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이크로프로세서
(r3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마이크로프로세서]] [include(틀:반도체 제조 공학)] [목차] == 개요 ==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는 [[ALU(연산 장치)|산술 논리 장치]],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C%96%B4_%EC%9E%A5%EC%B9%98|제어 장치]], [[레지스터]]를 하나의 단일체 [[집적회로]]로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언뜻보면 [[CPU]]와 동의어로 오해할 수 있지만 CPU뿐만 아니라 GPU(Graphic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도 포함된다. 말 그대로 Micro(작은)+Processor(연산처리장치). 이러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캐시 메모리, 주기억장치, 외부기기 입출력 제어 장치까지 포함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분류가 된다.[* 초기의 CPU는 캐시 메모리가 메인보드에 별도로 장착되어있었지만 1990년대 말부터 집적회로 안에 내장되었다.] [[반도체]] 칩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관련 학과로는 보통 [[전기전자공학과]]를 많이 떠올리지만, 프로세서 아키텍처[* [[MIPS 아키텍처|MIPS]], [[RISC-V]], [[ARM(CPU)]]등.] 연구개발은 [[컴퓨터과학|컴퓨터 과학자]]들이 주도한다. == 역사 ==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his=문단, title=마이크로컴퓨터, version=18, uuid=e3aae61b-3fd1-49e7-bf5e-5f7cd77711f9, paragraph=2)]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nopad> [[파일:13023F34-9A3F-494E-BD62-311A9619F30D.png|width=100%]] || || '''분리형 회로를 사용하던 옛날 중앙처리장치(CPU)의 크기 비교. 왼쪽부터 [[ENIAC]], EDVAC, ORDVAC, BRLESC-I의 CPU 모듈이다. 이게 CPU 전체가 아니라 CPU에서 떼어낸 모듈임에 주의. 예를 들어 ENIAC CPU에는 진공관이 18,000개 포함되어 있었다.[* 참고로, 사진의 여성들은 모델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컴퓨터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공로자들이다. 왼쪽부터 팻치 시머스(Patsy Simmers), 게일 테일러(Gail Taylor), 밀리 벡(Milly Beck), 노마 스텍(Norma Stec)]''' || 단일형 집적회로와 [[MOSFET]]이 1959년에 발명되었지만 곧바로 그 것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발명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초기의 집적회로는 공정이 미세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존에 설계되던 이산형 회로들을 하나의 칩으로 생산했던 수준이었다. 공정이 미세해질 수록 다른 회로 장치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는데 그 시도가 1969년에 Four-Phase Systems AL1이었는데 8개의 레지스터와 산술 논리 장치를 하나의 칩으로 집적한 것이다. 오늘날에야 모든 컴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므로 컴퓨터 CPU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초창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성능과 신뢰성 면에서 트랜지스터 기반 분리형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에 뒤떨어지는 물건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본격적인 컴퓨터가 아니라 보급형, 염가형 취급이었으며[* 오늘날 [[DSLR]] 카메라 사용자들이 소위 “[[똑딱이]] 카메라”를 대하는 인식과 비슷했다.] 제대로 된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를 들여놓을 돈이 없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 쓰는 컴퓨터로 인식되곤 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은 [[마이크로컴퓨터]]의 가능성을 높였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니었으면 [[CPU]]라는 개념이 없이 제어 장치, 산술 논리 장치, 레지스터가 별개의 집적회로 칩들로 구성되어있었을 것이다. 오히려 하나의 집적회로 칩으로 구성하는 것이 연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PCB를 차지하는 공간을 줄인 것이다. == 관련 문서 == * [[CPU]] * [[집적회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마이크로프로세서, version=20, uuid=a0fac821-112b-47a1-bee7-bcb2a4af6ed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