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국호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소련)] [include(틀:소련 관련 문서)] ||<tablealign=center><tablewidth=750><tablebordercolor=#cd0000><bgcolor=#cd0000> '''{{{#ffd700 언어별 명칭}}}''' || ||<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colbgcolor=#cd0000> '''{{{#ffd700 소련 구성국 언어}}}''' || || '''[[러시아어|{{{#ffd700 러시아어}}}]]''' ||<colbgcolor=#ffffff,#1f2023>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ССР, Сове́тский Сою́з)'''[* [sɐˈjus sɐˈvʲet͡skʲɪx sət͡sɨəlʲɪˈsʲtʲit͡ɕɪskʲɪx rʲɪˈspublʲɪk\]. 약자는 'СССР'인데 [[키릴 문자]]이기 때문에 '시시시피'가 아니라 '에스에스에스에르'라고 읽는다. (생활 속에서는 '에스에스에스에르'가 너무 길어 불편하기 때문에 '에스에스에르'로 줄여서 읽기도 한다.) 한편 러시아어를 라틴 문자로 쓴 'Sojúz Sovétskix Socialistíčeskix Respúblik'의 약자인 SSSR도 가끔 쓰인다.] || || '''[[라트비아어|{{{#ffd700 라트비아어}}}]]''' || '''Padomju Sociālistisko Republiku Savienība (PSRS, Padomju Savienība)''' || || '''[[루마니아어|{{{#ffd700 루마니아어}}}]]''' || '''Униуня Републичилор советиче Сочиалисте (УРСС, Униуня Совиетикэ)'''[br]Uniunea Republicilor sovietice Socialiste (URSS, Uniunea Sovietică) || || '''[[리투아니아어|{{{#ffd700 리투아니아어}}}]]''' || '''Tarybų Socialistinių Respublikų Sąjunga (TSRS, Tarybų Sąjunga)''' || || '''[[벨라루스어|{{{#ffd700 벨라루스어}}}]]''' || '''Саюз Савецкіх Сацыялістычных Рэспублік (СССР, Савецкі Саюз)'''[br]Sajuz Savieckich Sacyjalistyčnych Respublik (SSSR, Saviecki Sajuz) || || '''[[아르메니아어|{{{#ffd700 아르메니아어}}}]]''' || '''Խորհրդայի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 Միություն (ԽՍՀՄ, Խորհրդային Միություն)'''[br]Xorhrdayin Socʿialistakan Hanrapetutʿyunneri Miutʿyun (XSHM, Xorhrdayin Miutʿyun) || || '''[[아제르바이잔어|{{{#ffd700 아제르바이잔어}}}]]''' || '''Совет Сосиалист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Иттифагы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агы)[br]'''Sovet Sosialist Respublikaları İttifaqı (SSRİ, Sovet İttifaqı) || || '''[[에스토니아어|{{{#ffd700 에스토니아어}}}]]''' || '''Nõukogude Sotsialistlike Vabariikide Liit (NSVL, Nõukogude Liit)''' || || '''[[우즈베크어|{{{#ffd700 우즈베크어}}}]]''' ||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и Иттифоқи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оқи)[br]'''Sovet Sotsialistik Respublikalari Ittifoqi (SSRI, Sovet Ittifoqi) || || '''[[우크라이나어|{{{#ffd700 우크라이나어}}}]]''' || '''Союз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СРСР, Радянський Союз)''' || || '''[[조지아어|{{{#ffd700 조지아어}}}]]''' ||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ების კავშირი (სსრკ, საბჭოთა კავშირი)'''[br]sabch’ota sotsialist’uri resp’ublik’ebis k’avshiri (ssrk', sabch’ota k’avshiri) || || '''[[카자흐어|{{{#ffd700 카자흐어}}}]]''' || '''Кеңестік Социалисті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Одағы (КСРО, Кеңес Одағы)'''[br]Keńestik Sotsıalıstik Respýblıkalar Odaǵy (KSRO, Keńes Odaǵy) || || '''[[키르기스어|{{{#ffd700 키르기스어}}}]]''' ||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Союзу (ССРС, Советтер Союзу)''' || || '''[[타지크어|{{{#ffd700 타지크어}}}]]''' || '''Иттиҳоди Ҷумҳуриҳои Шӯравии Сосиалистӣ (ИҶШС, Иттиҳоди Шӯравӣ)''' || || '''[[투르크멘어|{{{#ffd700 투르크멘어}}}]]''' ||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Союзы (ССРС, Совет Союзы)'''[br]Sowet Sotsialistik Respublikalary Soýuzy (SSRS, Sowet Soýuzy) || ||<-2> '''{{{#ffd700 소련 위성국(바르샤바 조약 기구) 언어}}}''' || || '''[[폴란드어|{{{#ffd700 폴란드어}}}]]''' || '''Związek Socjalistycznych Republik Radzieckich (ZSRR, Związek Radziecki)''' || || '''[[독일어|{{{#ffd700 독일어}}}]]''' || '''Union der Sozialistischen Sowjetrepubliken (UdSSR, Sowjetunion)''' || || '''[[체코어|{{{#ffd700 체코어}}}]]''' || '''Svaz sovětských socialistických republik (SSSR, Sovětský svaz)''' || || '''[[슬로바키아어|{{{#ffd700 슬로바키아어}}}]]''' || '''Zväz sovietskych socialistických republík (ZSSR, Sovietsky zväz)''' || || '''[[헝가리어|{{{#ffd700 헝가리어}}}]]''' || '''Szovjet Szocialista Köztársaságok Uniója (SSKU, Szovjet Únió)''' || || '''[[불가리아어|{{{#ffd700 불가리아어}}}]]''' || '''Съюз на Съветските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 Републики (СССР, Съветски Съюз)''' || ||<-2> '''{{{#ffd700 NATO (북대서양 조약기구) 언어}}}''' || || '''[[그리스어|{{{#ffd700 그리스어}}}]]''' || '''Ένωση Σοβιετικών Σοσιαλιστικών Δημοκρατιών (ΕΣΣΔ, Σοβιετική Ένωση)'''[br]Énosi Sovietikón Sosialistikón Dimokratión (ESSD, Sovietikí Énosi) || || '''[[네덜란드어|{{{#ffd700 네덜란드어}}}]]''' || '''Unie van Socialistische Sovjetrepublieken (USSR, Sovjet Unie)''' || || '''[[노르웨이어|{{{#ffd700 노르웨이어}}}]]''' || '''Unionen av Sovjetiske Sosialistiske Republikker (USSR, Sovjetunionen)''' || || '''[[덴마크어|{{{#ffd700 덴마크어}}}]]''' || '''Unionen af Socialistiske Sovjetrepublikker (USSR, Sovjetunionen)''' || || '''[[룩셈부르크어|{{{#ffd700 룩셈부르크어}}}]]''' || '''Unioun vun Sowjetesch Sozialistesche Republiken (USSR, Sowjetunioun)''' || || '''[[스페인어|{{{#ffd700 스페인어}}}]]''' || '''Unión de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URSS, Unión Soviética)''' || || '''[[아이슬란드어|{{{#ffd700 아이슬란드어}}}]]''' || '''Samband Sósíalískra Lýðvelda Sovétríkjanna (SSLS, Sovétríkin)''' || || '''[[영어|{{{#ffd700 영어}}}]]''' ||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Soviet Union)''' || || '''[[이탈리아어|{{{#ffd700 이탈리아어}}}]]''' || '''Unione delle Repubbliche Socialiste Sovietiche (URSS, Unione Sovietica)''' || || '''[[튀르키예어|{{{#ffd700 튀르키예어}}}]]''' || '''Sovyet Sosyalist Cumhuriyetleri Birliği (SSCB, Sovyetler Birliği)''' || || '''[[포르투갈어|{{{#ffd700 포르투갈어}}}]]''' || '''União das Repúblicas Socialistas Soviéticas (URSS, União Soviética)''' || || '''[[프랑스어|{{{#ffd700 프랑스어}}}]]''' || '''Union des Républiques Socialistes Soviétiques (URSS, Union soviétique)'''[* 1970~1980년대의 스포츠 대항전에서 소련을 'URS'라고 표기한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 ||<-2> '''{{{#ffd700 중립국 언어}}}''' || || '''[[마케도니아어|{{{#ffd700 마케도니아어}}}]]''' || '''Сојуз на Советските Социјалистички Републики (СССР, Советски Сојуз)''' || || '''[[세르보크로아트어|{{{#ffd700 세르보크로아트어}}}]]''' || '''Savez Sovjetskih Socijalističkih Republika (SSSR, Sovjetski savez) [br] Савез Совјетских Социјалистичких Република (СССР, Совјетски Савез)''' || || '''[[스웨덴어|{{{#ffd700 스웨덴어}}}]]''' || '''Unionen av Socialistiska Sovjetrepubliker (USSR, Sovjetunionen)''' || || '''[[슬로베니아어|{{{#ffd700 슬로베니아어}}}]]''' || '''Zveza Sovjetskih Socialističnih Republik (ZSSR, Sovjetska zveza)''' || || '''[[아일랜드어|{{{#ffd700 아일랜드어}}}]]''' || '''Aontas na bPoblachtaí Sóisialacha Sóivéadacha (APSS, Aontas Sóivéadach)''' || || '''[[알바니아어|{{{#ffd700 알바니아어}}}]]''' || '''Bashkimi i Republikave Socialiste Sovjetike (BRSS, Bashkimi Sovjetik)''' || || '''[[핀란드어|{{{#ffd700 핀란드어}}}]]''' || '''Sosialististen Neuvostotasavaltojen Liitto (SNTL, Neuvostoliitto)''' || ||<-2> '''{{{#ffd700 이외 언어}}}''' || || '''[[한국어|{{{#ffd700 한국어}}}]]'''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 줄여서 '''소비에트 연방'''이라고 부르며 통상적으로는 '''소련'''(蘇聯)이라고 부른다. [[두음법칙]]에 의해 바뀐 소리는 준말이 되어 맨 앞글자만 중간이나 뒤로 들어가면 원래 소리가 되살아난다. 그래서 '연방'이라는 단어가 '련(聯)'으로 줄어든다. '연합'도 마찬가지다. [[자민련]], [[한총련]] 등의 약어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br]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 [[북한]]에서는 국가의 정식 명칭을 표기할 때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모두 붙여 쓴다. 당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부터 한 단어로 붙여 쓰며 다른 나라들도 '[[체코|체스꼬]]공화국', '[[러시아|로씨야]]련방', '도이췰란드련방공화국' 등으로 모두 붙여 쓴다.] ([[문화어]]) || || '''[[중국어|{{{#ffd700 중국어}}}]]''' || 苏维埃社会主义共和国联盟 (苏联) ([[간체자]]) [br] 蘇維埃社會主義共和國聯盟 (蘇聯) ([[정자(한자)|정체자]]) || || '''[[일본어|{{{#ffd700 일본어}}}]]''' || ソビエト社会主義共和国連邦 (ソビエト連邦 또는 ソ連) || || '''[[아랍어|{{{#ffd700 아랍어}}}]]''' || '''اتحاد الجمهوريات الاشتراكية السوفياتية (الاتحاد السوفياتي)''' || || '''[[베트남어|{{{#ffd700 베트남어}}}]]''' || '''Liên bang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Xô viết (Liên Xô)''' || || '''[[라오어|{{{#ffd700 라오어}}}]]''' || '''ສະຫະພັນ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ສັງຄົມນິຍົມໂຊວຽດ (ສະຫະພາບໂຊຫວຽດ)'''[br]sahaphan sathalanalad sangkhomninyom osuaiad (sa ha phab os viad) || || '''[[크메르어|{{{#ffd700 크메르어}}}]]''' || '''សហភាពនៃសាធារណរដ្ឋសង្គមនិយមសូវៀត (សហភាពសូវៀត)'''[br]sahpheap nei satharonarodth sangkomniym sauviet (sahpheap sauviet) || || '''[[인도네시아어|{{{#ffd700 인도네시아어}}}]]''' || '''Uni Republik Sosialis Soviet (URSS, Uni Soviet)''' || || '''[[말레이어|{{{#ffd700 말레이어}}}]]''' || '''Kesatuan Republik Sosialis Soviet (KRSS, Kesatuan Soviet)''' || || '''[[버마어|{{{#ffd700 버마어}}}]]''' || '''ပြည်ထောင်စု ဆိုဗီယက်ဆိုရှယ်လစ်သမ္မတနိုင်ငံ (ဆိုဗီယက်ယူနီယံ)'''[br]pyihtaunghcu sobeyaat soshallait sammataninengan (sobeyaatyuuneyan) || || '''[[힌디어|{{{#ffd700 힌디어}}}]]''' || '''सोवियत संघ समाजवादी गणराज्य (सोवियत संघ)'''[br]soviyat sangh samaajavaadee ganaraajy (soviyat sangh) || || '''[[우르두어|{{{#ffd700 우르두어}}}]]''' || '''سوویت سوشلسٹ جمہوریہ کی یونین (سوویت یونین)''' || || '''[[태국어|{{{#ffd700 태국어}}}]]''' || '''สหภาพสาธารณรัฐสังคมนิยมโซเวียต (สหภาพโซเวียต)'''[br]S̄h̄p̣hāph s̄āṭhārṇrạṭ̄h s̄ạngkhmniym soweīyt (S̄h̄p̣hāph soweīyt) || }}}}}}}}} || [목차] == 개요 == [[소련]]은 [[국제주의]]적 [[사회주의]]를 표방한 국가답게[* 소련이 초창기 국가로 [[인터내셔널가]]를 채택한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였다.] '''[[국호]]에 민족, 지명 같은 [[고유명사]]가 없다.''' 즉 이론적으로는 '''사회주의적 이상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련을 조국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이른바 "이념의 조국". 실제로 [[일제강점기]]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이나 그 이전과 이후의 '''[[미국]]을 포함한''' 세계 곳곳의 사회주의자들이 소련에 대한 자부심, 소속감을 표출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리하르트 조르게]] 항목에 나오는 그의 [[유언]]도 이러한 소련의 국제주의적 이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소비에트 == 흔히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란 국호의 '소비에트'를 고유명사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러시아어]]에서 [[소비에트]](Совет)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회의]]'''[* 실제 오늘날 [[러시아 의회|러시아 상원]]의 정식 명칭인 연방회의(Совет Федерации)도 소비에트란 단어를 사용하며 회사의 중요정책을 결정하는 이사회도 Совет директоров, 직역하면 감독자 회의란 표현으로 사용한다.]를 의미하며 보다 옛 표현으로는 '''평의회'''에 해당하는 단어다. 따라서 소련을 가리키는 러시아어 표현을 직역한다면 '''평의회 사회주의 공화국 연맹'''으로 번역할 수 있다. 실제로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크, 몰도바, 키르기스, 투르크멘 공화국을 제외한 나머지 공화국에서는 러시아어 표현인 소비에트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평의회를 자국어로 번역한 단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로 소련을 라댠스키 소유즈(Радянський Союз, 라다 연맹)이라고 부르는데 오늘날 우크라이나 의회인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베르호우나 라다]]도 사실 소련 시절 입법기관이었던 [[소련 최고회의|최고회의]]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즉, 소련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하면 '''회의연합'''인 셈이다. 마찬가지로 [[에스토니아어]] 표현인 Nõukogude Liit에서 Nõukogu는 자문회의, 이사회를 뜻한다.[* 소련 시절 에스토니아 최고회의의 명칭이 Ülemnõu'''kogu'''((최고(Ülem) + 자문(nõu) + 회의(kogu)))였으며 오늘날 에스토니아 의회의 명칭도 Riigi'''kogu'''(국가(Riigi) + 회의(kogu))다.] [[타지크어]] 표현인 Иттиҳоди Шӯравӣ에서 슈라비(Шӯравӣ / شوروی)의 어원 슈로(шӯро / شورا)는 [[아랍어]]로 '자문' 또는 '자문회의'를 뜻하는 슈라(شُورَى / šūrā)를 차용한 것이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아프가니스탄인]]들이 [[소련군]] 병사를 일컬을 때 많이 사용한 [[슈라비]](شوروی)라는 표현 역시 문자 그대로 ~~회의인~~ [[소련인]]이라는 뜻이었다.] [[한자]] 표기의 '소련(蘇聯)'에서 蘇는 '소비에트'를 음차한 '소유애(蘇維埃)'의 약칭이다. 그러니까 소련은 소유애연방('''蘇'''維埃'''聯'''邦)의 줄임말이다. 옛 [[신문]] 등을 볼 때 정치면 등에 그냥 '蘇' 만 적혀 있어도 그냥 소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소련 붕괴]] 후에는 '구(舊)소련'이라고 하기도 한다. 접두사 '구(舊)-'는 일부 명사성 어근 앞에 붙어 '묵은, 낡은'이라는 의미를 더해 준다. 그런데 蘇聯이라고는 해도 蘇(蘇維埃)가 본래 외래어인 소비에트(ㅅ이 들어간 많은 외래어가 그렇듯[* 그리고 [[대한민국]](남한)에서 나중에 [[외래어 표기법|외래어 표기가 정비되면서]] '소비에트'라는 철자로 정착된 것이지 과거엔 첫 음절을 표기상으로도 '쏘'로 적는 경우가 많았다.] [쏘비에트]가 관용 발음이다.)를 음차한 것이다 보니 실제 발음은 [쏘련]으로 하는 사람이 많다. 마찬가지로 소 연방은 [쏘연방]으로 읽고 소련을 의미하는 약칭 '소'가 들어간 단어마다 [쏘]로 읽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표준 발음대로라면 '소련'은 蘇聯이라는 한자로 이미 변조된 상태이므로 [[한국 한자음]]대로 그냥 평음으로 [소련]이라고 읽는 게 맞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무시한 채 외래어 발음을 염두에 두어 [쏘련]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리고 어차피 비표준 발음에서는 외래어 음차가 아닌 다른 [[한자어]]나 [[고유어]]도 표준 발음과 다르게 경음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주]]가 [쏘주\]로 읽히는 게 한 예.] 그리고 [[북한]]의 [[문화어]]로는 그냥 소유애(蘇維埃)라는 한자 음차와 무관하게 바로 쏘베트(소비에트)를 줄여 '쏘'로 기재한 것으로 취급해 대놓고 '쏘련'으로 표기한다. Совет을 그대로 국문화한 것이다. 소련이 이렇게 국호에 고유명사 사용을 배제한 이유는 소련 건국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초창기 소련은 이론상으로 소련이라는 국가 안에서 노동자, 농민, 군인들이 정치적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결성한 회의들이 모여 이끌어가는 국가였다. 실제로 스탈린이 독재를 강화하기 전 소련은 소련 회의대회(Съезд Советов СССР)를 통해 전국 각지에 있는 회의들이 모여 국가 현안을 논의하고 의결하면 행정을 담당하는 중앙행정위원회(Централь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Комитет)가 소비에트대회가 의결한 내용을 집행했다. 이는 [[러시아 혁명]]에서 비롯되어 소련 초창기까지 어느 정도 남아 있었던 [[민주주의]] 요소였다. 그러나 이렇게 형식상으로나마 남아 있었던 민주주의적 요소들은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과 함께 사실상 유명무실화되었다. == 연방 / 연맹 == [[대한민국 표준어]]로는 소련도 연방, 러시아도 연방이라고 부르지만 영어로는 소련은 union, 러시아는 federation으로 그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Союз'는 영어로 Union인데 'Union'는 연방이라는 뜻과 연맹, 조합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나 전자보다는 후자의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소련이 자국의 러시아어 국호에 명확히 연방을 뜻하는 표현인 'Федерация'를 쓰지 않고 중의적 표현 'Союз'(연맹, 연합, 연방)를 사용하며 소련이 형식적으로는 [[국가연합]]의 형태를 띄는 국가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일부 매체나 1991년 주한소련대사관에서는 자국을 이 국호로 표기한 적이 있었고 [[북한]]에서는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이 공식 국명이다. [[고려인]] 신문 《고려일보》[* [[카자흐 SSR]] [[알마티|알마아타]]에 본사를 두고 1990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되었던 《레닌기치》를 이어 1991년 1월 1일부터 발행된 고려인 신문]의 1991년 3월 논설에서도 Союз를 '''"련맹"'''이라고 하였다. 내용은 "련맹을 보존하자!", "련맹보존 찬성"에서 볼 수 있듯 신연방 관련 국민투표에 대한 찬성 논조였다.[[https://m.cafe.naver.com/ca-fe/image-viewer?url=https%3A%2F%2Fcafeptthumb-phinf.pstatic.net%2FMjAyMDEwMjlfMzEg%2FMDAxNjAzOTcwOTExMDAw.VZ6kdhLhV6F-1zEw4eIisItlc7foxYtBqI8LRPEg2w0g.LrrQjpYFakI2GvPRpuiQTwWbdCOrlozjcr2X86_egg4g.JPEG%2F20201020_101051_492.jpg%3Ftype%3Dw1600&d=0|#]][[https://m.cafe.naver.com/ca-fe/image-viewer?url=https%3A%2F%2Fcafeptthumb-phinf.pstatic.net%2FMjAyMDEwMjlfNzAg%2FMDAxNjAzOTY5OTY5MDYx.I-FvqnTygCTcjgnwW3kHWVHCl5EzzrHbh22-W2p7Zakg.31jOIQmksQWfucEK4wN9-onKWmrfpI-FzdhAkZBhVUYg.JPEG%2FSE-d775554c-f4ff-41bc-a37f-c2d469ce16d4.jpg%3Ftype%3Dw1600&d=0|#]] 한편 서적이나 언론 등을 가리지 않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라고 연방과 공화국의 단어 순서를 바꿔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된 명칭이니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헷갈리지 않으려면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소련은 '(무슨무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이 뭉친 나라이므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의)''' 연방'인 것이다. 즉, [[연방]]제란 자치권을 가진 각 단위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국가인데 소련의 경우 이 각각의 단위들이 주(州)나 도(道)가 아니라 '공화국'이었다는 것. 따라서 공화국의 연방체이므로 공화국 연방이다. 무엇보다도 소련의 구성국 중 하나였던 러시아의 정식 명칭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었음을 기억하면 착각할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따지고 보면 소련이라는 나라 자체도 하나의 연방제 공화국이긴 한데 국호는 자신의 구성국들의 연합체임을 명시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었으니 혼동하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오류는 비단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서도 간간이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https://t1.daumcdn.net/cfile/blog/250292465769D0062C|#]] 게다가 일상 생활에서 소련을 "'''소련 연방'''"이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도 잘못된 표현이다. 소련을 하나의 고유명사로 여기고 연방이 해체됐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할 때도 이런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소련은 '''소비에트 연방'''의 줄임말로 해당 명칭 자체에 연방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있다. 따라서 연방이라고 쓰고 싶으면 '''소비에트 연방''' 혹은 '''소연방'''이라고 호칭하는 게 옳은 표현이다. == 같이 보기 == * [[소비에트]] * [[소비에트 공화국]] [[분류:소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소련, version=2872, uuid=d48d6d96-4597-4e68-99aa-468a14d6d286, paragraph=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