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연방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창작물에서 == 미국의 창작물에서는 냉전 시대에 미국과 대등하게 아웅다웅한 초강대국이었던 소련의 후신인지라 게임에서 과거 소련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는 원흉으로 자주 써먹는다. 항상 초반에는 미국 본토까지 쳐들어가는 위엄을 보여주나 역전 당하는 식이다. 러시아도 자꾸 게임에서 안 좋은 소재로 이용당하면 심기가 좋을 리는 없는지라 모던 워페어 2 러시아판은 그 유명한 [[No Russian]] 미션이 삭제, 수정되기도 했다. 또한 10년 뒤에 나온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는 아예 러시아가 독가스 퍼부우며 민간인들을 짓밟고 학살하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묘사한 것은 물론, 죽음의 고속도로 관련 역사 왜곡 논란까지 일어나다 보니 러시아에서 욕을 죽도록 먹었었고, 소니가 PS판 디지털 스토어에서 자체적으로 내리게 되는 사태도 있었다.[* 다만, 콜 오브 듀티 시리즈는 냉전과 현대전에서는 러시아를 [[악의 축]]으로 규정한 다음, 온갖 악랄하게 나쁜 놈으로 묘사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작품에서는 [[소뽕]]요소를 거하게 넣어 자국인 미국보다 더 소련(러시아)을 잘 대해주는 편이다. 만약 동부 전선 캠페인 파트에서 플레이어가 실수로 아군을 사살할 시, 게임 오버가 되면서 "당신은 [[소련|조국]]의 배신자가 되었습니다!"같은 문구가 뜬다거나, [[월드 앳 워]]의 엔딩에서 소련의 붉은 국기를 베를린 국회의사당에 꽂은 뒤, 우렁차게 나오는 [[소비에트 연방 찬가]] 등 소련을 매우 영웅적으로 묘사하고 모든 플레이어가 독일을 꺾고 승리한 소련에 감정이입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거의 극과 극의 대접인 셈.] 2000년대 중반 이후로 러시아의 문화시장이 90년대의 혼란기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커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함부로 [[악의 축]]으로 묘사할 수 없다 보니 밀리터리 작품 창작자들의 [[고민|고뇌]]를 더 해주고 있다. 이는 [[중국]] 사정도 마찬가지다. 다만 자국이 [[만악의 근원]]으로 묘사되어도 중국처럼 발매금지 + 국가가 나서서 개발사 욕하기 등의 조치가 취해진 적이 없다 보니 아직까진 [[주적]]으로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예외적으로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는 판매 금지되었으나 이건 소련을 나치 독일보다도 악의 축으로 묘사해서 [[렐릭 엔터테인먼트]]가 자초한 거다.] 물론 러시아에서는 이에 대해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꽤 있고, 람보 3편이 나올 당시 소련의 외무차관은 "공산주의자 살육하는 호전적인 영화"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모든 러시아인이 불쾌해하는 건 아니고 일부 러시아인은 그러려니 하는 반응으로 일관하기도 하며 오히려 미국이 자신들을 이렇게나 무서워한다면서 국뽕에 취하거나 재밌다며 낄낄대기도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재치있게 대응하기도 한다. 소련 시절에 미국에서 아프간에 가서 소련군을 무찌르고 무자헤딘을 도와 무자헤딘에게 무기를 밀매하는 CIA 요원을 구출한다는 시나리오의 [[람보 3]]가 큰 인기를 얻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인들을 쓸어버리는 시나리오의 소련판 람보, 일명 람보스키를 제작한 일도 있었다. 러시아를 위협하는 악의 무리 미국의 사악한 미사일 기지에 스페츠나츠가 들어와서 쑥대밭을 만든다는 간단한 내용이다. 스파이, 범죄 조직, [[마피아]] 등의 뒷세계를 다룬 작품에선 [[러시아인]]들이 악당 내지는 성격 나쁜 놈 정도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냉전]]시대부터 각인된 러시아에 대한 폐쇄적이고 어두운 이미지와 러시아하면 마피아와 어둠의 조직들이 연상되는 일종의 선입견 때문이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 [[파일:어머니_조국이_부른다.jpg|width=100%]] || 창작물에서, 특히 군사물이나 어둠의 세계를 다룬 작품일 수록 ''''어머니 러시아(마더 로씨야!)''''라는 단어를 흔하게 볼 수 있다. 유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어머니 조국을 위해!"라는 진격 구호에서 나왔다는 설과 공산국, 혹은 러시아의 실질 지배를 받는 국가에서 본국을 호칭하는 의미로 불렀다는 설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러시아어로 '조국'을 뜻하는 단어 'Родина'[* '로지나' 라고 읽는다.]가 여성명사이기도 하고,[* 근데 사실 유럽 언어에서 국가를 지칭할 때는 지리적이고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국가는 중성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사회문화적인 국가는 여성 명사로 지칭된다. 심지어 명사의 성 구분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는 영어에서조차 나라를 she 나 her이라는 대명사로 지칭하는 경우가 잦다. 러시아는 대놓고 어머니에 비유하는 경우가 워낙 창작물에서 흔하게 보여서 더 독특해보이는 것 뿐이다. 사실 나라를 어머니로 표현하는 것 자체는 전세계적으로 흔하다. 영단어 motherland, 모국어를 뜻하는 mother tongue, 멀리 갈 것도 없이 한국어 '모국', '모국어'조차 어미 모(母)를 쓴다.] 그에 따라 프로파간다용으로 조국의 아들들을 독려하는 어머니 러시아의 이미지[* 일명 'Родина-мать'. "어머니 조국이 부른다!"(Родина-мать зовет!)로 시작되는 유명한 프로파간다에서도 등장한다.]는 밀덕이라면 영화나 게임 등을 통해 한 번쯤은 봤을 것이다.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기념한 [[어머니 조국상]]도 그 예로 들 수 있다. 문화 전반적으로도 나머지 서방 유럽의 제국들은 꼭 한 번씩 진통을 겪었던 여성 상속 문제로 골치를 앓은 적이 없고 자식들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가 강조되는 등 [[게르만]]족으로 대표되는 서유럽보다 전통적으로 여권이 강한 편이다.[* 특히 [[소련]]에서는 [[공산주의]] 이념에 따라 양성평등이 매우 강조되어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반면 [[성범죄]]나 [[인신매매]], 여성의 출산권 등 현대 복지 사회와 직결되는 근대적 의미에서의 여권은 첨단 복지 사회의 인프라에 기반한 현대 유럽보다 훨씬 더 심각한 사회 문제다.] 특정 캐릭터로 나올 때 그 장르가 '''[[배틀물]]이면 덩치 큰 근육질에 남성이거나, 상당한 인간흉기 계열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듀라라라!!]]의 사이먼, [[스터디그룹(웹툰)|스터디그룹]]의 [[안드레이 블라소프(블루스트링)|골리앗]], [[테러맨]]의 [[릴리아(슈퍼스트링)|릴리아]]] 테크놀로지 계열인 경우 박사로 나오기도 하고 [[KGB]]와 관련된 경우도 있다. 여캐의 경우엔 상당한 미인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일본 애니나 게임 등에 등장하는 러시아인 속성의 여캐에는 아예 [[은발]][[벽안]] 속성 클리셰까지 존재한다. 밀리터리물이면 [[스페츠나츠]] 출신같은 엘리트들이 많다. 초능력물일 경우 러시아 출신 캐릭터는 상당수가 냉기 계통 능력자로 나온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에서는 첫 [[문명(게임)|문명]]부터 최신작인 [[문명 6]]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오리지널 문명으로 개근하고 있는 문명 중 하나다. 역대 지도자는 [[예카테리나 2세]](2 ~ 5), [[표트르 1세]](4, 6), [[스탈린]](1, 4), [[블라디미르 레닌|레닌]](2) 등이다. [[폴란드볼]]에서는 보드카를 든 모습으로 자주 등장한다. 초창기 폴란드볼 밈을 유행시킨 사람들이 러시아 인터넷 유저들인 만큼 러시아가 주역으로 나오거나 다른 국가들과 평범하게 대화하는 모습들도 나오지만 주로 폴란드볼에서는 약소국을 괴롭히고 음모를 꾸미는 악역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다. 사실 이렇게 나올 수밖에 없는 게 러시아는 인권탄압이 심한 편인 독재국가에다 유럽지역에서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중국만큼 위협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데이트 어 라이브]]에서 스토리의 시초인 30년전 중국과 몽골 국경 사이에 일어난 최초의 공간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주변 국가로 나온다.[* [[데이트 어 라이브(애니메이션 1기)|애니메이션 1기]] 1화 인트로에서 피해를 입는 장면에서 건물과 차량을 보면 러시아인것을 알수있다.] [[노 모어 히어로즈 3]]에서는 [[제스 바티스트 6세|외계인]]에게 핵마사일 3개를 쐈으나 '''그 외계인이 한 손으로 받아쳐 그걸 맞고 멸망했다.''' 러시아를 모티브로 한 것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5세대 전투기(탑건: 매버릭)]] * [[강철의 연금술사]] - [[드라크마(강철의 연금술사)]] * [[강철의 누이들]] - [[서부공화국연방]] * [[걸즈 앤 판처]] - [[프라우다 고교]] * [[디스아너드]] - 티비아 * [[란스 시리즈]] - [[헬만 제국]] * [[록맨 에그제 시리즈]] - 샤로 * [[명일방주]] - [[우르수스]] * [[메트로 2033]] - 모스크바 지하철 한정 * [[메트로 시리즈]][* 정확히 동유럽 소제의 4A 게임즈가 만들었으나 원작인 메트로 유니버스가 러시아임으로 이에 포함.] * [[벡터(게임)]] * [[섀도우 파이트 2]] * [[섀도우 파이트 3]] * [[소녀전선]] - [[정규군(소녀전선)|정규군]], [[루련]] * [[스트라이크 위치스]] - 오라샤 제국 * [[얼음과 불의 노래]] - [[북부(얼음과 불의 노래)|북부]][* 엄밀히 말하자면 북[[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주 모델이지만 러시아의 요소도 약간 섞여있다.], [[노르보스]]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유크토바니아]] * [[오버워치]] - [[오버워치 시리즈/등장 세력 및 등장인물#러시아 연방|러시아]] * [[워머신]] - [[카도르 제국]] * [[워 썬더]] * [[원신]] - [[스네즈나야]] * [[유녀전기]] - 루시 연방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DLC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DLC#s-1.5|Beyond the Baltic Sea]]: [[칼리닌그라드주]], [[레닌그라드주]][* [[상트페테르부르크]], [[루가]], [[비보르크]].], [[프스코프주]][* [[프스코프]], 오스로프.] 한정. * MOD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4|RusMap]]: [[모스크바]], [[볼고그라드]], 서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4.2|Southern Region Map]]: (서)남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10|Harsh Russia Baikal]]: 시베리아, 동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2|ProMods]]: [[무르만스크주]] 지역 한정 * [[은하철도999]] - 전반적인 분위기[* 사람들이 입는 옷이나 대부분의 도시들의 모습을 보면 러시아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특히 [[메텔]].] * [[테러맨]] - [[브라츠바]] * [[테트리스]] *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 북극항로연합[* 작중에서는 현실의 러시아에 속해져있는 르만스크, 더 정확히는 인근에 새로 건립한 '''신''' 무르만스크를 거점으로 삼고 있다. 신 무르만스크 인근의 숲에 주둔하고 있는 구조체로만 이루어진 자경단인 '숲을 지키는 자' 또한 북극항로연합 소속이지만, 어째서인지 주민들로부터 혹독한 차별을 받고 있다.][* 주민들의 전체적인 복장이 러시아의 겨울용 복장과 거의 동일하다.] * [[펀치 클럽]] * [[피스, 데스!]]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기라티나]] - [[신오지방]]: [[포켓몬리그/신오|포켓몬 리그]], [[파이트에리어]], [[서바이벌에리어]], [[리조트에리어]] * [[Beholder]] * [[City Car Driving]] * [[Escape from Tarkov]] * [[Fate/Grand Order]] - [[영구동토제국 아나스타샤]], [[비영장생존권 퉁구스카 생추어리]] * [[DCS World]] * [[Everlasting Summer]] * [[Graveyard Keeper]] * [[Hello Neighbor]] * [[Skyhill]] * [[S.T.A.L.K.E.R]] * [[Warhammer(구판)]] - [[키슬레프]] * [[Warhammer 40,000]] - [[발할라 아이스 워리어]], [[보스트로얀 퍼스트본]]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