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연합국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연합국(유엔 총회 회원국)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왕국]] - [[노르웨이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그러나 중립국이면서 군사적 요충지였던 노르웨이를 연합국과 추축국 모두 침략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영국은 독일이 노르웨이를 침략하기 직전까지도 노르웨이 침공([[윌프레드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으니, 노르웨이는 고작 며칠 차이로 추축국이 될 수도 있었으나 연합국이 되었다.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5]] [[그리스 왕국]] - [[그리스 침공|이탈리아 왕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왕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왕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5]] [[룩셈부르크 대공국]] - 프랑스를 침공한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맞이하여 참전.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왕국]] - [[노르웨이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 사실 이것도 논란이 있다. 덴마크는 독일에 선전포고도 하지 않았고, 침공한 시점부터 하루도 안되어서 항복하였다. 항복 이후엔 [[덴마크 보호령]]이 되어 독일과 협력한다.][* 무려 4시간 만에 항복했다.나중에 덴마크인들이 [[오성홍기]]에 [[코로나바이러스]]를 합성한 사진을 올리면서 중국을 조롱하자 중국 네티즌들은 덴마크 국기의 십자가를 4시간이란 글자로 채워넣어 응수했다.]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유고슬라비아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페타르 2세]]가 제대로 싸우지 않은 채로 [[빤스런]]한 덕택에 그를 추종하는 왕당파가 세운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를 [[인과응보|아주 확실하게 멸시한]] 미국과 영국의 후원으로 참전.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 공화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망명정부]]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5]] [[폴란드 임시정부]] - [[폴란드 침공|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참전. 한편 독일과 함께 폴란드를 침공한 소련은 독소전쟁이 터지자 괴뢰정부인 폴란드 임시정부를 수립, 망명정부 승인을 거부한다. 이로인해 많은 희생에도 망명정부는 냉전의 시작 전까지 동맹국들로부터 승전국 인정을 받지 못했고 냉전이 끝나고서야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나치 독일이 합병한 [[체코슬로바키아]] 본토의 탈환과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시스트 슬로바키아]] 토벌을 위해 참전. *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width=25]] [[팔라비 왕조|이란 제국]] - [[페르시아 침공|영국과 소련의 침공]]에 굴복하여 강제로 참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공화국]] - 연합국 진영과 추축국 진영의 가운데에 끼인 묘한 위치에 있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큰 피해를 보았기 때문에 1939년의 [[https://www.youtube.com/watch?v=598xp9n5r2c|영국-프랑스-튀르키예 상호원조조약]]을 비준한 직후에 발효 시점을 무기한으로 연기하는 결단을 내렸으며, 1941년의 [[https://en.wikipedia.org/wiki/German-Turkish_Treaty_of_Friendship|나치 독일-튀르키예 우호조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중립을 지켰다. 추축국 진영에 대하여 친선우호를 표방하면서 연합국 진영에 대하여 상호협력을 표방하는 양다리를 걸쳤지만, 전세가 완전히 기울자 3개국(미국과 영국과 소련)의 압력에 굴복하여 형식적인 선전포고를 했다.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1938-1973).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 병력을 직접 파견한 적은 없지만, 1939년 9월에 나치 독일과 단교했으며, 1941년 8월에 일본 제국과 단교했다. 그리고 연합국에 [[석유]]를 지원하며 동부 지역에 미국 공군 기지를 짓는 걸 허용했다가 1945년 2월 28일에 추축국에 선전포고했다. 그냥 미국에 줄서기한 것 같지만 엄연한 연합국이자 유엔 총회의 원년 멤버다.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25]] [[에티오피아 제국]] - [[영국군|영군]]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에티오피아 전역을 해방한 덕택에 참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width=25]] [[이집트 왕국]] - [[북아프리카 전역|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의 기습 공격]]을 맞이하여 영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이집트 왕국은 명목상 독립국이었으나 실질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25]] [[라이베리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25]] [[브라질 제2공화국|브라질 합중국]] - [[U보트]]의 상선 공격에 격분하여 참전. 남아메리카 대륙의 나라들 가운데 유일하게 [[https://en.m.wikipedia.org/wiki/Brazilian_Expeditionary_Force|육군도 파병하여]] 이탈리아 전선에 배치되었다.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width=25]] [[멕시코]]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이후 [[U보트]]의 공격으로 자국 함선이 침몰하자 태평양 전쟁에 공군을 파병하였다.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5]] [[콜롬비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1930–2006).svg|width=25]] [[베네수엘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5]] [[페루]]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width=25]] [[아르헨티나]]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본래 남미의 대표적인 친독일 성향의 국가였으나 나치를 피해 도망친 사람들이 대거 몰린 국가였고[* [[볼펜]]을 발명한 신문기자 비로 라슬로(Bíró László) 역시 나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도망친 사람이다.], 거기에 농업국가이기까지 해서 연합국의 군수사령부를 담당했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엄연한 연합국이자 유엔 총회의 원년멤버다.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5]] [[볼리비아]]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width=25]] [[에콰도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파라과이 국기(1842-1954).png|width=25]] [[파라과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쿠바 국기.svg|width=25]] [[쿠바 공화국(1902~1959)|쿠바]]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25]] [[파나마]] - 진주만 공습에 따른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1906-1964).png|width=25]] [[코스타리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도미니카 공화국]]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25]] [[엘살바도르]]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width=25]] [[아이티]]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width=25]] [[온두라스]]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width=25]] [[니카라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25]] [[과테말라]] - 미국의 전쟁 수행에 합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