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슈란츠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2><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tablebordercolor=#000><tablewidth=450><bgcolor=#FEF102><color=#000> '''{{{+1 슈란츠}}}[br]Schranz''' || ||<width=25%><colbgcolor=#FEF102><colcolor=#000><|2> '''기원''' ||^^'''장르'''^^ [[테크노(음악)|테크노]], [[하드코어 테크노]], [[인더스트리얼]], [[EBM]], [[뉴비트]]||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프랑크푸르트]]|| || '''등장 시기''' ||[[1990년대|1980년대 후반]] - [[2000년대|2000년대 초반]] || || '''파생 장르''' ||[[하드코어 테크노]][* 사실 두 장르는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많은 점이 유사한 장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nopad> [youtube(68OV6C7_7LQ, height=280)] ||<nopad> [youtube(jzdn-lAotrg, height=280)] ||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FEF102><rowcolor=#000> '''Boris S. - Candyman''' || '''Arkus P - Letzter Tag''' || [[테크노(음악)|테크노]] 장르 음악 중에서도 매우 단단하고 묵직한 중저음을 쿵쿵 울려대는 특징의 [[독일]]산 하드 [[테크노(음악)|테크노]]. 기본적으로 다른 나라의 테크노와 확연히 구별되는 중저음이 특징으로, 음악 구성 자체는 단순하지만 매우 기계적인 사운드와 함께 귀가 울릴 정도로 깊게 울리는 베이스와 노이즈, 필터 이펙터를 자주 사용된다. 슈란츠(Schranz)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비명을 뜻하는 Schrei와 춤을 뜻하는 Tanz의 합성어로, 1990년대 중반,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디제이인 Chris Liebing[* 현재는 슈란츠 위주의 활동은 그만두고 [[하우스(음악)#s-3.6|테크 하우스]], 미니멀 테크노 위주로 활동하고 있다.]이 이러한 테크노를 구분하기 위해서 지어낸 이름이다. 현재는 일본 등 굳이 이러한 구분을 두지 않고, 슈란츠라는 단어 대신 '''하드 테크노'''[* 슈란츠 탄생 지역이 독일인 만큼, 하드 테크노 중에서도 독일산 하드 테크노를 지칭한다.]라는 이름으로 자주 불리고 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는 Boris S., Mental Crush, Robert Natus, Dj Lukas 등이 있다. 2020년대 들어 테크노가 대유행을 타게 되면서 하드 테크노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 리듬 게임에서의 슈란츠 == 대부분 1-2분 내외의 짧은 길이의 노래가 수록되는 리듬게임 장르 특성상 빌드업이 매우 긴 [[테크노(음악)|테크노]] 장르 음악을 넣을 수 없기에, 구성이 단조롭지만 멜로디를 넣어 테크노의 강렬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하드 테크노 장르가 대신 수록되는 편이다. 특히 일본산 하드코어 테크노층과 결합해 J-코어 씬과 리듬게임 계열에서 꽤나 눈에 자주 띄는 장르에 속한다. [[비트매니아 IIDX]]에 수록된 [[kors k]]의 [[the shadow]], [[사운드 볼텍스]], [[BMS]]에 수록된 [[Absurd Gaff]], [[symbolic gear]], [[conflict]][* 이 세 곡들은 모두 [[siromaru]]가 작곡하였다. conflict는 [[Cranky]]와의 합작.], Peace Breaker, BLAZE YOUR SOUL, [[EZ2DJ]]의 [[Messier 333]]란 악곡도 이 장르에 해당한다. === [[BMS]] === * [[Absurd Gaff]] * [[BLAZE YOUR SOUL]] * '''[[conflict]]''' * [[symbolic gear]] * [[TIME LIMIT(BMS EDIT)]] * [[The Arcticlight]][* 장르명은 Doomsday라고 써져있으나, 실제로 중저음이 빼도박도 못할 슈란츠다.] * [[PEACE BREAKER]] * [[ZERODAY]] * [[堕楽の園]] === [[EZ2DJ]] === * [[Messier 333]] [* 원래 BMS가 먼저이나, 슈란츠 장르로 나온것은 EZ2DJ이므로 이쪽으로 친다.] === [[beatmania IIDX]] === * [[the shadow]] * [[Gravigazer]] * [[GOLDEN CROSS]][* 장르명은 그냥 테크노라고 돼있지만 들어보면 하드 테크노에 더욱 가깝다.] * [[Battleground]] * [[HARD BRAIN]][* 장르명이 하드 테크노 즉, 슈란츠다.] * [[Artist(BEMANI 시리즈)|Artist]] * [[Mukade]] * [[Submerge Serenade]][* HARD BRAIN와 마찬가지로 장르명이 하드 테크노.] === [[사운드 볼텍스]] === * [[good high school]] * [[CODE -CRiMSON-]] * [[Lunartic Dial]] * [[Absurd Gaff]] * [[BLACK or WHITE?]] * [[conflict]] === [[VOEZ]] === * [[dynamo]] * [[Devillic Sphere]] * [[conflict]] === [[Dynamix]] === * [[紅(Dynamix)|紅]] === [[Cytus II]] === * [[Devillic Sphere]] * [[conflict]] === [[Arcaea]] === * [[堕楽の園]] * [[conflict]] * [[Metallic Punisher]] * [[DX超性能フルメタル少女]][* 그루브 코스터 콜라보 팩에 수록] * [[Devillic Sphere]] === [[펌프 잇 업]] === * [[Poseidon(펌프 잇 업)|Poseidon]] * [[conflict]] === [[GROOVE COASTER]] === * [[DX超性能フルメタル少女]][* '''전파곡+슈란츠'''라는 특이한 조합.] * [[conflict]] === [[온게키]] === * [[Adverse Gaff]] * [[conflict]] === [[DJMAX RESPECT V]] === * [[Zero-Break]] * [[conflict]] === [[osu!]] === * [[Catch the Glory]]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title=하드코어 테크노,version=176, uuid=47003ccc-80a4-47a6-9b75-49024239bd10)]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슈란츠, version=78, uuid=893017cf-e9ea-4782-a908-021ac12ce44d)] [[분류:음악 장르]]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