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작업 시스템 관련 논란
(r2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민식이 법 관련 발언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민식이 법 관련 발언 문단 삭제
토론
- RE : WIND 작사 저작권 논란과 관련된 내용을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작업 시스템 관련 논란, version=10, uuid=66152e05-7571-4c1b-a26b-2ba8b40939a2)]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teadyMurkyHushedCheese, 합의사항1=민식이 법 관련 발언 문단 삭제, 토론주소2=MistySlimyKindheartedSalt, 합의사항2=RE : WIND 작사 저작권 논란과 관련된 내용을 서술한다)]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우왁굳)] [include(틀: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목차] == 개요 == [[우왁굳]]의 작업 시스템 관련 논란을 정리한 문서. == 부적절한 편집자 고용 시스템 및 열정페이 논란 == [[https://m.dcinside.com/board/dcbest/339343|디시]] [[https://archive.is/uEIeL|@]],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062100|루리웹]] [[https://archive.md/dr7Hl|@]], [[https://theqoo.net/square/3786579208|더쿠(댓글)]] [[https://archive.md/JPE35|@]], [[https://x.com/yaro_stavka/status/1934067888891302285|X]] [[https://archive.md/dL7jQ|@]] 우왁굳은 유튜브 영상 편집자를 콘테스트 형식으로 채용하는데, 이 편집자 운용 방식에서 페이 지급 방식이 논란이 되었다. 콘테스트 형식에 따르면, 1등만이 페이를 지급받고 나머지 편집자들은 단 한 푼의 돈도 받지 못하게 되며, 탈락자들은 '''무급 노동'''을 실행하게 된다. 대체로 2~3분 분량까지의 편집 영상으로 만들게 한다지만 우왁굳의 마음에 안 들면 계속 1등이 나올때까지 모니터링 하는 경우도 있어 아마추어 편집자들은 계속 편집을 깎아야 한다. 그렇다고 1등이 많이 받는 것도 아닌 것이 1스택 기준 1건 분당 1.5만 원으로 명기되어 있으며 이는 편집자의 능력에 따라 최저시급 수준에 불과한 임금이다. 또한, 채용 횟수에 따라 기여도와 그에 따른 포인트를 나누고, 이 포인트 횟수가 쌓이면 부채널 편집자로 계급을 올려 그 포인트로 또 줄을 세우는 등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https://m.dcinside.com/board/singlebungle1472/1843129|#]][[https://archive.ph/aax4r|@]] 우왁굳은 정직원 편집자는 업계 최고 대우를 해주고 있다고 얘기하고 있으나, 7~8명의 편집자 중 정직원 편집자는 2명[* 1명 더 존재하나 2024년에 병가를 내고 1년 이상 공백상태이다.]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프리랜서 편집자로 1건 분당 3만 원을 지급한다. 프리랜서 편집자도 우왁굳이 꾸준히 일거리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생방송에서 콘텐츠가 끝난 새벽시간에 편집자 목록 엑셀시트를 꺼내고서는 그날 생방송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만 일을 지급한다. 이 시스템 때문에 모 편집자[* 컨테스트 1등 다회차로 실력을 인정받아 프리랜서 편집자로 고용되었다.]는 수 개월 동안 일거리를 받지 못하여 편집자 처우에 대한 폭로가 나오게 되었다.[* 해당 편집자는 우왁굳이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지속적인 일감을 주는 것으로 착각했다고 하며, 본업과 병행하며 영상 편집을 해온 탓에 영상 완성이 늦는다고 우왁굳으로부터 계속 지적을 받았다. 주로 생방송에서 지적을 받기 때문에 시청자들에게 폭언에 가까운 조리돌림을 받았던 건 덤이다.] [[https://m.dcinside.com/board/dcbest/273255|원글은 삭제되고 짜깁기 부분만 남아있다]][[https://archive.ph/EWVbf|@]], [[https://m.dcinside.com/board/dcbest/273619|당사자의 해명 및 사과문]][[https://archive.ph/L6reg|@]], [[https://m.dcinside.com/board/stream_new1/15763052|우왁굳의 해명]][[https://archive.ph/DHdO7|@]] 그러나 우왁굳이 우왁굳 방송 편집자에게만 이러한 악성 페이를 하는 것이 아니며, [[이세계아이돌/공연 및 행사|이세돌 콘서트]]에서는 억 단위값의 업무량을 지시하곤 포트폴리오를 명목으로 500만 원을 지급했고, 그마저도 6개월 뒤에야 지급했다는 증언이 나오는 등 이 열정페이를 다른 편집자들에게도 강요했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066139|#]][[https://archive.ph/1revf|@]] 이로 인해 업계 평균 금액 자체가 낮아져 국내 영상편집이나 3D 모델링 관련 업계의 페이가 굉장히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었다고 하는 관련 작업 종사자의 폭로가 있다.[* 단, 현재 작업 참여 인증이 있는 폭로는 Stak의 Kidding, Misty Rainbow 폭로글 1건이며, 위의 500만 원 글은 작업 참여 인증이나, 발췌한 글의 출처를 알 수 없어, 사실 확인에 주의가 필요하다.] 여기에 더해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 제작에서도 1년 8개월 동안[* 본인의 착각 혹은 착오인지,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의 공식적인 제작기간인 1년 5개월과 3개월 차이 난다. ] 1인 남짓한 인원으로 준비시키고 겨우 4200만 원을 지급했다는[* [[근로기준법/내용/근로시간과 휴식|휴일근로수당]], [[주휴수당]] 등을 제하고 단순히 계산하더라도, 4200만 원을 20개월로 나눌 시 월급 210만 원, '휴일 주말 없이 작업'하였다는 글 내용에 따라 이를 30일로 나누면 일급 7만 원, 1일 법정 근로시간인 8시간으로 나누면 시급 8,750원이다. 이는 '''2021년 당시 [[최저임금]]'''과 동일한 액수이다. 다만 이쪽 업계 프리랜서들이 건당 보수를 받고, 빠른 시간 안에 작업을 완료할수록 수임료가 늘어나는 업계 특성 상 최저 시급으로 급여를 계산하는 방식이 아니란 점도 생각해야 한다.] 폭로가 나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1133116|디시(원문)]] [[https://archive.md/JPKhy|@]],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086196|루리웹]] [[https://archive.md/9alCy|@]], [[https://www.fmkorea.com/best/8531520156|에펨코리아]][[https://archive.ph/RS18h|@]] 추가로, 일부 팬들의 비난으로 아티스트의 계정이 비공개 처리되어 2차 가해를 낳기도 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이세돌 뮤비 제작자 내부 단속 및 사이버 불링에 대한, 문서명=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왁타버스, 앵커=이세돌 뮤비 제작자 내부 단속 및 사이버 불링)] == 작업자 BepsiTrain의 왁타버스 내 노동 착취 문제 폭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epsiTrain 왁타버스 문제 폭로)] [[https://www.fmkorea.com/best/8625239371|에펨코리아]][[https://archive.md/FgIed|@]],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401860|루리웹]][[https://archive.md/xG7x6|@]], [[https://www.dogdrip.net/644789424|개드립]][[https://archive.md/oKnjQ|@]], [[https://gall.dcinside.com/dcbest/345955|디시인사이드]][[https://archive.md/K5tqo|@]] 과거 [[교통합성]] 제작자이자 [[VRChat]] 유명 월드 제작자인 BepsiTrain이 폭로한 일련의 과정으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관계를 빌미로 하여 가스라이팅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왔다 했으며''' 아이네 4주년 영상 작업 권유 이후 겨우 탈출해 회복 중이라고 주장했다. === RE : WIND 뮤직 비디오 관련 === ||<tablewidth=8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1.png|width=100%]]|| ||<nopad>[[파일:벱시2.png|width=100%]]|| ||<nopad>[[파일:벱시3.png|width=100%]]|| 2021년 11월 29일, 사진 속 우왁굳 관계자 A는 폭로자 BepsiTrain에게 이세계아이돌 관련 프로젝트라며 작업 참여를 제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A는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이들의 호감을 기반으로 '팬덤이 자진해서 일을 한 거다'는 식의 '[[부아내비]]'성 참여를 유도했다. A는 대부분의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전하며 참여를 설득하였으며, 작업 제작에 있어 매우 촉박한 시간인 1주일을 데드라인으로 통보하였다. 또한 A는 BepsiTrain의 [[금천구청역]] VRChat 월드를 사용하여 일부 촬영을 마쳤다 전하며, 해당 월드의 파일을 넘겨줄 수 없겠느냐는 식의 가스라이팅에 가까운 요청을 BepsiTrain에게 전달하였다. BepsiTrain은 지속적으로 해당 맵에 대한 사용을 자신에게 사전적으로 연락할 것을 고지하고 있었다. ==== 뮤직비디오 저작권 침해 신고 삭제와 복구[anchor(MV 저작권 침해 신고 삭제)] ==== 이후 BepsiTrain은 2025년 6월경 시작된 우왁굳의 논란 전개에 큰 회의감과 그들과 함께 업계를 망친 공범이 되었다는 죄책감을 느꼈다며 제작자 크레딧에서 본인을 삭제해달라는 입장을 관계자 측에 꾸준히 계속 요청하였으나, 관계자 측이 무대응으로 일관했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2025년 7월 14일, [[RE : WIND]]의 영상 삭제를 유튜브 측에 요청하는 신고를 진행하였다.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984|#]] 2025년 7월 21일 11시 경, 저작권 침해 사유로 뮤직비디오가 삭제되었다.[* 신고자의 글에 따르면 7월 14일에 진행된 신고는 7월 16일에 거부되었으나, 증거 자료를 동봉하여 7월 17일에 다시 진행한 신고가 받아들여져서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RE : WIND 맵 제작 당시 BepsiTrain이 계약서를 작성한 적이 없었다고 하였기에 우왁굳 측이 무엇으로 증빙을 해서 복원할지, 삭제된 MV를 복원할 수 있는지가 화두에 올랐다. 계약서가 없는 구두계약이라 하더라도 민법상 유효한 계약이며 다만 그러한 계약이 있었다는 '입증'이 어려울 뿐인데, 인터넷 유저간 거래인 이상 텍스트상의 거래 흔적이 반드시 남으므로 이를 입증하는 것 자체는 쉬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맵 저작권 자체가 BepsiTrain에게 있으며 이 저작권을 넘겼을 가능성은 높지 않기에[* 일반적으로 저작물 사용 허락과 저작권 양도는 비용의 자릿수부터 다른 경우가 흔하다. 즉, 구체적으로 '저작권을 양도한다'라고 계약서에 적시한 것이 아닌 이상 이를 인정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또한 페이를 떠나서 애초에 '계약서를 쓰지 않았다'고 언급된 만큼 저작권 양도 계약을 맺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동일한 영상이 올라오더라도 벱시를 비롯한 저작권자들이 동일한 침해 신고를 넣을 수 있다. 이런 위험에서 아예 벗어나려면 저작권 양도 계약을 확실히 맺었든가 혹은 영상 속 거의 모든 요소가 우왁굳 또는 이세돌이 저작권을 지닌 요소 내지는 저작권 프리소스임이 입증되어야 하는데, 이세돌 측의 저작권 인식 및 보유 현황을 보면 이는 성립하기 힘들어 보이는 가정이다. 우왁굳이나 패러블이 유튜브 측에 반론 통지[[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2807684?sjid=8091052540876628964-NC|#]]를 할 수 있다. 만약 반론 통지가 받아들여지면 저작권 권리자인 벱시가 10 영업일 이내에 법적 소송 절차를 진행해야 되며 이를 유튜브 측에 알려야 한다. 해당 기간 내에 소송이 진행되지 않으면 영상이 복원된다. [[https://youtu.be/-glgfw6Rty0?si=JRrBOivDJSctJkvz|#]][* 실제로 [[더본코리아]] 측에서 [[백종원]] 비판 레카 영상들에 대해 무차별적으로 저작권 침해 신고를 진행하여 영상들을 내려버린 전적이 있는데, 이 제도를 이용해 영상을 복구한 [[다크사이드코리아|유튜버들이]] 있다.] 다만 유튜브 측에서는 "착오 또는 오인으로 인해 콘텐츠가 삭제된 경우에만 반론 통지를 제출하세요. 여기에는 공정 사용 또는 공정 취급과 같은 저작권 예외가 포함됩니다."라고 유효한 반론 사유를 명시하고 있다.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리와인드관련.jpg|width=100%]]|| 우왁굳은 왁스코드에서 폭로자의 신고 때문에 영상이 차단되었다며 관련해서 확인 중이라는 의사를 표했다.[[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575633|#]] ||<tablewidth=600><width=50.25%><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강경강경.jpg|width=100%]]||<nopad>[[파일:강경강경2.jpg|width=100%]]|| ||<-2> 강경대응을 촉구하는 이파리들의 댓글 || 공지가 올라온 후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파리]]들은 리와인드 MV가 삭제된 건에 대해 원작자와 합의하지 말고 강경대응할 것을 촉구했다.[[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7842958/articles/20575633/comments?tc=undefined|#]] 같은 날 18시경, 우왁굳은 방송을 통해 해당 사태와 관련된 상황에 대해 해명하였다. > "저에게 따로 이제 연락을 주시지는 않았다보니까 어떻게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중략).. 그래서 연락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그냥 내려가게 되어서 지금 확인하고 있고..." [[https://www.fmkorea.com/?mid=best&document_srl=8681395662|에펨코리아 클립]]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에 가입한 채널의 경우 7일간의 유예 기간이 적용됩니다. 저작권 위반 경고를 3번 받으면 채널이 삭제되기 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7일의 유예 기간이 추가로 주어집니다.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2814000?sjid=8091052540876628964-NC#zippy=,저작권-위반-경고를-받으면-어떻게-되나요,유예-기간,위반-경고-관련-정보를-확인하는-방법|#]] 우왁굳을 비판하는 측에서는 유튜브에서는 저작권 신고가 접수되면 7일의 유예 기간을 주며 이를 메일 및 유튜브 앱의 스튜디오에서 알람을 띄워주며 확인할 수 있게 하기에 설사 벱시가 직접 연락을 시도하지 않았더라도 삭제 전까지 어떠한 관련 메시지도 받지 못했다는 해명이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단, 신고자가 7일의 유예 기간을 주지 않고 바로 영상 삭제를 요청할 수 있는 옵션도 있다. [[https://youtu.be/wscjuQRipGA?si=GU5WDyICncHGcn8D|해당 논란에 대한 다크사이드코리아의 영상]][* 공교롭게도 벱시가 저작권 신고를 접수한 것이 14일, 거부된 것이 16일, 증거 동봉 후 재접수한 것이 17일이라서 최초 신고까지 취합해 7일의 유예 기간이 설정되어 21일에 삭제된 것인지 아니면 17일 신고만 유효하고 이를 유튜브 측에서 자체 검토해 4일만에 삭제가 된 것인지는 불명이다.] 우왁굳은 또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VRChat은 제휴를 통해 맵 관련 계약을 맺은 상태이며, 이에 따라 맵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았기에 문제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66609709|SOOP 클립]] [[https://vod.sooplive.co.kr/player/166611681|우왁굳 방송 다시보기]] 그러나 이것도 가능성이 매우 낮다. 물론 우왁굳이 계약서 전체를 공개한 것도 아닌만큼, VRChat과 구체적으로 어떤 제휴를 맺었는지는 불명이다. 다만 VRChat의 약관을 보면, 애초에 VRChat 측에서 제3자에게 무제한적인 저작권 이용 허가를 주는 것이 불가능하다. > '''8. 유저 콘텐츠 및 그룹''' > 8.1. 일반적인 사용자 콘텐츠: 모든 사용자는 플랫폼의 특정 기능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하거나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출, 업로드, 게시, 방송, 공연 또는 기타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직접적이거나 자동화된 프로세스, 또는 제3자가 사용자를 대신하거나 지시에 따라 수행하는 방식 포함). 이러한 콘텐츠에는 소프트웨어 코드, 메시지, 사진, 비디오, 이미지, 폴더, 데이터, 텍스트, 공연 및 기타 종류의 작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이러한 모든 콘텐츠를 "사용자 콘텐츠"라고 합니다), '''사용자가 게시한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 재산권은 사용자 본인이 보유합니다.''' 다만, 본 약관 또는 사용자와 VRChat 간의 기타 계약에 따라 부여된 라이선스에는 그 권리가 종속됩니다. > ---- > [[https://hello.vrchat.com/legal|VR챗 이용 약관]] 중 일부 따라서 원론적으로 따져보자면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VRChat과의 제휴는 어디까지나 VRChat측에서 제공하는 에셋에 한해서만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즉, VRChat으로 방송을 하거나 유튜브 등의 타 플랫폼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막지 않겠다는 뜻이지, 유저 개개인이 만든 월드와 에셋에 대한 접근은 별개의 권한이 필요하다. VRChat이 마인크래프트 등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샌드박스형 게임과 정책이 다른 이유는 해당 게임이 기개발된 에셋만으로 맵을 만들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 Unity를 이용해 직접 맵을 만들고, 필요시 각종 프리소스 내지는 '''직접 모델링'''한 3d 오브젝트를 도입하는 등 외부에서 제작해서 가져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VRChat 운영진이 유저 제작 맵에 대해 저작권을 행사하기 매우 곤란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595128|루리웹1]]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592088|루리웹2]]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051|기사]]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C언사불.jpg|width=100%]]|| || DM으로 폭로자를 조롱하는 이파리[* [[파일:sanagi.jpg|width=400]][br]해당 이파리는 왁물원 내에서 폭로자를 선처없이 잡아야 한다며 강경하게 비난하던 이파리이다. [[https://www.dogdrip.net/647395155|#]]] || 이번 뮤직비디오 삭제 사건에서 '''딱 2줄''' 적은 글에 폭로자의 아이디를 언급하여 [[#s-8.3|침스터콜]]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는데, 그 추측대로 이파리들은 왁물원과 커뮤니티 등지에서 폭로자를 비난하며 보복하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 폭로자가 제작한 [[VRChat/월드#영림역|영림역]][* 원래는 화본역이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영림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금천구청역]], [[일영역]], [[부산 지하철 1호선]]을 재현한 퍼블릭 맵이 누군가의 허위 저작권 침해 신고로 접근 금지 처리되었다. 폭로자는 해당 문제에 대한 소명을 VRChat 본사에 보냈고, 공교롭게도 자신의 맵을 저작권 신고한 아이디가 자신과 같이 작업했던 중간계 유저인 '클로버'와 아이디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후 동일한 이메일 주소로 인해 신고자는 해당 중간계 유저가 맞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https://www.dogdrip.net/647495477|개드립1]] [[https://www.dogdrip.net/647513113|개드립2]]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594637|루리웹]] 해당 유저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등을 지우고 잠적을 시도했으나 이미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자료들을 다 백업을 해놓았다고 한다. [[https://www.dogdrip.net/647557302|개드립]] 이번 보복성 허위신고로 내려간 맵들 중에는 국내 이용자들이 많이 이용했던 맵들[* 특히 한국인들이 자주 모이던 영림역 마저 저작권 신고를 받고 사라졌다.]도 포함되어 있어, VRchat 관련 커뮤니티에서 이파리들 및 허위신고를 수용한 플랫폼 운영진 측에 대한 비판 여론이 형성되었다. 결국 해당 중간계 유저는 자신이 자세하게 알아보지 못한 상태로 허위 신고했었다며 폭로자에게 사과하며 DMCA 신고를 철회했다. 그러나 '유쾌한 일' 같이 사과문에 넣기에는 부적절한 단어가 들어가 있는 등 진심이 담긴 사과문으로 보기에 어려운 면이 많아 사실상 [[4과문]] 취급받고 있다.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50724500357#_enliple#_mobwcvr|#]] 결국 2025년 [[7월 26일]] 23시 경, 4K 색보정 버전 뮤직비디오도 저작권 침해를 사유로 삭제되었다. 반면 폭로자가 제작한 VRChat의 맵들은 허위신고로 인한 DMCA 조치가 철회되어 복구되었다.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21|#]] 삭제 이후 영업일 기준 11일이 지난 2025년 8월 5일 새벽 4시 경 원본 뮤직비디오가 복구되었다. 이후 4시간 뒤인 아침 8시 쯤에 최초의 요구였던 크레딧에서의 삭제가 이뤄졌다. 다만 요구 이행과는 별개로 우왁굳과 BepsiTrain 간의 합의가 이루어졌는지는 양측 모두 따로 밝히지 않았다. 당일 오후 4시 우왁굳 측 관계자는 동일한 신고로 내려갔던 4k 영상은 아직 복구되지 않았으며 소명 절차가 진행 중임을 관련 게시글의 댓글을 통해 알렸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656510?tc=shared_link|#]] 25년 8월 13일 우왁굳이 방송을 통해서 리와인드 뮤비의 리메이크를 선언했다. 방송에서는 표면상 2500만 조회수 기념이라 했으나, 진실은 BepsiTrain 외에도 뮤비에 사용된 맵의 제작자의 크레딧 표기 관련[* 몇몇 맵 원작자 같은 경우에는 표기 관련으로 더보기란에 적으면 OK라거나, 따로 표기하지 않아도 괜찮다고도 했지만, 반대로 "MV 영상 크레딧에 삽입을 해달라" 같은 입장을 표현한 원작자도 있었다는 점이다.]에 대한, 다시 터질지 모르는 저작권 잡음이 아직도 끊이질 않고 있다는 것이 드러난 상황이라 리메이크를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888149|#]] === 위기의 회사원 관련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4.png|width=100%]]|| 2022년 3월 30일, BepsiTrain이 '위기의 회사원' 영상에서 사용된 월드의 작업을 완료하여 우왁굳 관계자에게 전달하였다. 이후 약 10여분 후, 관계자 측은 월드의 배경을 밤 시간으로 바꾸어달라 요청하였으나, 제작자인 BepsiTrain은 강한 불쾌감을 표현하며 거부하였다. 현재 해당 영상은 비공개 처리되었다. === 히키킹 성 프로젝트 무급노동 및 작업자 홀대 ===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5.png|width=100%]][[파일:벱시6.png|width=100%]]|| 2023년 1월 경, BepsiTrain은 관계자 측의 제안으로 '히키킹 성 프로젝트'에 사용될 월드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제작 방법으로는 '[[알잘딱깔센|알잘딱하게]]'라는 애매모호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 컨텐츠에 화본역 월드 무단 사용 ===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7.png|width=100%]]|| 2024년 8월 경, 우왁굳의 컨텐츠인 고멤 오디션 당시, BepsiTrain의 월드인 [[화본역]] 월드를 무단으로 사용하였다. 당시 BepsiTrain은 우왁굳의 작업팀을 진작에 탈퇴한 상태였으며, 우왁굳 측은 아무런 사전 통보 없이 오디션 장소로 화본역 월드를 무단으로 사용하였다. === 아이네 4주년 기념 팬영상 작업 권유 및 통보 === ||<tablewidth=8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8.png|width=100%]]|| 2025년 6월 2일, 관계자로부터 아이네의 4주년 기념 조공 팬영상 [[忘れ物]](와스레모노) 작업을 권유받았으며, 이후 작업의 내용을 통보 방식으로 전달받았다고 주장했다. ||<tablewidth=800><tablebordercolor=#00bca1,#00bca1><nopad>[[파일:벱시9.png|width=100%]]|| 2025년 6월 경, 시작된 우왁굳의 논란 전개로 BepsiTrain은 큰 회의감이 들었으며, 결국 해당 작업에서 하차를 통보하였다고 주장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2459, uuid=101ba1ee-0bd2-413f-92cc-c442e9fce3f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