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샤하다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이슬람]][[분류:아랍어 단어]][[분류:국가의 표어]] [include(틀:토론 중, 문서명=샤하다)] [목차] == 개요 == > 라-, 일라-하, 일 알라- 무함마단 라술-룰라 > 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 > [[알라|하나님]] 외에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이다.[*번역 [[http://www.koreaislam.org/이슬람/|한국이슬람교]]] >There is no deity but Allah(God), and Muhammad is his messenger. [[이슬람]]의 신앙고백 문구. '칼리마(말씀) 알 샤하다', [[남아시아]]에서는 '첫 번째 칼리마'라고도 한다. [[무슬림]]의 5대 의무([[이슬람의 다섯 기둥]]) 중 하나이며, 이슬람에 입교할 때 반드시 해야 하는 의식이다. 샤하다의 내용을 알고 동의한다는 의지를 세우고 샤하다를 [[아랍어]]로 암송하면 무슬림이 된다. 보통은 샤하다를 고백했다는 증인이 되어줄 사람들 앞에서 [[모스크]]의 [[이맘]]이 입교자 앞에서 샤하다 구절을 한 단락씩 말하면 입교자가 따라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비무슬림이 무슬림이 되겠다는 의도가 없이 따라해도 무슬림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슬람의 모든 종교의례는 그 의미를 모르면 원천 무효가 된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와 더불어 많은 [[국가]]들, 특히 [[이슬람 국가]]의 공식적인 [[표어]]로 쓰인 문장이다. == 암송 == 이상은 기본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암송한다. > 아슈하두 안나 라- 일라-하, 일랄-라 > أشهد أن لا إله إلا الله > 나는 증언하노니 알라 외에 신은 없으며, > > 와, 아슈하두, 안나 무함마단 라술-룰라 > وأشهد أن محمدا رسول الله > 그리고 증언하노니 무함마드는 신의 사자입니다. 아슈하두는 샤히다'(شهد, 증언하다)의 직설법 현재 1인칭 단수. 잘 쓰이는 꼴은 아니지만 약간 응용하면 1인칭 복수(우리는 증언합니다)는 '나슈하두'로 사용할 수 있다. 타지위드(암송법)의 이드감(음 병합) 규칙에 따르면 라(r)나 람(l)이 [[탄윈]]을 뒤따를 경우 탄윈의 눈(n)을 역행동화시켜 라(r)나 람(l)으로 발음해야 한다. 여기서 명사 무함마드가 탄윈을 받고 바로 뒤에 ر이 이어지므로 /n/이 /r/로 교체된다. 마찬가지로 أن를 넣지 않고 읽되 운율을 넣는 등 암송의 한 부분으로 볼 경우 타지위드를 적용해 '무함마둔 라술-룰라-'는 '무함마두르 라술-룰라-'로 읽는다. 그러나 이는 문법의 문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타지위드에서 부드럽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기 위해 만든 규칙에 따른 것이므로, '무함마다르'가 아니라 '무함마단'이라고 하더라도 틀린 것은 아니다. 이드감보다 중요한 규칙은 '일랄'''라'''-후'와 '라술-룰'''라''''의 ل이 '알라'의 ل이므로 발음할 때 혓바닥을 연구개 쪽으로 올리고 이 부분의 '라'를 '롸'처럼 발음하는 것이다. 타샤후드를 할 때는 위의 샤하다 외에 몇 구절이 더 나오는데 대표적으로 "وَأَشْهَدُ أَنَّ مُحَمَّدًا عَبْدُهُ وَرَسُولُهُ"(와, 아슈하두, 안나 무함마단, 압두후 와 라술-루후-)로 끝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타지위드를 따르더라도 /r/ 역행동화가 적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압두후 와 라술-루후-'는 '(하나님의) 종이며 사자'라는 뜻이다. == 샤하다를 깃발에 사용한 국가/단체 == === 국가 === ||<tablewidth=100%><width=2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100%]] ||<width=25%>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width=100%]] ||<bgcolor=#ffffff><width=25%>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100%]] ||<width=25%>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width=100%]] || ||<rowbgcolor=#fff,#1f2023> [[사우디아라비아]]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멸망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사실상 멸망]],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잔존 세력 일부 저항 중]]. 국장 상단에 있다.] || [[아프가니스탄]] || [[소말릴란드]][*미승인국가 ] || === 단체 === ||<tablewidth=100%><#000000><width=25%> [[파일:지하드 깃발.svg|width=100%]] ||<#ffffff><width=25%>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100%]] ||<width=25%><bgcolor=#000000>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width=100%]] ||<width=25%> [[파일:하마스 기.svg|width=100%]] || ||<rowbgcolor=#fff,#1f2023> [[알카에다]] || [[탈레반]]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하마스]] || 알카에다 계통 이슬람 무장 단체도 동일한 깃발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레반 등 많이 알려진 무장 단체만 서술한다. 알카에다 계통 소수 단체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에 충성한 단체들(예를 들어 [[알샤바브]], [[보코 하람]])도 해당 깃발을 사용하고 있다. == 언어별 명칭 == ||<bgcolor=#919191,#191919><-2> '''{{{#FFFFFF 언어별 명칭}}}''' || ||<colbgcolor=#DCDCDC,#212121>'''[[그리스어]]''' ||Σαχάντα || ||[[말레이어]] ||Syahadah || ||[[소말리어]][br][[영어]][br][[하우사어]] ||Shahada || ||[[아랍어]] ||شهادة || ||[[일본어]] ||シャハーダ || ||[[튀르키예어]] ||Kelime-i şehâdet || ||[[페르시아어]] ||شهادت || ||[[러시아어]] ||Шахада || ||[[태국어]] ||ชะฮาดะฮ์ || ||[[중국어]] ||[include(틀:zh, text=清真言)] || ||[[힌두어]] ||शहादा || ||[[히브리어]] ||שהאדה || ||[[아르메니아어]] ||Շահադա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