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명조: 워더링 웨이브/평가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팬덤에 관한 비판과 옹호를 위한 서술을 위해서는 아래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근거 자료를 기재하여야 한다.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 단, 1순위의 원문을 제외한다.
3곳 이상에서의
인터넷 인기글
. 여기서 '3곳'이란 인터넷 인기글 관련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세는 것으로 한다.
1의 근거가 기재되지 아니하였다거나 1의 어느 하나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서술 고정 시점은 삭제로 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그래픽과 디자인 === ||<tablewidth=64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2A2C32,#383b40><nopad> [[파일:명조 모델링 비교.png|width=100%]] || ||<bgcolor=#C4AC7D,#000><color=#fff> '''1.1 버전까지의 캐릭터 일러스트 - 인게임 모델링 비교''' ||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 중에서 뛰어난 그래픽, 특히 3D 캐릭터 모델링의 수준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많은 3D 게임에서 제기되었던 일러스트 사기[* 보통 2D 일러스트의 퀄리티에 비해 3D 모델링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일러스트와의 괴리감이 클 경우 사용하는 용어이다.] 등의 문제가 없으며 각 캐릭터는 저마다의 개성이 묻어나는 디자인과 고유 모션, 그리고 2D 일러스트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거나 오히려 그 이상인 3D 그래픽을 선보이고 있다. [[https://arca.live/b/wutheringwaves/100568129|#]] 오죽하면 2D 일러스트가 3D 모델링의 퀄리티를 따라오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역으로 일러스트 사기가 있다고 호평할 정도이다. [[https://arca.live/b/wutheringwaves/117669818|#]] 플레이어블 캐릭터뿐만 아니라 NPC 디자인에 신경을 쓴 점도 호평의 요소 중 하나이다. NPC 모델링의 돌려쓰기는 모바일 최적화와 연결되는 부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명조도 모델링 돌려쓰기가 없다고는 못하지만 헤어스타일이나 복장, 장신구 등 디자인에 차별점을 주어 돌려쓴다는 느낌이 거의 느껴지지 않게 만들었으며 이는 분명 다른 NPC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NPC처럼 보여지는 느낌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토리의 몰입감을 해치지 않게 하는 좋은 전략이라고 평가 받는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관 엄연이나 승소산의 신이처럼 일부 특수 NPC의 경우 개별 모델링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https://gall.dcinside.com/m/wutheringwaves/325944|#]] [[https://arca.live/b/wutheringwaves/109016245|#]] 이렇게 개별 모델링으로 만들어진 NPC 들의 경우 플레이어블 캐릭터와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퀄리티와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 캐릭터 디자인 관련해서는 중국에서 가장 높은 심의 등급인 [[중국음상여수자출판협회#s-2.3|CADPA 16+]]을 책정받았기 때문인지 과감한 복장의 여성 캐릭터도 많은 편이다. 출시 전에는 클로즈 베타 및 개발 기간 동안 많은 피드백을 수용하여 선공개된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디자인을 대거 수정해 [[호불호]]가 갈릴 [[능양|디자인을 수정하거나]] 노출도를 높인 것이 커뮤니티 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https://gall.dcinside.com/m/onshinproject/11496752|#]][* 게시글의 '중섭은 그대로고 글섭만 역검열' 이라 언급한 부분은 소식이 퍼지는 과정에서 나온 [[낭설]]로, 중국 서버도 바뀐 디자인으로 적용되어 있다.] 출시 이후에도 이러한 디자인 기조를 계속해서 유지하며 [[음림]], [[장리]], [[파수인]] 등 매력적인 디자인의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반면 남성 캐릭터는 전반적으로 [[섹시]]함보다는 [[Macho|남성적인]] 부분이 강조되어 [[호불호]]가 갈릴 여지가 적은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으며 [[남캐|남성 캐릭터]]를 그닥 선호하지 않는 남성 유저 쪽에서도 부담스럽지 않다며 호평이 많은 편이다. 이는 실제 유저층의 니즈에도 맞는 디자인 기조라고 볼 수 있는데 [[https://gall.dcinside.com/m/wutheringwaves/306665|모바일 인덱스 기준 74%]], [[블랙키위]] 검색량 기준 약 78%, [[https://g.nga.cn/read.php?tid=39366852&rand=236|바이두 검색 기준 80%]] 등의 지표를 통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명조 유저층의 약 3/4 이상은 남성 유저로 확인되고 있다.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오프라인 행사에서도 참여자 중 8할에서 9할 정도가 남성 쪽에 치우쳐서 확인되는 편이다.[* 오프라인 행사 중 하나였던 띵조 페스티벌 행사장 내 2.4 버전 공식 방송 공개 직후 나온 [[https://youtu.be/J6TnCv1cyf0?si=_g3ynpNU8i_wUOGF|신규 캐릭터 트레일러 영상]]에서 여캐들 공개에는 환호하는 반면 유일하게 공개된 남캐인 구원의 반응은 탄식이 주로 이루면서 명조도 역시 남초 게임임이 다시 확인되었다.] 명조의 디자인 기조는 이러한 유저층의 수요를 반영하여 유저층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남성 유저에게 선호받거나 못해도 부담없이 받아들여지는 디자인으로 평가된다. 한편, 맵 디자인이나 필드 그래픽 또한 우상향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1.0 버전의 금주까지만 해도 맵 자체가 [[아포칼립스]] 세계관으로 인해 칙칙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갖고 있어 큰 인상을 주지 못하여 비평할 거리 정도는 아니었으나 그렇다고 호평할 요소 또한 아니었다. 하지만 이후 추가된 승소산이나 검은 해안, 리나시타의 라군나는 저마다의 컨셉을 잘 드러내면서도 이전 지역보다 진일보된 퀄리티를 보여주며 명조의 새로운 장점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이는 2.2 버전과 2.4 버전의 신규 지역인 아비놀륨과 일곱 언덕에서 특히나 부각되는 부분으로 인게임 내 그래픽 옵션의 추가 및 환경 오브젝트를 비롯한 시각적 표현이 더욱 풍부해져 유저들 사이에서 맵 디자인의 퀄리티 또한 굉장히 좋아졌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상술한 장점들이 반대로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비슷한 장르의 서브컬쳐 게임들에 비해 배경묘사나 오브젝트의 텍스처 디테일이 뛰어난 만큼 요구사항이 꽤나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명조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다소 높은 사양의 기기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선보인 레이트레이싱 기술은 원채 자원을 많이 먹는 기술이라 인게임에서 적용시킬 경우 중급 이상의 사양의 그래픽카드가 아니라면 버벅이거나 프레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