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연합국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합국인가? == [[미국 연방정부]]는 1945년 6월 8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하여 주권의 승인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연합국이 아니라고 확실하게 못박았다. 연합국의 자격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전국들 가운데 ㉮[[1940년대]]에 가입한 [[유엔 총회]]의 원년멤버, ㉯[[1939년]] 시점에서 ㉮의 [[속국]], ㉰[[1941년]] 시점에서 ㉮와 정식으로 체결한 공수동맹이 확실하게 유효한 나라인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것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의회]]와 [[미국 정부|행정부]]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견해 차이, [[조선의용군|좌익계 독립운동세력]]의 임시정부 불인정,[* [[존 리드 하지|하지]]가 [[맥아더]]에게 올린 보고서에서 [[한국인]]의 70%가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세력을 지지한다고 기재했다.] [[김구]]의 비타협적인 태도도 연합국 인정 여부에 상당한 마이너스로 작용했다, 자세한 건 [[대한민국 임시정부/법통 논란]]의 "북한 및 해외의 입장"과 [[김구/평가]] 참조. 다만 이는 임시정부 자체를 연합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뜻이지 임시정부 구성원들의 연합국에 대한 기여까지 부정한다는 뜻은 아니었으며[* 예로, 영어 위키백과의 태평양 전쟁 문서에서는 말레이 인민항일군, 베트민(베트남), 자유 타이 운동(태국), 후크발라합(필리핀) 등과 함께 연합군에 협력한 저항군으로 나온다.], 이 때문에 [[미군정]]은 임시정부 구성원들이 개인 자격으로 [[한반도]]에 돌아오는 것을 허락해주었으며 [[워싱턴 D.C.]]의 연방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임시정부 귀국 환영대회를 지원했다.[* [[존 리드 하지|하지]] 군정장관에 대한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와 [[여운형]]의 건의도 여기에 큰 역할을 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의 승인을 받지 못했던 이유는 위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한반도]]를 둘러싼 연합국 구성원들의 이해관계 충돌'''이었다. [[중화민국]] 입장에선 자신들과 우호관계에 있는 임시정부를 연합국에 편입시키고 싶었을 것이고, [[미국]]과 [[소련]]에겐 자신들의 통제 밖에 있는 임시정부는 전후 한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었다.[[https://news.v.daum.net/v/20220414114224073|#관련 기사]] 그나마 미국은 군정의 테두리 안에서 임시정부 구성원들을 끌어들이려고 했으나, 소련은 그마저도 하지 않고 [[김일성]]이 속했었던 [[동북항일연군]] 계열로 [[북한|친소 정부]]를 수립하려고 했다.[* 원래는 통일정부를 수립한 후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친소적 환경을 조성하려 했으나 남한 내 반공주의 세력이 강해지자 북한을 확실한 공산국가로 만드는 것으로 노선을 바꾼다.] 처음 미국은 임시정부가 끈질기게 법통을 주장하자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비롯한 국내파를 지원하는데 냉전이 격화되면서 좌우합작을 지향하는 국내파는 완전히 유기되었다. 그 결과 [[남한]]은 [[제헌국회]]에 의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름]]을 국호로 삼았으나, 북한은 독자적인 국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남북한은 각각 자신들의 정통성 뿌리를 [[대한민국 임시정부]](남한)와 [[동북항일연군]](북한)에 두고 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nopad> [[파일:Syngman Rhee's Speech at Korean Victory Day.jpg|width=100%]] || || 1945년 10월 20일, [[중앙청]]에서 열린 [[연합군]] 환영대회에서 대중에게 첫 공개 연설을 하고 있는 [[이승만]] || 그리고 연합국의 [[높으신 분들]]이 판단한 [[이승만]]과 [[김구]] 및 [[여운형]]과 [[김규식]]은 [[수카르노]]와 [[아웅산]]처럼 [[체스#s-4.1|체스 보드]]의 [[폰(체스)|폰]]과 다를 바가 없는 [[따까리]]에 불과했다. 연합국의 [[간택]]이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한 것이다. 이리하여 '''승전 이후의 새질서를 재구성하는''' 회담에서 한국은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미국]]과 [[프랑스]] 및 [[영국]]과 [[네덜란드]]의 [[담합|사전 합의를 바탕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날치기#s-2.1|발효했으니]], 남한과 북한은 일본에 대하여 [[손해배상]] 및 [[국가배상]]과 [[전쟁배상금]]의 [[청구권]]이 전면부정되고 말았다. [[한일합방조약|식민통치의 합법성을 전제로 하여]] [[손실보상]]의 [[청구권]]만 어렵게나마 인정받은 것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간 뒤에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의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1998년 공동성명과]] [[간 나오토]]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의 [[간 담화|2010년 담화]]에서 [[일본 제국]]의 [[일제강점기|한반도 식민통치]]에 대하여 공식 사죄가 있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