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명조: 워더링 웨이브/평가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합의사항
[ 펼치기 · 접기 ]
팬덤에 관한 비판과 옹호를 위한 서술을 위해서는 아래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근거 자료를 기재하여야 한다.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 단, 1순위의 원문을 제외한다.
3곳 이상에서의
인터넷 인기글
. 여기서 '3곳'이란 인터넷 인기글 관련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세는 것으로 한다.
1의 근거가 기재되지 아니하였다거나 1의 어느 하나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서술 고정 시점은 삭제로 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명조: 워더링 웨이브/행사 및 콜라보|오프라인 행사]] 운영 === 명조는 오픈 이래 오프라인 행사를 공격적으로 해왔다. 매번 미니게임을 제작하여 게임 포토카드 증정, 프로 코스어들을 초청하여 개최 당시의 신규 공명자들을 홍보하고 있으며, 명조를 포함한 콘텐츠를 진행하는 종합게임 인플루언서들, 게임 ost를 부른 인디 가수들과 팬아트를 그린 일러스트레이터를 초청하여 드로잉쇼를 하고 있다. 매 행사마다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무대 공연 전체로는 긍정적인 평가가 더 많다. 특히 행사장 내내 돌아다니는 양양 인형탈에 대해 호평이 많으며 이 인기에 더해 AGF 2024때부터 기본 카멜리아와 오버클럭 상태의 카멜리아, 그리고 남성 방랑자의 인형탈도 오프라인 이벤트에 추가 등장하면서 볼거리를 늘렸다. 그러나 이 호평을 씹어먹을 정도의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니 바로 '''팝업 스토어의 굿즈 재고 파악 능력이 최악이라는 점.''' 이는 초창기인 띵조랜드부터 고질병으로 나아지지 않는 문제로 쿠로 게임즈와 굿즈 판매사인 [[츠라이컴퍼니]] 모두 큰 비판을 받고 있다. [[홍대입구역]] 인근 개최인 띵조월드와 [[현대백화점 신촌점]] 내에서 개최한 띵조마켓은 첫째 날부터 밤샘 오픈런으로 굿즈가 거의 소진되어 원하는 굿즈를 사기가 어려워 구매를 포기하거나 인기 굿즈는 되팔이들에게 정가의 2배 이상을 주고 샀어야 했으며 [[용산역]] 내 [[아이파크몰]]에서 진행한 띵조파크는 사전예약 및 연각레벨 인증 추가에 1주일로 행사 기간을 길게 잡았는데도 파수인 및 상리요 굿즈가 대량으로 소진되어 구하기 어려운건 마찬가지였다. [[KINTEX]]에서 개최한 [[Anime X Game Festival 2024]]에는 아예 띵조월드라는 타이틀로 메인 스폰서로 참여해 비싼 입장료에도 긴 굿즈 대기줄은 해결하지 못했으며 원하는 굿즈 확보가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였다. 이 굿즈 재고 문제의 불만이 절정으로 폭발했던 행사가 [[아이파크몰]] 용산점에서만 두번째로 개최되었던 띵조카니발. [[삼성전자]]의 [[Galaxy Store]]까지 참전해서 팝업 스토어 한정 굿즈에 추가해서 칸타렐라 한정 아크릴 스탠드 및 테마 스킨을 팔았는데 한국에 거주하는 전화번호를 가진 안드로이드 14 이상의 갤럭시 사용 유저만 구매 가능한다고 적었는데도 이에 한국까지 원정온 중국인들이 항의해 공식 계정에서 사과하는 사건이 벌어진 것. 게다가 해당 중국인들과 사재기꾼들은 새벽 오픈런에 동참해 상품 구매를 싹쓸이하고 그 팝업 스토어 앞에서 대놓고 되팔이하는 추태를 저지르며 100번째대에도 굿즈 품절 사태가 일어난 것이 더해져 사지 못한 유저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그럼에도 명조의 태생부터 '''중국''' 게임이라 그런지 중국인들의 되팔이 행위를 적극적으로 막지 않고 있다. 둘째날 오후부터는 이를 보완하여 AGF때처럼 주문식으로 변경하고 품절한 굿즈는 추가로 제작해서 4주 정도 뒤에 택배로 배송하는 조치로 일단락되었으나 첫째날에 구매하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대책은 하나도 없었으며,[* 현재까지 명조 오프라인 행사들이 [[서울 공화국|수도권에서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굿즈를 구매하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유저들의 피해가 더욱 컸다.] 현장예약이 너무 밀려 오전 11시에 예약한 사람은 오프라인 이벤트 및 구매 특전으로 들어가는 럭키 드로우 행사가 끝나서야 입장이 가능했고, 오후 12시에 예약한 사람이 아이파크몰의 영업 종료로 팝업 스토어에 아예 못들어가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또한, 굿즈 배달 지연 문제도 있었다. [[명조: 워더링 웨이브/행사 및 콜라보#2025페스티벌|띵조 페스티벌: 변함없이, 당신과 함께]]에서 이전 행사에서 비판 받았던 부분을 개선하여 '''사전예약 및 굿즈 재고 소진 시 배송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다른 많은 게임에서 문제가 되었던 티켓 되팔이 문제 또한 '''신분증 검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선하였다.[* 되팔이를 위해 구매된 티켓이 취소되어 취소표가 많이 풀리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