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바르바로사 작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소련의 내부상황 === 히틀러와 독일군부가 아무리 비밀을 감추려고 해도 이런 대규모 작전이 소련에게 포착되지 않을 수는 없었다. 독일이 독소전쟁 준비를 시작한 1940년에 들어와서는 소련측도 계속 전쟁이 터질 징후를 감지하고 있었다. 전 세계에 산재한 소련 간첩망은 1940년 가을부터 독일이 소련을 공격할 테니 대비해야 한다는 첩보를 계속 보냈다. 당시의 소련은 공산주의의 종주국 겸 사실상 유일한 공산주의 국가였기에 공산주의자들은 이념과 신념으로 소련에게 자발적으로 스파이 행동을 하면서 소련에게 정보를 전달해주고 있었고 소련도 [[코민테른]] 같은 조직이나 기구로 외국의 공산당 활동을 지원해주고 있었다. 물론 스탈린의 독재와 대숙청 및 소련 내부의 실상이 알려짐으로 인해 소련과 소련 공산당에 대한 외국 공산주의자의 인기는 추락하고 있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소련이 멸망하고 공산주의 국가가 소멸하는 파국적인 상황은 원하지 않는 공산주의자가 많았다. 실제로 나치 독일 내에는 히틀러 집권 전부터 수십만 명의 공산당원과 수백만 명의 공산당 지지자들이 있었는데, 그 위성국들과 동맹국 내에도 상당수의 공산당 동조자들이 있었다. 독일 정부 내에도 신분을 위장한 [[간첩]]망이 엄연히 존재했다. 일례로 일제 스퇴베(Ilse Stöbe)라는 독일 외무부 직원은 소련 간첩으로 활동하면서 1940년 가을부터 독일이 1941년 5월에 침공할 것이라고 소련군 정보부인 [[GRU]]에 전달했다. 스퇴베는 1942년 독일의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이들은 1년 전부터 계속 소련에 독일의 전쟁 준비 징후를 알려왔다. 특히 [[일본 제국]]에서 신문 기자로 위장하고 있었던 [[리하르트 조르게]]는 일본 주재 독일무관으로부터 들은 침공 몇 개월 전에 6월 22일이 개전일이라는 정보까지 알려왔었다. 공산주의에 동조적이었던 독일 인쇄업자는 한참 인쇄되고 있던 독일 점령군용 러시아어 회화집 한 부를 빼돌려 소련 영사관에 전달했다. 여기에 1940년 가을부터 소련 주재 독일 외교관들이 가족들을 대거 독일로 귀국시킨다는 이상 정황도 포착되었다. 외국에서도 소련에 계속 경고를 했는데, 영국에서도 서부전선에 배치된 독일군이 대거 동부로 계속 이동하고 있다는 정보를 소련에게 제공했으며, 스웨덴에서도 [[노르웨이]]로 들어가는 스웨덴 관할 케이블에서 독일의 암호 통신을 감청하여 해독, 소련에 제공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전쟁이 터질 것 같다는 명백한 현상을 부정하고 싶어 했다. 스웨덴 건은 출처 부족으로 무시당했고 소련은 영국이 제공한 정보를 가지고 독일에게 항의했으나 독일은 "영국 공군의 폭격을 피하기 위해 이동 배치하는 것이다"며 변명했고 그럴듯해보이는 변명에 스탈린은 이를 믿어버렸다. 왜냐하면 이때 나치 독일은 [[베니토 무솔리니]]가 벌려놓은 [[그리스 침공]] 때문에, 본의 아니게 그리스랑 전쟁을 해야 했고, 여기에 유고슬라비아에서도 친독정부가 붕괴하는 쿠데타가 발생하여 유고까지 진격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를 들어 독일측이 그럴듯하게 변명하자, 스탈린도 히틀러한테 그 이상을 추궁할 순 없었다. 물론 스탈린에게도 독일 침공을 부정하는 데엔 나름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다. 당시 독일의 입장에서 적국인 [[대영제국]]이 아직 무너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영국과 영국이 보유한 식민지간의 주요 항로가 살아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럴 때 소련과 전쟁을 시작해서 양면전쟁을 벌이는 것은 [[아돌프 히틀러|천년에 한 번 나올 바보]]나 할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애초에 히틀러가 스탈린한테 [[독소 불가침조약]]을 체결하자고 한 이유가 1차대전 때 독일이 양면전쟁을 벌이다 파멸한 것을 교훈 삼아 소련과의 [[양면전쟁]]을 미리 막기 위해서였는데, 이걸 모를 리 없는 스탈린이 히틀러가 그토록 피하려 했던 양면전쟁을 또다시 벌일 거라고 예상하기는 힘들었다. 그리고 스탈린이 추진한 공업화, 군 현대화 정책이 빠르면 1942년, 늦어도 1943년 안에 끝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사소한 이유로 나치 독일과 전쟁이 벌어지면 아직 소련의 전쟁준비가 완료되지 못한 상황이라 매우 위험해지기 때문에 일부러 전쟁 빌미를 주지 않으려는 것이 독일 침공을 부정하는 논리에 한몫을 단단히 했다. 여기에 전문가의 의견이 더해졌다. 소련군 정보국인 [[GRU]] 국장인 [[필리프 골리코프]] 중장은 여러 경로로 독일군의 침공 징후가 뚜렷했는데도, "영국이 있는데 설마 소련까지 침공하겠나"고 생각하던 스탈린에 동조하여 독일이 영국을 정복하기 전까지 독소전쟁은 없을 것이라는 결론을 냈다[* 이 때문에 스탈린의 확증편향을 부채질한 골리코프는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GRU 국장에서 해임된다. 하지만 골리코프는 보신의 달인으로, [[정치장교]] 출신이었음에도 고급 정치장교는 거의 100% 숙청되어 처형되던 [[대숙청]] 기간도 무사히 넘기고 승진했을 정도로 정치적 처신을 잘하는 군인이었기 때문에, 이후의 여러 위기에도 불구하고 계속 살아남았다. 독소전쟁 기간 동안 별 전공을 세우지 못했지만, 전쟁이 끝난 이후에는 포로 심사 업무를 맡아서 부역자를 처단하는 역할을 맡았다. 스탈린 사후에는 흐루쇼프 측에 붙어서 1956년 주코프 국방장관 실각에도 관여하는 등 여러 가지로 정치군인의 행보를 보였고, 그 이후에도 영달을 누리다가 독소전쟁 당시 별다른 전공이 없음에도 1961년 소련 원수까지 올랐다. 다만 원수 진급 1년 후인 1962년 은퇴하게 된다.] 특무부대 총수인 골리코프의 이런 결론은 스탈린을 안심시켰고, 스탈린은 히틀러가 측근들의 만류에도 대단히 무모한 도박을 행하는 벼랑 끝 전술에 이골이 난 인간이라는 것을 잊어버리고, "대영작전을 준비하기 위한 기만책일 뿐"이라는 독일의 해명을 믿게 된다. 다만 스탈린의 이런 확증편향에도 불구하고 [[세묜 티모셴코]] 국방장관이나 붉은 군대 총참모부[* 1940년 12월 이전에는 [[키릴 메레츠코프]] 대장, 이후에는 주코프 대장이 총참모장]는 전쟁 징후를 느끼고 있었다. 그리하여 1940년 12월 독일의 침략을 상정한 자체 도상연습을 실시했다. 청군(독일군)을 맡은 사람이 [[게오르기 주코프]] 대장(당시 키에프 군관구 사령관), 적군(소련군)을 맡은 사람이 [[드미트리 파블로프]] 대장 (당시 서부 군관구 사령관)이었는데, 청군은 적군을 몇 주 만에 포위 섬멸하는 결과가 나왔다. 즉 소련군의 자체평가에서도 소련은 독일의 침략을 막아내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소련군 수뇌부는 이런 소련군의 취약성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동부에 산재한 부대를 서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고 스탈린에게 상신했으나, 스탈린은 "우리가 부대를 서진시켜 국경 부근에 집결시키면 독일이 어떻게 생각하겠나? 그럼 진짜 전쟁이야! 전쟁!"이라며 군부의 의견 상신을 묵살했다. 붉은 군대 지휘부는 1941년 봄부터 계속 스탈린에게 경계령을 내려줄 것을 상신했으나 스탈린은 이것이 전쟁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위와 같은 이유로 번번이 막았다. 결과적으로 침공 당일인 1941년 6월 22일 0시 30분에서야 티모셴코와 주코프 명의의 경계령이 내려질 수 있었으나, 이때는 후대의 [[6.25 전쟁]] 개전시기의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일요일 새벽이었고, 농촌 출신이 대부분인 붉은 군대의 장병은 농번기 휴가철을 맞아 상당수가 외출-휴가를 떠난 와중에서 이미 부대는 텅텅 비어 있었는데, 경계령 발령 3시간 후 독일의 침공이 시작되었다. 이는 초반 소련이 파죽지세로 독일군에게 점령당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스탈린이 아무런 대비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미 전간기 시절에 [[스탈린 선]]이라는 요새 방어선을 예전의 소련 국경선 지역에 설치해놓았으며 새로 획득한 영토를 방어하는 [[몰로토프 선]]도 마련해놓았으니 2개의 요새 방어선을 활용한다면 나치 독일의 침공에서 초반전을 버티면서 반격할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본 것이다. 물론 이런 생각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스탈린 선은 구식 방어선인데다가 몰로토프 선을 건설하기 위해 무기와 장비를 빼앗긴 채 반쯤 폐허로 변한 상태고 몰로토프 선은 건설을 서둘렀지만 미완성의 방어선인데다가 딱 나치 독일과의 국경선만 막은 상태고 부실공사로 인해 완성된 곳도 방어력이 극단적으로 떨어진다는 중요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붉은 군대 지휘부는 최소한 이런 사실은 알고 있었기에 경계령이라도 내려서 몰로토프 선에 병력을 배치함으로서 임시로 방어선을 만들려고 했으나 실패한 것이고 결국 개전 당시 국경선에는 소수의 [[내무인민위원부|NKVD]] 소속의 국경수비대만 있어서 초기 방어전부터 소련군이 대규모로 패배하게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