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연합국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제2차 세계 대전]][[분류:미영불관계]] [include(틀:다른 뜻, 설명1=문자 그대로의 연합 국가, 문서명1=연방, 설명2=국가들간의 연합, 문서명2=국가연합, 설명3=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승전국, 문서명3=협상국, 설명4=전간기의 국제 기구, 문서명4=국제연맹, 설명5=현재의 국제 기구, 문서명5=유엔)]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efefef,#1f2023><tablebordercolor=#000000><color=#000><bgcolor=#fff> [[연합국|[[파일:연합국 명예기.svg|width=20]]]] '''연합국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연합국 최고 사령관)] ---- [include(틀:세계대전의 진영)] ---- [include(틀:제2차 세계 대전)] ---- [include(틀:유엔 관련 문서)] }}} ||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121212><bgcolor=#fff> '''{{{#000000 {{{+1 연합국}}}[br]聯合國[br]Allies of World War II | Allied Forces}}}''' || ||<-3><bgcolor=#fff> 1939년 ~ 1945년 || ||<-2><width=50%> [[파일:연합국 명예기.svg|width=70%]] || [[파일:유엔기(1945).png|width=70%]] || ||<-2><bgcolor=#fff> '''연합국 의전기'''[br]{{{-2 (1943년 ~ 1948년)}}} ||<bgcolor=#fff> '''연합국 휘장'''[br]{{{-2 (1945년)}}}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추축국/지도.png|width=100%]]}}} || ||<-3><bgcolor=#fff> {{{+1 {{{#63b84d ■}}}}}} 연합국 (연합국의 점령지 및 식민지)[br]{{{+1 {{{#00BFFF ■}}}}}} [[추축국]], 공동 교전국과 식민지[br]{{{+1 {{{#4af020 ■}}}}}} [[진주만 공습]]([[1941년|1941.]][[12월|12.]]) 이후 연합국[br]{{{+1 {{{#e1e1e1 ■}}}}}} 중립국 || ||<width=25%><bgcolor=#fff> {{{#000000 '''전쟁'''}}} ||<-2>[[제2차 세계 대전]] || ||<width=25%><bgcolor=#fff> {{{#000000 '''결과'''}}} ||<-2>승전 || ||<width=25%><bgcolor=#fff> {{{#000000 '''성립'''}}} ||<-2>[[1942년]] [[1월 1일]] (연합국 공동 선언) || ||<bgcolor=#fff> {{{#000000 '''역사'''}}} ||<-2>[[1921년]] [[2월 19일]] 프랑스-폴란드 동맹[br][[1939년]] [[8월 25일]] 영국-폴란드 동맹[br]1939년 [[9월 12일]] 영불 최고전쟁위원회 개회[br][[1941년]] [[8월 14일]] [[대서양 헌장|대서양 회의]][br][[1942년]] [[5월 26일]] 영국-소련 동맹[br][[1943년]] [[11월 22일]] [[카이로 회담]][* 동년 [[12월 1일]] [[카이로 선언]] 발표][br][[1944년]] [[7월 1일]] 브레튼우즈 회담[br][[1945년]] [[2월 4일]] [[얄타 회담]][br]1945년 [[6월 26일]] [[유엔 헌장]] 공포[br]1945년 [[7월 17일]] [[포츠담 회담]][* 동년 [[7월 26일]] [[포츠담 선언]] 발표][br]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br]1945년 [[10월 24일]] 유엔 정식 발족 || ||<width=25%><bgcolor=#fff> {{{#000000 '''후신'''}}} ||<-2>[[유엔]](UN)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width=600><width=50%><table align=center><nopad> [[파일:external/www.peacepalacelibrary.nl/07_007-1000x1397.jpg|width=100%]] ||<width=50%><nopad> [[파일:united we are strong.png|width=100%]] || ||<bgcolor=#fff,#000> {{{-2 '''{{{+2 연합}}}'''[br]연합국은 자유를 위해 싸운다.}}}[* 단수동사 fights가 아니라 복수동사 fight를 썼다. 여기서 United Nations란 후대의 국제기구처럼 단일 조직을 뜻하는 게 아니라 나라들이 모인 상태인 복수형 일반명사다.] ||<bgcolor=#fff,#000> {{{-2 '''연합'''한 우리는 강합니다.[br]'''연합'''한 우리는 승리합니다.}}} || '''연합국'''([[聯]][[合]][[國]], the Allies)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켜 그 전쟁으로 [[세계 정복]]을 시도한 [[추축국]]을 저지하기 위해 연합한 국가들을 말한다. [[1942년]] 이후에는 United Nations(UN)이라는 영문 명칭도 사용됐는데, 이 연합국이 전후 국제기구로 개편된 것이 오늘날의 [[유엔]]이다. 2차 대전이 끝난 후에도 세계 질서는 [[냉전|미국과 소련의 양극 체제]]를 거쳐 다극 체제, 미국 일극 체제에 이르기까지 구 연합국의 구성국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미국 참전 이전의 연합국들[* [[영국]], [[자유 프랑스|프랑스]], [[중화민국 국민정부|중화민국]], [[소련]]]은 그냥 'Allies'(연합)라 불렸지만,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이 본격적으로 연합국에 참전한 이후 1942년 연합국 공동 선언(Declaration by United Nations)이 체결되면서 'United Nations'라고 불리기 시작했고, 전후에 즈음하여 유엔 헌장을 발족하며 이 연합국 공동 선언을 확대, 개편한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국제기구인 [[유엔]]이다.[*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LN)의 후신이기도 하다.] 연합국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유럽 원정군 최고사령관]]과 [[더글러스 맥아더|태평양 최고사령관]]을 두어 분리된 조직 체계를 갖추었다. 전후 일본을 통치하기 위해 연합국 최고사령관직이 신설되었고 이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연합국 최고사령관이 [[유엔군사령부]]를 지휘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일본의 군정이 끝나면서 연합국 최고사령관은 일본 군정사령관에서 유엔군사령관으로 그 지위가 바뀌었고 이후 공식적인 명칭도 [[유엔군사령관]]으로 바뀌었다. 실제로 [[중국]]과 [[북한]]에서는 유엔을 각각 联合国/련합국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 오랫동안 통용되었던 명칭인 "국제연합"은 추축국의 일원이자 연합국의 적이었던 [[일본]]이 번역한 용어인데, 현재는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영문 이니셜 UN을 그대로 읽은 [[유엔]]으로 표기 및 지칭하고 있다. 영어 명칭은 복수형 명사라 여러 나라의 모임이라는 느낌을 주지만,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표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단일 조직 혹은 조직의 회원국처럼 보이는 느낌을 준다. 문법 및 뉘앙스 차이 때문에 번역 시 어려운 점. 연합국의 핵심 국가인 [[미국]], [[영국]],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프랑스]], [[중화민국 국민정부|중화민국]], [[소련]]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제4공화국]]이 출범하면서 [[프랑스 임시정부]]의 상임이사국 지위를 계승했고, 1971년 중화민국이 유엔을 탈퇴하는 형식으로 [[중국]]이 상임이사국 지위를 접수했고, 1991년에는 [[소련 해체|소비에트 연방의 해체와 함께]] [[러시아 연방]]이 상임이사국 지위를 계승했다. == 연합국 목록(유엔 총회 창립국) == === 주요 연합국(유엔 [[상임이사국]])[* [[자치령]]과 [[자치정부]]를 포함한다.]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5]] '''[[미국|미합중국]]''' - [[진주만 공습|일본 제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이후 독일에게도 선전포고를 받아 유럽전선에도 공식적으로 참전한다.]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width=25]] [[필리핀 자치령]] - [[남방작전|일본 제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대영제국]]''' -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와의 상호방위조약 이행.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width=25]] [[캐나다 자치령]] - [[영국|본국 정부]]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자치령]] - [[영국|본국 정부]]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뉴질랜드 자치령]] - [[영국|본국 정부]]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25]] [[남아프리카 연방]] - [[영국|본국 정부]]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width=25]] [[인도 제국]] - [[남방작전|일본 제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영국|종주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 공화국]]''' →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width=25]] [[자유 프랑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임시정부]]''' - 폴란드와의 상호방위조약 이행.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중화민국 국민정부|중화민국]]''' - [[중일전쟁|일본 제국과의 전쟁 수행]] 도중 [[진주만 공습]]을 계기로 합류. *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5]]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바르바로사 작전|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실질적인 참전은 [[폴란드 침공]] 이후.]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5]] [[몽골 인민 공화국]] - [[소련|종주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1936년]]의 [[http://docs.historyrussia.org/ru/nodes/138774-protokol-vzaimopomoschi-mezhdu-soyuzom-sovetskih-sotsialisticheskih-respublik-i-mongolskoy-narodnoy-respublikoy-ulan-bator-hoto-12-marta-1936-goda|몽골-소련 상호원조의정서]]와 [[http://docs.historyrussia.org/ru/nodes/111866-protokol-o-vzaimopomoschi-mezhdu-soyuzom-sovetskih-sotsialisticheskih-respublik-i-mongolskoy-narodnoy-respublikoy-12-marta-1936-g|몽골-소련 공수동맹]]에 바탕한 것이다. 몽골의 변방을 지키는 몽소 연합군([[몽골군]]과 [[소련군]])은 일만 연합군([[일본군]]과 [[만주군]])을 격파한 [[할힌골 전투]]를 경험했고, [[독소전쟁]] 시기에는 후방에서 열심히 군수물자를 지원했으며, [[일본 제국]]의 뒤통수를 치는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도 합동으로 참가했기 때문에 몽골에서는 역사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몽골과 연합국이 승리한 전쟁으로 보고 기념하고 있다. 수도 [[울란바토르]]의 자이승 승전탑이 몽골의 제2차 세계 대전 승전을 기념하는 탑이다. 그러나 1950년에 이르러 [[국공내전]]에서 완패한 [[중화민국]] 정부가 [[상임이사국]] 자리를 [[하나의 중국|사수하겠다는]] [[대만/외교|외교전략을]] 실행하면서 몽골이 국제사회에 인정받는 것을 방해했기 때문에 건국한 이래로 40여년이나 지난 [[1961년]]에서야 [[유엔 총회]]의 회원국으로 가입했으며, [[1987년]]이 되어서야 [[미국]]이 몽골의 [[주권]]을 승인했다.]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width=25]] [[투바 인민 공화국]] - [[소련|종주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전쟁 후반인 1944년 소련에 합병됨. === 기타 연합국(유엔 총회 회원국)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왕국]] - [[노르웨이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그러나 중립국이면서 군사적 요충지였던 노르웨이를 연합국과 추축국 모두 침략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영국은 독일이 노르웨이를 침략하기 직전까지도 노르웨이 침공([[윌프레드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으니, 노르웨이는 고작 며칠 차이로 추축국이 될 수도 있었으나 연합국이 되었다.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5]] [[그리스 왕국]] - [[그리스 침공|이탈리아 왕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왕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왕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5]] [[룩셈부르크 대공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왕국]] - [[노르웨이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 사실 이것도 논란이 있다. 덴마크는 독일에 선전포고도 하지 않았고, 침공한 시점부터 하루도 안되어서 항복하였다. 항복 이후엔 [[덴마크 보호령]]이 되어 독일과 협력한다.][* 무려 4시간 만에 항복했다.나중에 덴마크인들이 [[오성홍기]]에 [[코로나바이러스]]를 합성한 사진을 올리면서 중국을 조롱하자 중국 네티즌들은 덴마크 국기의 십자가를 4시간이란 글자로 채워넣어 응수했다.]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유고슬라비아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페타르 2세]]가 제대로 싸우지 않은 채로 [[빤스런]]한 덕택에 그를 추종하는 왕당파가 세운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를 [[인과응보|아주 확실하게 멸시한]] 미국과 영국의 후원으로 참전.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 공화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망명정부]]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임시정부]] - [[폴란드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한편 독일과 함께 폴란드를 침공한 소련은 독소전쟁이 터지자 괴뢰정부인 폴란드 임시정부를 수립, 망명정부 승인을 거부한다. 이로인해 많은 희생에도 망명정부는 냉전의 시작 전까지 동맹국들로부터 승전국 인정을 받지 못했고 냉전이 끝나고서야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나치 독일이 합병한 [[체코슬로바키아]] 본토의 탈환과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시스트 슬로바키아]] 토벌을 위해 참전. *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width=25]] [[팔라비 왕조|이란 제국]] - [[페르시아 침공|영국과 소련의 침공]]에 굴복하여 강제로 참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공화국]] - 연합국 진영과 추축국 진영의 가운데에 끼인 묘한 위치에 있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큰 피해를 보았기 때문에 1939년의 [[https://www.youtube.com/watch?v=598xp9n5r2c|영국-프랑스-튀르키예 상호원조조약]]을 비준한 직후에 발효 시점을 무기한으로 연기하는 결단을 내렸으며, 1941년의 [[https://en.wikipedia.org/wiki/German-Turkish_Treaty_of_Friendship|나치 독일-튀르키예 우호조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중립을 지켰다. 추축국 진영에 대하여 친선우호를 표방하면서 연합국 진영에 대하여 상호협력을 표방하는 양다리를 걸쳤지만, 전세가 완전히 기울자 3개국(미국과 영국과 소련)의 압력에 굴복하여 형식적인 선전포고를 했다.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1938-1973).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 병력을 직접 파견한 적은 없지만, 1939년 9월에 나치 독일과 단교했으며, 1941년 8월에 일본 제국과 단교했다. 그리고 연합국에 [[석유]]를 지원하며 동부 지역에 미국 공군 기지를 짓는 걸 허용했다가 1945년 2월 28일에 추축국에 선전포고했다. 그냥 미국에 줄서기한 것 같지만 엄연한 연합국이자 유엔 총회의 원년 멤버다.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25]] [[에티오피아 제국]] - [[영국군|영군]]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에티오피아 전역을 해방한 덕택에 참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width=25]] [[이집트 왕국]] - [[북아프리카 전역|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영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이집트 왕국은 명목상 독립국이었으나 실질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25]] [[라이베리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25]] [[브라질 제2공화국|브라질 합중국]] - [[U보트]]의 상선 공격에 격분하여 참전. 남아메리카 대륙의 나라들 가운데 유일하게 [[https://en.m.wikipedia.org/wiki/Brazilian_Expeditionary_Force|육군도 파병하여]]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되었다.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width=25]] [[멕시코]]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이후 [[U보트]]의 공격으로 자국 함선이 침몰하자 태평양 전쟁에 공군을 파병하였다.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5]] [[콜롬비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30–2006).svg|width=25]] [[베네수엘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5]] [[페루]]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width=25]] [[아르헨티나]]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본래 남미의 대표적인 친독일 성향의 국가였으나 나치를 피해 도망친 사람들이 대거 몰린 국가였고[* [[볼펜]]을 발명한 신문기자 비로 라슬로(Bíró László) 역시 나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도망친 사람이다.], 거기에 농업국가이기까지 해서 연합국의 군수사령부를 담당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엄연한 연합국이자 유엔 총회의 원년멤버다.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5]] [[볼리비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width=25]] [[에콰도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파라과이 국기(1842-1954).png|width=25]] [[파라과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쿠바 국기.svg|width=25]] [[쿠바 공화국(1902~1959)|쿠바]]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25]] [[파나마]] - 진주만 공습에 따른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1906-1964).png|width=25]] [[코스타리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도미니카 공화국]]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25]] [[엘살바도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width=25]] [[아이티]]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width=25]] [[온두라스]]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width=25]] [[니카라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25]] [[과테말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연합국 의전기 == ||<-2><width=50%><bgcolor=#f5f5f5,#1f2023> [[파일:연합국 명예기.svg|width=75%]] ||<width=50%><bgcolor=#f5f5f5,#1f2023> [[파일:유엔기(1945).png|width=70%]] || ||<-2><rowbgcolor=#fff> {{{#000000 '''연합국 의전기[br]{{{-2 (1943-1948)}}}'''}}} || {{{#000000 '''연합국 휘장[* 대전 말기인 [[1945년]] [[6월 26일]] 공포되었던 《연합국 헌장(유엔 헌장)》 전면부에 나타난 연합국의 휘장. 오늘날 유엔기와 휘장의 전신이며, 대륙의 배치 각도가 현재의 것과 조금 다르다.][br]{{{-2 (1945)}}}'''}}} || 연합국 의전기 (United Nations Honour Flag), 네 가지 자유기(Four Freedoms Flag)라고도 불리며, '네 가지 자유'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1941년]] [[1월 6일]] 연두교서에서 제창해 후일 연합국과 유엔의 기조로 채택된 가치를 말한다. 각각 '[[표현의 자유|표현과 연설의 자유]]', '[[신앙의 자유]]', '[[사회권|결핍으로부터의 자유]]', '[[자연권|공포로부터의 자유]]'이다. 연합국 구성원으로부터 공인받지는 못했으나, 일부 외교 행사에서 게양되거나 연합국의 심볼로 사용되어 1943년에서 종전 이후인 약 1948년까지도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공식적인 유엔의 기가 사용되었다. 연합국의 명예와는 상관없이 의전용으로 쓰인 깃발이라 의장기(儀仗旗) 내지는 의전기(儀典旗)로 부르는 것이 맞다. 비슷한 사례로 의장대도 영문 명칭은 'Hono(u)r Guard'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합국인가? == [[미국 연방정부]]는 1945년 6월 8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하여 주권의 승인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연합국이 아니라고 확실하게 못박았다. 연합국의 자격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전국들 가운데 ㉮[[1940년대]]에 가입한 [[유엔 총회]]의 원년멤버, ㉯[[1939년]] 시점에서 ㉮의 [[속국]], ㉰[[1941년]] 시점에서 ㉮와 정식으로 체결한 공수동맹이 확실하게 유효한 나라인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것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의회]]와 [[미국 정부|행정부]]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견해 차이, [[조선의용군|좌익계 독립운동세력]]의 임시정부 불인정,[* [[존 리드 하지|하지]]가 [[맥아더]]에게 올린 보고서에서 [[한국인]]의 70%가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세력을 지지한다고 기재했다.] [[김구]]의 비타협적인 태도도 연합국 인정 여부에 상당한 마이너스로 작용했다, 자세한 건 [[대한민국 임시정부/법통 논란]]의 "북한 및 해외의 입장"과 [[김구/평가]] 참조. 다만 이는 임시정부 자체를 연합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뜻이지 임시정부 구성원들의 연합국에 대한 기여까지 부정한다는 뜻은 아니었으며[* 예로, 영어 위키백과의 태평양 전쟁 문서에서는 말레이 인민항일군, 베트민(베트남), 자유 타이 운동(태국), 후크발라합(필리핀) 등과 함께 연합군에 협력한 저항군으로 나온다.], 이 때문에 [[미군정]]은 임시정부 구성원들이 개인 자격으로 [[한반도]]에 돌아오는 것을 허락해주었으며 [[워싱턴 D.C.]]의 연방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임시정부 귀국 환영대회를 지원했다.[* [[존 리드 하지|하지]] 군정장관에 대한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와 [[여운형]]의 건의도 여기에 큰 역할을 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의 승인을 받지 못했던 이유는 위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한반도]]를 둘러싼 연합국 구성원들의 이해관계 충돌'''이었다. [[중화민국]] 입장에선 자신들과 우호관계에 있는 임시정부를 연합국에 편입시키고 싶었을 것이고, [[미국]]과 [[소련]]에겐 자신들의 통제 밖에 있는 임시정부는 전후 한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었다.[[https://news.v.daum.net/v/20220414114224073|#관련 기사]] 그나마 미국은 군정의 테두리 안에서 임시정부 구성원들을 끌어들이려고 했으나, 소련은 그마저도 하지 않고 [[김일성]]이 속했었던 [[동북항일연군]] 계열로 [[북한|친소 정부]]를 수립하려고 했다.[* 원래는 통일정부를 수립한 후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친소적 환경을 조성하려 했으나 남한 내 반공주의 세력이 강해지자 북한을 확실한 공산국가로 만드는 것으로 노선을 바꾼다.] 처음 미국은 임시정부가 끈질기게 법통을 주장하자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비롯한 국내파를 지원하는데 냉전이 격화되면서 좌우합작을 지향하는 국내파는 완전히 유기되었다. 그 결과 [[남한]]은 [[제헌국회]]에 의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름]]을 국호로 삼았으나, 북한은 독자적인 국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남북한은 각각 자신들의 정통성 뿌리를 [[대한민국 임시정부]](남한)와 [[동북항일연군]](북한)에 두고 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nopad> [[파일:Syngman Rhee's Speech at Korean Victory Day.jpg|width=100%]] || || 1945년 10월 20일, [[중앙청]]에서 열린 [[연합군]] 환영대회에서 대중에게 첫 공개 연설을 하고 있는 [[이승만]] || 그리고 연합국의 [[높으신 분들]]이 판단한 [[이승만]]과 [[김구]] 및 [[여운형]]과 [[김규식]]은 [[수카르노]]와 [[아웅산]]처럼 [[체스#s-4.1|체스 보드]]의 [[폰(체스)|폰]]과 다를 바가 없는 [[따까리]]에 불과했다. 연합국의 [[간택]]이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한 것이다. 이리하여 '''승전 이후의 새질서를 재구성하는''' 회담에서 한국은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미국]]과 [[프랑스]] 및 [[영국]]과 [[네덜란드]]의 [[담합|사전 합의를 바탕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날치기#s-2.1|발효했으니]], 남한과 북한은 일본에 대하여 [[손해배상]] 및 [[국가배상]]과 [[전쟁배상금]]의 [[청구권]]이 전면부정되고 말았다. [[한일합방조약|식민통치의 합법성을 전제로 하여]] [[손실보상]]의 [[청구권]]만 어렵게나마 인정받은 것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간 뒤에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의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1998년 공동성명과]] [[간 나오토]]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의 [[간 담화|2010년 담화]]에서 [[일본 제국]]의 [[일제강점기|한반도 식민통치]]에 대하여 공식 사죄가 있었다. == 찬가 == ||<nopad> [youtube(ziMMgvy4OP8)] || ||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의 가사가 있는 버전 || 비공식 찬가로 [[United Nations on the march]]이 있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작곡한 The Song of the Counterplan 이라는 영화 [[OST]]에 [[https://en.wikipedia.org/wiki/Harold_Rome|해롤드 롬]] 가사를 붙여서 만들어진 노래다. 이 노래는 연합국 군가로서 선정영화나 전시장병들에게 쓰였지만 공식적인 군가의 위치를 얻지는 못했다. == 관련 문서 == *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Allied_commands_of_World_War_II|연합군사령부 목록]] [각주]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