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동구권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동유럽]][[분류:서양]][[분류:공산주의]][[분류:냉전]][[분류:문화권]]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유럽 동부지역 그 자체, 문서명1=동유럽)] [include(틀:문화권)] ||<tablealign=right><tablewidth=500><width=50%><tablebordercolor=#cc0000><tablebgcolor=#fff,#1f2023><nopad>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width=100%]] ||<nopad> [[파일:경제상호원조회의 기.png|width=100%]] || ||<height=42><bgcolor=#cc0000><color=#fff> '''[[바르샤바 조약 기구|{{{#fff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상징''' ||<bgcolor=#cc0000> {{{#white '''[[경제상호원조회의|{{{#fff 경제상호원조회의}}}]]의[br]상징기'''}}} || || 동구권 또는 공산권의 핵심 동맹 기구였던 [[바르샤바 조약 기구]](ОВД[* [[러시아어]]: Организация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вора(직역: 조직체 바르샤바 조약의)의 약칭.])의 [[문장]](紋章). [[동유럽]]의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주축으로 모든 공산권 [[국가]]가 소속되었던 것은 아니다. || 동구권 또는 공산권의 핵심 동맹 기구였던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러시아어]]: Сове́т экономи́ческой взаимопо́мощи의 약칭. '쎄브'라 발음한다. [[서구권]](자유진영)에서는 '코메콘'이라 부른다.])의 상징기. 동구권(공산권) 군사 분야에 상술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있다면, 동구권(공산권) [[경제]]협력 분야에서는 경제상호원조회의가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구권'''([[東]][[歐]][[圈]], Eastern Bloc)은 [[유럽]]내의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선 [[국가]]의 블록을 가리킨다. 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미국]]을 주축으로 한 [[제1세계]]를 가리키는 '자유진영([[서방]]권)'이란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중화민국]]과 [[베트남 공화국]]은 [[대만|자유중국]]과 자유월남이라 불렀다. 동구권은 스스로를 '[[민주주의|민주]]진영'이라고 칭했으며 제1세계 측을 '[[제국주의|제국]]진영'이라고 비난했다. 두 [[세계]] 모두에 속하지 않은 세력은 [[제3세계]]라고 표현했다.[* 아프리카, 서아시아 일부 지역, 남아메리카.] == 연대감 ==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통해 동유럽 국가들은 [[소련]]과 결속을 취했지만 [[유고슬라비아]]나 [[알바니아]]는 소련과 결별하여 독자노선을 갔다.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유럽에 불었던 [[자유주의]] 붐을 [[소련]]이 억눌렀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군]]이 주둔하면서 동유럽의 대소(對蘇) 감정은 좋지 않다.[* 대소 감정은 좋진 않지만 공산주의 정권 붕괴 이후 나타난 부패와 인구 유출 문제로 인해 그 시절에 대한 향수는 중장년층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데 대충 대한민국 어르신들이 [[박정희]] 정권을 그리워하는 것과 비슷하다. 허나 이런 감정도 공산정권 시절보다 훨씬 낙후된 지역에서나 통하는 이야기이고 소련 붕괴 후 정상적으로 경제가 안정화된 동구권 국가들은 소련 지배 시절이라고 하면 이를 갈고 현재도 [[반러]] 감정이 굉장히 심각한 편이다.] 상당수의 동유럽 국가가 [[1990년대]]에 [[민주주의]] 정부가 들어서자 [[북대서양 조약 기구]]로 옮겼다. [[냉전]] 시기에도 생각보다 공산주의 국가들은 그다지 사이가 좋진 않았다. 공산권 내의 [[내전]]만 봐도 [[1956년 헝가리 혁명]]부터 시작하여 [[프라하의 봄]], [[중국-소련 국경분쟁]], [[중국-베트남 전쟁]], [[오가덴 전쟁]],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등 생각보다 굉장히 자주 일어났다. 정치적으로도 [[중국]]은 소련이 [[니키타 흐루쇼프]] 들어서 노선을 바꾸자 [[수정주의]]라고 비난했으며 이에 앞서 분쟁과 함께 [[중소관계]]가 급격히 나빠졌다. [[북한]]은 소련과 중국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하며 꿀빨려고 하다가 소련이 무너지면서 [[북한/경제|경제]]도 무너졌고 현재는 중국에 의존하는 상태다. [[쿠바]]는 경제의 많은 부분을 공산권의 원조에 의지했기 때문에 매우 친밀했지만 소련이 무너진 뒤에 급격히 쇠락했다. 즉, 동구권 자체가 소련의 완충지대 형성 필요에 의해 설계된 블록이었기 때문에 구심점인 소련이 사라지자 급속히 와해되었고 소련을 계승한 러시아가 구 동구권을 기반으로 [[러시아어권]]을 형성하긴 했지만 동구권 시절에 비해선 영향력이 낮다. == 소속 [[국가]] == 동유럽 등 [[유럽]] 동부 인근의 공산권들은 동구권으로 불렸는데 해당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3]]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3]] [[폴란드 인민공화국]]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3]]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23]]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파일:동독 국기.svg|width=23]] [[독일민주공화국]] *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width=23]]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width=23]]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23]] [[헝가리 인민공화국]] 넓은 의미에서 '''공산권'''(Communist Bloc)을 가리킬 때는 아래의 [[국가]]도 포함됐다.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3]] [[중국]]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3]]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베트남|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파일:쿠바 국기.svg|width=23]] [[쿠바|쿠바 공화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몽골 인민공화국]] * [[파일:남예멘 국기.svg|width=23]]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 [[파일: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23]] [[라오스|라오인민민주공화국]] * [[파일:모잠비크 국기.svg|width=23]]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 [[파일: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국기.svg|width=23]]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 [[파일:콩고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콩고 인민공화국]]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width=23]]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 * [[파일:베냉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베냉 인민공화국]] * [[파일:앙골라 국기.svg|width=23]] [[앙골라 인민공화국]] *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width=23]]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23]]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 [[공산권]]과 동구권의 차이점 == 한편 동구권을 공산권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공산주의]]를 채택한 [[중국]]이나 [[북한]], [[베트남]], [[라오스]], [[쿠바]] 등을 아울러 부를 때도 있었지만 보통은 지리적, 문화적, 사회적 등으로 소련을 포함한 [[동유럽|동부 유럽]]을 가리켰고 소련 등 동유럽 국가들을 제외한 다른 공산권 국가들은 보통 공산권으로 더 많이 불렸다. '동구(東歐)'가 동유럽을 뜻하므로[* 본디 [[유럽]]이 [[조선]]에 처음 소개되었을 때 조선보다 먼저 유럽과 접촉한 [[청나라]]에서 '유로파'를 자신들의 발음으로 [[음차]]한 歐羅巴(우라파)로 읽었는데 이 중국식 표현을 조선에서는 [[중국인]]들이 부르는 발음이 아닌 조선 방식의 발음으로 옮겨서 '구라파'로 불렀고 여기에서 서구('''서 구'''라파), 동구('''동 구'''라파) 등의 표현이 파생되었다.] 동유럽에 속하는 국가들을 가리켰다. 반면 [[시베리아]] 등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서투르키스탄]] 역시 지리적으로 [[아시아]]였음에도 동유럽에 속한 소련의 영토였다 보니 보편적 의미로서 이 지역들도 포함시켰고 그 영향으로 인해 구 소련의 일원이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지금도 구 동구권 및 문화, 사회 등으로서의 동유럽 국가로 보는 경우도 있다. == 관련 문서 == * [[동유럽]] * [[제2세계]] * [[중앙유럽]] * [[발칸반도]]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경제상호원조회의]] * [[동유럽 혁명]] * [[소련 붕괴]]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