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국가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include(틀:다른 뜻, 설명1=1922년부터 1944년까지 사용된 소련 국가, 문서명1=인터내셔널가)] [include(틀:국가(노래))] [include(틀:소련 관련 문서)] ||<-3><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fff,#cd0000><tablebordercolor=#cd0000><colbgcolor=#cd0000><colcolor=#ffd700> {{{+1 '''소비에트 연방 국가'''}}}[br]{{{#FFE302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br]State Anthem of the Soviet Union'''}}} || ||<-3><bgcolor=#fff,#1f2023> [[파일:소련 국장.svg|width=300]] || ||<|2> '''창작''' ||<colbgcolor=#cd0000><colcolor=#ffd700> '''작곡''' ||<colbgcolor=#fff,#1f2023> 1938년[br][[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알렉산드로프]][br](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 || '''작사''' || 1944년, 1977년[br][[세르게이 미할코프|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미할코프]][br](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иха́лков)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nopad> [youtube(9Qr11YQdLkY)] || ||<bgcolor=#cd0000><colcolor=#FFE302> '''소련 국가 Гимн СССР Instrumental 버전'''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가는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된 [[소련]]의 [[국가(노래)|국가]]이다. 1944년 버전과 1977년 버전으로 나뉘는데 1944년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이 사망한 후 [[서기장]] 자리에 오른 [[니키타 흐루쇼프|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 운동]]을 벌이면서 가사를 없앴는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브레즈네프]] 서기장의 지시로 가사를 수정한 국가가 [[1977년]]에 채택되었다. 자세한 건 역사 문단 참고. === 1944년 가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nopad> [youtube(3z30937QZ5k)] || ||<bgcolor=#cd0000><colcolor=#FFE302> '''소련 국가 Гимн СССР 1944년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d0000><bgcolor=#cd0000> {{{#ffd700 '''절'''}}} ||<bgcolor=#cd0000> {{{#ffd700 '''1944년 소련 국가'''}}} || ||<bgcolor=#FFF> ||<bgcolor=#FFF> {{{-2 '''[[러시아어]]''' - [[한글]] 전사 - '''[[한국어]] 번역''' 순 서술}}} || ||<bgcolor=#FFF><width=8%> {{{#000 '''1'''}}} ||<bgcolor=#FFF> {{{#0E0E0E '''Сою́з неруши́мый респу́блик свобо́дных,'''[br]싸유즈 녜루쉬믜 리스뿌블릭 스바보드늬흐,[br]'''자유로운 공화국들의 굳건한 단합을,'''}}}[br][br]'''Сплоти́ла наве́ки Вели́кая Русь'''[br]스쁠라찔라 나볘키 빌리까야 루스[br]'''위대한 러시아가 영원토록 이루어내었다네'''[br][br]'''Да здра́вствует, со́зданный во́лей наро́дов'''[br]다 즈드랍스뜨부옛, 소즈단늬 볼례이 나로답[br]'''영원하라, 인민의 자유와 의지로 만들어진'''[br][br]'''Еди́ный, могу́чий Сове́тский Сою́з!'''[br]이디늬, 마구치 싸볘츠끼 싸유즈![br]'''유일하고 강대한 소비에트 연방이여!''' || ||<bgcolor=#FFF> {{{#000 '''2'''}}} ||<bgcolor=#FFF> {{{#0E0E0E '''Сквозь гро́зы сия́ло нам со́лнце свобо́ды'''[br]스크보즈 그로즤 씨얄라 남 손쩨 스바보듸[br]'''폭풍우 속에서도 자유의 태양은 우리를 비추고'''}}}[br][br]'''И Ле́нин вели́кий нам путь озари́л'''[br]이 례닌 빌리끼 남 뿌즈 아자릴[br]'''위대한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은 우리에게 길을 밝혀주시네'''[br][br]'''Нас вы́растил Ста́лин — на ве́рность наро́ду'''[br]나스 븨라시찔 스딸린 - 나 볘르너스쯔 나로두[br]'''[[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은 우리에게 인민의 충성을 가르치셨고'''[br][br]'''На труд и на по́двиги нас вдохнови́л!'''[br]나 뜨루드 이 나 뽀드비기 나스 브다흐나빌![br]'''노동과 위엄으로써 우리를 이끌었네!''' || ||<bgcolor=#FFF> {{{#000 '''3'''}}} ||<bgcolor=#FFF> {{{#0E0E0E '''Мы а́рмию на́шу расти́ли в сраже́ньях'''[br]믜 아르미유 나슈 라스찔리 브 스라줴니야흐[br]'''숱한 대전 속에서 우리의 군대는 자라났고'''}}}[br][br]'''Захва́тчиков по́длых с доро́ги сметём!'''[br]자흐바치코프 뽀들릐흐 스 다로기 스미쫌![br]'''[[나치 독일|비열한 침략자]]들을 [[독소 전쟁|길목에서 쓸어버렸다]]!'''[br][br]'''Мы в би́твах реша́ем судьбу́ поколе́ний,'''[br]믜 브 비트바흐 리샤옘 수지부 빠깔례니,[br]'''우리는 혈전 속에서 세대의 운명을 결정지으며,'''[br][br]'''Мы к сла́ве Отчи́зну свою́ поведём!'''[br]믜 크 슬라베 앗치즈늬 스바유 빠비죰![br]'''우리의 조국을 영광으로 인도하리라!''' || ||<bgcolor=#fff> {{{#000 '''후렴'''}}} ||<bgcolor=#fff> '''Сла́вься, Оте́чество на́ше свобо́дное'''[br]슬랍샤, 아쩨체스뜨바 나셰 스바보드나예[br]'''찬양하라, 우리의 자유로운 조국을'''[br][br]'''Дру́жбы наро́дов надёжный опло́т!'''[br]드루쥐븨 나로답 나됴즈늬 아쁠롯![br]'''인민의 우애는 확고한 보루이니!'''[br][br]'''Зна́мя сове́тское, зна́мя народно́е'''[br]즈나먀 싸볘츠까에, 즈나먀 나로드나에[br]'''소비에트의 깃발이, 인민의 깃발이'''[br][br]'''Пусть от побе́ды к побе́де ведёт!'''[br]뿌스쯔 앗 빠볘듸 크 빠볘데 비둇![br]'''승리에서 승리로 이끌어 주리라!''' || [[2014년]] [[11월 25일]]에는 슬로바키아 측에서 러시아 하키팀과의 경기 시작 이전에 러시아 연방 국가가 아닌 1944년판 소련 국가를 재생한 일화가 있다. [[https://youtu.be/-2SZwY0VC6k|관련 영상]] 분명히 합성이 아닌데 영상 맨 뒤에 캐스터가 소련 국가가 나왔다고 직접 언급하기까지 한다. 이 해프닝이 실수가 아닌 경기 당일 약 2년전에 구소련 시절부터 하키 강팀이었던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팀을 태운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여객기가 사고를 당해]] 사망한 이고리 코롤료프(Игорь Королёв, [[1970년]] [[9월 6일]] ~ [[2011년]] [[9월 7일]])를 추모하기 위해서 재생한 것이라고 알려졌으나 실상은 그냥 DJ가 '실수로' 틀어서 생긴 참사다.[* 자세히 보면 선수들은 당황했으며 감독은 캐나다 사람이라 평소에 듣던 게 아니라는 표정이고 관객들은 즐거워하거나 따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만약에 추모면 장난식으로 부르거나 하지 않고 묵념하는 것이 잡혔을 텐데 아무도 그렇지 않은 걸 보면.... 그것과 별개로 선수단 전원은 유니폼에 사고 날짜를 적은 검은 리본을 달고 있다. ] 그도 그럴 게 러시아 국가나 소련 국가나 가사만 다르지 멜로디 자체가 똑같았기 때문에 생긴 문제 같다. 게다가 슬로바키아는 벨벳 혁명을 통해 공산당을 몰아냈는데 상식적으로 소련 국가를 틀어주는 것도 말이 안 된다. 참고로 해당 사건 이후 해당 DJ는 해고당한 걸 보면 아무래도 사건 자체가 왜곡돼서 알려진 듯하다. === 1977년 가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nopad> [youtube(tQzUjTftDr0)] || ||<bgcolor=#cd0000><colcolor=#FFE302> '''소련 국가 Гимн СССР 1977년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kCTrNb4uC-Y|또다른 1977년 버전1]], [[https://youtu.be/3ClASJA7_oo?si=80nrgziF9F9V7f1w|또다른 1977년 버전2]]]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d0000><bgcolor=#cd0000> {{{#ffd700 '''절'''}}} ||<bgcolor=#cd0000> {{{#ffd700 '''1977년 소련 국가'''}}} || ||<bgcolor=#FFF> ||<bgcolor=#FFF> {{{-2 '''[[러시아어]]''' - [[한글]] 전사 - '''[[한국어]] 번역''' 순 서술}}} || ||<bgcolor=#FFF><width=8%> {{{#000 '''1'''}}} ||<bgcolor=#FFF> {{{#0E0E0E '''Сою́з неруши́мый респу́блик свобо́дных,'''[br]싸유즈 녜루쉬믜 리스뿌블릭 스바보드늬흐,[br]'''자유로운 공화국들의 굳건한 단합을,'''}}}[br][br]'''Сплоти́ла наве́ки Вели́кая Русь'''[br]스쁠라찔라 나볘키 빌리까야 루스[br]'''위대한 러시아가 영원토록 이루어내었다네'''[br][br]'''Да здра́вствует, со́зданный во́лей наро́дов'''[br]다 즈드랍스뜨부옛, 소즈단늬 볼례이 나로답[br]'''영원하라, 인민의 자유와 의지로 만들어진'''[br][br]'''Еди́ный, могу́чий Сове́тский Сою́з!'''[br]이디늬, 마구치 싸볘츠끼 싸유즈![br]'''유일하고 강대한 소비에트 연방이여!''' || ||<bgcolor=#FFF> {{{#000 '''2'''}}} ||<bgcolor=#FFF> {{{#0E0E0E '''Сквозь гро́зы сия́ло нам со́лнце свобо́ды'''[br]스크보즈 그로즤 씨얄라 남 손쩨 스바보듸[br]'''폭풍우 속에서도 자유의 태양은 우리를 비추고'''}}}[br][br]'''И Ле́нин вели́кий нам путь озари́л'''[br]이 례닌 빌리끼 남 뿌즈 아자릴[br]'''위대한 레닌은 우리에게 길을 밝혀주시네'''[br][br]'''На пра́вое де́ло он подня́л наро́ды'''[br]나 쁘라바에 델라 온 쁘다냘 나로듸[br]'''그는 정의로 인민을 인도하고'''[br][br]'''На труд и на по́двиги нас вдохнови́л!'''[br]나 뜨루드 이 나 뽀드비기 나스 브다흐나빌![br]'''노동과 위엄으로써 우리를 이끌었네!''' || ||<bgcolor=#FFF> {{{#000 '''3'''}}} ||<bgcolor=#FFF> {{{#0E0E0E '''В побе́де бессме́ртных иде́й коммуни́зма'''[br]브 빠볘뎨 비스몌르늬흐 이졔이 꺼무니즈마[br]'''공산주의 이념의 불멸한 승리 속에서'''}}}[br][br]'''Мы ви́дим гряду́щее на́шей страны́'''[br]믜 비짐 그랴두쉐예 나쉐이 스뜨라늬[br]'''우리는 조국의 미래를 보며'''[br][br]'''И Кра́сному зна́мени сла́вной Отчи́зны,'''[br]이 끄라스나무 즈나몌니 슬라브나이 앗치즈늬,[br]'''영광스러운 조국의 붉은 깃발에,'''[br][br]'''Мы бу́дем всегда́ беззаве́тно ве́рны!'''[br]믜 부짐 브시그다 비자볘뜨나 볘르늬![br]'''우리는 영원토록 변함없이 헌신하리라!''' || ||<bgcolor=#fff> {{{#000 '''후렴'''}}} ||<bgcolor=#fff> '''Сла́вься, Оте́чество на́ше свобо́дное'''[br]슬랍샤, 아쩨체스뜨바 나셰 스바보드나예[br]'''찬양하라, 우리의 자유로운 조국을'''[br][br]'''Дру́жбы наро́дов надёжный опло́т!'''[br]드루쥐븨 나로답 나됴즈늬 아쁠롯![br]'''인민의 우애는 확고한 보루이니!'''[br][br]'''Па́ртия Ле́нина — си́ла наро́дная'''[br]빠르찌야 례니나 - 씰라 나로드나야[br]'''레닌의 당이여, 인민의 힘이여'''[br][br]'''Нас к торжеству́ коммуни́зма ведёт!'''[br]나스 끄 따르줴스트부 꺼무니스마 비둇![br]'''우리를 공산주의의 승리로 인도하리라!''' || === [[러시아 연방 국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 연방 국가)] [[애국가(러시아)|새로운 국가]]는 가사가 없고[* 비공식 가사는 있었다. 자세한 설명은 [[애국가(러시아)]] 참고.] 인기가 없었는데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 가사가 없는 [[애국가(러시아)|기존의 국가]]가 연주될 때마다 러시아 선수들이 굳게 입을 다물고 있는 모습을 보고 [[러시아인]]들은 씁쓸해하였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세르게이 미할코프]]에게 요청하여 소련 국가를 바탕으로 공산주의 이념을 배제하고 가사만 개사하여 [[러시아 연방 국가]]로 새롭게 만들었다.[* 세르게이 미할코프는 96세까지 장수한 덕분에 [[러시아 혁명]]과 [[소련 붕괴]], 즉 소련의 역사를 모두 살아서 봤고 국가의 가사를 3번이나 작사한 유일무이한 인물이 되었다.] == 평가 == 곡 자체가 굉장히 웅장하고 훌륭하다는 평가가 많다. [[동독]]의 국가인 [[폐허에서 부활하여]]와 함께 역대 최고의 국가 중 하나로 자주 꼽힌다. 가사에 [[블라디미르 레닌]]과 [[소련 공산당]]을 찬양하는 내용이 있으나 이외에는 딱히 호전적인 내용이 없어 냉전 시기 적국이었던 [[미국]] 등 [[제1세계]]의 국민들도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인다. 오히려 유튜브 등을 찾아보면 제1세계 여부에 관계없이 음악에 매료된 듯 각국 언어로 [[공산주의 유머]], 러시아 관련 유머를 남발하며 농담삼아 [[소뽕|소련과 공산주의를 찬양하거나]] 본인 국가의 국가와 비교하며 셀프디스를 하는 댓글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공산주의 유머]] 등으로 소뽕을 다루는 영상에서 소련 국가를 귀갱 수준으로 키운 웅장한 노래를 트는 경우도 있다. 랜섬웨어 [[스탈린락커]]에도 쓰였다. 과거 소련의 [[구성국]]이었던 [[발트 3국]]과 [[우크라이나]]에서는 이 노래는 물론 소련 및 공산주의와 관련된 모든 것이 '''불법'''이다. 발트 3국에서의 인식은 서유럽에서의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와 동급일 정도[* 발트 3국은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SSR]],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스토니아 SSR]],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SSR]]을 자국의 역사가 아닌 소련의 괴뢰 정권으로 보며 현재까지도 극렬 반러 성향을 보이고 있다. 소련의 점령기 발트 3국이 겪었던 고초는 [[안타나스 스녜츠쿠스]]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이며 [[폴란드]]나 [[조지아]] 등 [[반러]] 감정이 심한 국가에서는 불법만 아닐 뿐 소련과 관련된 안 좋은 역사 때문에 역시 인식이 나쁘다. == 역사 == 소련 국가는 [[러시아인]]인 '세르게이 미할코프[* 구 소련권에서는 소련 국가의 작사자보다 아동문학가 겸 풍자작가로 훨씬 유명하고 영화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작가 일도 맡았다. 소련 및 러시아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 중 하나로 소련의 책값이 싼 편이라고 해도 정말 불티나게 팔려서 누적 판매 부수가 3억부에 달하고 당연히 인세도 엄청나게 벌어들였기 때문에 소련 최고의 부자 가운데 하나로 손꼽혔을 정도였다. 다만 소련 시절에는 친정부 문학인으로도 손꼽혀서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안드레이 사하로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일에 앞장서거나 [[8월 쿠데타]]를 지지하는 등 공산당을 옹호하는 모습을 노골적으로 보여 비판받기도 했고 소련이 무너진 후에도 한동안 공산당에 우호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만 말년에는 정교회 신자로 지내면서 푸틴을 지지했다. 참고로 15세기 말부터 내려온 유서 깊은 [[귀족]] 가문 출신이다.](Сергей Михалков, 1913~2009)'와 [[아르메니아인]]인 '가브리엘 엘레기스탄(Գաբրիել Էլ-Ռեգիստան, 1899~1945)'[* 본명은 '가브리엘 우레클랸(Գաբրիել Ուրեկլյան)'이며 러시아어로는 Эль-Регистан이다.]이 작사하고 [[알렉산드로프 앙상블|붉은 군대 합창단]]의 창단자였던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프]](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 1883~1946)'가 작곡한 곡이다. 음악 자체는 알렉산드로프의 구작인 [[볼셰비키 당가]]를 가사에 맞추어 일부 개작한 것이다. 미할코프에 의하면 자다가 꿈에서 본 노래의 구절을 기반으로 작사했다고 한다. 이전까지 소련 국가는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노래인 [[인터내셔널가]]였지만 일국사회주의론을 들고 나왔던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 곡이 [[프랑스]]에서 만들어진 외국 곡인 데다 자신만의 사회주의 이념과는 영 동떨어진 곡이라 탐탁지 않게 여겼다. 레닌 시대에는 조국이나 애국심을 강조하지 않았지만 스탈린은 전쟁 전부터 애국심을 강조했고 [[넓구나 나의 조국]]이라는 노래를 국가처럼 쓰기도 했다.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애국주의 열풍은 더욱 강해졌고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 전황이 연합국 쪽으로 기울며 숨 좀 돌릴 때가 되자 새롭게 국가 공모전을 열었다. 공모전은 우선 가사를 뽑고 그 다음에 거기에 붙인 음악을 선정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이 공모전의 예심에서는 무려 시인 172명이 가사를 보냈고 그 중 미할코프와 엘레기스탄이 공동 작사한 가사가 당선되었다. 이어 진행된 음악 공모전에서도 작곡가 76명이 곡을 보낼 정도로 열띤 경쟁이 벌어졌고 최종 결선에서는 알렉산드로프의 곡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아람 하차투리안]], 그리고 쇼스타코비치·하차투리안 공동 작품까지 총 네 곡이 경합했다. 하지만 스탈린에게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으로 밉보인 적이 있었던 쇼스타코비치의 단독 작품과 쇼스타코비치·하차투리안 공동 작품은 일찌감치 탈락하였고 하차투리안의 작품도 스탈린의 마음에 안 들었는지 탈락했다. 결국 [[높으신 분들]]에 대한 처세에 능란했던 알렉산드로프의 볼셰비키 당가를 개작한 노래가 최종 선정되었고 1944년 3월 15일에 소련의 국가로 대내외에 공식 발표되었다. 참고로 소련 국가(볼셰비키 당가)는 오리지널 작품은 아니고 [[프로토타입]]이 되는 곡이 있었는데 '삶이 더 좋아졌다(Жить стало лучше)'라는 곡이다.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fqgs70Jj7jI)] || 원곡은 다소 평범한 곡이었지만 스탈린의 연설을 찬양하는 내용의 이 곡을 스탈린은 매우 좋아했다. 이후 이 곡의 기본 곡조를 바탕으로 매우 웅장한 느낌으로 개작을 하여 볼셰비키 당가로 사용했고 이후 소련 국가로까지 발전된 것이었다. 그러나 1944년 새로 교체된 국가의 가사는 국부 격인 레닌과 스탈린을 숭배하는 데다 [[독소전쟁|전쟁]] 중 탄생한 작품답게 지나친 호전성으로 문제가 되었는데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사후 집권한 [[니키타 흐루쇼프]]는 스탈린 격하 운동을 벌였고 [[https://youtu.be/rpu9Hm59aGs|이 영상]]과 같이 가사를 없애 버렸으며 이 곡의 가사가 다시 불리게 된 것은 1977년 당시 서기장이었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지시로 작사가 미할코프가 스탈린의 이름을 지우고 호전성을 줄여 개작한 가사를 다시 수정해 개정이 이루어진 후의 일이다. 참고로 가사 수정은 1970년에 했지만 막상 승인 과정이 늦어져서 1977년에야 승인되었다. 이때 수정된 가사가 처음 공개됐을 당시의 비디오가 아직 유튜브에 남아 있다. [[https://youtu.be/E_2Cbu7PowU|원본]], [[https://youtu.be/s2usY5cVWxs|컬러 복원된 영상]] ==# 영상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Th-Z6le3bHA, width=100%)] || || 1984년 버전[* 소련 국가들 중 top3 안에 들 만큼 잘 알려진 버전이다. 소련 방송사인 ТВ СССР에서 틀어준 영상.]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y5oFX8NGtcA, width=100%)] || || 1987년 혁명 기념일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tiCUwmCUBYI, width=100%)] || || [[1988 서울 올림픽]]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GZOGzepCkkY, width=100%, start=674)] || || [[고르바초프]] 대통령 신년사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ANURgjN0oZQ, width=100%, start=51)] || || 1990년 승리의 날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youtube(UuKrQZwUw_c, width=100%)] || || 1990년 [[고르바초프]] 대통령 미국 방문 버전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youtube(NOHAkMGtNUo, width=100%)] || || 락 버전 || == 각종 창작물에서 == 소련이 등장하는 매체에 가끔 나온다. 다만, 1944년판과 77년판이 오락가락한다. * 블라디미르 페트로프(Владимир Петров, [[1896년]] [[6월 22일]] ~ [[1966년]] [[2월 7일]]) 감독의 영화〈[[스탈린그라드 전투]](''Сталинградская битва'', 1949)〉에서도 마지막에 연주된다. [[https://youtu.be/ABeEYIjlMSY?t=93|관련 영상.]] * 1994년 [[올리버 스톤]] 감독의 영화 [[닉슨]]에서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마오쩌둥]]에게 "또라이에 개만도 못한놈."이라며 뒷담을 할 때 흘러나온다. 그러나 반주만 나온다. * [[레드 던]] 1984년판에서 공산군들이 전사한 동무들을 묻어주고 장례를 치러주는 장면에서 반주만 나온다. 장례 직후 반동분자들을 총살한다. * [[록키 4]]에서 록키와 드라고가 싸우기 전에 소련 국가가 나온다. 근데 [[고증 오류|1944년판이다]].[* 경기장에 소련군 정복 고증도 엉망이다...] ~~무엇보다 실제 일어난 경기라면 미국 국가도 당연히 함께 연주된다.~~ 어차피 소련을 까버릴 목적으로 만든 것이니... * [[베를린의 여인]]에서는 [[헬무트 바이틀링]] 베를린 방위사령관의 항복 선언과 독일의 패망 소식이 전해진 후 붉은 군대 전 장병들이 우라를 외치며 파티분위기가 되어 1944년판을 우렁차게 합창한다. * [[붉은 10월]]에서 선원들이 합창하는 장면이 나온다. --드디어 고증이 맞다-- 1984년이 배경이니 당연히 1977년판을 부른다. * [[K-19]] 위도우 메이커에서 해리슨 포드가 잠수함 앞에서 연설할 때 연주된다. * [[에너미 앳 더 게이트]]에서 바실리 자이체프가 [[니키타 흐루쇼프]]를 만나는 장면에서 나온다. 사실 여기선 시대배경이 작곡되기도 전인데 나온다. 심지어 1977년 버전이다![* 3절 세번째 소절부터 후렴까지 나온다.] *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에서 소련군이 군사퍼레이드를 하고 있고 [[세바스찬 쇼]]가 소련을 방문한 장면에서 작게 흘러나온다. 이거도 배경이 60년대인데 77년 버전이 나온다. *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소련군 마지막 미션에서 [[디미트리 페트렌코]]가 소련 깃발을 꽂을 때 흘러나온다. 마침 분위기도 그렇고 꽂으면 소련군들이 우라!!를 외치기 때문에 감정이입이 잘되는 사람이면 덩달아 우라를 외치게 될 것이다.[* 합창단이 부르는 하이라이트 후렴 부분이 나오는 동시에 소련군들이 박자에 맞춰서 우~라 우~라 하며 외치고 깃발을 꽂는 순간 길게 우라~ 하며 노래 후반부가 나온다. 레즈노프의 연설과 더불어 월드앳워 최고의 명장면이다. 태평양전선 캠페인이 암울한 분위기로 끝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분위기는 다 좋은데 1977년 버전이다. --고증따윈 개나줘버려-- [* 다만 어쩔 수 없는 것이 1944년 버전은 음질이 열악한 것밖에 없고 합창단한테 시키자니 돈이 애매해질 테니 흔히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부른 1977년 버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러시아어를 아는 사람은 자신이 러시아인이라거나 전공이 아니라면 드물 테고 음정과 박자나 둘다 서로 거의 일치하니...] 멀티플레이에선 소련 진영 승리시 맨 마지막 부분이 흘러나온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스페츠나츠 진영 승리 시 BGM으로 앞부분이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MMOTSG 게임인 [[네이비필드]]에서는 소련 국가를 어레인지해서 소련 항구의 메인 테마로 넣었다. 원곡과 가사는 달라진 느낌이다. [[https://youtu.be/S1aX0dlBnag|관련 영상.]] 비슷하게 프랑스 항구 메인 테마도 [[라 마르세예즈]]를 참조한 듯한 모습이 보인다. *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2011)]]에서는 서커스(MI6)의 크리스마스 파티 때 산타 옷을 입고 [[블라디미르 레닌]] 가면을 쓴 사나이와 합창하는 장면이 나온다. 참고로 여기서 원작자인 [[존 르카레]]도 나와서 함께 부른다.[[https://youtu.be/vLrf_I33ZUk?t=21|#]] 영상의 30초 쯤에서 테이블에 앉아 있다가 음악이 나오자 일어나서 따라 부르는 화면 오른쪽의 노인이 바로 존 르카레다. * [[핵갈린 늬우스]]에서 남파공작원 리점례(이현정)이 자신의 테러를 자랑할 때 연주곡이 흘러나온다. * 영화 [[이중간첩(영화)|이중간첩]]의 [[https://youtu.be/PeCK4NFDd-4|트레일러에서 사용되었다.]] * 창작물이기 보단 [[랜섬웨어]]인 [[스탈린락커]]에서 [[귀갱]]급의 소련 국가가 나온다. * 스웨덴의 유명 메탈 밴드 [[사바톤]]의 [[모스크바 공방전]]을 배경으로 한 2021년 최신작 "Defence of Moscow"의 도입부와 간주[* 특히 메탈화한 걸 빼면 거의 오리지널에 가까워 누구나 무조건 알아차리는 부분은 2분 59초부터 시작한다.]에 전격 사용되었다. * [[더 크라운]] - [[영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가나]]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가 소련 외교관을 접견하는 장면에서 소련 국가가 연주된다. [[God Save the Queen|영국 국가]] 대신 소련 국가가, [[엘리자베스 2세]]의 초상화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로 대체된 장면이 나오고 소련 국가가 울려퍼진다. [[https://www.youtube.com/shorts/gmJcpJ-zzCw|#]] == 타국어 버전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FFE302 '''소련 국가 20개국 언어'''}}}}}}[* 일본어, 중국어 등 일부 언어는 러시아 국가 버전의 가사를 토대로 번안되어 있다.] || ||<nopad> [youtube(1cUfrca_HlU)] || ===# [[영어]] #=== [[폴 로브슨]][* Paul Robeson, [[1898년]] [[4월 9일]]~[[1976년]] [[1월 23일]]]이라는 [[미국]]의 가수가 부른 음원이다. 생몰년을 보면 알겠지만 1944년 버전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7pbnTI1_LM)]}}}|| ||<nopad> [youtube(S_q8ixJarsU)] || ||<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FFE302 '''한글 자막 버전'''}}}}}}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United forever in friendship and labour, Our mighty Republics will ever endure. The great [[Soviet Union]] will live through the ages. The dream of a people their fortress secure. ---- '''후렴''' Long live our Soviet motherland, built by the people's mighty hand. Long live our people, united and free. Strong in our friendship tried by fire. Long may our [[적기|crimson flag]] inspire, Shining in glory for all men to see. ---- '''2절''' Through days dark and stormy where great [[레닌|Lenin]] lead us Our eyes saw the bright Sun of freedom above and [[스탈린|Stalin]] our leader with faith in the people, Inspired us to build up the land that we love. ---- '''3절''' We fought for the future, destroyed the invader, and brought to our homeland the laurels of fame. Our glory will live in the memory of nations and all generations will honor her name.}}} ===# [[스페인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AI4rydyeac)]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union indestructible de republicas libres que unidas por siempre a rusia estarán saluda a la obra de mano de el pueblo unida y fuerte: la union sovietica cantemosle a la patria santuario de la igualdad mezcla de pueblos en gran hermandad ohhh partido de lenin el socialismo has de guiar laaa fuerza del pueblo que no se rindió a traves de tinieblas el brillo del sol el camimo de lenin se iluminó alzó a los pueblos a una causa justa trabajo y hazañas nos inspiraran gloooooria a la madre patria nuestraaaa nación fuerte será firme bastion de la justicia sociaaaal valuarte sovietico valuarte del pueblo a la victoria nos conducirá en la victoria de nuestro ideal el socialismo triunfante será y a la bandera ondeante y escarlata permaneceremos leales siempre gloooria proletaria que salvará a la humanidad firme bastion de la justicia sociaaaal vaaaluarte sovietico vaaaluarte del pueblo a la victoria nos conducira}}} ===# [[독일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yAmrK3rhQBw)] || [[https://youtu.be/yAmrK3rhQBw|번역 출처]]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Von Russland, dem Großen, auf ewig verbündet, 위대한 러시아가 이루어낸, 영원한 단결 위로, Steht machtvoll der Volksrepubliken Bastion! 인민공화국의 보루가 굳건히 서 있네! Es lebe, vom Willen der Völker gegründet, 영원하라, 인민의 의지로 세워진, Die einige' und mächtige Sowjetunion! 하나된 강력한 소비에트 연방이여! Ruhm sei und Lobgesang 영광과 찬가를 dir, freies Vaterland! 그대, 자유로운 조국이여! Freundschaft der Völker hast fest du gefügt! 그대는 인민의 우정을 굳게 단결시켰다! Fahne der Sowjetmacht, 소비에트의 깃발이, Fahne in Volkes Hand, 인민들이 손에 쥔 깃발이, Du sollst uns führen von Sieg zu Sieg! 우리를 승리에서 승리로 이끌어 주리라! O, Sonne der Freiheit durch Wetter und Wolken! 오, 폭풍우와 구름을 뚫고 비추는 자유의 태양이여! Von Lenin, dem Großen, ward Licht unserm Pfad! 위대한 레닌이 우리의 길을 밝혀주었다! Und Stalin erzog uns zur Treue dem Volke, 그리고 스탈린은 우리에게 인민의 충성을 가르쳤고, Beseelt uns zum Schaffen, zur heldischen Tat! 우리가 창조하고, 영웅적인 행동을 하도록 북돋아 주시네! Ruhm sei und Lobgesang 영광과 찬가를 dir, freies Vaterland! 그대, 자유로운 조국이여! Glück deiner Völker hast fest du gefügt! 그대는 인민들의 행복을 굳게 세웠다! Fahne der Sowjetmacht, 소비에트의 깃발이, Fahne in Volkes Hand, 인민들이 손에 쥔 깃발이, Du sollst uns führen von Sieg zu Sieg! 우리를 승리에서 승리로 이끌어 주리라! Wir haben in Schlachten das Heer uns geschaffen 우리는 전투 속에서 우리의 군대를 창조하였고 Und schlagen den Feind, der uns frech überrannt. 파렴치한 침략자들을 물리쳤다. Entscheiden das Los von Geschlechtern mit Waffen 무기로 세대의 운명을 결정하고 Und führen zum Ruhm unser heimatlich Land! 우리의 조국을 영광으로 이끌어 가리라! Ruhm sei und Lobgesang 영광과 찬가를 dir, freies Vaterland! 그대, 자유로운 조국이여! Ruhm deiner Völker hast fest du gefügt! 그대는 인민의 영광을 굳게 세웠다! Fahne der Sowjetmacht, 소비에트의 깃발이, Fahne in Volkes Hand, 인민들이 손에 쥔 깃발이, Du sollst uns führen von Sieg zu Sieg! 우리를 승리에서 승리로 이끌어 주리라!}}} ===# [[리투아니아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5Lj-UwHoVAU)]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Laisvųjų respublikų sąjunga amžiams Tvirčiausiai Didžiosios Rusios suburta Tarybų mūs Sąjunga šauniai gyvuoki Galinga, vieninga, taulų suburta! ---- (후렴) Savo Tėvynę mes šlovinam laisvają Jungia tautas čia draugystė tvirta! Veda subūrusi į komunizmą mus Lenino partija, liaudies jėga! ---- 2절 Per audrą mums laisvė lyg saulė žėrėjo Didysis mums Leninas rodė kelius: Į kovą teisingą tautas jis pakėlė Ir darbui, ir žygiams jis įkvėpė mus! (후렴) ---- 3절 Laimėsim, taurių komunizmo idėjų Į aleitį šviesią pirmyn vedami Ir būsime mūsų garbingos Tėvynės Raudonajai vėliavai ištikimi! (후렴)}}} ===# [[라트비아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ySs8vftMgoc)]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Par brivu un varenu republiktsaimi Mūs pulcēja Diženās Krievzemes balss. Lai zeļ tautu celtā un zied mūžam laimē Visvarenā, vienotā Padomju Valsts! ---- 후렴 Tēvija brīvajā, tevi mēs slavinām, Tautām tu draudzības drošākais balsts! Padomju karogam, mūstautu karogam Uzvaru uzvarās vadit un saukt!}}} ===# [[에스토니아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_YNVFk-2VT4)]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On vabade riikide murdmatu liidu loonud jäädavaks ajaks suur Venemaa hõim. Sest elagu rahvastest võidule viidud Nõukogude Liit, tema ühtsus ja võim! ---- (후렴) Au sulle, Isamaa, vaba ja võitmatu, rahvaste sõpruse vendluse maa! Kõrgel me Nõukogu rahvalipp lehvigu, Võidult meid võidule juhtigu ta! ---- 2절 Meil tormides helendas vabaduspäike, suur Lenin meil valgustas võitluste teid. Truuks rahvale Stalin meid kasvatas kõiki, tööks, kangelastegudeks innustas meid. (후렴) ---- 3절 Kõik nurjatud kallaletungijad väärab me lahingus kasvanud võimas armee. Me võitluse hoog sugupõlvedeks määrab aus, kuulsuses hiilgama Isamaa tee. (후렴)}}} ===# [[핀란드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b2918JfOG0M)]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Oi suuri ja mahtava Neuvostoliitto sun synnytti valtava Venäjänmaa Sun luonut on kansojen yhteinen tahto, sun mahtis on säilyvä aikojen taa. ---- (후렴) Oi suuri, vapaa synnyinmaa, sun kunniaasi kaiuttaa kansojen ystävyys murtumaton. Sun lippuasi seuraten neuvostoihminen voitosta voittohon astuva on. ---- 2절 Niin suuri on Lenin. Hän kirkasti tiemme, Kun aamuun me astuimme myrskyistä yön. Ja Stalinin johdolla taistoissa, työssä Me nousimme kuntohon sankarityön. (후렴) ---- 3절 Me taistellen nostimme armeijan maasta, kuin myrsky me käymme päin valloittajaa. Nyt iskemme puolesta lastemme lasten ja eestä sun kunnias, neuvostomaa. (후렴)}}} ===# [[헝가리어]] #=== [youtube(OHNXRhynFvY)] 1944년 버전 [youtube(qdsWOxy4kqg)] 1977년 버전 >{{{#!folding 1944년판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Szabaddá tett népek örök szövetsége, A nagy Oroszország nagy műve e frigy. Hogy éljen a Szovjet hatalma, egysége: A nép így akarta s megalkotta így. ---- 후렴 Szálljon szabad hazánk, Dicsőség fénye rád, Népek szabadságát vívod ki te! Zászlód a Szovjetet, Zászlód a népeket Győzelemről győzelemre vigye!}}} >{{{#!folding 1977년판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Szövetségbe forrt szabad köztársaságok: A Nagy Oroszország kovácsolta frigy, A Szovjet hatalma és egysége éljen: Sok nép így akarta s megalkotta így! ---- 후렴 Szálljon szabad hazánk, Dicsőség fénye rád, Népek barátságát vívtad te ki! Lenini párt vezet, Láng, mely a népeket Kommunizmus győztes útján viszi.}}} ===# [[히브리어]]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hNNrWtQJ_ww)] ||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האחדות החזקה של רפובליקות חופשיות רות הגדולה עשתה את זה לנצח. נוצר על ידי החופש והרצון של העם ברית המועצות האלמותית לנצח! תהילה למולדתנו החופשית ידידות העם היא מעוז חזק! דגל ברית המועצות, דגל העם אני אוביל אותך מניצחון לניצחון! ---- מבעד לסערה זורחת עלינו שמש החופש לנין הגדול מאיר לנו את הדרך. סטלין לימד אותנו את נאמנות העם, לימדו שמחה בעמל ובמעשים! תהילה למולדתנו החופשית ידידות העם היא מעוז חזק! דגל ברית המועצות, דגל העם אני אוביל אותך מניצחון לניצחון! ---- בקרבות רבים הצבא שלנו גדל, סחפתי את הפולשים המרושעים מהדרך! אנו קובעים את גורל הדורות בכתם הדם, נוביל את ארצנו לתפארת! תהילה למולדתנו החופשית ידידות העם היא מעוז חזק! דגל ברית המועצות, דגל העם אני אוביל אותך מניצחון לניצחון!}}} ===# [[일본어]] #=== [youtube(HeAPHMPbBTA)]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1절 自由の[ruby(共和国,ruby=くに)]の ゆるがぬ同盟 [ruby(永久,ruby=とわ)]に結びぬ 大ロシア 諸民族の意志 もて建てし ソヴェート同盟 栄あれ ---- 후렴 はえあれわが祖国 自由のわが祖国 民族友誼の かたきとりで ソヴェートの旗を 人民の旗を 導け勝利へ 進めよ ---- 2절 自由の光 嵐ついて [ruby(偉大,ruby=だい)]なるレーニン 途照らし [ruby(偉大,ruby=だい)]なるスターリン われら励まし 労働の勝利に 導きぬ ---- 후렴 はえあれわが祖国 自由のわが祖国 民族の幸 まもるとりで ソヴェートの旗を 人民の旗を 導け勝利へ 進めよ ---- 3절 戦火に鍛えし わが軍隊は 侵略の敵 うち砕き 闘い守らん 永久のさかえ わが祖国よ 光あれ ---- 후렴 はえあれわが祖国 自由のわが祖国 民族の誉れ かたきとりで ソヴェートの旗を 人民の旗を 導け勝利へ 進めよ}}}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패망하고, [[소련군]]의 포로로 붙잡혀 [[시베리아]]에 억류된 [[일본군]] 패잔병들에게 배포된 가집에 기재된 [[일본어]] 번안 가사이다. [[https://youtu.be/cFp9aI1kF1Y|정보 출처]] [[1948년]]에 배포된 것이라 1944년판 가사에 기반하고 있다. [[1950년대]]까지는 Союз라는 단어에 대해 동맹이라고 번역했기 때문에, 가사에도 이것이 반영되어 있다. == 소비에트 연방 구성국들의 국가 == ||<bgcolor=#c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0000><colcolor=#FFE302><nopad> [youtube(OjDPq1ztwk4)] ||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 중 러시아를 제외한 14개 공화국은 자체적인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이 곡들은 대부분 소련 국가가 새로 제정된 1944년 이후에 만들어졌는데 어김없이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이 들어 있었기 때문에 스탈린 사후 곡조만 연주되다가 1978년에 가사가 개정된 경우가 많다. 대개 3절로 구성되었으며 가사에는 [[소련 공산당]]과 공산주의 찬양, 다른 공화국들과의 연대, 러시아인과의 우애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다.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국가는 [[아람 하차투리안]]의 곡이 사용되었고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국가를 작곡한 위제이르 하즈배요프(Üzeyir Hacıbəyov)는 아제르바이잔의 현 국가인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본래는 [[1918년]]에서 [[1920년]]까지 존속한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의 국가이다. 하즈배요프는 1948년에 사망했다.]의 작곡자이기도 하다. [[러시아]],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은 당시의 국가를 개사해서 지금도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는 1991년부터 2000년 12월 30일까지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였던 [[애국가(러시아)|애국가]]를 썼고 2000년 12월 30일부터는 소련 본국 국가의 음에 가사를 바꿔 사용하고 있다. 한때 [[카자흐스탄]]도 당시의 국가를 개사해서 사용하였으나 2006년에 '나의 카자흐스탄'이라는 새로운 국가로 대체하였다. [[투르크메니스탄]]은 국가 개정이 늦어져 1997년까지 소련 시절 국가를 가사 개정 없이 그대로 사용했다가 멜로디까지 다른 새로운 국가로 대체하였다. 아르메니아에서는 [[2006년]]과 [[2019년]]에 현재의 국가인 [[우리의 조국]]에서 다시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사용하던 국가에 가사만 바꿔서 사용하자는 주장이 제기된 적이 있다.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우크라이나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벨로루시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리는 벨라루스인)]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우즈베크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투르크멘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타지크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카자흐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키르기스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그루지야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아르메니아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아제르바이잔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몰도바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리투아니아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라트비아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에스토니아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카렐리야-핀란드 SS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분류:1944년 노래]][[분류:1977년 노래]][[분류:소비에트 내셔널리즘]][[분류:국가(노래)]][[분류:인터넷 밈/음악]][[분류:유튜브/밈]][[분류:인터넷 밈/러시아]][[분류:공산주의 음악]][[분류:러시아 음악]]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