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연방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우주 산업 === ||<tablewidth=500><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5px-Mir_Space_Station_viewed_from_Endeavour_during_STS-89.jpg|width=100%]]|| || 미르(Мир) 우주정거장, 1998년 || [[소련]] 시기에는 [[미국]]과 [[우주 경쟁]]을 할 정도로 선도적인 우주기술을 보유한 국가였다.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유리 가가린|최초의 유인 우주비행]], [[알렉세이 레오노프|우주유영]], [[살류트 프로그램|우주정거장]]을 연달아 성공시키면서 우주 시대를 개막한 주역이었으며. 특히 소련 시절 핵전력 보강을 위한 ICBM과 체제 우월 경쟁을 위해 국가적으로 우주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NASA도 부러워하는 [[소유즈]]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우주여행]] 산업을 통해 동서양의 갑부들에게 우주 경험을 시켜주면서 새로운 우주산업의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 또한 받았다.[* 2001 ~ 2009년 동안 7명의 사람을 우주로 보냈으며 현재는 진행하지 않는다.] 갑부들만 터는 것이 아니라 셔틀 퇴역한 후에는 자기 힘으로 우주인 못 보내는 NASA한테도 소유즈 한 좌석당 수천만불씩 삥뜯고 있다. 어지간한 우주비행사는 [[우주왕복선|NASA 우주선]]보다 [[소유즈]]가 더 편하고 안전하다고 인정했을 정도. 승차감은 아무래도 셔틀이 좋을지 몰라도 조종 난이도가 불합리할 정도로 높고 사고 위험이 큰 셔틀보다는 어지간한 사고가 발생해도 조치를 잘하면 귀환할 수 있을 확률이 더 높아지는 소유즈 쪽이 신뢰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참고로 '''어지간한''' 우주비행사들이라 함은 우주비행사를 제일 많이 뽑는 NASA에서 선발된 미국인들을 말한다. 7인승 셔틀을 운용하던 NASA의 역사적 특징 때문에 NASA는 셔틀 시대에 우주비행사 한번씩 모집할 때마다 적게는 십수명에서 스무명대, 많게는 서른명 넘게 선발했지만 그들이 러시아어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셔틀보다 소유즈를 더 선호했다. 또한 아직까지도 최고급 굴절[[망원경]]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광학계([[렌즈]])는 주로 러시아에서 생산된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도 이제는 과거지사로 지금은 우주항공에 있어서도 미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소련은 미국에게 밀리지 않았다. [[우주왕복선]] 같은 비싼 우주발사체를 운용하고 [[SDI]] 같은 미친 짓거리를 하다가 [[STS-51-L]] 챌린저 참사 같은 희대의 쇼크를 맛보면서도 미국의 우주개발 예산은 소련에 비하면 화수분이었지만 소련도 우주정거장 미르와 우주왕복선 부란을 개발하며 밀리지 않았다. 그러나 1991년 소련이 붕괴되면서 주요 [[설계국]]들이 떨어져나가고[* 예를 들어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에 소속된 하르트론 설계국 등.] 지원도 줄어들었다 2000년대 이후로 경제를 회복하면서 우주개발 예산을 급격히 늘렸지만, 그동안 투자한 돈의 단위 자체가 이미 너무 벌어졌다. 현재 러시아가 우주개발에서 그나마 경쟁력을 가진 분야는 [[로켓]]과 [[우주선]]을 비롯한 발사체 분야고, [[인공위성]]이나 위성 응용 서비스, 이를 보조하는 지상 시설 면에서는 미국에게 상대가 안 된다. 당장 위성 시장의 70%를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 NASA 우주인들이 소유즈를 타고 [[ISS]]에 가는 것도 러시아의 기술이 미국보다 나아서가 아니다. 소유즈가 값싸고 신뢰성 높으며 안전한 우주선인 것은 사실이지만 기반은 1950-60년대 기술이며, 첨단 기술의 우주선은 아니다. 결국 소련 이후 여력이 떨어진 러시아는 검증된 소유즈를 계속 사용하면서 원가절감을 한 반면, 미국은 검증되지 않은 신기술[* 우주왕복선급의 수송능력을 가진 발사체는 NASA 한정으로 개발 중인 물건만도 2020년대 SLS 블록 II 뿐이다. [[스페이스X]]까지 확대하면 BFR 같은 플랜까지 추가된다. 즉, 미국의 우주왕복선은 반세기에 달하는 시대를 앞서간 물건이었다. 그래서 소련도 부란을 개발한 것이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다가, 냉전이 종식되자 러시아와의 경쟁이라는 예산 확보 명분이 사라지고 2000년대 [[테러와의 전쟁]]으로 미국 경제도 어려워지자 줄줄이 프로젝트가 취소당했다. 결과적으로 소유즈식의 1회용 캡슐 우주선인 [[오리온 다목적 유인 우주선]]으로 다시 되돌아 간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비교 상대가 [[초강대국|미국]]과 비교해서 그렇다는 것이지 러시아도 세계 최상위권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우주강국이라 불리는 중국, 유럽(ESA) 보다 우주기술에서 우위이며 우주산업 규모역시 유럽(ESA)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주산업의 점유율이 10% 남짓이고 미국의 점유율이 80%이니 나머지 20% 정도의 절반을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인도, 일본 등 2류 우주개발국들과는 압도적 우위에 있으며 대한민국, UAE와 같은 신생 우주개발국들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러시아가 소련 시절에 비해서 국가적 역량이 부족해 [[냉전]] 때와 같이 미국과 경쟁할 정도는 아니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세계 2위권의 우주개발국가라는 것이다. 로고진 러시아 연방 우주청장은 2018년 11월 6일에 달표면에 장기 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고, 로보트 아바타의 도움을 받아 달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8897606|#]] 러시아는 달이나 화성 탐사용 우주선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초대형 로켓발사체 개발을 2028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563054|#]]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