께 기재한 짧은 글[* '''보고도 모르는 것을 폭로시켜라! 그것은 발명보다도 발견! 거기에도 노력은 필요하다. 「李箱」''']에도 본인을 이상이라고 칭했다. 그 외 친구 [[김기림]] 등의 주장에 의하면 [[조선총독부]]에서 건축기사로 일했을 당시 인부가 그의 성을 김씨가 아닌 이씨로 착각해 그를 이[[さん|상]]이라고 부른 것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다. 이외 다른 필명인 비구(比久), 보산(甫山), 하융(河戎)에 대한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중 하융(河戎)은 뜻[* 강(河)의 오랑캐(戎)]을 보면 그의 본명인 김해경의 뜻[* 바다(海)의 벼슬(卿)]을 비튼 것으로 추정된다. === 데뷔 이후 === 건축기사가 된 지 1년이 지난 [[1930년]], 그는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하던 잡지 '조선'에서 [[장편소설]] 《12월 12일》을 9회 동안 연재한 것을 시작으로 문학계에 데뷔했다. 퇴사 전까지 그는 이상(李箱)을 포함해 비구(比久), 보산(甫山) 등의 필명으로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하는 잡지에 작품들을 투고했다. 그러던 [[1931년]], 그는 갑작스럽게 [[폐결핵]]을 진단받았다. 이상은 하루에 담배를 50개피 이상 피는 것을 자신의 일과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엄청난 [[골초]]였는데, 그 때문인지 병세는 날이 갈수록 악화되어 담당의가 그의 폐를 확인하고는 형체도 안 보인다며 혀를 내둘렀을 정도였다. 결국 [[1933년]]부터는 각혈까지 시작되었고, 건축기사 일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이상은 [[조선총독부]]에서 퇴사하고 황해도에 있는 배천 온천으로 요양을 간다. 요양 후 서울로 돌아온 이상은 [[종로구|종로]]1가에 다방 제비를 차리고, 온천에서 알게 된 기생 금홍을 다방의 마담 자리에 앉혀 동거하기 시작했다. 이상은 이때부터 [[박태원]], [[정지용]], [[김기림]], [[이태준]] 등의 문학가들과 교류하기 시작했는데, 이중 [[정지용]]의 주선을 통해 가톨릭청년에서 시 꽃나무와 이런시를 발표했고, 이듬해인 [[1934년]]에는 순수문학 단체 [[구인회]]에 가입했다. 또한 [[이태준]]의 도움을 받아 [[조선중앙일보]]에서 [[오감도]]를 연재했지만, 독자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15회만에 연재를 중지하였다. [[1935년]] 경영난에 시달린 끝에 다방 제비를 폐업하고[*b 다방을 운영할 당시 손님에게 주문과는 다른 음료를 내주는 등의 기행을 저지른 적이 많았는데 이랬으니 장사가 잘될 리 없다.] 금홍과 결별하게 된다. 이상은 틈틈이 창작활동을 이어나가는 동시에 인사동에 [[두루미|쓰루(つる)]], 종로1가에 69와 같은 다방을 차례로 운영했지만 모두 제비와 같은 이유로 남에게 양도했고, 그러고도 다시 명동에 [[보리|무기(むぎ)]]라는 다방을 열었으나 이것 또한 망하고 만다. [[1936년]]에는 친구 [[구본웅]]의 아버지 구자혁이 운영하던 출판사인 창문사에 잠시 취직하여 출판물의 편집과 교정을 도맡다가 퇴사했다.[* 창문사에서 근무하던 중에 [[구인회]]의 창간호이자 종간호인 시와 소설을 편집 및 발간했다.] 동년 [[6월]]에는 수필가 변동림과 결혼하여 경성 황금정에서 신혼생활을 하는데, 이때 소설 [[지주회시]]와 [[날개(소설)|날개]]를 발표하여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 일본에서의 사망 === 점차 죽음이 가까워지는 것을 느낀 이상은 지인들에게 인사를 남긴 후, [[1936년]] [[9월]] 성장을 위해 평소 동경했던 일본의 도쿄로 떠난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 달리 도쿄는 실망스럽기 그지없었다. >내가 생각하던 [[마루노우치|마루노치(丸(まる)の内)]] 빌딩은 적어도 이 '마루비루(丸の内ビル)의 네 갑절은 되는 굉장한 것이었다. 뉴욕 브로드웨이에 가서도 나는 똑같은 환멸을 당할는지. 어쨌든 '이 도시는 몹시 가솔린내가 나는구나!'가 동경의 첫인상이다. > >(중략) >낮의 [[긴자]]는 밤의 긴자를 위한 해골이기 때문에 적잖이 추하다. '살롱 하루' 굽이치는 네온사인을 구성하는 부지깽이 같은 철골들의 얼크러진 모양은 밤새고 난 여급의 퍼머넌트 웨이브처럼 남루하다. >---- >— 이상, 수필 '동경' >그러나저러나 동경 오기는 왔는데 나는 지금 누워 있소그려. 매일 오후면 똑 기동 못 할 정도로 열이 나서 성가셔서 죽겠소그려. > >동경이란 참 치사스러운 도십디다. 예다 대면 경성이란 얼마나 인심 좋고 살기 좋은 '한적한 농촌'인지 모르겠습디다. > >어디를 가도 구미가 당기는 것이 없소그려! 꼴사납게도 표피적인 서구적 악습의 말하자면 그나마도 그저 [[분자식]]이 겨우 여기 수입이 되어서 진짜 행세를 하는 꼴이란 참 구역질이 날 일이오. > >나는 참 동경이 이따위 [[비속#卑俗]] 그것과 같은 물건인 줄은 그래도 몰랐소. 그래도 뭣이 있겠거니 했더니 과연 속 빈 강정 그것이오. > >한화휴제[* 閑話休題, 쓸데없는 이야기는 그만함. 어떤 내용을 써 나갈 때 한동안 다른 내용을 쓰다가 다시 본래의 내용으로 돌아갈 때 쓰는 말이다.]―나도 보아서 내달 중에 서울로 도로 갈까 하오. 여기 있댔자 몸이나 자꾸 축이 가고 겸하여 머리가 혼란하여 불시에 발광할 것 같소. 첫째 이 가솔린 냄새 미만[* 彌蔓, 널리 퍼짐] 넘쳐흐르는 것 같은 거리가 참 싫소. >---- >— 이상, [[김기림]]에게 쓴 편지 중 일부, [[https://ko.m.wikisource.org/wiki/%EA%B9%80%EA%B8%B0%EB%A6%BC%EC%97%90%EA%B2%8C_6|1936년 11월 29일자]] 도쿄에 대한 환멸과 주변인들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병의 악화로 이상의 심신은 날이 갈수록 쇠약해졌다. 이상은 4월 중에 서울로 돌아가려 했으나, [[1937년]] [[2월]] 공원을 배회하던 중, [[불령선인]]으로 체포되면서 [[도쿄도|도쿄]] 니시칸다(西神田) 경시청 경찰서[* 지금의 [[치요다구|치요다]] 일대. 이상 외에도 2·8 독립선언식의 11명 대표인 윤창석과 김철수 등의 독립운동가들이 구금되었던 경찰서로도 알려져 있다.]에 투옥되고 말았다. 사실 별다른 혐의가 있던 것은 아니고, 수염도 깎지 않고 머리도 산발로 하고 다니는 꾀죄죄한 모습이 수상쩍어서[* 당시 일본은 [[중일전쟁]] 직전으로 군국주의가 절정에 이르러던 때여서 단정하게 차려입고 다니지 않으면 거동수상자라고 단정하여 전부 체포하고 보던 시기였다.] 체포된 거라 투옥 된 지 34일 만에 [[보석(법)|병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결국 폐결핵으로 인해 [[도쿄대학|동경제국대학]] 부속 병원에서 4월 17일 새벽 4시 26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숨을 거두고 말았다. 사망 전 급히 도쿄로 온 아내 변동림에게 그는 '''"센비키야의 메론이 먹고 싶다"'''라는 유언을 남겼다.[* 센비키야(千疋屋), 한자 독음으로 천필옥은 고급 과일과 과일 디저트를 판매하는 명품 상점이다. [[1834년]] 도쿄 [[긴자]]에 오픈해서 현재까지도 영업 중이다.] > 나는 열두 시간 기차를 타고 여덟 시간 연락선을 타고 또 스물네 시간 기차를 타고 동경에 닿았다. 동대 병원 입원실로 직행하다. 이상의 입원실, 다다미가 깔린 방들, 그중의 한 방문을 열고 들어서니 이상이 거기 누워 있었다. 인기척에 눈을 크게 뜨다. 반가운 표정이 움직인다. 나는 무릎을 꿇고 그 옆에 앉아 손을 잡다. 안심하는 듯 눈을 다시 감는다. 나는 긴장해서 슬프지 않았다. 어떻게 해야 살릴 수 있나, 죽어간다고는 믿어지지 않았다. 상은 눈을 떠보다 다시 감는다. 떴다 감았다. 귀에 가까이 대고 "무엇이 먹고 싶어?", "셈비끼야의 메론." 이라고 하는 그 가느다란 목소리를 믿고 나는 철없이 천필옥에 메론을 사러 나갔다. 안 나갔으면 상은 몇 마디 더 낱말을 중얼거렸을지도 모르는데. 멜론을 들고 와 깎아서 대접했지만 상은 받아넘기지 못했다. 향취가 좋다고 미소 짓는 듯 표정이 한 번 더 움직였을 뿐 눈은 감겨진 채로. 나는 다시 손을 잡고 가끔 눈을 크게 뜨는 것을 지켜보고 오랫동안 앉아 있었다. >---- >— 김향안, 에세이 <월하의 마음> 397쪽 중 사후 이상의 시신은 조선으로 옮겨져 18일 전에 폐결핵으로 숨진 절친 [[김유정(소설가)|김유정]]과 합동 영결식으로 화장되었다. == 평가 == >이상을 가리켜 혹은 악덕의 시인, 데카당의 작가라 한다. 그가 그리는 세계가 주장 데카당적 생활면이요, 또 등장시키는 인물이 주로 여급(女給)이라든지 거기 붙어사는 생활력 없는 거미 같은 사람이라 해서 하는 소리일 게다. 그러나 그것을 언뜻 보아 눈에 띄는 표면이고, 하나하나의 작품을 지니고 있는 모럴의 핵심은 차라리 추한 현실과 데카당의 진흙탕을 넘어 애정과 인간성의 절대의 경지를 추구해 마지않는, 어찌 보면 청교도적인 면에 있는 듯하다. 그 작품에 가끔 매우 친절한 측광(側光)을 던져 주는 그의 수상(隨想) 등속에서 우리는 그의 참말 의도를 잘 엿볼 수 있는 것이다. >---- >— [[김기림]], <[[https://ko.m.wikisource.org/wiki/%EC%9D%B4%EC%83%81%EC%9D%98_%EB%AC%B8%ED%95%99%EC%9D%98_%ED%95%9C_%EB%AA%A8|이상의 문학의 한 모]]> 중 친구인 문학 평론가 [[김기림]] 등과 함께 일제강점기 조선 문학, 더 나아가 한국 문학의 모더니즘과 전위성을 개척한 작가들 중 한 명으로 손꼽히며, 더 나아가 한국 문학사를 통틀어 손에 꼽히는 천재 작가라고 평가받는다. 그는 숫자와 기호의 남발, 그리고 문법적으로 어딘가 이상한 서술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독보적인 행보를 보였으며, 이러한 작품활동은 그가 사망한 지 100년이 다 되어가는 현재까지도 그가 '혁신적' 혹은 '난해'하다는 평을 받도록 하는 요인이 되었다. 흔히 이상이라고 한다면 시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그의 시는 꽤 잘 알려져있다. 특히 [[오감도]] 등의 난해시들이 그러한데, 이런 시들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기 쉬운 서정시도 아닌데다 이상 특유의 난해한 서술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상이 이런 시들을 창작했던 것은 [[아방가르드|기존의 문법 틀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련의 시도들로, 띄어쓰기가 없는 [[다다이즘]]적 문장을 쓰거나 기호나 숫자 등을 배치해 어떤 이미지를 만드는 방식을 사용했다. 다만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와 달리 음절 단위의 문장으로 구성된 [[한국어]]와 애초부터 띄어쓰기가 없는 [[일본어]]로는 다다이즘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독자들 또한 시에 대해 납득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일화가 [[오감도]]가 처음 신문에 게재되었을 때였다. 당시 조선중앙일보에는 시를 읽은 독자들의 항의가 빗발쳤으며, "이런 개소리를 내뱉은 이상을 죽여야한다"는 과격한 내용의 투고까지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생애 문단에서 전술했듯이 작품을 다 발표하지 못하고 중간에 연재를 중지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들은 문학가들 사이에서는 커다란 이슈로 떠올랐다. 이상의 동료와 친구들은 그의 천재성에 주목해 그가 작품을 연재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삼사문학[* 1934년 9월 1일 창간된 순문예 동인지. 회원 중에 [[황순원]]도 있었다. 창간멤버(신백수·이시우·정현웅·조풍연) 중 조풍연, 정현웅을 제외하면 모더니즘과 초현실주의를 추구했다고 한다. 이상은 이들과 만나 문학에 대한 토론을 하기도 했다.]이라는 동인도 생겼다. 소설, 수필 등의 산문에서는 이상의 문학적 사상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그는 주로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소외감과 불안, 그리고 사람 간의 관계에서 오는 불행을 [[초현실주의]]적으로 묘사해 현실을 탐구했다. 예를 들어, 수필 산촌여정과 권태에서는 현대화되고 서구화된 일상에 익숙해진 도시인이 외부와 단절되어 전통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시골에서의 일상에 적응하지 못해 권태에 빠지는 모습을, 조춘점묘에서는 사방이 벽으로 둘러쌓인 빌딩과 그 빌딩의 소유자인 보험회사를 은유하며 개인으로서 존재하지 못하는 부조리한 현대인의 삶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그의 작품세계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진 세상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상은 이러한 현실을 철저하게 파헤치고 자기자신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더 나은 세상을 추구하고자 노력했다. 그렇게 쓰여진 작품들은 다소 퇴폐적이고 비뚤어졌다는 감상을 주어 독자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은 꿋꿋이 창작을 이어나갔으며, 사망 후 그에 대한 수많은 연구와 해석으로 천재성을 인정받았다. == 연인 관계 == 알려진 이상의 첫번째 연인은 그가 운영했던 다방 제비의 마담인 금홍이었다. 금홍은 이상이 요양을 위해 갔던 배천 온천에서 만난 기생으로, 이상은 그녀를 사랑해서 다방 제비를 차려 그녀를 데려와 함께 운영했다. 그러나 다방은 인기가 없어 항상 경영난에 시달렸고[*b] 이 때문에 이상과 금홍은 자주 다퉜다. 결국 [[1935년]]에 둘은 결별하고 다방 제비 또한 폐업하게 된다. 이후 이상은 부모의 집을 담보삼아 인사동에 위치한 카페 [[두루미|쓰루]]를 인수하여 운영했는데, 이때 카페 엔젤에서 근무하던 [[https://ko.m.wikipedia.org/wiki/%EA%B6%8C%EC%98%81%ED%9D%AC_(%EC%86%8C%EC%84%A4%EA%B0%80)|권순옥]]을 여급으로 데려온다. 권순옥은 이상이 4년 전에 만났던 여성으로, 이상에게 '[[D. H. 로렌스]]의 모조품'이라는 별명을 지어주기도 했다. 이상은 권순옥을 사랑했으나, 똑같이 권순옥을 사랑했던 친구인 소설가 정인택이 권순옥의 사랑을 얻지 못하는 자신을 비관하며 자살기도를 하였고, 이를 본 이상은 결국 권순옥에 대한 마음을 접었다. 이후 정인택과 권순옥은 결혼했는데, 놀랍게도 그들의 결혼식 사회를 이상이 봐주었다. 권순옥은 한국전쟁 때 정인택과 함께 월북했으나 정윤택은 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이후, 이상의 또다른 친구인 [[박태원(소설가)|박태원]]과 결혼하고 이름을 권영희로 개명한다. [[https://modarn.tistory.com/m/14|관련 글]] 박태원이 <갑오농민전쟁>을 쓰던 도중 건강이 악화되자, 권영희는 그를 도와 <갑오농민전쟁> 2부, 3부를 같이 썼다. 문제는 박태원이 남한에 처자식[* 참고로 이 전처의 딸의 아들, 즉 외손자가 바로 영화감독 [[봉준호]]다.]을 두고 월북하는 바람에 이 소설의 저작권까지 꼬여서 재출판이 어렵다고 한다. 자세한 건 박태원 문서 참조. 카페 쓰루의 폐업 이후, 카페 무기를 차린 이상은 이번엔 카페의 손님이자 친구 [[구본웅]]의 이모[* 족보상 이모라지만 변동림이 구본웅보다 10살이나 어렸다.(변동림 [[1916년]]생, 구본웅 [[1906년]]생) 변동림의 아버지인 변국선(卞國璿)이 늦은 나이에 젊은 첩을 통해 낳은 딸이었기 때문. 변국선의 본처 소생인 이복언니 변동숙이 구본웅의 계모.]인 수필가 변동림에게 빠지게 되었고, 어느날 고백한 것을 계기로 [[1936년]] [[6월]]에 결혼한다[*A]. 그러나 이상은 결혼 4개월 만에 새출발을 하겠다며 도쿄로 떠났고, 변동림과는 죽기 전에서야 다시 만나게 된다. 이후 변동림은 이상과 사별한 지 7년 후인 [[1944년]]에 화가 [[김환기]]와 재혼했고 남편 김환기의 이전 호를 따서 김향안(金鄕岸)으로 이름을 바꾸어 프랑스의 [[소르본 대학교]]와 에콜 드 루브르 등에서 미술을 공부해 미술평론을 썼다. 그녀는 수필을 쓰며 이상의 자취를 정리하는 데 큰 공헌을 했으며, [[2004년]]에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를 다룬 창작물로는 소설 <천재들의 초상>, [[뮤지컬]] <[[라흐헤스트]]>가 있다. == 여담 == * [[조선총독부]]에서 건축기사로 일한 적이 있다. 현재의 건축직 혹은 토목직 공무원들의 선배 격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총독부]]에서 일했다는 점 때문에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말단급 사무직, 기술직으로만 일했을 뿐인 그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보기엔 무리가 있으며, 법률상의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상 사후인 1964년에 이뤄진 이상의 여동생 김옥희와의 [[신동아]] 인터뷰에 따르면, 이상은 [[일본 제국]]과 [[군국주의]]를 혐오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본 사람을 특별히 차별하거나 싫어하지는 않았으며, 조선총독부에서 일할 당시에는 한 일본인 상사와 코드가 잘 맞아 그와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또한 지옥변을 펴낸 것으로 유명한 동시대의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동경하기도 했다고. 일단 민족운동에는 큰 관심이 없었고 일제의 근대사회에 적응하여 살아가던 인물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친일파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 이상 전집을 발굴하여 최초 출판한 인물이 유명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연구자 임종국인데, 그 역시 이상을 두고 문제시한 적이 없었다. * ||<tablebordercolor=#000000><nopad> [[파일:출판사이상.jpg|width=100%]] || ||<bgcolor=#000000,#000000><color=#fff,#fff> 창문사의 사무실에서, 좌측부터 이상, [[박태원(소설가)|{{{#fff 박태원}}}]], [[김소운|{{{#fff 김소운}}}]] || 평소 계절에 상관없이 흰 구두를 신었으며, 위 사진을 포함한 여러 사진 속에서 나오듯이 영국식 레지멘탈 넥타이를 자주 둘러맸다. * 이상이 죽기 전에 서양화가 길진섭이 이상의 [[데스마스크]]를 떴다는 소문이 있지만 길진섭이 1948년 [[월북]]했기 때문에 그 진위는 불투명하다. [[김연수(작가)|김연수]]의 장편소설 꾿빠이 이상에서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 당시 화가이자 친구인 [[구본웅]]과 같이 다니는 모습을 그린 만평에서는 이상을 옷 잘입는 멋쟁이로 평가했다. 지금 기준으로도 옷 맵시나 헤어스타일이 꽤 멋있는 편이다. 다만 몇몇 사람들은 '''창백한 피부의 퀭한 남자가 [[구본웅|꼽추]]와 함께 다니는 모습'''을 보고 '''서커스단'''이 들어왔나 하고 착각했다고 한다. * ||<tablewidth=550><tablebordercolor=#000000><nopad> [[파일:external/sunjooschool.com/M-1.jpg|width=100%]] || ||<bgcolor=#000000,#000000><color=#fff,#fff> 친구의 초상(1935년, 캔버스에 유채 65 x 53cm) || 친구 [[구본웅]]은 '친구의 초상'이란 제목으로 이상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그림 속 이상의 입술은 창백한 피부에 비해 유달리 붉은데, 이는 뺨과 입술이 미열로 인해 항상 붉게 달아오르는 폐결핵 증상을 표현해 이상이 폐결핵 환자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그림의 실물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소장 중이며 이따금 근현대미술과 관련된 전시에서 볼 수 있다. * 미술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재능 또한 있었다. [[1931년]] [[6월]]에 개회한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그가 그린 서양화 자상이 입선하기도 했으며, 친구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삽화나 자신의 소설 [[날개(소설)|날개]]의 표지 등을 그리기도 했다. 이상이 디자인한 표지 중 세 가지는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전시되어있다. * 딱히 종교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 BOITEUX BOITEUSE 이나,[* '[[십자가|CROSS]]에는 기름이 묻어 있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연작시 [[조감도]]의 2인····1····과 2인····2····라는 시에서 [[예수|기독]]을 악인의 조롱을 이겨내고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켜낸 인물로 묘사한 부분 등[* 해당 시에서 기독과 반대되는 인물로 [[알 카포네]]가 나왔다.] 여러 작품에서 [[기독교]] 모티브를 엿볼 수 있다. 수필 산촌여정에서 [[누가복음]]을 좋아했다는 언급이 있다. * [[구인회]]의 일원으로 소설가 [[박태원(소설가)|박태원]], [[김유정(소설가)|김유정]] 등과 절친했다. 이 중 [[김유정(소설가)|김유정]]과는 형제처럼 친밀했으며, 이상은 도쿄로 떠나기 전 같은 폐결핵 환자였던 그에게 동반자살을 제의하기도 했으나 [[김유정(소설가)|김유정]]은 이를 거부했다. 사후 이상과 김유정은 합동 영결식으로 화장되었다. * 상당히 괴짜스러운 인물이었으나 주변인들을 챙기는 따뜻한 마음씨 또한 가지고 있었다. 특히 동생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컸는데, 이것이 잘 드러나는 대목이 여동생 김옥희에게 보낸 편지인 [[https://ko.wikisource.org/wiki/%EB%8F%99%EC%83%9D_%EC%98%A5%ED%9D%AC_%EB%B3%B4%EC%95%84%EB%9D%BC|동생 옥희 보아라]]로, 자신에게 제대로 된 말도 없이 연인과 함께 이국으로 떠난 여동생의 선택을 존중하고 격려하는 내용이다. 편지 마지막 즈음의 '''"이해 없는 세상에서 나만은 언제라도 네 편인 것을 잊지 마라"'''라는 구절은 이상이 생전 여동생을 얼마나 아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김옥희 또한 이상에 대해 많이 사랑했으며, 소실된 이상의 묘를 찾지 못 한 것을 평생의 한으로 여기거나, 노년기에 치매에 걸렸을 때는 자신의 차남을 이상으로 착각해 '''"오빠, 오빠"'''라고 말을 거는 등 큰오빠 이상을 그리워했다고 한다. * 반면 남동생 김운경과는 약간의 불화 또한 있었던 모양이다. 만주로 떠난 김옥희에게 근황을 전할 때 '''"네 작은오빠는 또 어딜 나갔는지 들어오지 않는다"'''라고 편지에 적은 것과, 김운경에게 보낸 편지에서 '''"울화가 치밀때는 너에게 불쾌한 내용의 편지도 썼다"'''라며 사과한 것 등을 보면 당시 방황하는 남동생과는 어느 정도 마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김운경이 통신사 기자로 취직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편지를 보내 축하하고 기뻐했으며 하고싶은 말 역시 많았는지 '''"내 너에게 하고 싶은 말은 2~3일 이내로 다시 쓰겠다."''' 라고 말하거나, 자신이 도쿄에 있는 동안 아들 된 도리를 못 지키는 자신을 대신해 부모님을 모셔달라 부탁하는 등 김운경에 대해서도 비록 화를 낼 지언정 많이 아끼고 신뢰하는 모습을 보였다. * 생전 2,000여편의 작품을 남겼다는 이야기가 퍼져있는데 이는 이상 본인이 [[오감도]] 연재가 중단된 후에 남긴 [[오감도#작가의 말|후기]] 중 "이천점에서 삼십점을 고르는 데 땀을 흘렸다"라는 대목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만 사후 발견된 글들을 모두 합해도 그 숫자에는 크게 못 미치며, 단순히 글을 많이 썼다는 것을 이천점이라고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 성적인 표현을 스스럼없이 자주 사용하는 편이었다. [[날개(소설)|날개]]에서 언급되는 '33번지 18가구'[* 33은 남녀가 성교하는 모습을 은유한 것이며 18은 [[씨발|그 18]]이 맞다고 한다.]나 다방 [[69자세|69]] 등이 대표적인 예. 이걸 두고 [[고은(시인)|고은]]의 이상 평전에서는 그의 문학에는 거의 섹드립 밖에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매우 단편적이고 왜곡된 시각이다. * [[1977년]]에 이상의 업적을 기리고자 문학상 [[이상문학상]]이 제정되었다. 이상문학상은 [[동인문학상]], [[현대문학상]]과 더불어 한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나, [[2020년]]에 대두된 저작권 논란으로 인해 현재는 그 위상이 크게 줄어들었다. * 그의 생가는 [[종로구]] [[청운효자동|통인동]]에 있었다.[* 정확히는 집터의 일부 위에 지어진 집이다. 실제 생가는 300평 정도의 넓은 집이었으나 이상 사후 10개의 필지로 분할, 판매되어 그 위에 다른 여러 집이 지어졌기 때문이다. 후에 연구를 통해 생가가 아닌 이상의 백부인 김연필의 집이었음이 밝혀지기도 하였고 이에 대한 논란이 확대되어 지정문화재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따라서 생가라는 표현은 엄밀히 따지자면 틀린 말이다.] 이 곳엔 [[2014년]] [[2월]] 이상의 생애와 작품들을 알리는 문학관 이상의 집이 준공되어 운영되었으며, [[2018년]] [[12월]]에 [[라이엇 게임즈]]의 후원으로 새롭게 재개관하였다. [[https://game.donga.com/92825/|관련 기사]] === 수능 및 모의고사 출제 관련 === ||<width=60.5%><nopad> [[파일:attachment/ogd001.jpg|width=100%]] ||<nopad> [[파일:ogd002.png|width=100%]] || || 2003 수능 언어영역 출제 || 2009 교육청 모의고사 출제[* 숫자가 좌우 반전이라서 이미지로 인용할 수밖에 없다.] || 2003년 수능 언어영역[* 현 국어영역] 문제의 경우 등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시의 내용과는 전혀 관계없는 문제로 출제되어 난이도가 높지 않았다. 본 시는 [[오감도]]의 제 4호다. 문제에서 말하는 '윗글'은 '예술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내용이다. 위 문제의 답은 1번이다. [[다리 따위는 장식입니다|사실 보기로 제시된 이상의 시는 볼 필요도 없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나 [[SAT]] 등의 시험에서 볼 수 있는 법칙으로, 주어진 글의 난이도와 문제의 난이도는 서로 반비례한다. 여기서는 지문이 어려우니 문제는 거꾸로 쉬운 것이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한자가 다수 포함된 고전문학의 단어 설명이 부실할 경우 100% 확률로 문학작품을 전혀 안 읽어도 풀 수 있다. 수능에서 한자 독해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이상의 시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전형적인 시를 해제하는 관점에서 풀 수 있는 게 아니라 국어국문학과의 오랜 연구로 그나마 대부분 풀린 거고 그마저도 오감도는 미해결이다. 그런데 진짜 이상 시로 문제를 내면 출제 위원들도 오락가락할 것이다. 1~5번 보기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라고 했으니 다른 지문과 비교하였을 때 오류가 있는 것을 찾는 편법으로 풀 수 있다. 특히 3번 보기에선 독자들이 시인을 '미쳤다'고 표현했다 하였고 5번 보기에선 편집진의 압력으로 연재가 중단되었다고 했으며 2번 보기에선 기존의 언어체계를 불신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아주 상식선에서 생각했을 때 이 보기 중 적어도 2개가 맞다면 이 시가 1번 보기에서 주장하는 당시 현대시의 주류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굳이 헷갈린다면 3번 보기와 헷갈릴 수도 있는데 그때 이 시를 보면 된다. 배배 꼬고 의미불명의 표현법을 사용한 작품이 보통 당대에 인기가 있고 주류가 되었던 경우는 [[파블로 피카소]]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가정' 하에서 그렇다. 이런 내용도 없어보이는 이상한 시가 나왔을 때 일반 독자들에게 '미쳤다'는 평가를 받지 않았다면 그게 더 이상하다. 만약 1번 보기가 적절했고 정말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시였다면 적어도 독자들에게 호불호는 갈릴지언정 미쳤다는 소리까지는 듣지 않았을 것이다. 2009년 7월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시가 다시 한 번 등장했다. 다만 듣기평가 문항이었기 때문에 해설을 들려줄 수 있었고 그 해설을 토대로 문제를 냈다고 한다. 2006년 수능에 수필 '조춘점묘'가 등장했고 2014년 수능 국어영역에서 A, B형 공통문항으로 수필 '권태'가 마지막 지문으로 출제되었다. 소설인 [[날개(소설)|날개]]도 한 번 나왔다. == 매체 == * [[2013 드라마 페스티벌]] [[이상 그 이상]] * 영화 [[금홍아 금홍아]] * 소설 및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 소설 및 뮤지컬 꾿빠이 이상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의 5절 속 한 구절인 [[날개(소설)|날자꾸나 이상]]으로 언급된다. * 뮤지컬 [[팬레터(뮤지컬)|팬레터]] - 극중 등장인물인 이윤의 모티브로, 대사와 가사에 저작 속 구절이 인용되었다. * 뮤지컬 [[스모크(뮤지컬)|스모크]] - [[거울(이상)|거울]]과 [[오감도#s-3.15|오감도 시제 15호]], [[날개(소설)|날개]]를 모티브로 하였다. * 소설 경성 탐정 이상 - 훈민정음 살인사건 등을 쓴 김재희 작가의 추리 소설로, 이상과 [[박태원(소설가)|박태원]]이 그의 다방 제비를 중심으로 여러 사건들을 해결하는 이야기다. [[2020년]] [[11월 16일]] 제 5권 거울방 환시기를 끝으로 완결되었다. * 웹툰 [[모던 뱀파이어 슬레이어]] - 이상 * 단편영화 [[https://www.moviebloc.com/detail/ct_11eacb124d09820e9a6e023f85d07bb2/ko|이상]] - 제목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극중에서는 그가 쓴 소설 종생기가 언급된다. * 뮤지컬 [[라흐헤스트]] - 그의 아내인 변동림을 모티브로 한 뮤지컬로,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 [[SCP-937-KO]] - 소설 [[날개(소설)|날개]]를 모티브로 한 SCP. 해당 SCP의 소유자 중 한 명이 이상이었다는 설정이 있다. * 게임 [[Limbus Company]] - [[이상(Project Moon 세계관)|이상]][* [[날개(소설)|날개]]와 [[거울(이상)|거울]]이 주요 모티브가 되었으며, 그 외에도 [[오감도]], [[위독]], [[건축무한육면각체]], 꽃나무, 산촌여정, 최저낙원, 슬픈 이야기, 절벽, 기와가전 등의 구절이 게임 내에서 인용되었다.] == [[/작품 목록|작품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상(작가)/작품 목록)] == 가계도[*A] == * 김병복(金秉福, ?~?) / 妻 이름 불명(?~1937) * 김연필(金演弼, 1883~1932) / 後妻 김영숙 * 김문경(金汶卿) * 김영창(金永昌, ?~1937) / 妻 박세창(朴世昌, 1887~1979) * 장남 '''김해경'''(金海卿, 1910~1937): '''이상''' * 차남 김운경(金雲卿, 1913~?): 월북, 2008년 호적 말소[* 월북 이전부터 김운경은 가족들과 자주 마찰을 빚었으며, 6.25 당시 월북해버려 가족과의 연이 끊기고 말았다. 때문에 생전 여동생 김옥희와 어머니 박세창은 그에 대한 말을 거의 꺼내지 않았다고 하며, 특히 박세창은 김운경을 두고 '''[[사회주의|"사상적으로..."]]'''라고 말끝을 흐리며 이야기하길 꺼렸다고 한다.] * 장녀 김옥희(金玉姬, 1916~2008) / 夫 문병준(文炳俊, 1913~1990) * 장남 문완성(文完成) * 문재호(文宰皓) * 차남 문유성(文有成) / 妻 박영분(朴榮分) * 문진호(文辰皓) * 문도희(文度嬉)[*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작곡 전공 석·박사.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음악 및 공학연구소(CCRMA) 연구원 역임. 현재 재독(在獨). 문도희 박사가 작곡한 i21이 [[예술의 전당]]에서 [[iPad|아이패드]]와 현악4중주단과의 협연으로 세계 초연되었다.[[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549439|#]] [[https://www.mcst.go.kr/kor/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782|#]]] * 3남 문창성(文昌成) * 4남 문내성(文來成) * 장녀 문미성(文美成)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