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사회주의노력영웅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사회주의노력영웅]][[분류:소련 훈장]][[분류:영웅 칭호]] [include(틀:소련의 훈장)] ---- ||<-7><tablebordercolor=#cd0000><tablewidth=450><colbgcolor=#cd0000><colcolor=#ffd700><tablealign=right> '''{{{+1 사회주의 노력 영웅}}}[br][[러시아어|{{{#ffd700 Гер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Труда}}}]][br]Hero of Socialist Labour''' || ||<-7><height=40><bgcolor=#fff> [[파일:사회주의 노력영웅.svg|width=2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의 영웅 칭호 중 하나. [[1938년]]에 제정되었는데 이 때는 단지 ''''사회주의노력영웅''''의 칭호(Звание)만 존재하였다가 [[소비에트 연방 영웅]]칭호처럼 '''별도의 금메달이 수여'''되도록 결정된 것은 [[1940년]]이다. 다른 초기 소련의 훈장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무공을 치하하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 훈장은 '''[[소련]] 국적자에게만''' 주어지는 것이었고 당연히 등급도 약간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 정확히 [[소련]]의 3가지 영웅칭호는 '''등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연히 암묵적인 구분이 [[콩라인|존재할 수 밖에]] 없다. 패용할 때 [[소비에트 연방 영웅]] 메달을 먼저 패용하는 것은 '''그것이 [[선배|먼저 제정된 것]]'''이라서 그렇다. [[훈장(상훈)/소련|소련의 훈장들]]은 비슷한 종류일 때는 먼저 제정된 것을 앞에 패용한다.] 메달 자체는 '''낫과 망치 금메달'''(Золотая Медаль «Серп и Молот»)이라고 불린다. ||1938년 12월 27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Президиум ВС СССР)가 '''사회주의노력영웅''' 칭호를 제정 1940년 5월 22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가 '''망치와 낫 금메달'''(금성메달)을 제정 1973년 5월 14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에 의해 새 영웅칭호 수여에 대한 규정 승인 2013년 3월 29일 '''러시아 연방 대통령'''(Президент РФ)에 의해 '''러시아연방노력영웅''' 칭호를 제정 || [[소비에트 연방 영웅]]의 메달과 형식적으로 동일한데 메달 자체의 디자인도 중간에 '''낫과 망치가''' 들어갔다는 것을 빼면 특별히 다른 점은 없다. ~~둘은 [[쌍둥이|이란성 쌍둥이]].~~ 마찬가지로 '''순도 95%의 [[금]]으로''' 제작한다. 이 칭호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노력적기훈장]]에서 기인한다. 당시에는 이 훈장을 받으면 ''''노력영웅'''(Герой Труда)' 칭호가 같이 수여되었다. > '''노력영웅'''(Герой Труда)의 칭호는 "'''어떠한 특별한 장점을 지닌 노동자'''" 혹은 "'''35년 이상 고용되어 노동을 통한 봉사를 하는 자'''" 에게 부여하며, 소련 중앙집행위원회 상무회(Президиум ЦИК СССР)의 결정에 의하여 [[소비에트 연방]] 내 전 [[공화국]]에 부여한다. [[1927년]] 소련 중앙집행위원회(ЦИК)와 인민위원회의(СНК)의 결의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가 소련 최고의 영예칭호로 [[1938년|제정된]] 이후에는 이미 [[레닌훈장]] 같은 상위훈장들이 존재하여 '''영웅칭호가 무색'''하게 되었다. 따라서 노력영웅 칭호는 '''사회주의노력영웅'''(Гер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Труда) [[업그레이드|칭호로 재편]]하고 대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노력적기훈장]]을 [[다운그레이드|개정]]'''하였다.[* 훈격이 상당히 낮아졌다. 자세한 것은 [[노력적기훈장]] 항목 참고.] [[소련]]의 영웅 메달들은 '''전부 [[약장]]이 존재하지 않으'''며 [[훈장(상훈)/소련|다른 훈장들]]을 패용한 묶음 위에 따로 패용한다. '노력'영웅이라고 해서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노오오오력 할때 그 노력이 아니다. 노동자와 그 노동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훈장으로서 '노동'영웅이라고 생각하면 의미를 알기 쉽다. == 수훈 == 새로 제정된 사회주의노력영웅 칭호는 '''경제와 사회, 문화적 개발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자'''를 위해 제정되었다. 즉, 민간 부문에서 [[갑|최고의 등급]]이다. * '''수훈 대상''': '''소련 국적자'''[*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와 달리 외국인 등에게 수여되지 않고 단체가 아닌 '''사람에게''' 수여된다. 이는 [[모성영웅]] 칭호도 마찬가지다.][* [[군인]]도 수여 가능하다. 단 무공에 따른 것이라기 보단 [[대한민국]]의 [[국방과학연구소]] 같은 곳에서 근무하여 '''신무기 등을 개발'''한 공로. '''[[핵폭탄]]이나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같은 [[결전병기]]를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개발했다면]] [[세르게이 코롤료프|100%다]]'''.] * '''수훈 사유''' * 뛰어난 혁신적인 작품이나 성과로 노동적 영웅주의를 보여준 경우 * 개인에 할당된 생산의 효율성 향상에 상당한 기여 * 경제·과학·문화적 분야의 발전에 기여 * 소련 국력에 대한 영예를 빛낸 경우 [[훈장(상훈)/소련|소련의 훈장]]들은 급수가 나누어져 있을 때 아래의 것부터 먼저 받는다. 즉, 이 '''최고의 칭호를''' 받을 수훈자는 [[레닌훈장]]을 수훈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레닌훈장 '''수훈자가 아니'''라도 영웅칭호를 받으면 [[레닌훈장]]을 '''[[1+1|그냥 준다]]'''. 1번 훈장은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처음 수훈되었고 2번 훈장은 소병기 기술자인 [[바실리 덱타료프]]에게 수여되었다. 총 20,605명이 수훈하였고 205명이 2번 수훈했다. 16명은 무려 3번이나 받기도 했다. 영웅칭호는 '''다른 훈장들과 급이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그에 걸맞은 조치들이 내려진다. 일단 수훈자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고향에 '''영웅의 칭호가 새겨진 [[동상(조형물)|청동제의 표식(비문)]]을 설치'''한다. 영웅의 칭호를 받은 자는 [[소련]]의 각 명판에 이름이 기록되어 기념되어지며 '''생가는 [[던전|영웅의 출생지]]'''로서 마찬가지 명판이 세워진다.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의 기록에도 '''[[만렙|영웅]]'''으로 기입되어진다. 마찬가지로 [[신문]] 기사 등에서 해당 수훈자를 명기할 때는 거의 반드시 '''사회주의노력 영웅'''(Гер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Труда)이라는 호칭을 앞에 붙인다. [[군복]]에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메달처럼 위/아래 옷깃의 사이와 수평에 위치하는 '''직선 상'''에 패용하게 되어 있으나 [[민간인]] 수훈자가 많은 만큼 '''좀 막 다는''' 경우가 많다. 2개 이상일 때는 대개 일렬로 배치하지만 1개 뿐일 때는 옷깃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소비에트 연방 영웅]] 금성메달과 사회주의노력영웅 금성메달이 같이 존재할 경우 소련 영웅 메달을 안쪽에 패용한다. 이들의 메달은 '''4개까지''' 일렬로 배치하며 '''5개''' 이상일 경우 나누어서 2줄로 패용한다.[* 당연하겠지만 '''영웅메달을 2줄로 패용한다는 규범 따윈 없다'''. 4회 수훈한 사람은 [[게오르기 주코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원수(계급)|원수]] 둘 밖에 없는데 브레즈네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4회를 받은 것 이외에 사회주의노력영웅까지 받아서 '''5개가 되었다'''. 결국 도저히 이 메달을 [[버틸 수가 없다|한 줄에 다 달 수 없자]] [[http://www.geodezist.info/test/geodezist+/foto/Politik/Brezhnev.gif|2줄로 패용]]했던 것 뿐이다. 엄밀히 말해 브레즈네프는 수여'''받은 게''' 아니라 권력을 이용해 직접 달거나 따까리들이 바쳤다.] [[소련 붕괴]] 전 마지막으로 [[1991년]] 12월 21일 소련 [[대통령]]령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훈되었고 소련 붕괴 후에는 자동적으로 수훈이 중단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는 러시아 연방 출범 후 [[러시아 연방 영웅]]으로 바로 부활했으나[* 발트 3국을 제외한 구 소련국가들도 각 국가의 영웅칭호를 부활시켰다. 대표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영웅]]이 있다.] 이것은 2013년 3월 29일에 가서야 [[블라디미르 푸틴]]의 대통령령에 의해 '''[[https://ru.wikipedia.org/wiki/Герой_Труда_Российской_Федерации|러시아연방노력영웅]]'''(Герой Труд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였으며 같은 해 [[노동절]]에 유명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Валерий Абисалович Гергиев)를 비롯한 5명에게 수여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238322|#]] === 외국의 경우 === 소련의 [[독소전쟁|대조국전쟁]] 승전 이후 [[바르샤바 조약 기구]] 소속 [[공산주의|공산진영]]의 각국들로 퍼져나가 각 나라별로 '''사회주의노력영웅''' 칭호와 유사한 개념의 칭호들이 존재했다. [[베트남]], [[동독]], [[북한]] 등등. === 문서가 있는 수훈자 === ==== 1회 수훈 ==== * '''[[이오시프 스탈린]]''' - '''최초 수훈자'''이며 그의 초상화나 사진에는 메달 하나만 덜렁 걸려 있는 경우가 많다.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의 금성메달을 받은 후에도 노력영웅 메달만 패용했다. * [[토카레프|표도르 토카레프]] - 총기 기술자. 대표작으로 [[TT 권총|토카레프]]가 있다. * [[게오르기 슈파긴]] - 총기 기술자. 대표작으로 [[PPSh-41]]를 만들어 독소전 승리에 기여하였다.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작곡가. * [[니콜라이 불가닌]] - 초대 국방장관 및 장관회의 주석. * [[니키타 흐루쇼프]] - 소련 공산당 서기장.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 ~~[[라브렌티 베리야]]~~ - NKVD 총수, 1953년 12월 31일 칭호 박탈.[* 1953년에 처형당하고 칭호도 박탈당했다. 이 칭호를 받은 인물 중 유일하게 사형당한 사람이다.] * [[라시드 베흐부도프]] - 가수.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소련 공산당]] 서기장.[* 이 사람은 워낙 자뻑이 심해서 사회주의노력훈장을 1번만 받은 게 최소한 양심은 있어 보일 정도다. 이것보다 살짝 더 높게 여겨지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은 4번이나 셀프수여했고, 이건 [[게오르기 주코프]]와 함께 최다 수훈자다.] * [[레프 란다우]] - 유대인 물리학자. 196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 [[레프 야신]] - 축구선수. '''세계에서 유일한 [[발롱도르]] 위너 [[골키퍼]]''' * [[미하일 코시킨]] - 전차 개발자. [[T-34 전차|T-34]]를 개발했다. * [[바실리 덱타료프]] - 총기 기술자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제3대 인민위원장 및 초대 외무장관. * [[보리스 알렉산드로프]] - 지휘자 겸 작곡가.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제2대 단장. * [[블라디미르 톨룹코]] - 소련군 포병상원수.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피아니스트. * [[아나스타스 미코얀]] - 소련 대외무역성 장관 및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아람 하차투리안]] - 작곡가 겸 지휘자.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 소련 외무장관 및 독립 조지아의 제2대 대통령. * [[에밀 길렐스]] - 피아니스트.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 * [[예핌 보이추크]] - 소련군 포병원수. * [[이반 트레티야크]] - [[소련 방공군]] 총사령관 * [[유리 그리고로비치]] - [[발레리노]] 겸 안무 감독 * [[유리 안드로포프]] - 전 [[KGB]] 총수이자 소련 공산당 서기장.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소련군]] [[원수(계급)|원수]]. ==== 2회 수훈 ==== * [[김병화]] - '''[[고려인]]''' 집단농장 지도자. 2회 수훈. * [[미하일 숄로호프]] - 소설가, [[노벨문학상]] 수상. * [[미하일 수슬로프]] - 스타브로폴 지방 공산당 비서이자 일명 '''회색 추기경'''. *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 총기 기술자. 대표작은 바로 '''[[AK-47]]''' * [[세르게이 코롤료프]] - 소련 로켓개발의 대부로 불리는 수석개발자. 대표작은 '''[[스푸트니크]], [[R-7]], [[소유즈]]'''.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제5대 외무장관 및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알렉세이 코시긴]] - 소련 장관회의 주석. ==== 3회 수훈 ==== * [[세르게이 일류신]] - 항공기 설계사. * ~~[[안드레이 사하로프]]~~ - 핵물리학자로 소련 [[수소폭탄]] 개발의 주역. 3회 수훈하였으나 적극적인 인권운동을 벌이면서 결국 1980년에 이걸 포함한 모든 칭호를 박탈당했다. * [[안드레이 투폴레프]] - [[투폴레프]] 설계국장 * [[콘스탄틴 체르넨코]] - 소련 공산당 서기장. === 기타 === 그 외 모든 사회주의노력영웅 수훈자를 보고싶다면 [[http://en.wikipedia.org/wiki/Category:Heroes_of_Socialist_Labour|이 곳]]으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us_Stamp-SolSedoy.jpg]] 수훈자들을 위한 기념 [[우표]]가 발행되기도 한다. 우표 속의 인물은 [[군가/소련-러시아|소련의 군가]]인 [[진격(군가)|진격]][* 소련에서 초대박을 터트렸고 [[독일어]], [[중국어]]로 번안되었으며 심지어 [[한국어]] 버전도 있다.], 가곡 모스크바의 밤 등을 작곡한 바실리 솔로비요프-세도이(В. Соловьёв-Седой). == 관련 문서 == * [[훈장(상훈)]] * [[훈장(상훈)/소련]] * [[사회주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