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백학(노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youtube(rQfe3wMw6pc)]|| || 마르크 베르네스가 부른 원곡. 베르네스는 1969년 8월에 폐암으로 사망했는데[br]죽기 한 달 전인 7월 6일에 단 한 번의 레코딩으로 녹음을 끝냈다고 한다. || [[소련]], [[러시아]]의 민족시인이자 [[소련 최고회의]] 의원인 [[라술 감자토프]][* 엄밀히는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 [[아바르인]].]가 쓴 시에 '얀 프렌켈'(Ян Френкель, 1920~1989)이 곡을 붙인 '''가요'''. 민요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가요다. 러시아어 번역은 나움 그레브네프(Нау́м Иса́евич Гре́бнев, 1921-1988)가 했다. 본래는 소련의 국민가수 겸 배우 '마르크 베르네스'(Марк Наумович Берне́с, 1911~1969)가 불렀으며 악보 초판의 서문에도 그에 대한 헌정이 담겨 있다. 베르네스 사후 수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메이크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러시아의 대중가수 '이오시프 코브존'(Иосиф Кобзон, 1937~2018)이 녹음한 음원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국에는 드라마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의 [[OST]]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전주부의 '우우우 우우~'하는 부분이 유명하다. 멜로디가 비장해서 [[개그콘서트]] 종영코너 [[하류인생(개그콘서트)|하류인생]]과 최종회 때의 [[마지막 새코너]] 같은 각종 예능 등에서도 자주 쓰이는 편인데 가사가 전쟁에서 죽어간 젊은 병사들을 기리는 내용이라 알고 들으면 그 비장함의 깊이가 더해진다.[* 특히 [[에너미 앳 더 게이트]], 브레스트 요새, [[스탈린그라드(2013)|러시아 영화 스탈린그라드]] 같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이 주역인 영화를 감상한 후에 이 노래를 듣는다면 더더욱 비장하게 느껴진다.] 실제로,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승리의 날|전승기념일]] 행사 때마다 빠지지 않는 레퍼토리로 자리잡은 곡이기도 하다.([[https://blog.naver.com/kanginuk/90160749655|백학을 작사·작곡한 사람들을 다룬 글]]) 한국에선 [[백만송이 장미]]와 함께 러시아 민요로 잘못 알려져 있다. ||[youtube(OoQix4y7_UM)]|| || 이오시프 코브존이 부른 버전. 한국에서는 이게 가장 유명하다. || ||[youtube(gv0Cgl_-Usw)]||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버전.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