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연방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러시아]][[분류:동유럽 국가]][[분류:북아시아 국가]][[분류:유럽의 공화국]][[분류:아시아의 공화국]][[분류:연방국가]][[분류:대통령제 국가]][[분류:세속국가]][[분류:독재국가]][[분류:독립국가연합]][[분류:핵무기 보유국]][[분류:여러 대륙에 걸친 국가]][[분류:동슬라브계 국가]][[분류:특정 민족 중심의 다민족국가]][[분류:신흥공업국]][[분류:남극조약 창립국]][[분류:UN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분류:미국의 포괄적 경제제재 대상 국가]]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설명1=2025년 7월 30일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일어난 규모 8.8의 지진, 문서명1=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설명1=2025년 7월 24일 러시아 극동 지방에서 발생한 항공 사고, 문서명1=안가라 항공 2311편 추락 사고)]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설명1=2022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상황, 문서명1=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025년 8월, 앵커1=오늘)] [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61B79,#061B79><tablebgcolor=#061B79,#061B79><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80%, #fff 70%, #fff 80%, #061B79 80%, #061B79 90%, #C23729 90%, #C23729)" '''{{{#061B79,#061B79 {{{+1 러시아 연방}}}}}}[br]{{{#C23729,#C23729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러시아어]]. 발음은 ''Rossíjskaja Federácija'' [rɐˈsʲiɪ̯skəɪ̯ə fʲɪdʲɪˈrat͡sɨɪ̯ə\]][br]{{{#C23729,#C23729 Russian Federation}}}'''}}} || ||<-2><bgcolor=#f0f0f0,#1f2023><height=150> [[러시아/국기|[[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65%]]]] ||<width=50%><bgcolor=#f0f0f0,#1f2023> [[러시아/국장|[[파일:러시아 국장.svg|width=42%]]]] || ||<-2><bgcolor=#fff,#fff> [[국기|{{{#C23729,#C23729 '''국기'''}}}]] ||<bgcolor=#fff,#fff> [[국장(문장)|{{{#C23729,#C23729 '''국장'''}}}]] || ||<-3> {{{#fff,#fff '''상징'''}}} || ||<width=130><bgcolor=#C23729> [[국가(노래)|{{{#fff '''국가'''}}}]] ||<-2><colbgcolor=#fff,#1c1d1f>[[러시아 연방 국가|{{{-3 {{{#C23729 '''[include(틀:zh, text=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br]{{{-1 {{{#061B79 '''러시아 연방 국가'''}}}}}}]] || ||<bgcolor=#C23729,#C23729> [[국화(상징)|{{{#fff,#fff '''국화'''}}}]] ||<-2>[[캐모마일|{{{#061B79,#061B79 '''캐모마일'''}}}]] || ||<bgcolor=#C23729,#C23729> [[국조|{{{#fff,#fff '''국조'''}}}]] ||<-2>[[쌍두수리|{{{#061B79,#061B79 '''쌍두수리'''}}}]] || ||<-3> {{{#fff,#fff '''역사'''}}} || ||<-3><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30> '''[[모스크바 대공국]] 건국''' [[1283년]][br]'''[[루스 차르국]] 건국''' [[1547년]] [[1월 16일]][br][[칭제건원]], '''[[러시아 제국]]''' 출범 [[1721년]] [[11월 2일]][br][[러시아 혁명]] 발발, '''[[러시아 제국|제정]]''' 폐지 '''[[러시아 공화국]] 건국 ''' [[1917년]] [[9월 14일]] [br]'''[[러시아 내전]] 발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건국''' [[1917년]] [[11월 7일]][br]'''[[소련|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2월 30일]][br]'''[[소련 붕괴|소련으로부터 독립]]''' [[1991년]] [[12월 25일]][* [[소련 붕괴]]는 다음날인 [[1991년]] [[12월 26일]] 새벽 2시다. 또한 [[소련]] 그 자체가 러시아인 것이 아니라 표면적으로는 소련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 등 여러 공화국들로 구성된 연방 국가고, 단지 러시아는 그 중 영향력이 가장 컸던 것일 뿐이다. 즉, 독립이 맞는 표현이다. 한국 시간으로는 오전 8시였다.][br]'''[[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헌정위기]]''' [[1993년]] [[9월 21일]] ||}}}}}}}}} || ||<-3> {{{#fff,#fff '''지리'''}}}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width=130> {{{#fff,#fff '''수도 | 최대도시'''}}} ||<colbgcolor=#fff,#1c1d1f>[[모스크바]] || || {{{#fff,#fff '''면적'''}}} ||17,098,246km²[* [[크림반도]]를 포함하면 17,125,246km²][* 비교를 해보면 5위인 [[브라질]](8,515,767km²)의 2배며 2위인 [[캐나다]](9,984,670km²)와 6위 [[호주]](7,741,220km²) 합친 것보다 약간 작은 면적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점령한 지역을 합치면 17,220,734km²다. 이 점령지는 122,488km²로 [[대한민국]] 면적보다는 18% 넓고, [[북한]] 면적과 비슷하다.][* 전세계 육지 면적의 11.5%] | '''세계 1위''' || || {{{#fff,#fff '''접경국'''}}}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남오세티야, 크기=28)][*미승인 국제사회에서는 이들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나 러시아 연방에서 이들을 국가로 승인했다.][br][include(틀:국기, 국명=압하지야, 크기=28)][*미승인][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크기=28)][*칼리닌그라드 [[칼리닌그라드주]]를 통해서만 접경][br][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 크기=28)][*칼리닌그라드][br][include(틀:국기, 국명=라트비아,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크기=28)][br][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크기=28)] ||}}}}}}}}} || ||<-3> {{{#fff,#fff '''인문 환경'''}}}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width=40> {{{#fff,#fff '''인구'''}}} ||<width=90> {{{#fff,#fff '''총 인구'''}}} ||<colbgcolor=#fff,#1c1d1f>146,028,325명(크림반도 포함) ^^(2025년)^^ | '''세계 9위''' || || {{{#fff,#fff '''민족 구성'''}}} ||[[러시아인]] 81.26%, [[타타르인]] 3.2%, [[체첸인]] 1.14%, [[바시키르인]] 1.07%, [[추바시인]] 0.73%, [[우크라이나인]] 0.6%, 기타 12%^^(2021년)^^[* 러시아계를 포함한 백인 인구는 총 81.7%이다.] || || {{{#fff,#fff '''인구밀도'''}}} ||8.37명/km² || || {{{#fff,#fff '''출산율'''}}} ||CIA 자료 1.60명(2022년)[*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field/total-fertility-rate/country-comparison|출처]]][br]세계은행 자료 1.50명(2020년)[*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P.DYN.TFRT.IN?locations=RU|출처]]] || ||<-2> {{{#fff,#fff '''공용 언어'''}}} ||[[러시아어]] || ||<-2> {{{#fff,#fff '''공용 문자'''}}} ||[[키릴 문자]] || ||<-2> {{{#fff,#fff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br][[그리스도교]][* 대다수가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다.] 64.4%, [[무종교]] 21.2%, [[이슬람]] 9.5%, 기타 1.4%[* [[불교]] 포함.], 무응답 3.5% 등 || ||<-2> {{{#fff,#fff '''군대'''}}} ||[[러시아 연방군]] ||}}}}}}}}} || ||<-3><bgcolor=#061B79> {{{#fff,#fff '''하위 행정구역'''}}}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width=130> {{{#fff,#fff '''연방관구'''}}} ||<colbgcolor=#fff,#1c1d1f>8개 || || {{{#fff,#fff '''일반'''}}} ||24공화국, 48[[주(행정구역)|주]], 9[[지방(러시아)|지방]], 3연방시, 4자치구, [[유대인 자치주|1자치주]][*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세바스토폴 연방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헤르손주(러시아)|헤르손주]], [[자포로지예주]] 포함. [[북한]]과 [[벨라루스]]를 제외한 국제사회는 이상의 6개 연방주체를 러시아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 || ||<-3> {{{#fff,#fff '''정치'''}}}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 {{{#fff,#fff '''정치 체제'''}}} ||<-4><colbgcolor=#fff,#1c1d1f>[[공화제]]([[주권|국민주권]]), [[민주주의]](사실상 [[비자유민주주의]])[* 실질적으로는 [[교도민주주의|건국 이후 현재까지 민주주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독재국가]]다. 옐친 집권기부터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대통령의 친위 쿠데타]] 등의 사건이 발생했고, 푸틴 집권기에는 총선에서의 [[2011년 러시아 총선 사태|140%]] 사건이나 [[방사능 홍차]] 사건을 포함한 여러 암살 등이 일어났다.], [[연방제]], [[권위주의]], [[이원집정부제]](사실상 [[대통령제]]), [[양원제]], [[다당제]], [[성문법|성문법주의]]([[법계#s-1.1|대륙법계]] 혼합), [[전체주의]] || ||<-2> [[민주주의 지수|{{{#fff,#fff '''민주주의 지수'''}}}]] ||2.03점, '''{{{#red 권위주의}}}''' ^^(2024년)^^[br](167개국 중 '''150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사회의 통제 체계가 강화되어, 2022년에는 22계단이 하락하였다. 본래 권위주의 국가로 분류되었으나 그 정도가 심각해졌다.] || ||<|8><width=35> {{{#fff,#fff '''정부 요인'''}}} || ||<width=95> {{{#fff,#fff [[러시아 대통령|{{{#fff,#fff {{{-1 '''연방대통령'''}}}}}}]][br]'''{{{-2 [[국가원수|{{{#fff,#fff (국가원수)}}}]]}}}'''}}} ||[[블라디미르 푸틴]][br](Владимир Путин, Vladimir Putin) || || '''[[러시아 총리|{{{#fff,#fff 연방총리}}}]]'''[br]'''{{{-2 [[정부수반|{{{#fff,#fff (정부수반)}}}]]}}}''' ||[[미하일 미슈스틴]][br](Михаил Мишустин, Mikhail Mishustin) || || '''{{{#fff,#fff {{{-1 연방평의회 의장}}}[br]{{{-2 ([[상원|{{{#fff,#fff 상원}}}]])}}}}}}''' ||[[발렌티나 마트비옌코]][br](Валентина Матвиенко, Valentina Matviyenko) || || '''{{{#fff,#fff {{{-1 국가두마 의장}}}[br]{{{-2 ([[국가두마|{{{#fff,#fff 하원}}}]])}}}}}}''' ||[[뱌체슬라프 볼로딘]][br](Вячеслав Володин, Vyacheslav Volodin) || || '''{{{#fff,#fff {{{-1 연방대법원장}}}}}}''' ||이리나 포드노소바[br](Ирина Подносова, Irina Podnosova) || || '''{{{#fff,#fff {{{-1 헌법재판소장}}}}}}''' ||발레리 조리킨[br](Валерий Зорькин, Valery Zorkin) || || '''{{{#fff,#fff {{{-1 중앙선거[br]관리위원장}}}}}}''' ||옐라 팜필로바[br](Элла Памфилова, Ella Pamfilova) || ||<-2> {{{#fff,#fff '''여당'''}}} ||없음 | [include(틀:통합 러시아)](사실상)[*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당적이 없는 무소속 상태다. 따라서 법적으로는 여당이 없는 셈이다. 푸틴을 지지하는 [[통합 러시아]]가 실질적으로 여당 역할을 수행한다.] ||}}}}}}}}} || ||<-3> {{{#fff,#fff '''경제'''}}}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 {{{#fff,#fff '''경제 체제'''}}} ||<bgcolor=#fff,#1c1d1f>[[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러시아 헌법 제2조, 제8조, 제9조, '''제35조''' 참조. [[https://world.moleg.go.kr/web/wli/lgslInfoReadPage.do?1=1&searchPageRowCnt=10&A=A&AST_SEQ=1082&searchType=all&searchOnlyPrior=Y&CTS_SEQ=28011&pageIndex=17&ETC=170|#]] 제35조의 사유재산권 조항은 비록 기본권 법률유보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사유재산권에 특별히 중대한 제한은 없다. [[소련]] 시절에는 토지 공유제를 채택하고 있었으나, [[소련 해체]] 이후에는 급속도로 토지 사유제를 인정해나갔다.] || ||<|2><width=40> [[GDP|{{{#fff,#fff '''명목[br]GDP'''}}}]] ||<width=90> {{{#fff,#fff '''전체 GDP'''}}} ||<bgcolor=#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April/weo-report?c=922,&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2조 568억]]^^(2024년)^^ / 세계 11위 || || {{{#fff,#fff {{{-1 '''1인당 GDP'''}}}}}} ||<bgcolor=#fff,#1c1d1f>[[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14,391]]^^(2024년)^^ / 세계 66위 || ||<|2> [[GDP(PPP)|{{{#fff,#fff '''GDP[br](PPP)'''}}}]] || {{{#fff,#fff '''전체 GDP'''}}} ||<bgcolor=#fff,#1c1d1f>[[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4/April/weo-report?c=922,&s=NGDPD,PPPGDP,NGDPDPC,PPPPC,&sy=2022&ey=2029&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5조 4,729억]]^^(2024년)^^ / 세계 6위 || || {{{#fff {{{-1 '''1인당 GDP'''}}}}}} ||<bgcolor=#fff,#1c1d1f>[[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38,292]]^^(2024년)^^ / 세계 55위 || ||<-2> '''[[국부(경제)|{{{#fff,#fff 국부}}}]]''' ||<bgcolor=#fff,#1c1d1f>[[https://www.credit-suisse.com/about-us/en/reports-research/global-wealth-report.html|$3조 380억]]^^(2020년)^^ / 세계 20위 || ||<|2> {{{#fff,#fff '''수출입액'''}}} || {{{#fff,#fff '''수출'''}}} ||<bgcolor=#fff,#1c1d1f>[[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exports|$4,654억]]^^(2023년)^^ / 세계 22위 || || {{{#fff,#fff '''수입'''}}} ||<bgcolor=#fff,#1c1d1f>[[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imports|$1,943억]]^^(2022년)^^ / 세계 31위 || ||<-2> [[외환보유액|{{{#fff,#fff '''외환보유액'''}}}]] ||<bgcolor=#fff,#1c1d1f>[[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foreign-exchange_reserves|$6,252억]]^^(2024년 9월 20일)^^ / 세계 5위 || ||<-2> {{{#fff,#fff '''신용 등급'''}}} ||<bgcolor=#fff,#1c1d1f>'''[[무디스]]''' WR[* Withdrawn Ratings로, 철수 등급. [[https://www.moodys.com/research/Moodys-withdraws-credit-ratings-on-multiple-entities--PR_464393|#]]][br]'''[[S&P]]''' '''SD''' [[https://disclosure.spglobal.com/ratings/en/regulatory/article/-/view/type/HTML/id/2822072|#]][br]'''[[Fitch]]''' WD[* Withdrawn Ratings [[https://www.fitchratings.com/entity/russia-80442228|#]]] || ||<-2> {{{#fff,#fff '''통화'''}}} ||<bgcolor=#fff,#1c1d1f>[[러시아 루블]](₽) || ||<|2> '''{{{#fff,#fff 국가 예산}}}''' || '''{{{#fff,#fff 1년 세입}}}''' ||<bgcolor=#fff,#1c1d1f>₽25조 219억 ^^(2022년)^^ || || '''{{{#fff,#fff 1년 세출}}}''' ||<bgcolor=#fff,#1c1d1f>₽23조 6102억^^(2022년)^^ ||}}}}}}}}} || ||<-3> {{{#fff,#fff '''단위'''}}}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width=130> {{{#fff,#fff '''법정연호'''}}} ||<colbgcolor=#fff,#1c1d1f>[[서력기원]] || || {{{#fff,#fff '''시간대'''}}} ||UTC+2 ~ +12[* 방송 등 공적인 경우나 시간대가 다른 지역 사람끼리 약속을 잡을 때에는 UTC+3의 모스크바 표준시(MSK)를 사용한다.] || || {{{#fff,#fff '''도량형'''}}} ||[[국제단위계|SI 단위]][* 단, SI 단위를 사용하더라도 표기는 [[키릴 문자]]로 한다. 예를 들어 mg은 мг, km/h는 км/ч, MHz는 МГц 등으로 표기한다.] ||}}}}}}}}} || ||<-3> '''{{{#fff,#fff 외교}}}''' || ||<-3><^|1><bgcolor=#fff,#1c1d1f><height=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C23729,#C23729><width=130> '''{{{#fff 대한수교현황}}}''' ||<colbgcolor=#fff,#1c1d1f>[[조선|대조선국]] 최초 수교 : [[1884년]] [[7월 7일]][* [[조로수호통상조약]]. 음력 윤 5월 15일, 율리우스력 6월 25일][br][[대한민국]] : [[1990년]] [[9월 30일]][* 다른 서양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과 러시아는 수교 연도를 조-러 수교 연도가 아닌 한-소(소련) 수교 연도인 1990년으로 본다.][br][[북한]] : [[1948년]] [[10월 12일]][* 남북 모두 [[소련]]과의 수교 기준. 러시아 연방은 소련 시절의 외교 관계를 계승 한다고 합의했다. 러시아 연방만 따지면 남북한 둘 다 [[1991년]]이다.] || || '''{{{#fff 국제연합 가입}}}''' ||[[1945년]] [[10월 24일]]([[소련]] 승계[*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도 승계했다.]) || || '''{{{#fff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60일 || || '''[[주한러시아대사관|{{{#fff 주한러시아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서소문로]]11길 43 || || '''{{{#fff 주부산러시아[br]총영사관}}}''' ||[[부산광역시]] [[중구(부산광역시)|중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94 || || '''{{{#fff 주인천러시아[br]명예총영사관}}}'''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 || ||<-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 '''ccTLD'''}}}]] || ||<-3><bgcolor=#fff,#1c1d1f> '''.ru, .su,'''[* 본래 [[1990년]] [[소련]]에게 할당된 것으로, 동구권 붕괴 이후 다른 도메인들(동독의 .dd 등)은 모두 폐기되었지만 러시아는 .su 도메인의 보존을 요청해서 아직까지 살아있다. 사이트 수는 .ru의 약 3%로 110,000개 수준이라고 한다.] '''.рф'''[*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러시아 연방)에서 비롯되었다. .ru를 그대로 키릴 문자로 바꾼 .ру와, Россия (러시아)의 앞 두 글자인 .ро는 로마자 .py, .po와 모양이 같아서 .рф를 쓰게 되었다.] || ||<-3> {{{#fff '''국가 코드'''}}} || ||<-3><bgcolor=#fff,#1c1d1f> '''643, RU, RUS'''[* [[ISO 3166]]에서 규정. alpha-2는 RU, alpha-3는 RUS이다. UN 통계를 비롯하여 국제 공통으로 사용한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가코드와 [[FIFA]] 국가코드도 RUS이다.] || ||<-3> {{{#fff '''국제 전화 코드'''}}} || ||<-3><bgcolor=#fff,#1c1d1f> '''+7'''[* [[소련]] 시절부터 쓰던 전화코드이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8'''번도 일부 혼용 중이다.] || ||<-3> '''{{{#fff 여행경보}}}''' || ||<bgcolor=#fe1d60> '''{{{#fff 특별여행주의보}}}''' ||<-2>'''출국권고·여행금지 발령 지역을 제외한 타 지역'''[*SARS-CoV-2 [[http://www.0404.go.kr/dev/country_view.mofa?idx=&hash=%23RUS&chkvalue=no2&stext=&group_idx=8&alert_level=0]]][* 대부분의 국가가 해제된 와중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여전히 특별여행주의보 유지 상태다.] || ||<bgcolor=#e32223> '''{{{#fff 출국권고}}}''' ||<-2>'''[[체첸 공화국|체첸]], [[다게스탄 공화국|다게스탄]],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북오세티야-알라니야]],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카바르디노-발카리야]], [[인구셰티야 공화국|인구셰티야]],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아디게야 공화국|아디게야]], [[로스토프주]], [[벨고로드주]], [[보로네시주]], [[브랸스크주]], [[오룔주]] 일부(샤블르키노, 드미트롭스크, 사스코보, 크로믜, 트로스나 5개 지역)''' || ||<bgcolor=#000000> '''{{{#fff 여행금지}}}''' ||<-2>'''[[크림반도]]'''[* 대한민국 정부는 해당 지역을 러시아가 아닌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으므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침공 이전|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에 따라 우크라이나 전역이 여행금지로 지정될 때 같이 지정되었다. 현재 크림반도는 러시아가 실질적으로 지배 중이므로 여기에도 서술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쿠르스크 전 지역, 로스토프·벨고로드·보로네시·브랸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 || ||<-2><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61B79,#061B79><tablebgcolor=#fff,#1c1d1f><bgcolor=#fff> {{{#C23729,#C23729 '''위치'''}}} || ||<-2> [[파일:러시아 위치 (20220930).svg|width=100%&align=center]][br]{{{-2 {{{#336733 ■}}} 실제 영토 | {{{#49c846 ■}}} 분쟁 지역[* 현재 러시아가 일부분 실효지배 중이지만 영토 분쟁이 있거나 국제적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 ||<-2><nopad> [include(틀:지도, 장소=러시아 &zoom=2, 너비=100%, 높이=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연방'''([[露]][[西]][[亞]][[聯]][[邦]],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통칭 '''러시아'''([[露]][[西]][[亞]], Россия)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있는 [[연방]] [[공화국]]이다.[* 면적은 13,100,000km²의 아시아에 속한 동부 지역이 76% 가량 속해 있지만 인구는 유럽에 속한 서부 지역이 110,000,000명이 넘어 유럽 문화권이다.] [[수도(도시)|수도]]는 [[모스크바]](Москва; Moscow)다. == 배경 == ||<nopad><tablebordercolor=#C23729,#C23729><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youtube(HhnwN0ag0PQ)] || ||<bgcolor=#061B79,#061B79> '''{{{#fff 러시아의 국가 -}}} [[러시아 연방 국가|{{{#fff 러시아 연방 국가}}}]]''' || 러시아는 [[국토]] 면적이 17,098,246km²나 되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나라로, 지구상에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육지의 1/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국토는 무려 11개의 [[시간대]]에 걸쳐져 있으며, 14개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데 이 때문에 러시아는 [[유럽]]이나 [[아시아]] 등 특정지역에 속해있다기보다는 [[유라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땅과 인구, 자원을 지닌 국가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오랜 세월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해왔다. 과거에는 [[러시아 제국]], 이후에는 [[소련]]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사]]의 중심에 있었고, 오늘날에는 러시아 연방이라는 이름 아래 여전히 강대국으로 남아 있다. 1945년 [[유엔|UN]]이 창설될 당시부터 원년 회원국 중 하나로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UN 내에서 [[초강대국]] [[소련]]이 가지고 있던 권리를 승계 받아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며, 막대한 천연자원 보유량 및 세계 2위 군사 강국이자 세계 최대 [[핵보유국]]이라는 위상을 이용하여 전 세계 각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강대국]]이다. 또한 [[중국]],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속한 [[상하이 협력 기구]]의 주요 회원국 중 한 국가이자, [[G20]] 참가국이다.[* 한때 [[주요 7개국 정상회담|G8]]의 참가국이었다. 현재는 [[BRICS]]의 수장과도 같은 활동으로 오히려 러시아 내에서는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에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는 반면, G7의 수장인 [[미국]]은 [[대한민국]], [[호주]], 그리고 [[인도]]를 추가시킬 가능성을 크게 염두에 두고 있다.] [[독립국가연합]]과 [[유라시아 연합]]을 창설하여 주도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러시아의 현대사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에서 시작된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볼셰비키]]가 주도한 혁명은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련]]을 건국했다. 이후 [[20세기]] 동안 러시아는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로서 [[미국]]과 함께 [[냉전]] 시대의 두 축을 형성하며 군비 경쟁, 우주 개발, 이념 투쟁을 벌였지만 1991년 경제난과 체제 붕괴로 인해 [[소련 붕괴|소련은 붕괴되었고]], 러시아는 신생 독립국으로 다시 시작해야 했다. 1990년대 러시아는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침체 속에서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하려 했지만, [[올리가르히]]라는 과두재벌의 등장과 부정부패, 빈부 격차 심화로 인해 대중의 불만이 커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블라디미르 푸틴]]이 등장했다. 그는 2000년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를 통해 정국을 안정시키고, 러시아의 국제적 위상을 되찾겠다는 명분 아래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강화해왔다. 푸틴 정권 하의 러시아는 서방과 대립각을 세우며 독자적 노선을 추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이로 인해 러시아는 서방 국가들로부터 강력한 경제 제재를 받았으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결속 강화라는 역효과를 낳았다. 그러나 국내적으로는 애국주의와 반서방 정서를 이용해 정권의 정당성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러시아는 천연가스, 석유, 군수산업 등 자원과 중공업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유럽은 오랜 기간 러시아의 에너지에 의존해 왔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체 에너지 및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며 러시아 경제는 타격을 입고 있다.[* 이는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2022년 대러제재]]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이 경제제재로 큰 타격은 못 입히고 있는 상태이다.] 그럼에도 러시아는 중국, 인도, 중동 등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서방의 고립 전략을 우회하고 있다. 러시아는 또한 사이버 안보, 정보전, 인공지능 등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외교적으로는 다극화된 세계 질서를 주장하며,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도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쿠데타 벨트]]가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친러 성향이다.] 결론적으로 러시아는 내적으로는 강력한 통치와 민족주의로 정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적으로는 지정학적 경쟁과 자원 외교로 세계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미국, 서방과의 갈등을 초래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미래는 우호적이지 않은 국제 질서 속에서의 얼마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지에 달려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상징 == === [[러시아/국호|국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국호)] === [[러시아/국기|국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국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750><width=50%><rowbgcolor=#fff><nopad> [[파일:러시아 제국(1858-1896) 국기.svg|width=100%]] ||<width=50%><nopad>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 || 1858년 ~ 1896년 || 1896년 ~ 1918년 || ||<rowbgcolor=#fff><nopad>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width=100%]] ||<nopad>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37–1954).svg|width=100%]] || || 1918년 ~ 1937년 || 1937년 ~ 1954년 || ||<rowbgcolor=#fff><nopad>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nopad>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width=100%]] || || 1954년 ~ 1991년 || 1991년 ~ 1993년 || === [[러시아 연방 국가|국가]]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애국가(러시아), 문서명2=러시아 연방 국가)] === [[러시아/국장|국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국장)] == [[러시아/역사|역사]] == [include(틀:러시아의 역사)] == 자연환경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bordercolor=#061B79,#061B79><nopad> [youtube(lyh2kAjcmSY, height=315)]|| === 야생동물 === 영토가 넓어서 수많은 동물들이 서식한다. 가장 대표적인 동물인 [[불곰]]도 5아종[* [[우수리불곰]], [[동부시베리아불곰]], [[캄차카불곰]], [[유라시아불곰]], [[에조불곰]]]이나 서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람들에게 [[불곰국]]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늑대]][* [[유라시아늑대]], [[카스피해늑대]], [[히말라야늑대]], [[몽골늑대]], 툰드라늑대], [[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과거에는 [[카스피호랑이]]도 서식했으나, 멸종되었다.], [[표범]][* [[아무르표범]], [[페르시아표범]]], [[눈표범]], [[스라소니]][* 북부스라소니, 투르케스탄스라소니, 캅카스스라소니, 시베리아스라소니], [[우수리흑곰]], [[우수리승냥이]], [[울버린|유라시아울버린]], [[붉은여우]][* [[한국여우]], 아나디르여우, 북부코카시아여우, 바이칼횡단여우, 우수리여우, 야쿠츠크여우, 카라간카여우, 투르키스탄여우, 북방여우, 쿠릴열도여우, 토볼리스크여우], [[검은담비]], [[노란목도리담비|우수리노란목도리담비]], [[바위담비]][* 유럽바위담비, 크림반도바위담비], [[북방족제비]], [[쇠족제비]], [[시베리아족제비]], [[일본족제비]], [[유라시아수달]], 스텝긴털족제비, 코사크여우 등의 여러 식육목 동물들이 서식한다. 대형 초식동물 [[말코손바닥사슴]][* 유라시아말코손바닥사슴, 애쿠티아말코손바닥사슴, 아무르말코손바닥사슴, 추코트카말코손바닥사슴]과 [[와피티사슴]][* 알타이말사슴, [[백두산사슴]]], [[붉은사슴]][* 카스피해붉은사슴, 부카라사슴]이 서식하며, 그에 비해 작은 [[노루]], [[사향노루]], [[대륙사슴]] 또한 서식한다. 비교적 온화한 극동부에는 [[자라(종)|자라]]와 [[가물치]]도 서식한다. [[철갑상어]][* [[시베리아철갑상어]], 러시아철갑상어, 사할린철갑상어, 프린지바벨철갑상어, 페르시아철갑상어, [[스텔렛철갑상어]], 일본철갑상어, 별철갑상어, 유럽바다철갑상어, [[칼루가철갑상어]], [[큰철갑상어]]]와 [[타이멘]]같은 유명 대형 어종도 서식한다. 북극권과 가까운 북쪽은 [[북극곰]], [[해달]], [[북극여우]], [[레밍]], [[바다코끼리]]도 서식한다. === 영토 === '''세계에서 가장 [[국토]] 면적이 넓은 국가'''이며 러시아의 중요한 지리적 특징이 바로 이 '''광활한 [[영토]]'''다. 17,125,407km²([[크림반도]], 동남부 우크라이나 제외 시 17,098,246km²)로 세계 최대다. [[명왕성]]의 표면적(17,790,000km²)이나 [[남아메리카]](17,840,000km²)보다 약간 작지만 [[남극]](14,000,000km²)과 유럽 전체 면적(10,180,000km²)보다도 크다.[* 이말은 즉, 러시아의 아시아([[북아시아]])부분이 [[유럽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의 면적보다 크다는 뜻.] 그리고 세계에서 제일 작은 나라인 [[바티칸]] 면적의 38,921,380배다. [[한반도]] 면적(223,646km²)의 76.8배 정도이고 [[대한민국]] 면적(100,444km²)의 165배 이상에 달하며, 국토면적 세계 2위인 [[캐나다]](9,984,670km²)와도 7,000,000km² 이상 차이난다. [[인도]]의 국토 면적이 3,287,263km²인 것을 감안하면 세계 2위와의 면적 차이도 어마어마한 셈이다. [[아시아]]는 물론 [[유럽]]의 [[유럽 러시아|일부를 차지할 정도로]] 무지막지한 영토 덕분에 러시아 본토 내의 두 지점 간에 가장 먼 거리가 7,900km가 넘는다.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인[* 실제로는 러시아 정부가 통치하고 있고, 우크라이나와 서방국가 등이 인정치 않는 형태다.] 크림반도까지 포함한다면 8,000km를 넘는다. 반면 해안선의 길이는 [[필리핀]]과 비슷하다고 한다. 다만 러시아는 근대에 항해용으로 제작된 메르카토르 지도가 널리 쓰이면서 고위도 왜곡으로 인해 실제보다 더 크게 인식되는 지역 중 대표적인 예시이다.[* 메르카토르 지도 자체가 도법 특성상 고위도로 갈수록 말도 안되게 왜곡이 된다. 실제로 아프리카의 1/14 밖에 안되는 그린란드가 아프리카보다 더 크게 그려질 정도. 러시아 또한 실제로 아프리카 면적의 절반을 조금 넘는 정도이나 메르카토르 지도에서는 훨씬 크게 나온다. 현재 구글 지도 또한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그려진 것이다.] 즉 러시아가 아프리카보다 크다는 것은 엄청난 과장이다. 실제 면적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구글 지도를 켜서 사하라 사막과 아라비아반도(사우디 이남)를 보자. 이걸 더한 것이 러시아 면적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칼리닌그라드주]], 러시아 연방 본토 최서단 [[프스코프주]]부터 최동단인 [[추코트카 자치구]]의 [[다이오메드 제도|빅 다이오메드]] 11개의 시간대를 사용하며, 국토가 넓은 관계로 도로 수송보다 항공, 철도 수송에 의존한다. 국토가 춥고 황량한 땅도 많지만 비옥한 땅도 많아서 국토 면적 중 경작지가 1,237,294km²로 전 세계 4위다. 특히 [[남부 연방관구]]의 흑해 연안 지역이 날씨도 좋고 땅이 비옥하기로 유명하다.[* 꼭 춥고 황량한 기후가 아닌 국가라도 마냥 비옥하지는 않다. [[중국]]의 여러 사막도 그렇고, 세계 각지의 [[정글]]도 덥고 비도 많이 오지만 경작하기 좋은 토질이 아니다.] 러시아는 추워서 농사가 잘 되지 않을 거라는 편견이 있지만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되는 [[흑토]]지대는 러시아 서부에도 걸쳐있기 때문에 세계에서 손꼽히는 농업대국 중 하나며 [[밀]]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로, 특히 [[아프리카]]와 [[중동]]에 많은 식량을 수출한다. 천연자원은 세계 최대 [[천연가스]] 매장국, [[석유]] 매장량 8위, [[석탄]] 매장량 2위를 자랑하는 등 경제의 많은 부분을 천연자원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면적에 비하면 적어서 그런지 [[인구]]가 많다는 사실을 못 느끼는 경우가 좀 있는데 143,957,079명으로 세계 9위, 유럽 1위의 [[국가별 인구 순위|인구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면적이 워낙 넓고 [[오지]]가 많기 때문에 [[인구 밀도]]는 낮다. 세계의 국가 중 가장 넓은 영토를 보유한 나라답게 접경 국가도 매우 많다. 서쪽으로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와 접경하고 있다. [[월경지]]인 [[칼리닌그라드]]까지 포함하면 [[폴란드]], [[리투아니아]]와도 접경하고 있으니 국토 서부의 접경국만 8개국이다. 남쪽으로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북한]][* 헌법상으로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까지 모두 대한민국 영토이므로 대한민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북한만 접경국이다.], ([[남오세티야]], [[압하지야]])까지 6개국과 접경하니 총 14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또 남쪽으로 [[사할린 섬]]에서 [[오호츠크 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과 마주보며[* 1905년 ~ 1945년 일본이 [[러일전쟁]] 승전국으로서 러시아로부터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 섬을 할양받아 러시아와 일본이 접경하고 있었다.] 동쪽으로 [[베링 해]]를 사이에 두고 미국과 마주보고 있다.[* 러시아가 [[알래스카 조약|알래스카를 미국에 팔기]] 전인 1867년까지는 [[대영제국]]도 접경국이었다. 지금은 알래스카가 [[캐나다]]와 접하고 있지만, 캐나다는 조약이 체결되기 불과 몇 달 전에 [[캐나다 자치령|자치령]]이 되었고 그전까지는 대영제국의 본토였다.]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19세기 말에 [[알래스카]]를 [[미국]]에 판매하기 전까지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걸친 영토를 자랑하기도 했다. 즉, 1867년 이전만 해도 23,930,000km²가 넘었다는 것이다. [[알래스카]] 땅만 해도 1,537,000km²로 한반도 면적의 7배다! 러시아는 인류 역사상 5번째로 넓은 영토를 가진 나라이기도 하다. 이보다 넓었던 국가는 [[대영제국]] 시절의 [[영국]], [[칭기즈칸]] 시절의 [[몽골 제국]], 과거의 러시아([[러시아 제국]], [[소련]]) 정도가 있다. 다만 그 넓은 영토가 다 쓸만한 영토는 아니고 인간이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과 기후 때문에 그 넓은 영토들 중 유의미한 인간 거주구역들은 대부분 서쪽, 유럽 부근에 밀집해 있고 드문드문 소수민족 마을이나 자치구가 여기저기 퍼져있는 정도다. 이런 특징은 사회간접자본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인 '''[[도로]]'''를 상당히 열악하게 만든다. 기후적 특성도 한몫했는데, 러시아의 구불구불하고 복잡한 하계망이 [[겨울]]에 죄다 얼었다가 봄에 녹으면서 물이 땅으로 스며들어 길을 다 엉망으로 만들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고대 루시인들은 겨울에는 언 강을 썰매로 다니는 등 도로의 필요성 자체도 느끼지 못했다. 하여간 이런 도로 정비 문제는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금도 러시아의 '''도로 대부분이 엉망'''이며 나아질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국내 제조사가 러시아에 수출하는 차들은 방청[* 주위의 습도, 온도의 변화로 인해 자동차 하부의 철판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것]과 극악의 도로 상황, 혹한에 대비한 처리를 하여 만든다. 다른 국가의 회사들도 마찬가지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지그문트 3세 바사|지그문트 3세]]의 [[윙드 후사르]][* [[혼란 시대|폴란드-모스크바 전쟁]](1605년 - 1618년).], [[스웨덴 제국|스웨덴]] [[칼 12세]]의 [[카롤리너]][* [[대북방전쟁]](1700년 - 1721년).], [[프랑스 제1제국|프랑스]] [[나폴레옹 1세|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대육군|그랑 다르메]][* [[조국전쟁]](1812년).], [[나치 독일|제3제국]] [[아돌프 히틀러]]의 [[베어마흐트|GOH]][* [[독소전쟁]](1941년 - 1945년).]도 처음에는 위풍당당하게 러시아 땅에 발을 들여놓았지만, 곧 거지 같은 도로에 묶여서 오도가도 못 하며 혹한에 시달리다 끝내는 죽음도 각오하고 묵묵히 전진하는 러시아 사나이들과의 격전 끝에 도륙당했다. 근데 반대쪽의 더 거지 같은 환경에서 진격해온 [[몽골인]]에게는 안 먹혔다.[* [[기병]]에 크게 의존하는 [[몽골 제국군|몽골군]]은 봄이 되면 도로가 뻘밭으로 변하는 걸 보자 '''겨울에만 진격을 했다'''. 참고로 몽골의 겨울 날씨는 거의 시베리아 수준으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는 현재도 세계에서 가장 추운 수도로 유명하다. 날씨는 몽골인들에게 문제가 아니었지만 도로 문제는 부분적으로나마 효과가 있었다는 뜻도 된다.] 하지만 몽골의 침략 당시에는 동슬라브족의 중심지는 키예프로 모스크바는 당시에 변방에 소규모 부락에 불과 하였다. 러시아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모스크바 대공국]]은 몽골강점기에 국가 기틀을 마련하였고, 점점 성장하여 끝내 몽골의 후신 국가를 격퇴하는 데 성공 하였다. 사실 저 3대 요소를 전략적 결전병기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동유럽]] 특유의 전쟁 방식은, [[킵차크 칸국]]의 지배 아래에서 중세 내내 깨지고 박살나면서 [[타타르인]]에게 뼈로 배운 교훈이라 할 수 있다.[* 현 러시아의 [[주적]]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과 [[나토]]와의 전쟁은 고전적인 육군 싸움보다는 [[핵전쟁]]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러시아의 국토는 여전히 전략적 이점으로 작용한다. 전면 핵전쟁이란 것은 양측이 전략 핵무기로 [[엘리전]]을 벌인 뒤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추가적인 공세를 이어갈 수 있는 쪽이 이기는 전쟁인데 러시아의 우월한 국토 넓이는 핵무기로 파괴해야 할 국토 면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온 나라의 지표면을 석기시대로도 못 돌아갈 방사능 황무지로 만들어버리는 데 필요한 핵무기의 양이 미국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크게 보면 [[우랄 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의 [[동유럽]]에 포함되는 [[유럽 러시아]](Европейская часть России)와 동쪽의 [[북아시아]]로 나뉜다. 우랄 산맥 동쪽을 전부 [[시베리아]]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시베리아의 범위는 북아시아 중부 지역에 해당하고 북아시아 서부는 우랄지역, 북아시아 동부는 [[러시아 극동]]에 해당된다. 유럽 러시아 지역은 러시아 전체 면적의 25%에 불과하지만 사실상 [[모스크바 대공국|러시아의 발원지]]이자 본진이라고 할 수 있는 곳으로 제1의 도시이자 현 수도인 [[모스크바]]와 러시아 제2의 도시이자 옛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비롯한 러시아 대도시 대부분이 위치해 있으며 러시아 전체 인구의 77%가 거주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 국토의 75%에 해당하는 [[북아시아]]지역에는 러시아 전체 인구의 불과 23%만이 거주하고 있다. 큰 규모의 [[운석]]이 잘 떨어지는 지역이기도 하다. 지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으니 확률적으로 [[운석]]이 잘 떨어질만하다. 지구 육지 면적의 11%를 차지하고 있으니 육지에 운석이 떨어진다면 9개 중 하나는 러시아에 떨어진다고 보면 된다. 잘 생각하면 적도 부근의 운석은 달이 막을 수도 있는데 러시아급 고위도는 막아줄 것이 없기도 하다. 가장 유명한 것은 [[퉁구스카 대폭발]]과 2013년에 일어난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 스베르들롭스크주와 튜멘주에도 일부 피해가 갔지만 [[첼랴빈스크주]]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전체적으로 끝없는 지평선이 펼쳐지는 평탄한 지형이 대부분이나 [[캅카스산맥]], [[알타이산맥]], [[캄차카반도]] 등 일부 지역은 험준한 산악지역이다. [[유럽]] 최고봉이자 러시아 최고봉인 [[옐브루스]]산이 러시아 서남부에 있다. 2011년에는 동서로 펼쳐진 거대한 영토 덕분에 설정된 여러 시간대에 부분적인 변경을 가했다. 가장 큰 변화는 동쪽 끝에 위치한 추코트-캄차카 지역의 독자 시간대를 폐지하고, [[서머타임]]을 없앤 것이다. [[https://kr.rbth.com/society/2014/04/15/44319|#]] 2014년 10월 26일 대대적인 시간대 조정을 단행했었다. * 대부분 지역에서 시계를 2011년 이전같이 1시간 전으로 돌려서 [[모스크바]]와 한국의 시차가 5시간에서 6시간으로 늘었으며, 한국보다 2시간 빨랐던 블라디보스토크는 1시간 빠르게 되어 시차가 줄었다. * 참고로 러시아는 서머타임을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지역에서 표준시를 실제 태양시보다 1시간 정도 크게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블라디보스토크]]가 있는 [[연해주]]는 UTC+10을 쓰지만, 정작 UTC+10의 기준 경선인 150˚E선은 연해주를 지나지도 않으며 오히려 UTC+9의 기준 경선인 135˚E선이 연해주를 관통하고 있고, 블라디보스토크는 이것보다도 약간 더 서쪽에 있다. 150˚E선이 지나가는 지역이라면 [[쿠릴 열도]]와 [[마가단]] 일대에 해당하는데, 정작 마가단은 UTC+11을 쓴다. [[우파]]의 경우 UTC+4의 기준 경선인 60˚E선보다도 서쪽에 위치하나 표준시는 오히려 UTC+4가 아닌 UTC+5인데, 러시아 시간대 지도를 보면 UTC+5 지역이 남서-북동으로 길쭉하게 되어있다. * 이외에 [[자바이칼 지방]]은 한국보다 1시간이 빨랐던 것이 한국보다 1시간이 느리게 조정되었으며, [[마가단]]은 한국보다 3시간 빠른 시간대에서 한국보다 2시간 빠른 시간대로 조정되었다. * [[사마라주]],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캄차카 지방]], [[추콧카|추콧카 자치구]]는 종전의 시간을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에, 사마라주는 결과적으로 모스크바보다 1시간 빨라지게 되어 '''사마라 시간'''이 부활했고, 한국보다 3시간 빠른 시간대인 '마가단 시간'은 '''캄차카 시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기후 === 러시아는 [[시베리아]]로 대표되는 추운 나라로 알려져 있다. 그 유명한 [[동장군]]이란 말이 본디 러시아의 겨울을 이르던 말임은 물론이다. 대부분의 지역이 추운 것은 사실이되, 세계에서 영토가 가장 큰 나라답게 남부는 외려 따뜻한 곳도 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흑해]] 연안 [[소치]]의 [[https://en.wikipedia.org/wiki/Sochi|2월 평균기온은 6℃]]이며 [[아열대기후]]로 [[제주시]]의 6.4℃와 비슷하다. 이렇게 따뜻한 지역에서 [[올림픽|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었던 것은 근처에 높은 산이 있기 때문이다. 앞서 개최했던 [[캐나다]] [[밴쿠버]]도 마찬가지. 게다가 여긴 일년 내내 강수량이 고르고 연간 강수량도 1,700mm를 넘어 한국 기준으로도 다우지에 속하는 곳이다. 이 지역은 기후가 온화하여 [[차나무]]가 자라기 좋아 러시아 국산 [[차]]를 생산하는 지방이기도 하다. [[http://hotelrestaurant.co.kr/mobile/article.html?no=9863|#]] 내륙의 [[모스크바]] 역시 [[서울]]보다는 춥지만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대관령]],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시]], [[함경북도]] [[라선시]]와 비슷한 정도(1~2월 평균기온 -7.5℃)의 기온으로, 극한의 환경까지는 아니다. 마찬가지로 북위 60도에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또한 1~2월 평균 기온은 -5℃ 정도로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철원군]], [[양구군]]이나 [[함경북도]] [[청진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북아시아]]([[시베리아]])도 인구 대개가 몰려 사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선 지역은 그리 춥지는 않다. 모허 국경지역은 '''-30℃''' 내외로 엄청나게 춥다.[* 미국 접경지대에 몰려 있는 [[캐나다]]와 이래저래 비슷하다. 그래도 1월 평균기온 -15℃를 찍는 곳이라 [[개마고원]]을 제외한 [[한반도]]의 어느 곳보다도 춥다.] 반대로 한반도에 한파가 닥칠 때 서울이 모스크바보다 잠시 기온이 낮을 때가 있다.[* 다만 반대로 블라디보스토크는 한반도에 한파가 오면 대부분 그 영향을 같이 받아서 엄청나게 추워진다.] 다만 러시아가 전체적으로 겨울이 조금 길기는 하지만, 1년 내내 추운 것도 아니고[* 당장 러시아는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므로 연해주 남부는 온도만 약간 낮을 뿐 한반도와 기후 특징들이 비슷하다. 이 점에서 러시아가 겨울만 있는 나라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여름은 충분히 덥다. 30℃를 넘는 지역도 많고, 2010년 7월 [[칼미키아]]의 우타에서는 '''45.4℃'''라는 러시아 역사상 최고기온이 기록되었다. [[오이먀콘]]에서 기록된 최저기온이 '''-71.2℃'''이니 무려 '''116.6℃'''의 차이가 난다! [[소련]][* 소련 시절에는 역으로 미국에서 식량을 어마무시하게 수입해왔다. 이 때문에 소련은 핵을 쥐고 있어도 미국에 약점 하나를 내준 셈이었다. 핵은 자폭을 각오한 수단인데 단순 식량 수출 제재로 그 정도에 이르기 어려운 까닭이다. 식량 위협도 일종의 국가 안보 위협이지만 결국 자기가 자초한 일이다] 이전 [[러시아 제국]] 시절[* 러시아 제국의 곡물 수출은 농노들을 쥐어짠 결과물이기는 했다. 즉, 곡물이 남아돌아서 수출한 게 아니라, 서유럽에 내다 파는 것이 이익이 크니 정작 국내에서 곡물이 부족해도 그냥 내다 판 것이다! 당연히 그돈은 부유층들이 사치로 낭비했다. 조선이 풍요로운 국가가 아니었는데도 개항기에 일본에 쌀을 수출한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현재 러시아는 세계적인 [[곡물]] 수출국이다. 즉, 황무지만 있는 게 아니라 농사 짓기 좋은 땅도 많다. 물론 [[북극]]권에 가까운 [[시베리아]] 북쪽으로 올라가거나 동쪽으로 갈수록 극한의 추운 기후다. [[야쿠츠크]]의 1월 평균 기온은 -40℃, [[베르호얀스크]]는 -45.9℃, [[오이먀콘]]은 -51.3℃다. 각 도시의 위엄에 대해서는 문서를 참조. 한국의 추운 겨울의 원인이 바로 시베리아에서 내려오는 [[시베리아 기단]] 때문이다. 러시아는 9월 중하순부터 다음해 5월까지 겨울일 정도로 추운 나라인데도 [[워터파크]]가 있다. 물론 100% 실내다. [[지구 온난화]]의 수혜를 보는 나라이다. 일단 시베리아 남쪽부터 농사 가능한 온대지역이 북상 중인 추세인데 캐나다나 알래스카보다 영향을 받는 곳이 훨씬 넓어 이득을 제일 많이 보고 있다. 더구나 점점 열리고 있는 [[북극항로]]의 통행세를 기대하는 눈치이다. 동아시아의 [[한중일]]이 싱가포르행 남쪽 항로보다 훨씬 가까운 지름길이 될 북극항로의 주 수혜자가 될 예정이다. == 인문환경 == >동방과 서방이라는 두 역사의 물결은 러시아에서 충돌했다. 러시아는 바로 이 둘이 상호작용을 하는 가운데 서있었다. 러시아 민족은 단순한 유럽인도, 그렇다고 아시아인도 아니다. 러시아 정신에는 동방과 서방 두 가지 요소가 영원히 서로 경쟁할 것이다. >---- >러시아의 철학자 니콜라이 베르댜예프 === 인구 === [[인구]]는 2025년 기준 146,028,325명 [[https://tass.com/society/1907243|#]](크림반도 제외시 143,820,000명)으로 세계에서 9번째로 많다. 하지만 그 넓은 국토에 비하면 적다. 미국 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며 [[방글라데시]]보다 인구가 적다. [[국가별 인구 순위]]와 [[국가별 인구 밀도 순위]]를 참조한다. 영국과 프랑스의 인구를 합한것과 거의 같다. 면적과 인구를 대비해 보면 [[인구 밀도]]는 km²당 8.36명으로 한국의 1/60 정도로 굉장히 낮다. 물론 국가 전체로 일반화하면 곤란하다. [[사하 공화국]]은 인구밀도가 km²당 0.3명이고 [[싱가포르]]보다 4,300배나 넓은데 인구는 [[싱가포르]]의 1/5도 못 된다. [[유럽]] 부분의 인구밀도는 km²당 27명으로 비교적 높다. 유럽에 가까운 서부([[유럽 러시아]])에 대도시가 많아서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중•동부([[시베리아]])는 춥고 척박하여 개발이 되지 않은 [[오지]]가 대부분이므로 인구가 적다. 어쨌든 한국 같은 국가들과 비교하자면 인구밀도가 낮긴 낮아서 [[서울특별시|서울]], [[델리]]와 [[마닐라]]의 km²당 인구밀도가 각각 17,000명, 25,500명, 42,000명인 것과는 달리 [[모스크바]] 시의 인구밀도도 km²당 4,000명에 불과하며 그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모스크바주]]의 인구밀도도 km²당 150명 정도다. 참고로 [[충청북도]]의 인구밀도가 km²당 210명이다. 영토에 비해 인구가 적은 이유는 대부분의 국토가 미국, 유럽에 비하면 무척 척박하고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지속된 인구감소도 한몫한다. 1987년 2.2명이던 출산율이 1988년부터 조금씩 떨어져 1991년 [[소련]] 붕괴 후 의료보건체계와 사회보장제도가 붕괴하고 고물가에 따른 예금가치의 추락이 겹쳐 출생률 감소가 가속화해 평균수명도 같이 줄어들어 1993년에는 출산율 1.5명선이 붕괴하고 사망자수도 연 2,000,000명선을 넘어 매년 - 0.4% ~ - 0.6% 정도의 인구감소 추세[* 물론 당대에 [[이탈리아]]나 [[스페인]]처럼 출산율 1명대 초반선을 찍은 나라가 있으나 사망률은 낮다. 반면 당시 러시아의 사망률은 이들에 비해 굉장히 높다.]가 2008년까지 이어졌다. 2009년부턴 출산율의 증가와 평균 수명의 증가, 구 소련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증가한다. 이후 2013년부터 이민을 제외하고도 인구가 증가세였으나 2016년부터 다시 줄어든다. [[http://m.newspim.com/news/view/20180405000236|#]] 크림반도의 인구는 제외한다. 1999년 1.17명으로 저점을 찍은 출산율은 2000년부터 오르고 마침 고유가로 재정이 풍족해 출산장려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친다. 2008년까지 인구 감소는 사망률 때문이고 2000년부터는 사망률은 감소하고 출산율은 증가한다. 2009년에 다시 인구가 증가하고 출산율도 2014년 1.75명대다. 비슷한 시기에 출산율이 막장을 찍은 나라와 비교하면[* 예를 들면 [[대한민국]], [[일본]], [[이탈리아]], [[불가리아]], [[스페인]] 등] 석유빨이 크게 작용했어도 해도 출산율이 밑바닥에서 이 정도까지 올라온 건 분명히 성과가 있다. 그러나 출산율이 큰 폭으로 올라도 여전히 수치가 낮아서 대체출산율(2.1명)에 도달하려면 아직 멀었다. 거기에 2차 세계대전부터 1950년대까지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고 수가 적은 1990년대 - 2000년대 중반 출생자가 노동인구로 편입해 출산율의 추가적인 증가가 없으면 출생아수가 일정 수준 아래로 떨어져 인구가 일정 기간 동안 감소하고 앞으로 2030년까지 적은 노동 인구로 늘어나는 아동층과 노년층을 부양해야 해 러시아의 인구학적 위기는 이제 시작이다. [[http://www.emerics.org/mobile/interview.do?action=detail&brdctsno=241232&systemcode=04&pagenum=2|#]] 실제로 2016년부터 다시 인구가 감소하고 2016년에 2,000명, 2017년에 130,000명, 2018년에 220,000명, 2019년에 320,000명, 2020년에 520,000명 등등 감소 폭도 시간이 갈수록 크다. 크림 사태 이후 서방의 경제 제재로 러시아의 경제 상황이 악화해 급속도로 출산율이 감소해 2019년 1.48명까지 떨어진다. 2019년 러시아의 출생아는 1,481,074명으로 2015년보다 24.7% 가량 적다. 출생률로 보면 2015년 러시아의 1,000명당 출생률은 13.3명에서 2019년에는 10.1명이고 이것은 한국(8.6명)보다 높지만 중국(12.1명), 미국(12.4명)보다 낮다. 아무튼 2010년대 중반 이후 출산율이 브레이크 없이 감소해 장기적으로 인구가 감소한다. 2017년 러시아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젊은 가구에게 64억 파운드를 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723863|#]] 2020년 10,000,000 외국인에게 러시아 시민권을 부여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561086|#]] 러시아는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평균 수명이 낮아 고령화 문제는 유럽이나 일본보다 덜하나 2010년대 이후로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2022년 고령 인구가 16%로 이미 고령 사회다. 중위 연령 역시 2022년 40.8세로 40대다. ==== [[평균 수명]] ==== [[러시아인]]의 [[평균 수명]]은 WHO 통계에 따르면 72.99세로 이는 [[북한]](72.89세)이나 [[방글라데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38313|#]] 북한과 러시아의 경제 수준 차이를 고려하면 이해가 가기 힘든데, 이는 러시아 남성들의 평균 수명이 터무니없이 짧아 평균값이 확 내려가서 그렇다. 러시아 여성의 평균 수명은 78.15세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어쨌든 정상 범위인데 반해 남성들의 평균 수명은 겨우 67.62세[* 남자의 평균 수명이 이거보다 더 짧은 나라는 [[국가 멸망/원인|막장국가]]들 말고는 없다.]에 불과해 남녀 평균 수명이 10년이나 차이 난다. 즉, 평균적으로 러시아 여성들은 사별 후 무려 10년 동안 혼자 살게 된다는 뜻이다. 이는 다른 나라의 4 ~ 5년보다 훨씬 높다. 러시아에서 남성들의 평균 수명이 짧은 이유는 [[보드카]]를 비롯한 [[음주]] 문화의 영향이 가장 크다. 러시아 남성들은 대체로 [[술]]을 매우 즐기며, 독한 술도 자주 마시는 편이다. 오죽하면 [[스푸트니크 V]] 백신이 '''2개월 금주 권장'''때문에 러시아 내에서 접종률이 떨어진다고 할 정도. 개발진은 3일만 금주해도 된다고 해명까지 했고, 전문가들도 포도주까지는 문제가 없다고 해도 소용이 없어서 남는 물량을 해외에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도 여성들의 평균 수명이 70대 후반 정도 되기에 [[노인]] 인구는 꾸준히 늘어 어느새 전체 인구의 14.3%나 되어 벌써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0 ~ 14세 유년층 인구는 전체의 17.1%로 아직은 노인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추월하지는 않았지만 그 격차가 불과 3% 이내로 많이 좁혀진 상황이다. 가까운 시일 내에 노년층 인구가 유년층 인구를 추월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kr.rbth.com/society/2015/12/21/552567|#]] 러시아의 합계 [[출산]]율은 1,000명 당 12명 정도의 수준이고, 합계 출산율은 1.7명 대 정도이지만 [[결혼]]을 빨리 하는 편이라 그런지 여성들의 초산 연령은 2009년 기준 24.6세라고 한다. 즉, 러시아 여성들은 결혼을 빨리 하지만 애는 잘 안 낳는 편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아이를 낳기 때문에 선진국보다 영아의 장애 발병률이 낮다. 영아 사망률은 1,000명 당 6.8명이다. ==== [[성비]] ==== 러시아는 성비가 90.8 : 100인 [[여초]] 국가다. 2022년 러시아 인구 146,200,000명중 남자가 69,600,000명이고 여자가 76,600,000명으로 여자가 7,000,000명 더 많다. 이는 중년 이상의 성비 때문이다. 0~14세와 15~24세는 각각 106:100, 105:100으로 자연 성비다.[* 34세 이하에서 남성 1000명당 여성이 960명인데 35 ~ 39세에서는 여성이 1027명이다. [[https://aboutrussia.tistory.com/m/2|#]]] 그런데 25 ~ 54세 성비는 96 : 100이고 55~64세 성비는 75 : 100이며 65세 이상 성비는 45 : 100이다. 남성의 수명이 여성의 수명보다 많이 짧고 노년층은 [[독소전쟁]]으로 90대 이상 남성이 적다. 다만 최근 전쟁과 인구 유출로 인한 남성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15 ~ 24세의 성비가 급격히 낮아지는 중이다. === [[미녀]]의 나라 ===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과 마찬가지로 [[미녀]]가 많기로 유명한 나라 중 하나다. 동서양의 외모적 특징이 적절하게 섞여 있기 때문. 한국에서 유명한 러시아 출신 미녀는 [[안젤리나 다닐로바]], [[크리스(유튜버)|크리스(전 소련여자)]] 등이 있다. === 민족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러시아인, 문서명2=러시아/민족)]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50><tablebordercolor=#061B79,#061B79><nopad> [[파일:external/survincity.com/69152916_russiannativecostume0017.jpg|width=100%]]|| 흔히 다민족 국가라 하면 미국, 캐나다를 떠올리는데 러시아도 대략 120개 민족이 있는 다민족 국가다.[* 러시아 연방 헌법 전문도 '''우리 러시아 연방의 다민족 인민은(Мы, многонациональный народ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으로 시작한다.]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거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으니 당연하다. 러시아인 이름에 아시아계 이름이 있다.[* 예를 들면 [[블라디미르 푸틴|푸틴]]이 새로 임명한 [[세르게이 쇼이구|세르게이 쿠주게토비치 쇼이구]](Сергей Кужугетович Шойгу) 현 러시아 국방부 장관도 몽골에 인접한 [[투바 공화국]] 출신이며 투바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것도 [[스탈린]]의 강력한 러시아 동화 정책, 강제 이주와 [[굴라그]]로 대표되는 억압으로 조금 줄어든 수준이다. 2022년 인구 조사 결과 [[러시아인]][* 러시아 민족. 러시아어로 Русский(민족)와 Россиянин(국적)으로 표현하여 구별한다. 러시아 국적만 가지고 있다면 어떤 민족이든 Россиянин이다.]이 인구의 81%, 약 115,000,000명이며 [[볼가 타타르]]인, [[우크라이나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벨라루스인]], [[불가리아인]], [[폴란드인]], [[카자흐인]], [[타지크인]], [[우즈베크인]], [[투르크멘인]], [[키르기스인]], [[아제르바이잔인]], [[핀인]], [[카렐인]], [[독일계 러시아인|독일인]], [[시베리아 타타르]], [[사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조지아인]], [[쿠미크인]], [[쿠르드족]], [[몽골족]], [[루마니아인]], [[부랴트인]], [[체르케스인]], [[조지아인]], [[아바르인]], [[다르기인]], [[칼미크인]], [[코미인]], [[마리인]], [[사모예드족]], [[나나이족]], [[에벤키족]], [[축치인]], [[야쿠트인]], [[에스토니아인]], [[라트비아인]], [[리투아니아인]], 크림 타타르족, [[하카스인]], [[니브흐족]], [[아이누족]] 등 엄청나게 많다. [[고려인]]도 500,000명 정도 있어 약 0.3% 정도다. 러시아 내에는 그 넓은 영토에 걸맞게 모두 120개 소수 민족이 있으며 5,500,000 타타르인과 2,000,000 우크라이나인부터 98명 [[노르웨이인|콜라 노르웨이인]][* 19세기에 [[노르웨이]]와의 국경 지역인 [[콜라반도]]로 이주한 노르웨이인의 후손이다. 노르웨이에서 어업 등의 목적으로 러시아로 이주해오는 수요가 있어서 국경 지역에는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가 섞인 혼합 언어가 만들어질 정도나 [[소련]] 건국과 2차 세계대전, 또 노르웨이가 석유 발견으로 부유해져 러시아에 살던 노르웨이계 러시아인은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 소수만 있다.]까지 그 수도 다양하다. [[러시아 흑인]][* 소련 시절 아프리카의 공산권 국가에서 소련으로 이주한 사람과 러시아 연방 설립 이후에 러시아로 이민 온 아프리카계 이주민.], 50,000명의 [[인도계 러시아인|인도인]], 일부 [[파키스탄인]], 심지어는 [[아프가니스탄]] 내전 당시에 러시아에 피난 온 일부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아프가니스탄 피난민]][* 이들은 주로 [[카잔]]이나 북[[캅카스]] 지역에 거주한다.]도 산다. [[러시아 흑인]]의 역사는 의외로 길어 18세기에 이미 장군을 배출했다. 유명한 시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흑인의 후손이다. 곱슬머리에 그 흔적이 있다. 조상이 [[카메룬]]의 귀족인데 푸시킨도 자기 집안의 이러한 내력을 자랑스러워했다. 현재 러시아에 사는 흑인의 규모는 약 40,000에서 70,000이다. 그 외 러시아에도 구[[소련]]출신의 [[우크라이나]],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서 온 이주 노동자가 많다. === [[러시아/언어|언어]]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러시아어, 문서명2=러시아/언어)] 공용어이자 러시아 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러시아어]]다. 하지만 전부가 러시아어를 모어로 하는 것은 아니라서, 러시아 인구의 약 92%인 130,000,000명만이 [[러시아어]]를 모어로 삼는다. 이는 러시아가 다민족 국가인 특성상 러시아인을 제외하고도 [[소수민족]]이 수없이 많기 때문이다. 이 소수 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어족도 [[인도유럽어족]], [[북서캅카스어족]], [[우랄어족]], [[고아시아어족]]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또한 러시아가 [[연방]]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연방'''을 구성하는 각 주체(공화국, 민족 자치구 등)는 러시아어 이외에도 따로 공용어를 지정하여 사용한다. 타타르 공화국의 [[타타르어]], [[사하 공화국]]의 [[야쿠트어]]가 대표적인 예. 하지만 [[러시아어]]의 세가 워낙 강력하다보니 지금은 소수민족 상당수가 자신의 민족어를 점차 잊어버려서 언어학자들은 발등에 불이 붙은 심정이라고 한다. 그 얼마 안 되는 사람들이 죽으면 그 언어는 그대로 [[사어|사멸]]하니까. 2009년 [[유네스코]]는 러시아 내 언어 136개(!)가 사멸 위기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그러다보니 러시아내 소수민족들의 언어들은 러시아 정부의 특별 기금으로 보호를 하는 것을 마련하고 있다. [[https://www.russkiymir.ru/news/245873/|#(러시아어 원문)]] 관련 자격증으로는 러시아 교육부가 주관하는 공인 시험인 [[토르플]](ТРКИ, Тестирование по рус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이 있다. 토르플은 한국슬라브문화원 산하 토르플센터, [[계명대학교]] 등에서 응시가 가능하다. 그외 기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시험으로는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외국어능력시험인 [[FLEX(어학시험)|FLEX]],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주관 언어능력시험 [[SNULT]], [[OPIc]] [[러시아어]]가 있다. === [[스포츠]] === ==== [[권투]] ==== [youtube(tLVi9n9bOdM)] 러시아 권투 스타일은 활발한 인앤아웃 [[콩콩이 스텝]]을 기반으로 한 권투 스타일로 유명하다. 유명한 권투 선수로는 카넬로를 이긴 [[드미트리 비볼]]이 있다, 드미트리 비볼 선수 역시 러시아 스타일답게 빠른 콩콩이 스텝으로 거리조절과 레벨체인지 잽을 기반으로 한 권투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 [[종합격투기]] ==== 종합격투기 강국이다. 선수층도 넓고 생활체육으로도 엄청 활성화돼있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페트르 얀]],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이슬람 마카체프]], [[마고메드 안칼라예프]] 등의 전, 현 [[UFC]] 챔피언 선수들이 있다. === 종교 === [[파일:external/contur.ucoz.ru/ZTRR8.jpg]] (러시아의 4대 대표 종교 : [[유대교]], [[정교회]], [[이슬람]], [[불교]]) [[소련]]이 1991년 붕괴되고 세워진 러시아는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종교의 자유를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에서는 다양한 종교 활동이 보장된다. 다만, 1,000여 년의 세월 동안 러시아 민족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한 [[러시아 정교회]]가 러시아에서 가장 많은 비율의 신자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정치와 종교를 분리하는 정교분리를 표방하지만,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가 매우 사이가 가까우며, 사실상 정교회가 러시아 제1종교이자 국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소련 해체 이후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이후 지난 20년 동안 종교를 믿는 러시아인은 급증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어느 정도 혹은 매우 종교적이라고 응답한 러시아 성인들은 1991년 11%에서 2018년에 70%로 증가했다. 그리고 “신을 믿는다”고 응답한 러시아인들은 같은 기간 동안 38%에서 75%로 상승했다. 2016년의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의 종교는 정교회 71%, 무종교 15%, 이슬람 10%, 응답거부 5.5%로 집계되었다. 정교회 신자들은 주로 슬라브계 러시아인(русские)들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무슬림]]들은 북캅카스, 타타르스탄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다. [[소련]] 시절 [[국가 무신론]] 정책의 영향을 받아 무신론 비율이 높은 편이다. ==== 기독교(정교회) ==== [include(틀:총대주교좌)] [[파일:external/www.pravmir.com/Vechnaya_Rossiya-600x308.jpg]] 우선 [[정교회]]는 [[동로마 제국]]의 [[선교사]]들이 전교해, 988년 블라디미르 대공이 통치하는 [[키예프 루스]][* 최초의 동슬라브인의 국가는 이 나라이며, 수도의 이름을 따서 이를 키예프 공국이라고도 한다. 이들이 훗날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과 벨라루스인의 조상이 된다.]의 국교가 되었으며 1037부터 1448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임명한 [[그리스인]] [[대주교]]가 통치했다. 키예프 루스가 정교회를 국교로 선택한 데에 전해져 내려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블라디미르는 형제들과 싸워 권력을 얻은 탓에 정치적 기반이 약했다. 그래서 권력을 키우고 키예프 러시아를 강력하게 통치할 수 있는 사상이 필요했는데 그 사상이 바로 [[종교]]였다. 국교를 정할 당시 블라디미르는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 유대교 4개 중에서 선택하려고 했는데, 이슬람교는 [[술]]과 돼지고기를 못 먹게 하니 아웃, 유대교는 블라디미르가 "왜 유대인이 선택받았다는데 당신네는 나라 없이 떠돌아 다닙니까?"라는 질문에 랍비가 아무 말 못해서 아웃. 그래서 두 그리스도교가 남아서 두 쪽 다 사절을 보냈는데, 가톨릭 측 사절이 갔던 독일은 거의 암흑시대로서 야만족과 다름없었기 때문에 아웃되었다. 반면 정교회 측에서는 휘황찬란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하기아 소피아로 데려가서 그 화려함에 당장 정교회를 선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보다 실질적인 이유로는 접근성과 당시 권력의 차이 문제가 있었다. [[유대교]]로 개종했던(!) 하자르 칸국은 할아버지인 스뱌토슬라프 1세 시절인 969년에 키예프 루스에게 털려서 카칸국은 멸망하고 소규모 부족들만 남아 있엇고 러시아는 로마보다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훨씬 가까우며 당장 직접적인 무역 루트나 영향력 면에서 여러 모로 정교회를 택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 예를 들어, 당대 러시아의 중심지였던 키예프에서 드네프르강을 타고 내려와 흑해에 이르면 동로마 제국의 크림반도 거점이던 케르손에 도착할 수 있고, 다시 거기서 배를 타고 흑해를 건너면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이르게 된다. 반면 당시 가톨릭의 중심지인 독일 지방이나 이탈리아 및 이슬람 중동권은 거리도 멀고 육상 교통로에 의존해야 했다. 수상 운송이 육상 운송보다 훨씬 효율적임을 생각하면 어느 쪽이 더 우수한 교역 파트너인지는 뻔하다. 당시의 종교는 정치와 사회 전 영역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었고, 특정 종교를 선택한다는 것은 곧 그 종교를 믿는 국가와 우호적 교류 관계를 맺는 것이었음을 생각하면, 당시 러시아에게 어느 쪽이 더 매력적이었을지는 뻔할 뻔 자. 이후 1589년 모스크바 대주교 이오프(Патриарх московский Иов)가 모스크바와 모든 [[루스인]]의 총대주교가 되면서 자치 교회가 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총대주교|예루살렘]]에 이어 제5위의 정교회가 되었다.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키릴(정교회)|키릴 총대주교]]이다. 수세기 동안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에서 지배적인 종교였다. 특히 1055년 동방교회와 서방교회가 완전히 분리되고, 알렉산드리아와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에 이어 1453년 동로마 제국의 수도이자 동방 정교회 세계의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마저 [[무슬림]]들에게 점령당한 뒤에 동방 정교회에서 가장 유능하다고 추정되는 지도력을 가진 나라는 러시아 뿐이었다. 이 말은 결국 러시아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정교회 지역들이 모두 이슬람의 손에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 즈음 불가리아와 세르비아마저도 당시의 신흥 강자였던 [[오스만 제국]]에게 정복당했다. 이들 정교회 국가들은 오스만 제국이 패망한 1922년까지 과거 누렸던 종교의 자유를 제한받았다. 반면 이 시기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와 예술 등 전 분야에 걸쳐 러시아 문화의 아름다움을 꽃피웠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 중기, [[표트르 대제]]는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폐위하고, 총대주교좌를 폐지하면서 신성통치 종무청으로 관련 사항을 이전하여 관리토록 하였다. 이후 러시아 총대주교좌는 러시아 혁명때 부활한다. 러시아 제국시기 내내 황실과 결탁한 정교회의 부패는 끝을 달리고 있었고, 이러한 모습은 1917년 10월 혁명과 적백내전으로 집권한 [[소비에트 연방]]에게 혁파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공산주의는 사상적으로도 무신론을 내포하고 있기도 했고. 특히 레닌은 교회가 소유한 재산을 국유화할 것을 지시하며, 이를 거부하는 많은 수의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을 투옥시키거나 처형했다. 이후 소련 전역에 위치해 있던 [[성당]]과 [[수도원]]은 다른 용도로 전환되거나 파손되었다. 또한 공개적으로 신앙을 표현하는 사람들은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없었고, 명망 있는 대학에 입학할 수 없었다. 공산당은 정교회의 권위를 깨부수기 위해서 정교회 성인들의 무덤을 파헤치기도 했다. 정교회와 가톨릭 등 기독교 [[보편교회]]에선 [[기적|훌륭한 삶을 살다 죽은 일부 성인들의 유해가 하느님의 은총으로 썩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는데, 썩은 성인들의 시체를 보여 주어 대중의 신앙심을 공격하려 한 것이다. 근데 수백년 전에 죽은 시신들을 파냈는데도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전혀 썩지 않아]] 공산당원들이 하얗게 질리고 흥분한 군중들이 공산당원들을 비난하는 사태도 있었다고 한다. 물론 현실적으로 따져본다면 밑에서도 언급된 바처럼 비밀신자들이 많았으므로 몰래 시신 관리를 했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의 것으로 바꿔치기 되어서 이런 결과물이 나온 것일 수도 있다. 중세에 '''~의 뼈''' 이런 것들이 실제로는 다른 이의 것이었듯이 말이다. 그러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때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은 [[나치 독일]]의 침략을 막는 데에 종교적 열의를 이용하기 위해[* 러시아 정교회의 성인인 알렉산드르 넵스키는 러시아에 가톨릭을 무력으로 전파하려던 [[튜튼기사단]]을 작살낸 공으로 성인이 되었다. 그래서 러시아 정교회는 독일에 대한 감정이 아주 안 좋다.] 다시 정교회 신앙을 부활시켰다. 스탈린은 독실한 정교회 신자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어릴 때까지는 독실한 정교회 신자였던 데다가 신학생 출신이었다. 소련의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르고 나서도 신앙심이 유지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렇기 때문에 정치적인 면과는 별개로 개인적으로는 정교회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 역시 사실이다. 다른 사람들한테는 몰라도 어머니한테만큼은 지극한 효자였던 스탈린은 독실한 신자인 어머니 앞에서 차마 신앙을 버렸다고 고백할 수가 없어서 어머니 앞에서만큼은 아직 정교회를 믿고 있다고 신자 행세를 했다. 스탈린은 자본 진영 사람들이 원칙과 신념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 곧이곧대로 믿지 않을 만큼 철저하게 인간 행동의 기저를 의심한 치밀한 현실주의자이기도 했다.[* [[http://kk1234ang.egloos.com/3064287|스탈린의 현실주의적인 면모]]] 그래서 역설적이게도 스탈린 치하에서 어느 정도 정교회가 복원되기는 하지만, 다음에 집권하는 [[흐루쇼프]]의 탄압을 받았다. 그래도 소련 붕괴 시까지 민중들은 물론 공산당원조차도 정교회 신앙을 비밀리에 이어 갔다. 대표적인 예가 소련 붕괴 후 정교인임을 드러낸 [[블라디미르 푸틴]]. 이 사람은 소련 비밀경찰기관인 [[KGB]]의 간부 출신이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에는 거의 [[국교]]가 되어, [[보리스 옐친]]이나 푸틴은 과거 소련 시절 명목상 공산당원이었음에도 정교회 신자라고 커밍아웃했고, 이후 성찬예배에도 자주 참례했다. 심지어 소련 공산당의 후신인 [[러시아 연방 공산당]] 당수인 [[겐나디 주가노프]]도 교회에 다니며 정교회 성직자들과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공산당]]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는 아노미 상태에 빠진 국민들이 [[사이비 종교]]에 홀리는 예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책으로서, 그리고 러시아의 국가 정체성 강조를 통한 통합강조 차원에서 정교회를 대폭 밀어주는 정책이 강화되었다. 실제로 악명높은 일본의 [[옴진리교]]가 한때 러시아에서 크게 세력을 떨쳤으며, 러시아인 신자들은 [[아사하라 쇼코]] 교주가 체포되자 무력으로 아사하라 교주를 탈환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소비에트 연방 몰락 이후 각 나라별 교회 문제 때문에 대판 다투기도 하였다. 우크라이나 등 구 소련 영토 내의 교회는 각 국가의 교회이나 그 교회 건물의 소유권을 러시아 정교회가 소유하고 있었는데, 각 국가들의 독립 이후 러시아 정교회가 이를 바탕으로 교도권을 주장하면서 독립 교회를 인정하지 않아 갈등을 빚고 있다. 2018년 10월에는 크림반도 분쟁 등의 이유로 러시아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https://news.v.daum.net/v/20181016151154669?fbclid=IwAR31b4J8GT4JRGYbzPq6NJTLIMYTjyhMTcyrLYeVJDiTczoKOM4K1xMB0dA|단절을 선포했다.]] 러시아 정교회는 정교회 세계에서 제일 현지화가 많이 진행된 교회이기에 다른 교회 지체와의 차이점이 상당히 많다. 애초에 초대 교회가 동서로 찢어진 사건 때문에 정교회 성직자들은 러시아 지역에 선교할 때는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일치!'를 외쳤으나, 이번엔 이 동네가 당시 [[서유럽]]보다 더한 깡촌이라서.... 결국 원조(?)와 좀 많이 달라지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17세기 중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의 재위 기간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였던 니콘이 슬라브 토속 신앙과의 융합을 피하려고 전례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맞춰 바꾸는 등 온갖 노력을 기울였으나, 니콘의 전례 개혁에 반발한 구전례파와 니콘을 지지한 신전례파가 나뉘어 내분이 일어나는 바람에 결국 실패했다.[* 구전례파도 둘로 나뉘었는데 따로 성직자단을 꾸린 분파와 아예 성직을 인정하지 않는 분파로 갈렸다.] 게다가 [[표트르 대제]] 때 러시아가 서유럽의 문화를 많이 받아들이면서 러시아 정교회에 [[가톨릭]]적 색채가 가미되기까지 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도 큰 분쟁이 일어난 적이 없었고, 또 이 지역 사람들의 신앙이 깊기도 한 데다가 딱히 핵심 교리에서 변질되거나 한 것도 아니라서 러시아 정교회가 정교회 그 자체로부터 분열해 버리는 사태는 다행히도 일어나지 않았다. 표트르 대제가 즉위할 무렵 모스크바 총대주교좌가 공석이 되자 차르는 신성종무원을 만들어 정교회를 관리했고, 신성종무원은 러시아 혁명으로 해체될 때까지 이어졌다. 혁명 직후 러시아 정교회는 새 총대주교로 티혼을 뽑았지만 곧바로 볼셰비키가 집권하며 박해받았다. 공산당의 탄압이 시작되기 전에 티혼 러시아 총대주교가 해외 러시아 정교회의 설립을 명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국내파와 해외파로 갈라지게 되었다. 후임 총대주교인 세르게이는 교회의 존속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소련 정부에 대한 비판을 중단하고 지지를 표명하는 등 '살아남기 위한 조치'를 이어가지만 실질적인 교회의 역할을 감당하지 못했다. 게다가 소련 치하에서 '살아남기 위해(실제로 [[https://en.wikipedia.org/wiki/Living_Church|살아있는 교회]]란 별칭이 붙었다)' 정부의 관리 아래 들어갔고, 이러한 모습에 비판적이었던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한반도의 남북한 이상으로 갈등과 대립을 겪어 왔다. 러시아에서 정교회가 자유를 얻은 것은 1990년 고르바초프의 주도로 소련 최고회의가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법"을 의결한 이후부터였다. [[파일:external/nyblago.com/vosstanovlenie_edinstva_2.jpg]]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러시아 정교회와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100년간의 갈등을 끝내고 2007년 5월 17일 일치를 선언한다. 무려 100년간의 갈등 끝에 이뤄진 일이다. 물론 이런 일이 있기까지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푸틴이 정교회 신자다 보니 직접 나서서 챙기고 다독거려서 상호 양보를 받아내고 일치에 이르도록 하였다고 한다. 한편 한국 정교회 역시 본래 러시아 정교회 소속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소련]]이 들어서면서 러시아 정교회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러시아 정교회는 한국 정교회를 미국의 미트로폴리아 관구의 일본 정교회에 맡기려 했으나, 일본 정교회 역시 식민지를 경험한 한국민의 정서에 맞지 않아 갈등하던 중 1955년 12월 25일에 서울 성 니콜라스 성당 신도회의 결의에 따라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관할 하에 들어가게 된다. 러시아의 [[성탄절]]가 12월 25일이 아니고 [[1월 7일]]인 이유도 정교회의 세가 워낙 강한 영향이다. 자세한 건 [[성탄절]] 문서 참고. 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는 아예 양력설과 크리스마스를 연계하여 신년 연휴를 만들었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크리스마스가 1월 7일인 유일한 월드컵 개최국이 되었다.[* 다른 개최국은 크리스마스를 12월 25일에 기념하거나 아예 평일로 지낸다.] ==== 이슬람교 ==== [[이슬람]]은 러시아에서 2번째로 세력이 강한 종교로, 2012년 기준 러시아 내 무슬림은 약 9,400,000명으로 러시아 인구의 6.5%가 무슬림이다. 러시아 이슬람계에 따르면 인구의 20% 이상이 무슬림이라고 주장한다.[* 다만 이는 자기네 신자를 최대한 부풀리는 경향이 있다는 걸 감안할 필요가 있다.] 현재도 계속해서 세력이 증가하고 있다. 주류 민족인 슬라브계 러시아인보다는 소수민족이 주로 믿는데, 러시아에서 가장 큰 소수민족인 [[타타르인]](3.9%)이 대표적으로 이슬람을 믿으며, 그 외에 [[바시키르인]]과 북캅카스에 거주하는 민족 대다수도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비무슬림 러시아인은 이슬람에 반감을 가질 때도 많지만, 종종 우호적인 감정을 보여줄 때도 있다. 러시아 고전 문학에서 이슬람과 관련된 내용도 많이 찾을 수 있는데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은 이슬람 정명론과 관련한 주제 의식을 담고 있으며, [[톨스토이]]의 "하지 무라트" 같은 소설에도 [[체르케스인]]들과 [[아바르인]] 무슬림들이 인간적으로 묘사된다. 구소련의 유명한 여류 시인 안나 아흐마토바(본명은 안나 고렌코) 같은 경우는 자신의 타타르인 할머니의 이슬람식 성에서 자신의 필명 아흐마토바[* [[아흐마드]](أحمد)의 변형인 아흐마트(Ахмат / Akhmat)에 러시아어 소유접미사 오바(-ова / -ova)가 덧붙여져 아흐마토바(Ахматова / Akhmatova)가 된다.]를 따왔다. 오늘날 러시아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에 이슬람이 전파된 것은 7세기 가량으로, 당시 북캅카스의 [[다게스탄]]에 처음 선교사를 파견, 이후 주변 민족을 중심으로 전파했다. 10세기 경 볼가강 유역에 거주하던 [[불가르 칸국]]에서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으며, 몽골 제국의 침략 이후 멸망한 불가르 칸국을 계승한 [[카잔 칸국]]의 볼가 타타르인들도 무슬림이었다. 유대교를 믿었던 하자르 칸국의 수도 아틸 근처에는 튀르크인의 (이슬람) 성지라는 뜻의 하지 타르한을 중심으로 이슬람 국가인 [[아스트라한 칸국]]이 건설되었다. 16세기 중엽 이반 4세 제위 시기의 [[루스 차르국]]이 카잔 칸국과 아스트라한 칸국을 지배층의 내분을 이용해 병합하는 과정에서 무슬림 타타르인들이 러시아 제국 내로 흡수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절 중앙정부 차원에서 농노제와 러시아 정교를 동시에 강요하면서 무슬림은 종종 심각한 탄압을 받았다. 카잔과 아스트라한의 볼가 타타르인들의 경우는 비교적 덜했으나, 캅카스 지역과 크림반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런 탄압이 심해, 억압적인 소수민족 정책과 더불어서 1817년부터 1864년까지 지속된 캅카스 전쟁같은 무력저항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러시아 제국 내 무슬림 소수민족들은 [[오스만 제국]]과 연계된 경우가 많았는데, 체르케스인들의 경우 러시아인들과 전쟁에서 인구 상당수가 사망하고 대부분 오스만 제국으로 피난갔으며, 오스만 제국의 번국이던 [[크림 칸국]]의 경우 수백년 동안 기독교인 노예 인신매매[* 러시아보다는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일대를 주로 약탈했으며, 비옥한 우크라이나 일대를 한 때 거의 무인지대로 만들 정도로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악질적인 노예 상인들이었다. 우크라이나에서 기원한 [[카자크]]들의 역사적 숙적이다.] 행각으로 악명 높았기 때문에 다른 타타르인들에 비해 좋지 못한 대우를 받았다. [[카자크]]를 포함한 러시아 군인들이 이들에게 제대로 복수하지 않은 이유는 그 당시 [[크림 타타르인]]들이 이미 '''어른의 사정'''으로 사실상 종교만 이슬람인 우크라이나인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10월 혁명 이후 집권한 소련 정부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탄압받던 무슬림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다. 특히 1920년대 중앙아시아에서 실시한 현지화(Коренизация) 정책으로 이들 이슬람 교리가 보장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1930년대 스탈린 시기를 거치면서 이슬람은 다른 종교와 함께 다시 위축되었고, 이후 소련 말기까지 정교회와 같이 국가 관리 아래 놓여있게 되었다. 이후 1991년 소련이 해체, 종교의 자유가 부활하면서 캅카스를 중심으로 무슬림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일단 중동과 거리가 있는 지역인 데다가 비이슬람 국가 시절에 받았던 지배의 영향 때문인지 러시아 내의 무슬림은 세속주의 성향이 강하다. 오늘날 러시아가 러시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극우 민족주의화한다는 우려가 존재하나 사실 이러한 [[극우]]세력이 [[이슬람 공포증|이슬람공포증]]을 가지고 이슬람을 매우 혐오하는 것은 러시아뿐 아니라 미국, 유럽에서도 심각하게 골치를 썩는 공통적인 문제점이다. 게다가 [[위구르인]]을 공공연하게 탄압하는 [[중국]] 정부처럼 무슬림 소수민족들을 수용소에 감금하고 성고문하는 수준까지는 아니다. 다만 러시아 제국이나 소련을 제외한 현대사에서도 [[체첸 전쟁]] 때는 캅카스 자치공화국의 모스크를 소수만 남기고 폐쇄하고 [[체첸인]]을 탄압한 전적이 있다. ==== 유대교 ==== [[러시아 제국]]은 [[유대인]]들이 밀집해 살던 지역인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일대를 [[폴란드 분할|병합]]한 역사 때문에, 러시아는 [[이스라엘]]이 건국되기 전까지 [[아슈케나짐]] 계열 [[유대인]]이 많기로 세계에서 손에 꼽히는 지역이었다. 당장 [[블라디미르 레닌]]만 해도 유대인 혼혈이고, [[레프 트로츠키]]나 카메네프, 지노비예프 등등 소련 공산당 초기 멤버들 상다수가 유대인이었다. [[유대인 자치주]]는 그 흔적이고, 러시아를 떠난 유대인들 중에서 아직 러시아어가 편한 이스라엘인이 많아서 지금도 [[https://main.knesset.gov.il/RU/Pages/default.aspx|이스라엘 정부 사이트]]를 비롯한 여러 이스라엘 관련 사이트에서 러시아어를 지원하는 사이트가 많을 정도다. 그러나 [[독소전쟁]] 중 [[홀로코스트]]로 큰 피해를 입고 [[소련]] 정부도 나치만큼은 아니지만 유대인에 호의적이진 않았으므로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후 많은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빠져나갔다. 러시아계 유대인들 중에는 거의 다 [[아슈케나짐]] 유대인이지만 [[페르시아계 유대인]]의 일파인 [[부하라 유대인]]과 조지아 유대인 및 현재 극소수가 남아있는 [[카라임]]들도 있다. 부하라 유대인과 조지아 유대인은 혹여나 [[세파르딤]], [[미즈라힘]] 유대인으로 인식되면 이스라엘 사회에서 적잖은 불이익을 받기 때문에 "러시아계 유대인"이라는 정체성에 묻혀 가는 편을 선호한다. 여전히 유대교는 명목상 러시아 4대 종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나 대부분은 미국이나 이스라엘로 이주한 상태이다. 무신론을 강요한 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계 이스라엘인]]들은 코셔 율법을 별로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심지어 이스라엘에 이민와서도 돼지고기를 별 거부감 없이 먹는 편이다. 그 때문에 보수적인 유대인들에게 배척을 당하기도 한다. 소련 수립 이전 러시아 제국 시절에 서구권으로 망명한 러시아계 유대인의 후손들은 소련 시대 이후 러시아계 유대인들의 돼지고기 섭취를 매우 부정적으로 본다. ==== 불교 ==== 현재 러시아의 불자 대부분은 [[티베트 불교]] 신자로, [[시베리아]] 등 러시아 동부에 사는 [[몽골]]이나 [[튀르크]] 계열 아시아계 [[소수민족]]이 주로 믿는다. [[불자#s-1]]는 대부분 [[투바 공화국]], [[자바이칼 지방]]과 [[부랴티야 공화국]], [[이르쿠츠크]] 등 [[시베리아]]에 거주한다. 불교 공동체와 사원들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도 있지만, 러시아를 여행하면서 [[불교]]의 전통과 역사, 정신을 더 깊이 알고 싶다면 [[시베리아]]에 가봐야만 한다. 현대 러시아의 강역에 불교가 존재했다는 가장 오래된 학술 증거는 8세기 경 오늘날의 연해주와 아무르 일대에 영향력을 끼쳤던 [[고구려]]와 [[발해]]의 흔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7세기 초반 무렵 칼미크인들이 카스피해 연안에 정착하고 칼미크 칸국을 세우는 과정에서 칼미크인 중 일부가 러시아 측에 귀순하여 러시아 최초의 불자가 되었다. 이것이 러시아와 불교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전래된 최초의 사례가 된다. 본격적으로 러시아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러시아가 부랴티야를 비롯한 시베리아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믿는 원주민들이 러시아에 편입되며 시작되었다. [[명말청초]]에 몽골고원과 티베트도 전란에 휩싸이면서 여러 몽골계 민족들과 라마들이 러시아의 강역 너머로 피난을 와서 정착하기도 했다. 이들은 [[부랴티야]]에 불교가 자리잡고 융성하게 되는 인적 기반이 되었다. 1741년에는 [[옐리자베타 여제]]의 칙령으로 불교가 러시아 내 종교로 공인을 받게 되었다. 1746년에는 [[예카테리나 2세]]가 러시아 내 불교의 수장으로 부랴트의 불교 지도자를 함보 라마(Хамбо-лама)로 공인했다. 함보 라마는 이에 화답하여 예카테리나 2세를 타라보살의 화현이라고 공포했다. 이러한 조치는 접경지역인 부랴티야에서 독자적인 불교 조직을 분리시켜 몽골 및 청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정치적 안배가 고려된 것이기도 했다. 이후 부랴티야는 러시아 내에서 불교의 중심지가 되어 1914년에는 부랴티야 내에서만 48개의 사원과 16,000명의 수도승이 있었다. 제정 러시아가 패망하고 소련이 수립되면서 이 곳 역시 [[무신론]]을 신봉하는 [[공산주의]] 시대에 상당한 탄압을 받았다. [[소련]] 전국에 오직 2군데의 사원[* [[울란우데]] 근처의 이볼긴스키 사원(иволгински дочан)과 [[치타(러시아)|치타]] 근처의 아긴스코예 사원(огинское дочан)]만이 허가 하에 존치되었을 정도였다. 특히 스탈린의 통치시기에는 소련 내 다른 종교들과 마찬가지로 불교에 대한 탄압과 박해도 극심했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소련 내 승려들과 불교 신자들은 소련의 전쟁수행을 적극적으로 독려하여 노동력 제공과 모금활동 등을 하면서 소련 당국으로부터 얼마간의 공헌을 인정 받게되었다. 그 덕택에 소련 당국의 불교 탄압을 다소나마 누그러뜨릴 수 있었고, 2차 세계대전 끝 무렵에는 법회를 다시 열 수 있게 허가를 받으면서 불교 신앙이 명맥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 정부에서 공인한 '전통 종교' 4개 중 하나로 지정되어 정부 인사들과 불교 대표가 자주 만나는 등 사정이 많이 나아져 교세를 회복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소련이 해체된 1991년은 러시아에 불교가 공인된지 250주년이 되는 해였다. 2002년에는 제12대 함보 라마인 이티겔로프(Итигэлов, Даши-Доржо, 1852 ~ 1927)의 유해가 입적후 75년만에 거의 온전히 보존된 상태로 다시 발견되었다. 유해는 이볼긴스키 사원에 [[등신불]]로 봉안되어 있다. 이에 대해 14대 [[달라이 라마]]는 이티겔로프가 생사를 가르는 참선의 경지에 들어서 성불에 이르는 과정 중에 있다고 했고, 몽골의 9대 [[젭춘담바 후툭투]]는 이티겔로프가 윤회를 넘어섰다고 했다. 특이하게도 러시아 서남부, 즉 유럽 지역에서도 [[칼미키야 공화국]]은 [[티베트 불교]]가 주류 종교다.[* 이 곳의 수도인 [[옐리스타]](Elista)에 가면 불교 사원과 건축물들이 도시 곳곳에 있어서 러시아에서도 굉장히 이질적인 분위기를 보여준다. [[칼미크인]]도 몽골계다.] 애초에 여긴 유럽의 유일한 불교 국가다. ==== 기타 종교 ==== [[정교회]]와 비슷한 기독교이지만, 서방교회로 분류되는 [[가톨릭]]과 [[개신교]][* 다만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는 제한하는 편이다.], 인도 종교인 [[힌두교]][* [[인도]]가 친러 국가인것 때문인지 러시아에서도 인도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중국 종교인 [[도교]]를 믿는 경우도 있는데 힌두교 신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외 러시아 소수 민족들을 중심으로 원시 신앙을 믿는 경우도 있다. 요즘에는 [[신이교주의]]자들이 [[슬라브 신화]]나 기타 다른 토속신앙을 복원하려고 하지만 규모도 작고 기성종교 집단에게 탄압을 받거나, 이러한 민족 신앙이 [[인종주의]]와 결합하여 [[네오나치]] 사상의 기반이 되는 경우가 상당하다. == [[러시아/행정구역|행정구역]] == [include(틀:러시아의 행정구역)] == [[러시아/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정치)]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는 [[사회주의]]를 폐기하고 1993년에 제정된 러시아 헌법에 의거해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이원집정부제]], [[연방제]] 국가다. 그러나 오늘날 러시아에서는 실질적으로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독재국가다. 보리스 옐친 시기부터 민주주의가 이식되었으나 전혀 제대로 작동한다고 볼 수 없었고, 푸틴 집권 이후로는 그냥 비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독재국가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어쨌든 푸틴 집권 이후로 계속 독재국가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까지 러시아는 [[우고 차베스]] 시절 [[베네수엘라]]나 [[10월 유신]] 이전 [[박정희 정부]]와 비슷한 [[비자유민주주의]] 국가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는 유신헌법 이후 - [[전두환 정부]]까지 [[대한민국 군사정권]]이나 마두로 집권기 베네수엘라, 시진핑 시대 중국과 비견을 할 정도로 사회 통제가 심해졌다.] 현재 러시아 대통령인 블라디미르 푸틴은 25년 집권중[* 엄연히 말해서 푸틴은 한때 총리에 메드베데프가 대통령직을 바지사장으로 맡은 적이 있으나, 저때도 실권은 푸틴에게 있었고 결정적으로 메드베데프는 현재 [[통합 러시아]]당의 당수이며 푸틴 이상으로 극단적인 찬전발언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푸틴 집권기간으로 여겨진다. 메드베데프가 푸틴의 오랜 정치적 후배이자 거의 친동생 수준으로 가까운 관계이기에 메드베데프가 대통령 자리에 있다 한들 실질적으로 파워를 쓸 수 없어서 메드베데프 당선 당시부터 그냥 바지사장으로 평가받았고, 전세계 모두가 실권자를 푸틴으로 대우했기에 일반적으로 메드베데프 집권기간은 푸틴의 집권 기간에서 빠지지 않는다.]이며 부정선거, 언론 탄압이 심한편이다. 또한 푸틴을 견제해야 할 야당들인 [[러시아 연방 공산당]]이나 [[러시아 자유민주당]] 모두 내부 운영이 권위주의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오히려 푸틴의 사실상 소속 정당인 통합 러시아가 당 운영은 제일 진보적이고 민주적으로 진행된다.(...) 독재정당이 제일 민주적으로 당 운영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자칭 자유주의나 사회민주주의를 내세우는 [[새로운 사람들]]이나 [[공정 러시아]]는 [[전러시아 인민전선]] 소속으로 사실상 관제야당이며, 원내의 대부분의 정당이 대놓고 반민주주의 성향이기에 사실상 '''어떤 당이 집권해도 현재와 별 다를 바 없는 독재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알렉세이 나발니]]가 사실상 러시아의 유일한 민주주의적 성향 지도자라고 할 수 있으나 문제는 나발니는 푸틴에게 직접적으로 대항하다가 찍혀서 정치활동이 금지당했으며 결국 암살시도까지 받다가 감옥에 갇혔다. 그나마 최근에 푸틴이 과거에 비해 외국 눈치를 봐서 나발니를 방사능 홍차나 넴초프마냥 대놓고 죽이지는 않았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눈치를 볼 필요가 없어진 현 시점]]에서는 감옥 안에서 그를 학대하고 임의로 형량을 늘리는 등 다시 막 나가고 있다. 그리고 결국 나발니는 가혹행위 끝에 세상을 떠났다.] 결론적으로 현 시점에서는 러시아가 민주주의 국가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러시아는 세계적으로도 부정부패가 심각한 나라다. 푸틴이 그래도 민주주의를 형식상으로는 버리지 않던 2010년대에는 민주주의 지수가 2018년 기준으로 144위였고 2019년 기준으로는 134위를 기록했지만, 2020년대 들어 120위권대로 상승했다. 그러나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사회 통제가 강화되었고 결국 2024년 기준으로 150위로 하락했다. 그래서 2011년 12월부터 2013년까지는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일어나기도 했으며, 2017년에도 잠깐 반정부 시위가 나타나기도 했었다. [[2020년 하바롭스크 시위|그리고 2020년 7월에 하바롭스크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다시 나타났다.]] 물론 러시아에서 제대로 영향력 있는 반정부 정치활동을 하려면 불법 시위 말고는 거의 방법이 없고 이마저도 시도했다가 목숨이 위험할 수 있어서 정치적 자유도는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 [[러시아/외교|외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외교)] === 국력 === [[병력]]수는 [[징병제]]로 900,000명의 '''상비군''' 대군을 유지하고 있다(5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number_of_military_and_paramilitary_personnel|액티브]] [[국방비]] 지출은 2020년 기준 3위다. [[핵무기]] 보유량 1위 국가고 [[https://ko.m.wikipedia.org/wiki/%ED%95%B5%EB%AC%B4%EA%B8%B0_%EB%B3%B4%EC%9C%A0%EA%B5%AD|#]]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SLBM]] 기술 모두 가지고 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ICBMs|#]], [[https://en.wikipedia.org/wiki/Submarine-launched_ballistic_missile|#]] [[미국]]과 마찬가지로 [[유인우주선]], 우주[[도킹]][[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uman_spaceflights|#]], [[https://www.yna.co.kr/view/AKR20161019019800083?input=1195m|#]]과 우주정거장 개발도 자력으로 할 수 있는 나라다.[* 세계 최초 우주 비행사였던 [[유리 가가린]]을 배출한 국가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국과 [[상호확증파괴]]를 유지할 수 있는 대규모 핵무기와 비대칭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마크 밀리]] 미군 합참의장은 러시아가 미국을 멸망시킬 수 있는 핵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미국의 유일한 존재적 위협(existential threat)이라고 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5&aid=0002984971|#]] 군사[[무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3892753|수출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2211231001&code=970204|2위이다.]][* 1위는 [[미국]]. 미국이 주로 서방 선진국 동맹국에 파는 것과 달리 러시아제 무기 수출대상은 인도, 아랍, 아프리카 국가들 위주라는 차이점이 있어 질적으로는 열세다.] 특히 [[AK-47]]는 최고의 히트상품으로 정평이 나있으며, [[모잠비크]]의 [[국기]]에도 그려져 있을 정도로 반서방 저항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GDP]]는 11위 정도인데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출처]],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w=tot&DA=SBC&q=%EC%84%B8%EA%B3%84+gdp+%EC%88%9C%EC%9C%84|다음 GDP IMF 순위]] 우크라이나 [[유로마이단]] 사태로 인한 [[서방]]의 [[경제제재]]와 [[셰일가스]]와 [[사우디]]의 증산에 따른 [[유가]] 파동 여파가 크다. PPP는 6위다. [[IMF]] 투표권 9위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Monetary_Fund#Voting_power|영어위키백과 IMF Voting power]], [[금]] 보유고 5위 [[https://en.wikipedia.org/wiki/Gold_reserve|영어위키백과 Officially reported holdings]], [[AIIB]]에서 [[중국]]과 [[인도]] 다음으로 발언권이 높다. [[외환]]보유고 4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foreign-exchange_reserves|#]]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데, 발언권이나 영향력은 미국 다음이다. 전체적인 국력 자체는 중국이 우위에 있지만 중국은 자국 이익을 제외하면 러시아보단 대외 개입을 자제하는 편이다. == [[러시아/경제|경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경제)] > 눈 내리는 나이지리아 >---- >[[세르게이 브린]][* 모스크바 유대인 출생이지만 6살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대표적인 [[자원]] 부국이며 세계 최대의 산유량을 자랑하는 [[산유국]]이다. [[천연가스]] 매장량도 세계 최대다. 군사[[무기]] 수출과 더불어 [[오일머니]]가 러시아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다. 그래서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이웃국가에 뭔가 심사가 꼬일 때마다 [[천연가스 동결]]을 했다. === 항공 산업 === ||<tablewidth=500><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ukhoi_Su-47_Berkut_%28S-37%29_in_2001.jpg|width=100%]]|| || [[Su-47]], 2001년 MAKS 에어쇼 || 러시아는 소련 때부터 군 전력 강화의 일환으로 항공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왔고[* 특히나 독소 전쟁을 거치며 공군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냉전시대에는 미국을 잡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양을 건너야 했기에(또는 대양에서 건너오는 미군을 대양에서 상대해야 했기 때문에) 항공산업이 더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소련 자체가 워낙에 넓었던데다가 비행기값도 왕창 쌌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민수용으로도 수요가 많았다.[* 소련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아에로플로트]]는 1970년대에 연간 승객 100,000,000명을 돌파한 세계 최대 항공사였다.] 비록 지금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있는 [[보잉]]이나 [[에어버스]]에 많이 밀렸지만, 과거 소련 시절부터 공산권 및 제3세계에 [[투폴레프]], [[안토노프]], [[일류신]]을 비롯한 여객기 및 수송기를 적극적으로 수출하고 [[미그]], [[수호이]], [[야코블레프]] 등 고등전투기를 설계할 만큼 뛰어난 항공산업을 갖추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미국, 유럽계 항공회사들이 민항기 시장에서 밀린 상황이다. 현재는 그나마 경쟁력이 있는 것은 서방 경쟁기종이 아예 없는 초대형 화물기이고 그나마도 [[우크라이나]] 국적의 [[안토노프]] 제품이다 보니[* An-124의 설계와 마케팅은 안토노프가, 제조는 러시아의 아비아스타르가 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관계가 경색된 이후에는 생산과 판매가 막힌 상태이다. 그나마 항공무기 쪽에서는 [[Su-47]]같은 전진익 실험기나 [[Su-57]]같은 스텔스 전투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세계 각국에 수출할 만큼 발전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국가가 국가원수 [[전용기(항공기)]]로 서방제 비행기를 쓰지만 [[블라디미르 푸틴]]은 국산 비행기인 [[Il-96#s-4]]을 사용한다. 대통령이 모범을 보인다는 제스처긴 하지만 못 믿을 정도로 부실한 기술력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 여객기와 수많은 전폭기를 생산해낸 품질로 시장성만 되면 얼마든지 베스트셀러를 뽑아낼 기반은 된다는 뜻이다. 헬리콥터의 경우에 군사헬기는 안정성과 유틸성 등 소프트 스팩과 유지비가[* 소련은 특유의 공산주의 경제시스템 때문에 실업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끊임없이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었는데 그러려면 절대로 튼튼한 부품을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장을 계속 돌려 내구도가 떨어지는 대신 가격이 싼 부품을 대량 생산해서 부품이 고장나면 수리하는 마인드가 아니라 그냥 교체하는 마인드였다. 이런 방식은 현재에도 유효해서 값싼 도입가격에 비해 유지비는 서방제에 비해 1.5배에서 정도 높다. 그렇지만 이런 방식을 택해도 어차피 전체 비용은 서방제와 비슷하다. 싸게 구입해서 비싸게 굴리냐, 비싸게 구입해서 싸게 굴리냐 선택의 문제일 뿐.][* 러시아제가 항공기나 헬기가 개발도상국에 많이 수출되는 이유중하나가 바로 초기도입가가 싸다는 것이다. 비슷한 서방제에 비해 싸서 몇대를 더 도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유지비는 가동률을 낮춰서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기때문] 서방제에 비해 떨어지지만, 싼 도입가격과 무식할 정도로 강한 내구도와 내구연한, 극한의 환경에서도 잘 버티는 우수한 적응성으로 인해 현재에도 많은 국가에서 산불 진압 등 민간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의 산림청 소방헬기만 봐도 [[불곰사업]] 때 들어온 기종으로 도배가 될 정도다. 또한 냉전 당시에는 헬리콥터를 통한 대규모 전술도 구사했을 만큼 여러 기종을 체계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제 3세계나 민간헬기 분야에선 인기가 높다. === 우주 산업 === ||<tablewidth=500><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5px-Mir_Space_Station_viewed_from_Endeavour_during_STS-89.jpg|width=100%]]|| || 미르(Мир) 우주정거장, 1998년 || [[소련]] 시기에는 [[미국]]과 [[우주 경쟁]]을 할 정도로 선도적인 우주기술을 보유한 국가였다.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유리 가가린|최초의 유인 우주비행]], [[알렉세이 레오노프|우주유영]], [[살류트 프로그램|우주정거장]]을 연달아 성공시키면서 우주 시대를 개막한 주역이었으며. 특히 소련 시절 핵전력 보강을 위한 ICBM과 체제 우월 경쟁을 위해 국가적으로 우주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NASA도 부러워하는 [[소유즈]]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우주여행]] 산업을 통해 동서양의 갑부들에게 우주 경험을 시켜주면서 새로운 우주산업의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 또한 받았다.[* 2001 ~ 2009년 동안 7명의 사람을 우주로 보냈으며 현재는 진행하지 않는다.] 갑부들만 터는 것이 아니라 셔틀 퇴역한 후에는 자기 힘으로 우주인 못 보내는 NASA한테도 소유즈 한 좌석당 수천만불씩 삥뜯고 있다. 어지간한 우주비행사는 [[우주왕복선|NASA 우주선]]보다 [[소유즈]]가 더 편하고 안전하다고 인정했을 정도. 승차감은 아무래도 셔틀이 좋을지 몰라도 조종 난이도가 불합리할 정도로 높고 사고 위험이 큰 셔틀보다는 어지간한 사고가 발생해도 조치를 잘하면 귀환할 수 있을 확률이 더 높아지는 소유즈 쪽이 신뢰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참고로 '''어지간한''' 우주비행사들이라 함은 우주비행사를 제일 많이 뽑는 NASA에서 선발된 미국인들을 말한다. 7인승 셔틀을 운용하던 NASA의 역사적 특징 때문에 NASA는 셔틀 시대에 우주비행사 한번씩 모집할 때마다 적게는 십수명에서 스무명대, 많게는 서른명 넘게 선발했지만 그들이 러시아어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셔틀보다 소유즈를 더 선호했다. 또한 아직까지도 최고급 굴절[[망원경]]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광학계([[렌즈]])는 주로 러시아에서 생산된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도 이제는 과거지사로 지금은 우주항공에 있어서도 미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소련은 미국에게 밀리지 않았다. [[우주왕복선]] 같은 비싼 우주발사체를 운용하고 [[SDI]] 같은 미친 짓거리를 하다가 [[STS-51-L]] 챌린저 참사 같은 희대의 쇼크를 맛보면서도 미국의 우주개발 예산은 소련에 비하면 화수분이었지만 소련도 우주정거장 미르와 우주왕복선 부란을 개발하며 밀리지 않았다. 그러나 1991년 소련이 붕괴되면서 주요 [[설계국]]들이 떨어져나가고[* 예를 들어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에 소속된 하르트론 설계국 등.] 지원도 줄어들었다 2000년대 이후로 경제를 회복하면서 우주개발 예산을 급격히 늘렸지만, 그동안 투자한 돈의 단위 자체가 이미 너무 벌어졌다. 현재 러시아가 우주개발에서 그나마 경쟁력을 가진 분야는 [[로켓]]과 [[우주선]]을 비롯한 발사체 분야고, [[인공위성]]이나 위성 응용 서비스, 이를 보조하는 지상 시설 면에서는 미국에게 상대가 안 된다. 당장 위성 시장의 70%를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 NASA 우주인들이 소유즈를 타고 [[ISS]]에 가는 것도 러시아의 기술이 미국보다 나아서가 아니다. 소유즈가 값싸고 신뢰성 높으며 안전한 우주선인 것은 사실이지만 기반은 1950-60년대 기술이며, 첨단 기술의 우주선은 아니다. 결국 소련 이후 여력이 떨어진 러시아는 검증된 소유즈를 계속 사용하면서 원가절감을 한 반면, 미국은 검증되지 않은 신기술[* 우주왕복선급의 수송능력을 가진 발사체는 NASA 한정으로 개발 중인 물건만도 2020년대 SLS 블록 II 뿐이다. [[스페이스X]]까지 확대하면 BFR 같은 플랜까지 추가된다. 즉, 미국의 우주왕복선은 반세기에 달하는 시대를 앞서간 물건이었다. 그래서 소련도 부란을 개발한 것이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다가, 냉전이 종식되자 러시아와의 경쟁이라는 예산 확보 명분이 사라지고 2000년대 [[테러와의 전쟁]]으로 미국 경제도 어려워지자 줄줄이 프로젝트가 취소당했다. 결과적으로 소유즈식의 1회용 캡슐 우주선인 [[오리온 다목적 유인 우주선]]으로 다시 되돌아 간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비교 상대가 [[초강대국|미국]]과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러시아도 세계 최상위권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우주강국이라 불리는 중국, 유럽(ESA) 보다 우주기술에서 우위이며 우주산업 규모역시 유럽(ESA)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주산업의 점유율이 10% 남짓이고 미국의 점유율이 80%이니 나머지 20% 정도의 절반을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인도, 일본 등 2류 우주개발국들과는 압도적 우위에 있으며 대한민국, UAE와 같은 신생 우주개발국들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러시아가 소련 시절에 비해서 국가적 역량이 부족해 [[냉전]] 때와 같이 미국과 경쟁할 정도는 아니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세계 2위권의 우주개발국가라는 것이다. 로고진 러시아 연방 우주청장은 2018년 11월 6일에 달표면에 장기 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고, 로보트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달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8897606|#]] 러시아는 달이나 화성 탐사용 우주선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초대형 로켓발사체 개발을 2028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563054|#]] === 치안 === 러시아 국가경찰과 러시아 국가근위대(구 내무군)가 치안을 담당하고 있지만 부패가 만연한 러시아의 특성상 국민의 신뢰는 낮다. 다만 이런 부패는 대부분 도로교통법 위반이나 거주지 불명 같은 경범죄 처리에 해당하며, [[블라디미르 푸틴|강력한 독재자]]가 집권하는 국가답게 중범죄의 처리는 매우 신경을 쓴다. 러시아 [[레드 마피아]]는 그 세력이 강하기로 유명한데, 택시를 타도 레드 마피아 계열의 택시를 타면 강도로부터 안전하고, 의뢰받은 일은 그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반드시 완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다만 정부의 단속으로 예전보다는 나아졌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그래도 여전히 마피아의 암약은 상당한 수준이다. 과거부터 [[교도소]]의 간수들이 잔인하기로 악명이 높았으며, 지금도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냐 하면 우크라이나의 범죄조직조차 러시아에게 우크라이나 영토가 강제 합병당하면 잡힌 조직원들이 러시아 감옥으로 이감될 거라고 걱정하며 우리들은 우크라이나를 위해 일할 것이라고 할 정도이다. [[https://www.khan.co.kr/world/europe-russia/article/202304251616001|#]] 살인발생 수 통계를 보면 러시아의 살인범죄 발생 수는 1987년에는 소련 100,000명당 6명, 러시아 SFSR은 6.4명으로 1987년 100,000명당 8.3명이었던 미국보다 낮았다. 소련 붕괴 이후로 3배 이상 급증하여 2001년 33,600건에 달해 세계 최고 수준에 달했고 살인건수도 100,000명당 20명 이상을 찍을 정도로 상황이 매우 나빠졌다. 그래도 2000년대 이후 치안이 크게 개선되어 2018년에는 7,067건의 살인사건이 발생했고 이는 약 1/4로 줄어든 수치이나 여전히 대한민국의 6배 정도 되는 높은 살인 범죄율을 기록하고 있다. 2017년에는 소련 시절보다 살인률이 낮아졌고 2018년에는 100,000명당 5.2명으로 살인율이 급감해서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했다. 모스크바 등 대도시는 뉴욕 살인율의 절반 수준이다. 2016년 기준 대한민국 치안 지수는 85.69로 세계 1위다. 반면에 같은 조사에서 러시아의 치안 지수는 52.69로 세계 68위다. 이 정도면 인도네시아(67위), 요르단(66위) 보다 낮은 순위이며 동유럽권 국가 중에서도 세르비아(58위), 불가리아(48위) 등 보다 낮은 순위다. 다른 조사에서는 러시아가 110개 국가 중 뒤에서 46위의 치안지수로 미국과 비슷한 치안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지역에 따라 개도국 수준의 치안상태가 있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문제는 앞에 있는 나라에 이라크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나와있는 Crime Index 가지고 러시아가 그만큼 안전하다고 믿어서는 곤란하다. 관광객들이 접할 수 있는 범죄로는 관광지, 지하철역, 열차 등에서 소매치기가 있으며, 특히 4월 20일 히틀러 생일부터 5월 9일 승전기념일 사이에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6085&cid=42864&categoryId=42864#TABLE_OF_CONTENT14|#]] 러시아 스킨헤드는 피부가 보일 정도로 머리를 짧게 밀고 검은색 옷을 입거나 아니면 웃통을 아예 벗고 다닌다는 인식과 다르게 요새는 평범한 옷차림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2017년에는 가정 폭력에 대해 처벌을 대폭 낮추는 법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208092500009|#]] 서부 러시아에 비하여 이르쿠츠크나 블라디보스토크 등의 동부 지역의 러시아는 치안이 괜찮은 편이다. 어두컴컴해지기 전에는 뒷골목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일반 여행객 처지에서는 나름 치안이 괜찮은데, 여름에 가면 [[백야]] 현상 때문에 하루종일 어두컴컴해지지 않는다. 최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 대다수 서양 국가들[* 네덜란드, 독일 등 제외]은 불필요한 미사일 공격이나 현지 경찰의 알 수 없는 무단 체포 가능성을 우려하여 러시아 전역을 여행금지국으로 지정하였고 심지어 대만 또한 동 이유로 [[여행금지]]국으로 지정했다. ==== [[1990년대]]의 치안 ==== [[러시아 마피아]]가 성장하게 된 시작은 [[암시장]]이었다. 소련에서는 [[공산주의]] 이론 특성상 개인의 상거래를 일절 금지했다. 그러다보니 자본주의 국가에서라면 정상적인 [[시장(경제)|시장]]이 수행했을 기능을 [[암시장]]이 대신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에는 [[모스크바]]나 [[레닌그라드]] 등 외국이나 외국 관광객들과 접할 기회가 많은 도시의 주민들[* 예를 들어 소련 시절 [[레닌그라드]]의 경우 [[핀란드]]와 멀지 않은 이유로 인해 [[비틀즈]]를 비롯한 외국 음악가들의 작품들이 밀수될 수 있었고, 이 때문에 1980년대 [[빅토르 초이]]가 이끌던 키노를 비롯한 수많은 락밴드를 배출해내는 기반이 되었다.]이나 [[선박]]을 타고 세계를 돌아다닐 일이 많던 러시아 [[선원]]들은 [[부업]]으로 [[콜라]], [[플레이보이]] [[잡지]], [[말보로]] [[담배]], [[재즈]] 음반 등등 소련에서 수입이나 유통이 금지되었던 [[미국]], [[서유럽]], [[일본제]] 물품들을 들여와 비싸게 팔아서 부수입을 올렸다. 하지만 페레스트로이카 시절, 개인사업이 점차 허용되고 이후 러시아 연방이 출범, 시장경제화가 진행되면서 얘기가 달라졌다. 당시 러시아 연방은 소련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급격한 시장경제 전환을 진행했다. 하지만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이해없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진 시장경제화는 수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이로인해 냉전 후 열악한 장병대우로 [[소련군]]이나 [[KGB]]에서 제대한 군인이나 경찰들, 일하던 사업체나 직장이 파산하면서 실업 상태가 된 노동자들, 1990년대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재산을 잃은 빈곤층 등 다양한 출신 인력으로 구성된 [[레드 마피아|러시아 마피아]]들에 의해 시장이 잠식되었고, 당시 정치적, 경제적 위기로 인해 중앙정부는 제대로 통제 시도도 못했기에 결국 각 도시들은 여러 범죄 그룹에 의해 나뉘어버리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들 간의 세력갈등이 너무 심해서 [[공사장]]이나 [[상점]] 한 번 잘못 들어갔다가 [[총알]]세례로 [[벌집]]이 되는 일이 실제로 발생하곤 했다. 사유지가 아니라 공사장이나 상점 등의 '''개인''' 명의로 된 공공장소에서 실제 일어나던 일들이었다. 러시아 경찰들은 당시 이런 사태에 대해서도 그저 못본 척 했는데, 경찰 몇 명이 가서 통제를 해보려고 해도 상대는 밀수나 여러 수입처로 벌어들인 자금으로 [[소련군]]에서 들여온 군사용 무기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다.[* 영화 [[로드 오브 워]]에서 나오듯 [[소련군]]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소속이 애매해 진 소련군 장교들은 권력 공백이나 책임소재 모호 등을 이용하여 막대한 양의 무기들을 [[무기상]]이나 민간에 팔아넘겼다. 반면 치안이 안정되었던 소련 시절 민간경찰의 무장수준을 그대로 이어받은 [[러시아 경찰]]은 이렇게 중무장한 범죄조직을 상대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당시 공권력을 행사해야 할 치안조직들은 소련 붕괴 이후 급격한 예산, 인력 감축으로 인해 권한이 많이 약화되어 있었을 뿐 아니라[* 이렇게 군, 경찰이 급속도로 악화된 배경에는 소련 시절 군, 경찰을 지탱해오던 상급 간부들이나 고급 인력들이 열악한 대우로 인하여 떠난 것도 한 몫 했다. 이렇게 조직을 지탱해 오던 인력이 상당수 떠나자, 당장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 충원된 인력들은 원래 인력보다 자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소련 해체 후 열악해진 대우나 복지 탓에 대부분이 [[마피아]]들에게 매수되었다. 당시는 [[블랙박스]]나 [[CCTV]] 등의 기록장치들이 선진국들에서도 흔하지 않던 시대였는데 러시아 같이 한순간에 [[헬게이트]]가 열린 나라들은 두말 할 필요도 없었다. 포상이나 사후 보상은 커녕 [[월급]]이나 제대로 챙겨줄지도 의문인데 시민 위해 목숨 걸고 일하느니 그냥 안전하게 갈길 가거나 위험하긴 해도 자기들의 [[밥줄]]과 [[생존]]을 보장해 주기는 하는 [[마피아]]들과 붙는 게 그들의 마인드였던 셈. 이렇게도 중앙정부가 무능한 상황에서 통제를 하려고 해도 통제가 안 되니 사유지, 사유시설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사실상 그냥 신경을 껐다는 것이 온당한 표현일 것이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 상황을 다룬 러시아의 여러 매체들을 보면, [[총기]], [[도검]]류 등의 살상 무기를 가지고 다니는 인물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 같이 범죄 조직들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고 인구 밀도도 높은 도시들의 [[빈민가]]나, 러시아 [[마피아]]들이 세를 날리던 곳의 주민들 중의 상당수는 총기류를 보유하고 있었다. 보통은 가벼운 경무장이었지만, [[소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고, 심한 경우에는 [[RPG-7|RPG]]같은 대전차 화기를 보유한 사람도 있었다. 이런 무장을 한 채 거리를 활보하거나 하진 않았지만, 적어도 자기 집안에 있을 때는 대담히 [[전시]], 혹은 소지하고 있었다. '내 집엔 이런 게 있으니, 너 나 잘못 건들면 [[개발살]]난다' 라는 일종의 위력과시가 주목적이었겠지만 [[강도죄|강도]]나 [[도둑]]들이 들어왔을 때 진짜 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사건의 경우 당연히 경찰이 출동해서 조사하고 총기를 압수해 가고 [[법원]]에 회부한다. 사실 의외라고 한다면 러시아는 사냥용 이외의 총기 소지가 불법이며 미국이나 여타 선진국들보다 총기소지법이 빡빡한 편이다. 예를 들어 [[사냥]]용 소총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산탄총]]이나 [[공기총]] 등의 무기를 5년간 무사고로 소유해야만 겨우 허가가 나는 수준. === [[러시아/사회 문제|사회 문제]]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YummyDoubtfulMoldyTurn, 합의사항1=문서 분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사회 문제)] == [[러시아/문화|문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문화)] == [[러시아군|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 연방군)]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전통적인 군사강국이다.[* 현재도 세계적으로 [[미국]]을 [[상호확증파괴]]로 대적 가능한 유일한 나라가 러시아다. 중국도 아직은 미국 상대로 [[상호확증파괴]]를 유지하지 못한다.] == 출신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인)] == 창작물에서 == 미국의 창작물에서는 냉전 시대에 미국과 대등하게 아웅다웅한 초강대국이었던 소련의 후신인지라 게임에서 과거 소련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제3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는 원흉으로 자주 써먹는다. 항상 초반에는 미국 본토까지 쳐들어가는 위엄을 보여주나 역전 당하는 식이다. 러시아도 자꾸 게임에서 안 좋은 소재로 이용당하면 심기가 좋을 리는 없는지라 모던 워페어 2 러시아판은 그 유명한 [[No Russian]] 미션이 삭제, 수정되기도 했다. 또한 10년 뒤에 나온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는 아예 러시아가 독가스 퍼부우며 민간인들을 짓밟고 학살하는 [[천하의 개쌍놈]]으로 묘사한 것은 물론, 죽음의 고속도로 관련 역사 왜곡 논란까지 일어나다 보니 러시아에서 욕을 죽도록 먹었었고, 소니가 PS판 디지털 스토어에서 자체적으로 내리게 되는 사태도 있었다.[* 다만, 콜 오브 듀티 시리즈는 냉전과 현대전에서는 러시아를 [[악의 축]]으로 규정한 다음, 온갖 악랄하게 나쁜 놈으로 묘사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작품에서는 [[소뽕]]요소를 거하게 넣어 자국인 미국보다 더 소련(러시아)을 잘 대해주는 편이다. 만약 동부 전선 캠페인 파트에서 플레이어가 실수로 아군을 사살할 시, 게임 오버가 되면서 "당신은 [[소련|조국]]의 배신자가 되었습니다!"같은 문구가 뜬다거나, [[월드 앳 워]]의 엔딩에서 소련의 붉은 국기를 베를린 국회의사당에 꽂은 뒤, 우렁차게 나오는 [[소비에트 연방 찬가]] 등 소련을 매우 영웅적으로 묘사하고 모든 플레이어가 독일을 꺾고 승리한 소련에 감정이입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거의 극과 극의 대접인 셈.] 2000년대 중반 이후로 러시아의 문화시장이 90년대의 혼란기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커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함부로 [[악의 축]]으로 묘사할 수 없다 보니 밀리터리 작품 창작자들의 [[고민|고뇌]]를 더 해주고 있다. 이는 [[중국]] 사정도 마찬가지다. 다만 자국이 [[만악의 근원]]으로 묘사되어도 중국처럼 발매금지 + 국가가 나서서 개발사 욕하기 등의 조치가 취해진 적이 없다 보니 아직까진 [[주적]]으로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예외적으로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는 판매 금지되었으나 이건 소련을 나치 독일보다도 악의 축으로 묘사해서 [[렐릭 엔터테인먼트]]가 자초한 거다.] 물론 러시아에서는 이에 대해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꽤 있고, 람보 3편이 나올 당시 소련의 외무차관은 "공산주의자 살육하는 호전적인 영화"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모든 러시아인이 불쾌해하는 건 아니고 일부 러시아인은 그러려니 하는 반응으로 일관하기도 하며 오히려 미국이 자신들을 이렇게나 무서워한다면서 국뽕에 취하거나 재밌다며 낄낄대기도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재치있게 대응하기도 한다. 소련 시절에 미국에서 아프간에 가서 소련군을 무찌르고 무자헤딘을 도와 무자헤딘에게 무기를 밀매하는 CIA 요원을 구출한다는 시나리오의 [[람보 3]]가 큰 인기를 얻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인들을 쓸어버리는 시나리오의 소련판 람보, 일명 람보스키를 제작한 일도 있었다. 러시아를 위협하는 악의 무리 미국의 사악한 미사일 기지에 스페츠나츠가 들어와서 쑥대밭을 만든다는 간단한 내용이다. 스파이, 범죄 조직, [[마피아]] 등의 뒷세계를 다룬 작품에선 [[러시아인]]들이 악당 내지는 성격 나쁜 놈 정도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냉전]]시대부터 각인된 러시아에 대한 폐쇄적이고 어두운 이미지와 러시아하면 마피아와 어둠의 조직들이 연상되는 일종의 선입견 때문이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 [[파일:어머니_조국이_부른다.jpg|width=100%]] || 창작물에서, 특히 군사물이나 어둠의 세계를 다룬 작품일 수록 ''''어머니 러시아(마더 로씨야!)''''라는 단어를 흔하게 볼 수 있다. 유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어머니 조국을 위해!"라는 진격 구호에서 나왔다는 설과 공산국, 혹은 러시아의 실질 지배를 받는 국가에서 본국을 호칭하는 의미로 불렀다는 설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러시아어로 '조국'을 뜻하는 단어 'Родина'[* '로지나' 라고 읽는다.]가 여성명사이기도 하고,[* 근데 사실 유럽 언어에서 국가를 지칭할 때는 지리적이고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국가는 중성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사회문화적인 국가는 여성 명사로 지칭된다. 심지어 명사의 성 구분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는 영어에서조차 나라를 she 나 her이라는 대명사로 지칭하는 경우가 잦다. 러시아는 대놓고 어머니에 비유하는 경우가 워낙 창작물에서 흔하게 보여서 더 독특해보이는 것 뿐이다. 사실 나라를 어머니로 표현하는 것 자체는 전세계적으로 흔하다. 영단어 motherland, 모국어를 뜻하는 mother tongue, 멀리 갈 것도 없이 한국어 '모국', '모국어'조차 어미 모(母)를 쓴다.] 그에 따라 프로파간다용으로 조국의 아들들을 독려하는 어머니 러시아의 이미지[* 일명 'Родина-мать'. "어머니 조국이 부른다!"(Родина-мать зовет!)로 시작되는 유명한 프로파간다에서도 등장한다.]는 밀덕이라면 영화나 게임 등을 통해 한 번쯤은 봤을 것이다.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기념한 [[어머니 조국상]]도 그 예로 들 수 있다. 문화 전반적으로도 나머지 서방 유럽의 제국들은 꼭 한 번씩 진통을 겪었던 여성 상속 문제로 골치를 앓은 적이 없고 자식들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가 강조되는 등 [[게르만]]족으로 대표되는 서유럽보다 전통적으로 여권이 강한 편이다.[* 특히 [[소련]]에서는 [[공산주의]] 이념에 따라 양성평등이 매우 강조되어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반면 [[성범죄]]나 [[인신매매]], 여성의 출산권 등 현대 복지 사회와 직결되는 근대적 의미에서의 여권은 첨단 복지 사회의 인프라에 기반한 현대 유럽보다 훨씬 더 심각한 사회 문제다.] 특정 캐릭터로 나올 때 그 장르가 '''[[배틀물]]이면 덩치 큰 근육질에 남성이거나, 상당한 인간흉기 계열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듀라라라!!]]의 사이먼, [[스터디그룹(웹툰)|스터디그룹]]의 [[안드레이 블라소프(블루스트링)|골리앗]], [[테러맨]]의 [[릴리아(슈퍼스트링)|릴리아]]] 테크놀로지 계열인 경우 박사로 나오기도 하고 [[KGB]]와 관련된 경우도 있다. 여캐의 경우엔 상당한 미인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일본 애니나 게임 등에 등장하는 러시아인 속성의 여캐에는 아예 [[은발]][[벽안]] 속성 클리셰까지 존재한다. 밀리터리물이면 [[스페츠나츠]] 출신같은 엘리트들이 많다. 초능력물일 경우 러시아 출신 캐릭터는 상당수가 냉기 계통 능력자로 나온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에서는 첫 [[문명(게임)|문명]]부터 최신작인 [[문명 6]]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오리지널 문명으로 개근하고 있는 문명 중 하나다. 역대 지도자는 [[예카테리나 2세]](2 ~ 5), [[표트르 1세]](4, 6), [[스탈린]](1, 4), [[블라디미르 레닌|레닌]](2) 등이다. [[폴란드볼]]에서는 보드카를 든 모습으로 자주 등장한다. 초창기 폴란드볼 밈을 유행시킨 사람들이 러시아 인터넷 유저들인 만큼 러시아가 주역으로 나오거나 다른 국가들과 평범하게 대화하는 모습들도 나오지만 주로 폴란드볼에서는 약소국을 괴롭히고 음모를 꾸미는 악역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다. 사실 이렇게 나올 수밖에 없는 게 러시아는 인권탄압이 심한 편인 독재국가에다 유럽지역에서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중국만큼 위협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데이트 어 라이브]]에서 스토리의 시초인 30년전 중국과 몽골 국경 사이에 일어난 최초의 공간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 주변 국가로 나온다.[* [[데이트 어 라이브(애니메이션 1기)|애니메이션 1기]] 1화 인트로에서 피해를 입는 장면에서 건물과 차량을 보면 러시아인것을 알수있다.] [[노 모어 히어로즈 3]]에서는 [[제스 바티스트 6세|외계인]]에게 핵마사일 3개를 쐈으나 '''그 외계인이 한 손으로 받아쳐 그걸 맞고 멸망했다.''' 러시아를 모티브로 한 것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5세대 전투기(탑건: 매버릭)]] * [[강철의 연금술사]] - [[드라크마(강철의 연금술사)]] * [[강철의 누이들]] - [[서부공화국연방]] * [[걸즈 앤 판처]] - [[프라우다 고교]] * [[디스아너드]] - 티비아 * [[란스 시리즈]] - [[헬만 제국]] * [[록맨 에그제 시리즈]] - 샤로 * [[명일방주]] - [[우르수스]] * [[메트로 2033]] - 모스크바 지하철 한정 * [[메트로 시리즈]][* 정확히 동유럽 소제의 4A 게임즈가 만들었으나 원작인 메트로 유니버스가 러시아임으로 이에 포함.] * [[벡터(게임)]] * [[섀도우 파이트 2]] * [[섀도우 파이트 3]] * [[소녀전선]] - [[정규군(소녀전선)|정규군]], [[루련]] * [[스트라이크 위치스]] - 오라샤 제국 * [[얼음과 불의 노래]] - [[북부(얼음과 불의 노래)|북부]][* 엄밀히 말하자면 북[[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주 모델이지만 러시아의 요소도 약간 섞여있다.], [[노르보스]]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유크토바니아]] * [[오버워치]] - [[오버워치 시리즈/등장 세력 및 등장인물#러시아 연방|러시아]] * [[워머신]] - [[카도르 제국]] * [[워 썬더]] * [[원신]] - [[스네즈나야]] * [[유녀전기]] - 루시 연방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DLC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DLC#s-1.5|Beyond the Baltic Sea]]: [[칼리닌그라드주]], [[레닌그라드주]][* [[상트페테르부르크]], [[루가]], [[비보르크]].], [[프스코프주]][* [[프스코프]], 오스로프.] 한정. * MOD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4|RusMap]]: [[모스크바]], [[볼고그라드]], 서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4.2|Southern Region Map]]: (서)남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10|Harsh Russia Baikal]]: 시베리아, 동부 지역 한정.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MOD/맵#s-2|ProMods]]: [[무르만스크주]] 지역 한정 * [[은하철도999]] - 전반적인 분위기[* 사람들이 입는 옷이나 대부분의 도시들의 모습을 보면 러시아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특히 [[메텔]].] * [[테러맨]] - [[브라츠바]] * [[테트리스]] *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 북극항로연합[* 작중에서는 현실의 러시아에 속해져있는 르만스크, 더 정확히는 인근에 새로 건립한 '''신''' 무르만스크를 거점으로 삼고 있다. 신 무르만스크 인근의 숲에 주둔하고 있는 구조체로만 이루어진 자경단인 '숲을 지키는 자' 또한 북극항로연합 소속이지만, 어째서인지 주민들로부터 혹독한 차별을 받고 있다.][* 주민들의 전체적인 복장이 러시아의 겨울용 복장과 거의 동일하다.] * [[펀치 클럽]] * [[피스, 데스!]]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기라티나]] - [[신오지방]]: [[포켓몬리그/신오|포켓몬 리그]], [[파이트에리어]], [[서바이벌에리어]], [[리조트에리어]] * [[Beholder]] * [[City Car Driving]] * [[Escape from Tarkov]] * [[Fate/Grand Order]] - [[영구동토제국 아나스타샤]], [[비영장생존권 퉁구스카 생추어리]] * [[DCS World]] * [[Everlasting Summer]] * [[Graveyard Keeper]] * [[Hello Neighbor]] * [[Skyhill]] * [[S.T.A.L.K.E.R]] * [[Warhammer(구판)]] - [[키슬레프]] * [[Warhammer 40,000]] - [[발할라 아이스 워리어]], [[보스트로얀 퍼스트본]] == 둘러보기 == [include(틀:러시아의 역사)] ---- [include(틀:동유럽의 국가)] ---- [include(틀:북아시아의 국가)] ---- [include(틀:독립국가연합)] ---- [include(틀:집단 안보 조약 기구)] ---- [include(틀:유라시아 경제 연합)] ---- [include(틀:G20)] ---- [include(틀:남극조약 회원국)] ---- [include(틀:브릭스)] ---- [include(틀:유럽안보협력기구)] ---- [include(틀:APEC 가입국)] ---- [include(틀:상하이 협력기구)] ---- [include(틀:UN안보리이사국)] ---- [include(틀:6자회담 당사국)] ---- [include(틀:이슬람 협력기구)] ---- [include(틀:구 소련 구성 공화국 목록)] ---- [include(틀:스페이스 클럽)] ---- [include(틀:여행금지 목록)]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당방위, version=1012, uuid=8019d292-ea70-43a8-a84d-64d7f1fb798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