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시인(문학)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인'''([[詩]][[人]], poet)은 [[시]]를 쓰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을 말한다. == 특징 == [[문예]] 관련 '''직업''' 중 하나이지만 오로지 시만 써서 먹고 사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직업'''으로는 기능하지 않는다.[* 단적인 예로 특별한 몇 명 정도를 제외한다면 '시집'을 순수하게 기획출판으로만 내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설령 시인이 일절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기획출판으로 낸 시집이라고 하더라도 이후 어떤 이유로든 시인 본인이 [[책]]을 대량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 사실상 반기획출판이나 자비출판이라고 봐야한다.] 대부분 다른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 틈틈이 시를 써서 발표하거나 시집을 출간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시인이라고 해도 [[기자]], [[소설가]], 작사가 등 본업이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 상대적으로 [[소설]]이나 [[에세이]]에 비해 시는 분량이 짧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아 [[문학]], 비문학을 가리지 않고 [[작가]]들 중에는 시를 쓰는 것으로 창작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고 현업 소설가나 논픽션 작가들 중에도 시를 쓰는 사람이 많다. [[기자]]나 [[소설가]] 등 [[글]] 쓰는 직업이 대부분 그렇듯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기자라고 하면 공인받은 [[언론사]]에 소속된 [[직원]]을 생각하는 것과 같이 시인이라는 직업으로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으려면 어느 정도 기반이 있어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에 한정해 [[명함]]에 시인이라는 이름을 대놓고 박으려면 [[출판사]]나 기타 단체를 통해 [[등단]]을 해야 한다.[* [[일본]]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등단 제도를 뿌리 박은 등단 제도의 원조이고 여전히 등단 제도가 있지만 [[대한민국]]처럼 고집스럽게 버티고 있는 편은 아니다.] 압도적인 [[인기]]로 시 [[장르]] 자체를 견인한 거나 마찬가지였던 [[원태연]] 정도만이 비등단 시인 중에 그나마 공식적으로 시인으로 취급받으며[* 원태연을 '시인'에서 빼 버리면 대한민국 출판 시장에서 시가 차지하는 위상 자체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등단도 안한 가짜라고 욕하면서도 시인이라 불리는 걸 틀렸다고 지적하지 못하는 문단 고인물들의 심정--] 그 외에는 비등단일 경우 공식적으로 [[언론]] 등을 통해 '시인' 취급받는 건 어림도 없다.[* 간혹 비등단 시인들의 존재를 소개하고 알리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 때문에 분위기가 나아지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는데 그런 보도를 하는 언론의 대부분은 자체적으로 등단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곳들이다.] [[분위기]]가 이런 탓인지 몰라도 [[하상욱]] 같은 종류의 대중 시를 쓰는 사람들은 스스로 '시인'이라 칭하지 않고 시를 쓰는 작가라느니 하는 식으로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작가들의 작품이 시에 합당하냐는 논란이 있으므로 '시인' 취급 못 받는 건 당연하다고 생가할 수 있는데 [[외국]]의 경우 비슷한 수준의 시거나 이보다 더 못한 수준의 글을 시라고 출간해놓고 시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고, 기성 시인들이나 기성 시의 [[독자]]들도 그런 신인들의 작품을 개별적으로 까내리기는 해도 시를 쓰는 사람으로서의 자격을 감히 문제 삼지는 않는다.] 한국의 이런 분위기가 단순히 문단 권력 때문만이 아니라 시를 쓰는 작가들 개개인에 대해 직업에 대한 호칭으로는 적절치 않은 '시'''인''''이라는 호칭만을 사용하는 분위기 자체가 문제의 원인이라는 시각도 있다. 누구에게나 [[인생]]은 시인데, 시를 전문적으로 써내는 직업이라는 말이 모순되는 면은 분명 있다. 시인이라는 명찰을 달기에는 너무 부족한 직업이다. 문학의 범위는 [[예술]]이기 때문에 항상 논쟁이 있는 분야이고, 특히 시는 고전 시가에서 현대시로 넘어오면서 정형성이 무너졌기에 그 [[정체성]]이 모호하여 어디까지가 시인지 딱 잘라 떨어지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가면 글 쓴 사람이 이건 시가 맞다고 하면 그게 [[인터넷]]에 떠도는 좋은 글귀던 장편소설 분량의 책이건 한 편의 시라고 할 수 있다. 즉 시를 정의하는데 분량과 수준은 무관하다. 다만 시인의 입지가 좁은 한국에서는 이런 태도가 시를 만만하게 만드는데 일조한다고 두려움을 느끼는지 상당히 시를 정의내리는 데에 보수적인 편이다.[* 해외 유명 소설가들이나 작가들이 '기분 전환 삼아 취미 삼아 시를 쓴다' 같은 말을 얼마나 아무렇지도 않게 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된다. 만약 한국이었다면 시를 만만하게 봤다고 난리났을 것이다.] [[예술가]]가 대부분 그러하지만 짧은 분량에 들이는 긴 작업 시간이나 일정한 퀄리티를 마감에 맞춰 생산하기 힘든 --업계 분위기나-- 시 창작의 특징 때문에 재정적으로 풍족하기 어려운 직업이다. 시만 쓰다간 굶어 죽을 각오하라는 말까지 있다. 그렇다보니 현역 [[초등교사]]나 중등 [[국어교사]]거나 그 출신인 시인들이 많은 편이다. 교사의 겸직은 금지되지만 창작 분야는 예외이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지만 엄밀히 말해 어차피 돈 벌기 힘든 시라서 그렇다는 게 정설이다. 교사 뿐만 아니라 겸직이 금지인 직장을 다니며 소설이나 다른 긴 호흡의 글을 쓰는 작가들은 대부분 익명으로 몰래 활동한다.--운이 좋으면 [[월급]]보다 많이 버니까-- 어떤 [[직장(장소)|직장]]이건 시인 활동이 허용되는 대부분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시인은 '겸직'에 해당하는 '직업'으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허영만]] 만화 "[[커피]] 한 잔 할래요?" 에서도 출판사 편집장이 시를 쓰고 싶어하는데 도저히 직업 가진 채로 못 쓰겠다고 하여 그만두려는데 [[선배]]인 시인이 미친 소리 작작하라며 말리는 게 나온다. [[영국]]에는 계관시인(桂冠詩人, Poet Laureate)이라는 직책이 있다. 여기서 계관이란 [[월계수]]로 만든 [[월계관]]을 뜻한다. 계관시인은 [[윈저 왕조|왕실]]의 경조사 때 시를 짓고 낭송하는 일을 한다. 직책 자체는 아직도 남아 있는데, [[현대]]에는 뛰어난 시인에게 부여하는 일종의 명예 호칭에 가깝다. 명예직이지만 종신직이며 [[연금]]은 지급한다고. [[미국]]에서 가장 최근의 [[청년]] 계관시인(National Youth Poet Laureate)은 아맨다 고먼(Amanda Gorman)이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1/01/22/ONX4OVGZLBF25KA7YBOB2DZXXU/?outputType=amp|#]] [youtube(2mTmTdOgv0M)] == 목록 == === 한국 === * [[강민숙(시인)|강민숙]] * [[강요식]] * 강정 * [[강현국]] * [[고성만]] * [[고은(시인)|고은]]: [[본명]]은 고은태 * [[고원]] * [[고정희]] * [[고주희(시인)|고주희]] * [[곽재구]] * [[구광렬]] * [[구상(시인)|구상]] * 권서각 * [[기형도]] * [[김갑수(시인)|김갑수]] * [[김경주]] * [[김관식]] * [[김광규(시인)|김광규]] * [[김광섭]] * [[김광협(언론인 및 시인)|김광협]] * [[김규동]] * [[김규화]] * [[김규환(1946)|김규환]] * [[김기동(목사)|김기동]] * [[김기준(1966)]] * [[김남조]] * [[김남주(시인)|김남주]] * 김락호 * [[김동명(시인)|김동명]] * [[김동민(시인)|김동민]] * [[김동환(시인)|김동환]] * [[김명인]] * [[김민정(시인)|김민정]] * [[김리윤]] * [[김삿갓]]: 본명은 김병연 * [[김상용(시인)|김상용]] * [[김선태(시인)|김선태]] * [[김소월]]: 본명은 김정식 * [[김수복]] * [[김수영(시인)|김수영]] * [[김영민(성우)|김영민]]: [[KBS]] 18기 [[성우]]로, [[2013년]]에 월간 창조문예에 늦깎이 등단하여 성우 겸 시인이 되었다. * [[김영랑]] : 본명은 김윤식 * [[김영자(시인)|김영자]] * [[김용락(1959)|김용락]] * [[김용택]] * [[김윤한]] * [[김종길(시인)|김종길]]: 본명은 --김치달(金致達)이 아닌-- 김치규(金致逵) * [[김종삼(시인)|김종삼]] * [[김종철(1947년 2월)|김종철]] * [[김준태(시인)|김준태]] * [[김지율(시인)|김지율]] * [[김지하]] : 본명은 김영일 * [[김진완(시인)|김진완]] * [[김참]] * [[김춘수]] * [[김현승]] * [[김행숙]] * [[김혜순]] * [[김희준(시인)|김희준]] * [[나태주(시인)|나태주]] * [[노천명]] * [[노혜경]] * [[도종환]] * [[류시화]] * [[마종기]] * [[모윤숙]] * [[문병란]] * [[문부식(시인)|문부식]] * [[문상명]] * [[문태준(시인)|문태준]] * [[박경석(1933)|박경석]] * [[박노해]]: 본명은 박기평. '노해'는 '노동해방'의 약자다. * [[박두진]] * [[박목월]]: 본명은 박영종 * 박영애 * [[박용래(시인)|박용래]] * [[박인환(시인)|박인환]] * [[박재삼]] * [[박진성(시인)|박진성]] * [[박철언]] * [[박태희(YB)|박태희]] * [[배수연(시인)|배수연]] * [[배한봉]] * [[백석(시인)|백석]]: 본명은 백기행 * [[박준(시인)|박준]] * [[박철]] * [[변영로]]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1023635|변혜지]] * 서윤후: 제 19회 박인환 문학상을 수상했다 * [[서정윤]] * [[서정주]] * 성기완 * 성봉수 * [[성석제]]: 소설가로 유명하지만 본래 시인으로 등단하였고, 오히려 소설에서 등단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 [[손경찬]] * [[송기원(작가)|송기원]] * [[송승환(시인)|송승환]] * [[신경림]] * [[신동엽(시인)|신동엽]] * [[신동호(시인)|신동호]] * [[신석정]] * [[신용목]] * [[심훈]] * [[성다영]] * [[성희직]] * [[안도현]] * [[안학수(시인)|안학수]] * 양상용 * [[양성우(시인)|양성우]] * 엄환섭 * [[염은초]] * [[오규원]] * [[오민석(1958)|오민석]] * [[오성인]] * [[오장환]] * [[오탁번]] * [[우호태]] * [[원태연]] * [[유경환]] * [[유치환]] * [[윤동주]] * [[윤석중]] * [[윤재걸]] * [[이광웅]] * [[이산하]]: 본명은 이상백 * [[이상(작가)|이상]]: 본명은 김해경으로, 한국 난해시의 최고봉이라고 불리는 [[오감도]]를 쓴 시인. 오감도 외에도 꽃나무, 이런 시, [[거울(이상)|거울]], 가정 등등 수많은 시를 썼다. * 이상민 * 이상희 * [[이상화(시인)|이상화]] * [[이성복]] * [[이성진(시인)|이성진]] * [[이수명]] * [[이승하]] * [[이시영(시인)|이시영]] * [[이용악]] * [[이육사]]: 본명은 이원록이다. '이육사'는 일제강점기에 [[한국 독립운동|독립운동]]을 하다가 투옥되었을 때의 수인번호인 264를 음차한 것이다. * [[이은상(시인)|이은상]] * [[이장희(시인)|이장희]] * [[이정록(1964)|이정록]] * [[이태극]] * [[이학영]] * [[이형기]] * [[이해인(수녀)|이해인]] * [[이효상]] * [[임화]]: 본명은 임인식 * [[현종대왕|왕순]] * [[장만호]] * [[장옥관]] * [[장정일]] * [[장호강]] * [[전원책]] * [[정끝별]] * [[정라곤]] * [[정상구]] * [[정지용]] * [[정초부]]: [[조선 시대]]의 시인으로, [[천민]] 출신임에도 [[조선]] 후기 가장 뛰어난 시인들의 작품을 모아둔 '병세집(幷世集)'에 그의 시가 11수나 실려 있다. 그 [[재능]]이 뛰어났고 주인의 [[아들]]과 친밀했기 때문에 후에 면천되었으나 평생 가난한 [[나무꾼]]으로 살았던지라 스스로 시집을 출간할 여력이 없었다. 죽은 뒤 [[양반]]들에 의해 '초부유고(樵夫遺稿)'가 나왔을 정도로 그의 시는 양반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 [[정한모]] * 정한용 * [[정현종]] * [[정훈교]] * [[정호승]] * [[정희성]] * [[조명희(시인)|조명희]] * [[조연환]] * [[조용미]] * [[조지훈]]: 본명은 조동탁 * [[조태일]] * [[주요한]] * [[천상병]] * [[최금진]] * [[최남선]] * [[최승범]] * [[최승자]] * [[최승호(시인)|최승호]] * [[최영미]] * 최지인: 2022년 신동엽 문학상을 수상했다. * [[피천득]] * [[하태수]] * [[한강(소설가)|한강]] * [[한용덕(시인)|한용덕]] * [[한용운]] * [[한하운]] * [[함민복]] * [[황순원]]: [[현대인]]들에겐 [[소설가]]로 더 유명하지만, 본래는 시인으로 문학계에 등단했다. 이 때문인지 소설에도 시에서 쓰이는 기법을 많이 쓴다. * [[황인찬]] * [[황지우]]: 본명은 황재우 * [[현종(고려)|현종]]: [[고려]]의 8대 군주. 작은 뱀, 시냇물, [[신증동국여지승람]] 수록된 공주시, 찬양시 등 일부 시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 그 외 국가 === * [[굴원]] * [[기욤 드 마쇼]] * [[기타하라 하쿠슈]] * [[나카하라 츄야]] * [[단테 알리기에리]] * [[두목(당나라)|두목]] * [[두보]] * [[드미트리 스뱌토폴크미르스키]] * [[딜런 토머스]] * [[라도반 카라지치]]: [[보스니아 전쟁]] 당시 [[스릅스카 공화국]]의 [[독재자]]로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인종 청소]]를 자행했지만, 독재를 하는 와중에도 시집을 출간하는 등 시인으로 활동했다.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레너드 코헨]] * [[레미 드 구르몽]] * [[로트레아몽]] *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 * [[리삼월]] * [[마오쩌둥]]: [[철학자]]로 유명하지만, 동시에 시인이자 서예가이기도 하다. * [[마츠오 바쇼]] * [[무라사키 시키부]] * [[미야자와 겐지]] * [[바샤예르 앗샤이바니]] * [[바하두르 샤 2세]] * [[백거이]] * [[베르길리우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브라이텐 브라이텐바흐]] *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 [[사령운]] * [[사포(시인)|사포]] * [[사야트 노바]] * [[상관완아]] * [[샤를 보들레르]]: [[상징주의]] 시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세르게이 예세닌]] * [[세이 쇼나곤]] * [[소식(시인)|소식]]: 일명 '소동파' * [[쉴레이만 1세]]: 무힙비(Muhibbi)라는 필명을 쓰던 시인이기도 했다. * [[스테판 말라르메]] * [[시마자키 도손]] * [[아서 코난 도일]] * [[아담 미츠키에비츠]] * [[알렉산드르 푸시킨]] * [[에드거 앨런 포]] * [[에밀리 디킨슨]] * [[에우리피데스]] * [[예기셰 샤렌츠]] * [[오노노 코마치]] * [[옥타비오 파스]] * [[와카야마 보쿠스이]] * [[왕유(당나라)|왕유]] * [[요사노 아키코]]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월트 휘트먼]]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윌리엄 워즈워드]] * [[응우옌짜이]] * [[이백(시인)|이백]] * [[이상은(시인)|이상은]] * [[이시카와 다쿠보쿠]] * [[이오시프 스탈린]]: 우리가 아는 그 ~~ 인민에게나 적에게나 한결같던 ~~ [[소련 공산당]] [[서기장]], 강철의 [[대원수]]가 맞다. [[조지 S. 패튼|누구]]처럼 자칭 시인이 아니라 정식으로 등단했으며 [[교과서]]에 시가 수록되기도 했던 제대로 된 시인이다. 해당 교과서에 스탈린의 시가 수록된 것은 놀랍게도 스탈린이 집권하기는커녕 정계에 진출하기도 전의 일이고, 그 교과서를 집필하고 스탈린의 시를 수록한 사람도 어중이떠중이가 아니라 [[조지아]]에서 매우 명성이 높은 문학가이자 교육자였다. [[이오시프 스탈린/생애]] 문서에 이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 [[이즈미 시키부]] * [[이하(시인)|이하]] * 임루 알카이스: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의 시인으로 [[킨다 왕국]] 출신이다. * [[자크 프레베르]] * [[잘랄 웃 딘 루미]] * [[장 니콜라 아르튀르 랭보]] * [[존 윌모트]] * [[조비]] * [[조식(삼국지)|조식]] * [[조조]] * [[조지 고든 바이런]] * [[찰스 부코스키]] * --[[쿠보 타이토]]--: 직업이 시인은 아니고 [[만화가]]지만 에피소드의 내용에 맞는 시를 지어 [[만화]]에 삽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쿠보 타이토/권두시]] 문서 참조. * [[타와라 마치]] * [[테라야마 슈지]] * [[파루이르 세바크]] * [[파블로 네루다]] * 파블로 베네하스: [[스페인]]의 시인이지만 그가 지은 시를 계속 [[하비 산 마르틴]]이 [[노래]]로 만들고 있다. 심지어 하비 산 마르틴에게 [[악기]] 다루는 방법까지 배워 [[라 오레하 데 반 고흐|가수 활동]]도 하고 있다. * [[폴 발레리]] * [[퓌줄리]] *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 * [[하기와라 사쿠타로]]: 일본 근대시의 아버지라는 별명도 있으나 한국에서는 게임 캐릭터로 더 인지도가 높은 듯하다. * [[헤르만 헤세]] * [[호메로스]] * [[훈야노 야스히데]] == 관련 항목 == * [[음유시인]] [[분류:시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인, version=214, uuid=ed6a1834-97c7-4ff6-9c79-e338ffe6533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