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왁스코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네이버, SOOP, 디스코드 내부 API 무단 사용 논란 === 2025년 7월 27일 [[https://www.dnn.ne.kr/article/22583770bf24496bbc87f1718b014745|내부자 폭로 기사]]에서, 왁스코드 개발진이 공개 API의 한계점을 우회하기 위해 외부적으로 공개되지 않는 비공개 API를 사용하고 수많은 IP 주소로 차단을 우회해가며 개발을 해왔다는 의혹이 나왔다. 그런데 왁스코드의 소스 코드는 [[GitHub]]에 '''공개'''된 상태였고, 코드를 확인한 네티즌들에 의해 많은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며 논란이 되었다. GitHub에 있던 코드는 논란이 점화되자 비공개되었다. 문제가 된 [[API]]는 많은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웹 서버|웹]] API로,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웹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많은 경우 제3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일부 API를 공개하는데, 당연히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데 드는 리소스가 있다 보니 API를 무제한으로 열어놓으면 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관리한다. * '''요청을 할 때 API key를 요구한다.''' API key는 제3자가 애플리케이션 제작 요청을 하면 검토해서 발급해주는 방식이 많으며, API key를 통해 누가 어떤 요청을 언제 얼마나 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요청이 감지되거나 해당 키가 유출되면 서버에서 키를 회수(revoke)하는 방식으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공격에 대비할 수 있고, API 요청 횟수에 따라 개발자에게 과금을 하는 서비스도 많다. * '''Rate limit을 설정한다.''' Rate limit은 API 요청 속도 제한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는 1분에 최대 100회만 요청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서버에서 처리가 오래걸리는 API일수록 제한을 강하게 하는 방식으로 서버의 부하를 조절한다. * '''내부(비공개) API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의 접근을 막는다.''' 리소스가 많이 들거나 관리가 어려운 요청의 경우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경우 다른 종류의 특수한 API key나 [[CAPTCHA]] 등의 봇 감지 코드를 추가로 활용한다. 당연하지만 rate limit을 걸거나 특정 API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으며, 보안 위협이나 DDoS 공격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하나라도 우회하는 것은 모든 서비스에서 중대한 약관 위반 사항이다. 왁스코드 개발진이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여러 서비스에서 약관에 어긋나는 사용을 해왔던 만큼 많은 비판과 제재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과거 [[내 트리를 꾸며줘!]]의 DDoS 공격을 가한 당사자 중 하나라는 폭로가 올라왔다.[[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688588|#]] 2025년 7월 30일 [[SOOP]] 홍보팀 일원이 글로벌e의 기사를 통해 이번 논란에 대해 '드릴 말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58|#]] 같은 날 왁스코드 개발자 중 한 명이 내부자 폭로 기사를 올렸던 DNN을 상대로 [[https://www.dnn.ne.kr/article/48bb7fa4023a475cb6501d4d7d7f2960|DMCA 게시 중단 조치 신청을 구글에 제출했으나]], 8월 1일에 DMCA 클레임을 [[https://www.dnn.ne.kr/article/c2b865b3dd30490280de0d3a7b28f50f|철회했다.]] 이후 2025년 8월 2일 오전 8시 18분에 [[우왁굳]]이 상술한 문제들을 근거로 직접 왁스코드 운영 중단을 요청했고 스태프[* 이 과정에서 기존의 [[이세계아이돌]]뿐만 아니라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 등 일부 고정 멤버들(유치원 제외한 클래식, 아카데미 일부)이 스태프로 발탁되었다.]만 작성가능한 왁타 메모장을 통해 간단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줄에 "네이버 이용약관을 준수 하겠습니다."라는 짧은 입장을 작성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641029|관련 왁물원 게시글^^멤버전용^^]] 2025년 8월 12일, 우왁굳은 공지를 통해 외부 프로그램 사용 이슈로 인해 경고조치를 받았음이 확인됐다. 우왁굳은 왁물원 내에 이와 관련한 글을 전부 삭제했고 관리 부족으로 인한 사죄 및 해당 내용에 대한 클린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말했다.[[https://m.cafe.naver.com/steamindiegame/20681181|#]]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691672|#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