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배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과정 == [[항문]]과 [[직장(소화기관)|직장]]의 운동과 감각에 의해 일어난다. 음부신경과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천골에서 기시하는 골반내장신경이 항문과 직장의 감각과 운동을 [[https://www.takano-hospital.jp/support/disease/disease04/disease0422.html|유발]]한다. 직장에 [[똥|변]]이 도달하거나, 대장 운동이 비정상적이게 되면서 장이 압력을 받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후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들을 괴롭게 하는 요인. ||<-2><nopad> [[파일:항문직장각도.jpg|width=330]]|| || 바로 앉기 || 쪼그려 앉기 [* 앞으로 상체를 숙여 앉는 것도 좋다.] || 배변할 때에 이상적인 자세는 [[스쿼트|쭈그리고 앉기]][* [[출산]]과 매커니즘이 같다.]이다. 보통 야외에서 [[똥|대변]]을 볼 때 취한다. 화변기가 이렇게 쪼그려 앉는 자세로 사용하는 [[변기]]라 양변기보다 배변에 유리하다. 쪼그려 앉으면 [[직장(소화기관)|직장]]과 [[큰창자|대장(큰창자)]]이 일직선이 되기 때문. 반면 양변기에 앉을 경우에는 접힌다. 이 상태에서는 [[똥|변]] 보기도 힘들뿐더러 장과 [[항문]] 건강에도 좋지 않다. 그 때문에, 의사가 [[변비]] 환자들에게 종종 변기 앞에 작은 의자라도 받쳐 놓고 그 위에 발을 올려 쭈그리는 자세를 취하라고 권하기도 할 정도다.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636663|기사]], [[http://kormedi.com/1324448/%ED%95%AD%EB%AC%B8%EC%9D%B4-%EC%9E%A0%EA%B8%B4-%EA%B2%83-%EA%B0%99%EC%95%84%EC%9A%94-%EB%B3%80-%EC%9E%98-%EB%B3%B4%EB%8A%94-4%EA%B0%80%EC%A7%80-%EB%B0%A9%EB%B2%95/|기사 2]]. 화변기에서 변을 볼 때는 쾌변에 유리한 자세를 강제적으로 취하게 되는 셈.[* 하지만 영어 위키백과의 [[https://en.wikipedia.org/wiki/Defecation_postures|배변 자세에 대해 다루는 문서]]에서는 이같이 [[스쿼트|쪼그리는 자세]]가 더 좋다는 서술을 넣는 걸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Defecation_postures&action=historysubmit&type=revision&diff=879959838&oldid=876948122|완강히 거부]]하고 있는데, 영어 위키백과의 주요 기여 국가인 서방(유럽, 미국 등)에서는 프랑스 파리 정도를 빼면 '''화변기가 매우 적거나 없고''', 양변기만 있는 데다 '쪼그려 앉는 자세'를 편하다고 하기는 커녕 불편해하거나 '''아예 그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전형적인 서양-동양 간의 문화 차이가 위키 사이트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