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나나양
(r2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1992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분류:한국계 캐나다인]][[분류:재한 캐나다인]][[분류:캐나다로 귀화한 인물]][[분류:캐나다의 여성 인터넷 방송인]][[분류:치지직 파트너 스트리머]][[분류:픽셀네트워크/소속 크리에이터]][[분류:콜랩/소속 크리에이터]] [include(틀:픽셀네트워크)] [include(틀:콜랩 소속 크리에이터)] ||<-2><tablewidth=440><tablealign=right><colbgcolor=#fc3,#cca328><tablebordercolor=#fc3,#cca328><tablebgcolor=#fff,#1c1d1f><colcolor=#000> {{{+2 '''나나양'''}}}[br]'''nanayango3o''' || ||<-2><nopad>[[파일:군주나나양.png|width=100%]]|| ||<width=120> '''본명''' ||데이나 김 (Dana Kim)|| || '''한국명''' ||김은혜|| || '''본관''' ||[[경주 김씨]] (慶州 金氏)||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2> '''출생''' ||[[1992년]] [[1월 11일]] ([age(1992-01-11)]세) || ||[[서울특별시]]|| || '''거주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 || '''신체''' ||170cm, [[O형]]|| || '''가족''' ||부모님, 여동생[* '나나양'에 대응해 '뽀양'이라 부른다.]|| || '''첫 방송일''' ||[[2016년]] [[6월 24일]][* 첫 시작 연도는 2016년이 맞지만 2023년 6월 1일 카페 공지로 2017년을 방송 시작 연도로 정하였다. 이유는 본인과 트수들이 방송 첫 시작일을 헷갈려 n주년을 세는 것에 착오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인도 헷갈리는 이유로는 2016년 여름 한국에 들어와 모 대학에서 일하면서 방송을 진행하였고 캐나다에 돌아가선 논문 디펜스를 준비하였기 때문에 방송이라 부르기엔 부족한 경험이었다고 설명하였다.] [br] [dday(2016-06-23)]일째|| || '''MBTI''' ||[[ISTJ]]|| || '''소속사''' ||[[픽셀네트워크]] | [[콜랩]]|| ||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colbgcolor=#ffffff,#1c1d1f>{{{#00c79b,#00ffa3 '''치지직'''}}} '''나나양''' || || 팔로워 ||11.5만 명|| ||<-2>{{{#f00,#FF3838 '''유튜브'''}}} '''나나양''' || || 구독자 ||17.4만 명|| || 조회수 ||171,196,557회|| ||<-2>{{{#f00,#FF3838 '''유튜브'''}}} '''나나양 다시보기''' || || 구독자 ||3.93만 명|| || 조회수 ||34,180,506회|| ||<-2> {{{-2 기준: 2025년 7월 1일}}} ||}}}}}}}}}|| ||<-2> '''관련 링크''' || || '''플랫폼''' ||[[https://chzzk.naver.com/80b36a0ae8e887e893ce0014dbfece4a|[[파일:치지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나나양|[[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나나양다시보기|[[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3 다시보기}}} │ [[https://youtube.com/@NANAYANGT1|[[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3 T1 중계 채널}}}[br][[https://bj.afreecatv.com/nanayangyang|[[파일:SOOP 아이콘.svg|width=20]]]] {{{-3 T1 중계}}}│ [[https://bj.afreecatv.com/jamjun0037|[[파일:SOOP 아이콘.svg|width=20]]]] {{{-3 삭제}}}[* 처음 방송을 시작할때 사용했던 계정. 트위치로 이적하면서 삭제하였다. 그래서인지 2023년 아프리카TV T1 중계 계정을 새로 팠을때 방제를 '''첫(?) 방송'''이라고 작성하며 아프리카 방송이 처음이 아님을 암시하였다.] │ [[https://www.twitch.tv/nanayango3o|[[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witch.tv/dkekny|[[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3 부계}}} || || '''SNS''' ||[[https://www.instagram.com/dananay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nanayango3o, 크기=20)]|| ||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nanayangzzang|[[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우주대스타 나나양입니다. > ---- > 치지직 자기소개 [[한국계 캐나다인]] [[인터넷 방송인]]. [[치지직]]에서 종합 게임 방송을 주로 진행하며, [[대한민국 표준시|한국 시간]] 기준 휴방일인 화요일을 제외한 날에는 대개 오전 9시에서 12시 사이에 방송을 시작한다. 예외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중계를 하는 날은 중계 시간에 맞춰 방송을 하는 편이다. == 마스코트 == === 캐릭터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tablecolor=#000><width=50%><tablebordercolor=#fc3><nopad> [[파일:img_2_1724737677294.png|width=80%]] ||<width=50%><nopad> [[파일:nanayangyang.png|width=92%]] || ||<colbgcolor=#fc3> '''방송 초창기''' ||<colbgcolor=#fc3> '''현재 캐릭터''' || 초창기에는 이름과 어울리는 [[꼬꼬마 텔레토비]] [[나나(텔레토비)|나나]]의 옷을 입고 있었다. 그러다가 [[나나(텔레토비)|나나]]의 옷이 사라지고 의상 위에 안테나만이 그대로 머리와 연결된 모양새가 되었으며, 이후 꼬불꼬불했던 안테나가 직선으로 변하고 별모양까지 추가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별꼬다리는 불을 끄고 킬수 있으나 척추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탈부착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헤어스타일은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앞머리가 있는 주황색 [[포니테일]] 머리를 유지 중이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3,#fff><width=550><nopad> [[파일:나나양의상.jpg|width=100%]] || 캐릭터 머리에 꼬불꼬불한 안테나가 있었을 때는 하늘색 [[세라복]]을 입은 모습이었고, 별꼬다리가 생김과 동시에 의상도 개편되면서 현재는 평상시 의상과 우주 대스타 의상이 랜덤으로 사용되고 있다. === 잉꾸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c3><nopad> [youtube(gHxwvWmcPyM, height=240)] || 마스코트 격으로 사용되는 핑크색 돼지 캐릭터. 나나양 자캐 캐릭터처럼 양쪽 귀에 별을 달고 있다. 이전에는 딱히 이름이 없었지만 2022년 5월 시청자들의 추천을 받아 이름을 잉꾸로 정하게 되었다. 나나양은 본인과 잉꾸는 서로 다른 별개의 존재임을 자주 어필하지만 타 스트리머들이나 시청자들은 대부분 나나양과 잉꾸를 동일시하고 있다. 후술할 잉꾸 인형도 픽셀네트워크 판매처에는 '나나양 인형'으로 나와서 방송에서 '나나양 잉꾸 캐릭터 인형'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https://youtu.be/JZJLg3CdSFY|#]] 2024년 5월 10일에는 [[픽셀네트워크]]에서 [[https://pixelstore.kr/product/%EB%82%98%EB%82%98%EC%96%91-%EC%9D%B8%ED%98%95/209/category/140/display/1/|잉꾸 쿠션을 출시하였고]] 팬카페를 통해 잉꾸 호강시켜줬어♥️ 이벤트를 열었다.[[https://youtu.be/q-IGXE7q6j0|#]] === 용순이 === 2023년 5월 28일 방송 도중에 실수로 잠들어 버린 일로부터 파생된 캐릭터. [[https://m.fmkorea.com/5813291156|코를 골아서]]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tablealign=center><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c3,#888>{{{#!wiki style="text-align: left" 지난 몇 년 간 허가받지 않은 드래곤을 몰래 애완동물로 키우 고 있다는 사실을 여러분께 숨기고 있었습니다. 조속한 시일내에 마법부에 있는 신비한 동물 관리부에 적법 한 등록 절차를 밟을 예정이며 모든 조사에 성실하게 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코고는 소리라고 생각했던 소리는 키우던 용 소리가 맞습니 다.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 || || '''사과드립니다''' || 위 사과문으로 방송 중에 졸아서 코고는 소리가 난게 아니라 애완 드래곤이 그르릉 거리는 소리였던 것으로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지게 되어 용순이 캐릭터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 [[IRL|저스트 채팅]] == 소통방송도 자주 진행하며, 종종 동료 스트리머와 하는 노가리도 자주 보인다. 다른 스트리머들에 비해 소통방송의 비중이 큰 편으로 주제도 다양한 편이다. 특히 ~~그날 먹은 음식과~~ 본인의 현실 생활과 고민들도 자주 이야기하는 편이다. 동료 스트리머와 하는 노가리는 나나양 다시보기 채널에서 '디스코드 대화'라는 제목으로 업로드 된다. == 플레이한 게임 == === [[배틀그라운드]] ===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하던 초창기 시절에 회장님에게 선물받은 것을 계기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인의 취향에 잘 맞았는지 배그를 오랫동안 꾸준히 해오면서 북미서버 전체 랭킹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후 2020년 들어 배그의 인기가 완전히 꺾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플레이하는 등 현재까지 본인의 시그니처 게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창 배그의 전성기에는 4인 스쿼드로 자주 플레이했지만 인기가 식은 이후로는 주로 혼자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 솔로 플레이와 4인 스쿼드 플레이에 성적 편차가 있는 편이다. 본인도 언급했지만, 솔로 플레이로는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지만 ~~하하호호 떠들면서 플레이하는~~ 4인 스쿼드에서는 광탈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꽤나 주변 분위기를 타는 편.[* 본인도 이를 인지하고 있다. 과거 지인이 없는 상황에서 여성 배그 듀오 대회를 나가기 위해 당시 초면인 [[유우양]]에게 말을 건 이유가 성격이 침착하고 동요가 없는 사람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고.] 2024년 들어서는 팀원들에게 내리는 오더가 호평받고 있다. 특히 붕어컵에서 같은 팀 [[마뫄]]가 1대 3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침착한 오더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https://youtu.be/OKneo87dIe8|#]] 2024년 10월 2일, 개인전 [[치킨(동음이의어)#s-4|치킨]] 10마리 신기록을 세웠다. 이전 본인의 최고 기록이 2021년에 세운 7마리였는데 이를 경신한 것.[[https://youtu.be/jPnUi8DtwtU|#]][[https://youtu.be/7Z8jlqs2eUk|#]] === [[러스트]]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c3><nopad> [youtube(LeJ_wlMB_4E, start=558, height=240)] || 정작 이 스트리머가 성장하게 된 계기는 2018년에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가 주최했던 [[러스트(게임)|러스트]] 대규모 합방이였는데, 지누 팀에 합류하여 다른 스트리머들과 좋은 케미를 보여줬다.[* 당시 팀 멤버는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 몬돌, [[탬탬버린]], [[김뚜띠]], [[오킹]], [[실프]].] 이 시점을 계기로 타 스트리머와의 합방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방송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물론 본인의 역량도 충분했으며 기회를 잘 잡은 케이스. 이때 러스트 합방을 위해 나나양이 작성한 자기소개서는 아직까지도 회자되곤 한다. 자기소개서에서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는 김치찌개에 꽂혔고, [[탬탬버린]]은 마크 녹지화에 꽂혀서 뽑혔다고 한다.[[https://youtu.be/Nj_ulpf5640?t=262|#]] 당시 실수로 자료 제출 데드라인이 지난 뒤 제출했지만 다행이 받아줬다고 한다. ||<tablealign=center><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c3,#888>{{{#!wiki style="text-align: left" 평소에는 망해가는 배틀그라운드를 메인으로 라디오와 가끔 종겜무새들을 달래기 위하여 종합 게임 방송을 합니다. 캐나다에 아주 오랜 기간 거주 중이라 한국말 발음이 살짝 안좋지만 그래도 많이 노력하고요. 영어도 잘해요 러스트 합방으로 친구도 많이 사귀고 싶어요. 배틀그라운드 솔로 콘텐츠가 메인이다 보니 친구가 많이 없어서요. 총 잘쏘고요. [[김치찌개]]도 잘 만듭니다.[* 특히 이 김치찌개 부분이 자주 언급된다. 나나양이 러스트에 참가했을때, 지누는 나나양을 '저희 팀의 김치찌개를 맡아주실 나나양'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2021년에는 방송 시작 4주년을 기념하여 [[https://youtu.be/Sevsth9iICc|김치찌개 쿡방]]을 진행했다.] 아 예전에 대학교 졸업하고 할게 없어서 마인크래프트 사막을 일주일 동안 하루에 10시간씩 녹지화 한 적 있어요. 감사합니다. 예쁘게 봐주세요. }}} || || '''나나양 러스트 자기소개서''' || === [[마인크래프트]] === 상술한 러스트 합방 이후 많은 스트리머들과 친해지면서 마인크래프트 방송이 크게 늘었다. 현 시점 [[배틀그라운드]] 못지않게 주 콘텐츠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자주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 주로 [[마인크래프트]] 방송 경력이 오래된 [[램램]], [[이춘향]], [[김뚜띠]], [[휘용]]과 플레이 하는 편. 위에 서술한 스트리머들과의 합방이 많아지면서 나나양이 스스로 본인을 '''마짱'''[* 마인크래프트 짱(...)]이라고 자칭할 정도에 이르렀다. 물론 시청자들은 '니가?', 스트리머들은 '그래 그게 좋으면 그렇게 해라' 정도의 반응을 보여준다. ==== 우리 건축했어요 ==== 2020년 3월 4일부터 2020년 12월 23일까지 진행한 나나양의 [[마인크래프트]] 건축 장기 합방 컨텐츠. 줄여서 '우건'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트리머를 한명씩 초대하고 토크를 하면서 집을 짓고 가게 하는 컨텐츠다. 나나양의 말에 따르면, 초반에는 스트리머들이 정석적인 집의 형태를 한 건물을 지었으나 [[고차비]]의 스펀지밥집 이후 도시가 못생겨지기(...) 시작했다고. 나나양은 스트리머들이 집 지을 터를 잡을 때 부동산을 신경써서 추천해 준다. [[마인크래프트]] 실력이 좋은 스트리머들에게는 멀끔한 건물들이 줄지어 있는 노른자땅을, 실력이 나쁜 마린이들에게는 ~~흉물들이 모여있는~~ [[개돼지]][* [[마뫄]]가 지은 개 얼굴 [[스핑크스]]와 [[푸린(인터넷 방송인)|푸린]]이 지은 돼지집이 있는 거리라 개돼지 로드로 이름 붙였다.] 로드를 추천 해준다. 물론 말그대로 드립에 가까운 추천이기 때문에 대부분 스트리머 본인들이 원하는 자리에 터를 잡는다. 대표적으로 [[아프리카 프릭스]] 집을 노른자땅에 박아버린 [[김똘복]].[* 나나양은 유명한 [[T1]] 열성팬이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3><colbgcolor=#fc3><colcolor=#000> '''회차''' || 날짜 || 게스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편집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다시보기 || 지은 건축물 || || '''1''' || 2020.3.4 || [[빙남]] || [[https://youtu.be/T_rNUd3WuR4|#]] || [[https://youtu.be/eg6mRc_Bt9o|#]] || || || '''2''' || 2020.3.10 || [[미로씌]] || [[https://youtu.be/pYCUnNs_J-U|#]] || [[https://youtu.be/qi6osODY0NA|#]] || || || '''3''' || 2020.3.12 || [[김뿡]] || [[https://youtu.be/MmwReMnxBeU|#]] || [[https://youtu.be/DKRRIz7lBWI|#]] || || || '''4''' || 2020.3.18 || [[김뚜띠]] || [[https://youtu.be/TuSBXbjgbCw|#1]] [[https://youtu.be/qP4zSpKp-VY|#2]] [[https://youtu.be/_CUKI_oHz5g|#3]] || [[https://youtu.be/kn6vZLPyYhs|#]] || 풍차 || || '''5''' || 2020.3.25 || [[왈도쿤]] || [[https://youtu.be/4QBe39q2zc0|#]] || [[https://youtu.be/sSsh-03ir9w|#]] || || || '''6''' || 2020.4.1 || [[고차비]] || [[https://youtu.be/uHEIKaO7hJI|#]] || [[https://youtu.be/A1ES-VOfqWE|#]] || 스펀지밥 || || '''7''' || 2020.4.8 || 이선 || [[https://youtu.be/sXffLUT0MBs|#]] || [[https://youtu.be/-QyULlHTBnk|#]] || || || '''8''' || 2020.4.20 || [[조디악(인터넷 방송인)|조디악]] || [[https://youtu.be/IdwRooYhgWM|#]] || [[https://youtu.be/fn5lP4ekqJ0|#]] || || || '''9''' || 2020.4.22 || [[마뫄]] || [[https://youtu.be/Tjb9i8e8sxQ|#]] || [[https://youtu.be/j4m8IQ7b66U|#]] || 스핑크스, 피라미드 || || '''10''' || 2020.4.27 || [[남봉]] || [[https://youtu.be/Pp1gluk_gfk|#1]] [[https://youtu.be/4SVv6RtG_Cw|#2]] || [[https://youtu.be/UzJJBK_SpMM|#]] || 호그와트 || || '''11''' || 2020.5.7 || [[푸린(인터넷 방송인)|푸린]] || [[https://youtu.be/2KyxoDBee6g|#1]] [[https://youtu.be/8WQJpDQ9XgM|#2]] || [[https://youtu.be/nuy_rgbxEVE|#]] || || || '''12''' || 2020.5.20 || [[이춘향]] || [[https://youtu.be/LMgLOO4y7zI|#]] || [[https://youtu.be/R-yHbkPDCFY|#]] || 버섯집 || || '''13''' || 2020.6.3 || [[탬탬버린]] || [[https://youtu.be/-Rt136x0pQ8|#1]] [[https://youtu.be/MnHdk5Q5FzE|#2]] || [[https://youtu.be/GmEz3B286UQ|#]] || 해적선 || || '''14''' || 2020.6.10 || [[코시(인터넷 방송인)|코시]] || [[https://youtu.be/LQvQqVZZ3hA|#]] || [[https://youtu.be/PUsoSkK9Nfo|#]] || || || '''15''' || 2020.6.17 || [[금사향(인터넷 방송인)|금사향]] || [[https://youtu.be/e0Q5NoZCn7Q|#1]] [[https://youtu.be/jird3JOrurA|#2]] || [[https://youtu.be/7ylK5IiJaRs|#]] || 흑정령[* [[검은사막]]의 마스코트 정령] || || '''16''' || 2020.7.8 || [[감블러]] || [[https://youtu.be/WOP-43LDLgA|#1]] [[https://youtu.be/MASn-wWOuNw|#2]] || [[https://youtu.be/JhMU5aEGczo|#]] || 붕어 || || '''17''' || 2020.7.15 || 엄브 || [[https://youtu.be/5_mCqtSUeF8|#1]] [[https://youtu.be/U2jLhLE_-00|#2]] || [[https://youtu.be/Gh1cgOv0PHI|#]] || || || '''18''' || 2020.7.22 || [[꽃핀]] || [[https://youtu.be/U-Di1ueeTYg|#1]] [[https://youtu.be/ggz1OaWYHuU|#2]] || [[https://youtu.be/mSf5n_OgM6I|#]] || 롤 미니언 || || '''19''' || 2020.8.12 ||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 || [[https://youtu.be/hcCAwNHWiws|#1]] [[https://youtu.be/OX058KH9xVk|#2]] || [[https://youtu.be/AEcOrfgsojc|#]] || --용암에 탄-- [[메이플스토리|버섯]] 집 || || '''20''' || 2020.8.19 || [[애덕]] || [[https://youtu.be/jbP8gFlzUZg|#]] || [[https://youtu.be/XtOA4QV4jKU|#]] || 투명 미로[* 장비 문제로 건축 불가] || || '''21''' || 2020.8.26 || [[김똘복]] || [[https://youtu.be/FoH3xVh7j28|#1]] [[https://youtu.be/vUeNlbo7W0E|#2]] || [[https://youtu.be/27jkEJN2m0M|#]] || 아프리카 프릭스 로고 || || '''22''' || 2020.9.2 || [[유우양]] || [[https://youtu.be/1nXUGCV6bzg|#1]] [[https://youtu.be/Vj9x8NAnQuQ|#2]] || [[https://youtu.be/Vj9x8NAnQuQ|#]] || || || '''23''' || 2020.9.9 || [[김규식(인터넷 방송인)|김규식]] || [[https://youtu.be/fnBZpR4_3ew|#]] || [[https://youtu.be/U_Wi5P_kDRk|#]] || || || '''24''' || 2020.9.16 || [[다린]] || [[https://youtu.be/vGg-Q604joE|#]] || [[https://youtu.be/bk8OJK_1yEs|#]] || || || '''25''' || 2020.10.7 || [[양아지]] || [[https://youtu.be/fNtHkz9b_mQ|#]] || [[https://youtu.be/7bUZcnbSHKc|#]] || 개집 || || '''26''' || 2020.10.21 || [[실프(인터넷 방송인)|실프]] || [[https://youtu.be/cXh1TtujKnY|#]] || [[https://youtu.be/JfM9Yx1DUBY|#]] || --불타는-- [[배틀그라운드|배그]] 로고 || || '''27''' || 2020.11.2 || [[수담]] || [[https://youtu.be/h-U-o3TeADw|#]] || [[https://youtu.be/Q7_X2RbxYsc|#]] || 고양이 || || '''28''' || 2020.11.12 || [[삐부]] || [[https://youtu.be/FZysXHt-DaY|#]] || [[https://youtu.be/hY3evu06qQM|#]] || 도넛 || || '''29''' || 2020.11.18 || [[악녀(인터넷 방송인)|악녀]] || [[https://youtu.be/ylALxQmFky4|#]] || [[https://youtu.be/uv85-E9bbEY|#]] || 감옥 || || '''30 (마지막)''' || 2020.12.23 || 트수 || || [[https://youtu.be/Vsx1KLx3D1E|#]] || || || '''리부트'''[* 방송 4주년 기념] || 2021.6.24 ||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 || [[https://youtu.be/ODgyNNpH1O4|#1]] [[https://youtu.be/SDRroyRdunE|#2]] || [[https://youtu.be/rTEO0GwQv8I|#]] || 4주년 기념 케이크 || || '''스페셜''' || 2023.5.14 || [[램램]] || || [[https://youtu.be/l7DIod7QAmA|#]] || 야돈 || === [[똥겜|망고 게임]] === [[똥겜]]을 매우 많이 하는 편이다. 나나양은 [[https://youtu.be/TMzegOV-W5E|MANGO라는 똥겜을 플레이]]한 이후부터 똥겜을 '''망고 게임'''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자전차왕 엄복동|망고라는 게임 자체가 똥겜의 척도가 된 셈인데]], 어감상 [[망겜]]을 연상시키기 쉬운 것도 있고 해서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별 탈 없이 의미가 정착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c3><nopad> [youtube(pfgMHJSgVzc, height=240)] || === 그 외 === 종합 게임 방송을 진행하며, 유명한 게임이면 한번씩은 플레이해준다. 합방을 할때도 게임 폭이 넓어서 어느 합방이든 시간만 맞으면 같이 하는데 무리가 없다. [[리그 오브 레전드]], [[이터널 리턴]], [[어몽어스]], [[레인보우 식스 시즈]], [[Fall Guys|폴가이즈]], [[마리오 시리즈]], [[구스구스덕]], [[오버워치]], [[발로란트]], [[서든어택]], [[원신]], [[로스트아크]], [[어그로우]], [[스타크래프트]] 등등 게임을 몰라서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수준. 다만 롤은 북미 서버의 형편없는 수준과 품질로 인해 보통 중계만 했다. 반사신경이 필요한 리듬 게임이나 [[플랫폼 게임]], [[항아리류 게임]], [[마인크래프트]] 점프맵을 잘 못하는 편이다. 확실하게 악명(?)이 높다고 할만한 것은 [[슈퍼 마리오 메이커]] 정도. 통칭 나마메로, 커뮤니티에서는 [[던(인터넷 방송인)|던마메]]와 [[이춘향|춘마메]] 급으로 유명한 편이다. 한때 스트리머들 사이에서 [[Only Up!]] 클리어 후 다른 스트리머를 지목해서 플레이시키는 챌린지가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 아무도 나나양을 지목하지 않았다. 당시 [[김뚜띠]]가 [[Only Up!]]을 클리어하자 [[코렛트]]가 나나양을 지목해야 방송감 있는거라며 추천하기도 했지만 [[https://m.fmkorea.com/5885330858|이러한 이유]]로 지목하지 않았다. 못하는 게임들을 방송에서 하면 게임 스케줄에도 문제가 생기고 방송이 길어져 다음날 방송까지 영향이 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플레이하지 않는 편이였다. 그나마 플레이 했던건 마인크래프트를 하면서 불가피하게 만나는 점프맵 정도. 다만 2023년부터 [[램램]]과 놀면서 못하는 게임들을 플레이 하는 경우가 꽤 늘었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컵헤드]], [[앙빅]] 등 혼자서 절대로 안할 게임들을 램램과 플레이하면서 [[https://youtu.be/ysc9Rly3eDk|유튜브 설명란에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2022년 12월부터 [[승리의 여신: 니케]]를 시작했는데 처음엔 광고로 시작했지만 점점더 니케에 진심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https://youtu.be/cYOMQGkZ64E| 무려 1시간 동안 시청자들을 상대로 니케 설정과 세계관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 고문을 시전 한다든가]] 신캐가 나올때마다 방송에서 뽑기를 진행하며 모든 신캐를 뽑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높은 스펙과 활동량을 보이고 있다. 자주 플레이 하는 만큼 체인소맨 콜라보, 반주년 이벤트 등 큰행사때 마다 광고를 맡으며 시프트업의 러브콜도 꾸준히 받는 중이다. 캐나다에 거주한 짬이 있어서인지 베팅 게임 실력이 상당히 좋다.[* [[북아메리카|북미]]는 [[텍사스 홀덤|홀덤]] 문화가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활성화되어있을만큼 홀덤 관심이 높다.] 2023년 피망 세븐 포커 우승에 2024년 설날 섯다 합방[* 다시보기 채널에 업로드된 풀버전 영상의 제목도 압권이다. [[https://youtu.be/NAILdP1bjSM|[2024/02/10] 섯다 w. '''탬탬버린(움)'''(...), 김진우, 김똘복, 휘용]]] 때 나나양 본인은 '''올인을 한 번도 안 당하고''' 합방한 모든 사람을 적어도 한 번은 올인냈을 정도로 판짜기 능력이 뛰어난 편이다. --물론 생각 없이 레이즈 박는 [[임나은]]과 [[탬탬버린]] 같은 호구들의 공도 크다.--[[https://www.youtube.com/watch?v=NAILdP1bjSM|섯다]][[https://www.youtube.com/watch?v=QkwmmasGbDw|세븐 포커]] == 콘텐츠 제작 == === OGQ 이모티콘 === 2025년 1월 29일 기준 3개의 OGQ 이모티콘이 발행됐다. OGQ마켓 네임명은 '우주대스타나나'이다. 1번째 OGQ이모티콘 '우주대스티커'는 2022년 9월에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2|출시]]됐다. 2번째 OGQ이모티콘 '나나양의 잉몽티콘'은 2024년 11월 13일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43|출시]]됐다. 3번째 OGQ이모티콘 '움직대스타나나양'은 2025년 1월 20일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4|출시]]됐다. 3번째 OGQ이모티콘은 GIF로 형태의 [[움짤]]이며, 5일간의 선택 타임어택: 한정판 스티커 대전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네이버]]측에서 제작했다고 한다. 또한, 이번 OGQ이모티콘은 2025년 1월 20일부터 3월 20일까지 2달간 한정 판매 된다. === 손글씨 폰트 === 2023년 1월 3일 온글잎을 통해서 [[https://www.ownglyph.com/trial/0524a5cc-b4c3-40bc-9122-ea12546a6772|손글씨 폰트]]를 배포했다. 무료 배포로 용도는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해당 내용을 다룬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8|기사]]도 나왔다. 폰트에 대한 평가가 좋기도 하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쉬운 폰트여서 그런지 은근 [[https://www.fmkorea.com/6618191968|여기저기서 사용]]되는 모양이다. 특히 나나양과 친한 스트리머 [[이춘향]]의 유튜브 [[https://youtube.com/channel/UCP_EKGb1RJm3x930ZjJmYFg|쭈냥이왔쭈냥]]과 [[https://youtube.com/channel/UCt6yxtrzWq7m8fgA0-rqbdg|이춘향 다시보기]] 섬네일은 대부분 나나양 손글씨 폰트로 제작되었다. === 나나양 CCTV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3><width=500><nopad> [[파일:unnamsdfged.webp|width=100%]] || 2024년 3월 24일에 플레이/앱 스토어로 출시된 앱. 나나양이 여기저기 작성한 글들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치지직 방제가 바뀌면 해당 앱에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누구보다 빠르게 방송 공지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히든 기능으로 나나양이 가끔씩 알림을 보내주기도 한다. === 내 옆집에는 이상한 사람이 산다 === [[https://nanayang.itch.io/44|다운로드 링크]] 2023년 2월 24일 발렌타인 데이 기념으로 출시된 [[미연시]] 게임. 다만 연애적 요소는 없으며, 팬들을 위한 팬서비스 개념의 내수용 게임이다. 내수용 게임답게 ~~항마력이 필요하고~~ 나나양 방송 시청자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이 때문인지 스트리밍 송출이 금지되어 있다. 실제로 주변 스트리머에게 플레이 송출 문의가 들어왔었지만 거절했었다고 한다. === 프로젝트 코크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c3><nopad> [youtube(XSGAvyC8YSc, height=240)] || 2020년 1월 22일 데모가 공개되었고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를 포함한 몇몇 스트리머들이 데모를 [[https://youtu.be/YMfjytualto|플레이 해보기도 했다.]] 그렇게 순조롭게 제작되고 있었으나, 2022년 2월 프로그래머가 부담감을 느꼈다는 이유로 인수인계 없이 도망치는 바람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 사건이 나나양 본인에게도 충격이였는지 사실상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는 식으로 언급하였다. 2022년 12월 31일 프로젝트 코크 재시작을 발표하였다. 출시 예정일은 2023년 4분기나 2024년 1분기로 결정되었으나 현재는 어플 작업으로 인해 출시가 미뤄진 상태다. == 여담 == *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할때, 본명을 사용하여 '''은혜양'''으로 활동명을 정하려고 했었으나 같은 이름의 BJ가 있어서 포기했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 키우고 있던 물고기 이름 '''나나'''에 '''양'''을 붙여 '''나나양'''이 되었다. * 어릴 때 [[캐나다]]로 이민을 간 이민 1.5세대로, 오랫동안 [[토론토]]에 거주했다. 이로 인해 국적도 [[캐나다]] 국적이다. * 어렸을 때부터 대학원에 들어갈 때까지 [[캐나다]]에서 생활하였지만, 살던 곳에 한인 커뮤니티가 원체 탄탄히 형성되어 있었는지[* 본인이 말하길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있을 건 거의 다 있다고 한다. 심지어 '''돼지국밥집(...) 같은 것도 버젓이 있다'''는 것 같다.] 한국 문화에 대해 가끔 신기해하긴 해도 어색해하는 부분이 거의 없다. [[한국어]]를 거의 어머니한테서부터 배워 언어적으로 종종 충청도 사투리나 어르신식 표현을 사용할 때가 있다. 물론 [[호주]]에서도 거주하는 등 영어권에서 오래 살았기 때문에 영어 역시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어 번역이 없는 게임도 플레이가 가능하며, 합방에서 ~~[[파파고|나파고]]~~ 번역기 역할을 하기도 한다. * 대학교를 다니면서 자취했기 때문에 요리를 좀 하는 편이라고 한다. * 2021년 삼성 갤럭시 엔터테인먼트 스테이지 중계 크리에이터로 방송을 진행했다. * [[레볼루션 하트]]의 열혈팬이라고 한다. 그중 [[잭(인터넷 방송인)|잭]]을 제일 좋아한다고 한다. 꿈에 나왔을 정도로 좋아했다고 한다. 연초파티에서 잭을 보자마자 몰래 사진을 찍었고 영도로 자신을 안다는 영상을 보자마자 환호+부끄럼+행복한 비명을 질렀다고. * [[T1/리그 오브 레전드|T1]]의 열혈팬이다. 2티어 이모티콘 중에서도 T1을 응원하는 이모티콘이 있다. 이 때문에 명예 T1 스트리머 취급받는 중. 실제로 T1에게 굿즈를 선물받기도 했다. * 우결각을 시도하는 컨셉을 가지고 있다. 우결각을 당하는 스트리머들의 반응도 꽤나 다양한데, 주로 거부하고 진저리치는 경우와 받아주며 티키타카 해주는 경우로 나뉜다.[* 전자는 [[김뚜띠]],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 [[코렛트]], 후자는 [[김똘복]], [[김뿡]], [[푸린(인터넷 방송인)|푸린]].] 나나양은 상대 스트리머가 진저리치는 반응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역으로 본인이 우결각을 당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잘 받아주지만 상대방의 나이가 어리면 피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나양 본인이 [[김뿡]]까지가 마지노선이고 [[감블러]]는 좀 힘들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5~6살 연하까지만 가능한 모양. 이후 콩밥특별시에서 연애RP를 시도 했는데 상대인 가이드 레스가 2004년생임을 감안하면 폭이 늘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콩밥특별시상 나나양이 플레이한 나비리의 RP상 나이는 2000년생으로 RP 나이 상으로는 4살차이가 된다.] * 같은 [[경주 김씨]]인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와는 족보상으로 지누의 손녀뻘이라고 한다. * 특유의 발음 이슈 때문에 가끔 외국인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PUBG: BATTLEGROUNDS|배틀그라운드]]에서 만난 랜덤 팀원은 [[https://www.youtube.com/watch?v=iDyoPG73xvM|일본 팀원이냐는 질문]]을 하기도 했다. 특정 단어는 아예 방송 밈으로 안착했다. 특히 ㄹ 받침이 약한 편이며[* '불협화음' 장면을 보면 초성 ㄹ은 발음하는 데 별 무리가 없으나 종성 ㄹ은 어려운지 '이'로 발음한다.[[https://youtu.be/zjeTlw9rKKI|#]] 초성 ㄹ도 '[[램램]]'이 '냄냄'으로 들려서 놀림받을 때가 가끔 있다.] 전반적으로 ㅇ 받침이나 비모음 같은 [[비음]]이 강한 편이다.[* 한번은 종종 같이 합방을 하곤 하는 [[이춘향]], [[고차비]]와 셋이서 모인 모임이 "비음 삼자매"로 방이 생긴 적도 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44yang&no=9000|#]]] 이외에도 말실수가 상당히 많아서 2023년 일부 말실수만 모았는데도 벌써 64강까지 모일 정도.[[https://www.piku.co.kr/w/1yWUJ6|#]] Ex)님들 하이 → 닝등 하잉, 일이삼사 → 잉이상사, 이이이팔삼[* 합방 게임 방 코드 = 22283] → 잉잉잉발사, 임시멤버 → 임신멤버, 꿀 → 꾸이[* 나나양의 메인 컨셉 동물이 [[돼지]]이기 때문에 울음소리 '꿀'이 썸네일에서 종종 '꾸이'로 표기되곤 한다.[[https://youtu.be/ZXovYQuzgVw|#]]] 등 * 팬카페 이름이 [[https://cafe.naver.com/nanayangzzang|닝등하잉]]이다. 나나양이 방송을 시작할 때 "님들 하이"라고 말하는데, 상술한 특유의 발음으로 "닝등하이"라고 들리기 때문이다. 팬카페 이름을 정할 때 공모전 당시 '지구온나나'와 '닝등하잉'이 경쟁을 벌였고 [[https://www.youtube.com/watch?v=V2qhA1QFrQQ|자본을 앞세운 닝등하이]]가 이겨 팬카페 이름이 결정됐다. * 2021년 12월 말 가족 사정으로 인해 한국에 들어왔다. 시청자들이 다양한 음식을 추천해줬고 덕분에 잘 먹고 잘 지내는 듯. 귀국일은 정해지지 않았으며 2025년 6월 [[치지직]]으로 이적한 현재도 한국에 거주 중이다. 현재 보컬, 수영, PT 등 다양하게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미 사이버이민(?)[* [[Steam|스팀]]과 [[iPhone|아이폰]] 계정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설정하는 것 - 나나양피셜]도 끝냈다고. * 한국의 나쁜 점을 두 가지 뽑았는데, 하나는 공기, 그리고 하나는 [[첵스 초코]] 시리얼에 맛없는 [[마시멜로]]가 들어있는 것. 좋은 점은 언급한 두 개 빼고 다. 다른 일자 방송에선 [[Steam|스팀]]의 다운로드 회선이 쓰레기라는 것 역시 지적했다. * 가끔 시청자들과 토론을 하곤 하는데, <[[BBQ치킨|BBQ]] 황금올리브 치킨에 매운맛이 있다 or 없다>, <튀김우동은 매운가?>, <까르보 불닭을 먹으면 맵찔이 탈출인가.> 같은 맵찔이 관련된 주제가 자주 나온다. * 2022년 3월 12일 생방송 중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다. 정확히는 13일 새벽 중 [[엘든 링]]의 [[별 부수는 라단]]을 트라이하고 있던 도중 증상이 있어 자가진단키트를 사용해보니 두 줄이 나와 양성이 떴다. 때문에 다음 날 PCR 검사를 받으러 간 결과 코로나 확진 판정이 떠버렸다. 그래서 며칠간 유튜브 영상 업로드를 쉬게 되었다. * 벨루가를 좋아한다. 정확하게는 물고기를 좋아하며 수조에서 직접 물고기를 키우고 있다. * 팬게임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56|나나버드가 출시]]된 적이 있다. 간단한 횡스크롤 게임으로 중독성 있는 음악이 특징이다. 게임은 [[https://cafe.naver.com/nanayangzzang/10444|나나양 팬카페에서 다운로드]]가 가능[* 회원 가입 필요]하다. * 유튜브 관리에 정성을 다하는 편이다. 유튜브 커뮤니티는 공지뿐만 아니라 일상 이야기나 정말 가벼운 잡담 등도 자주 올라오는 편이다. 또한 각 유튜브 영상의 설명란에도 단순 크레딧 뿐만 아니라 한 줄 정도의 토막글을 넣어두곤 한다. * 유튜브에 올리는 영상 내용이 게임이라면 게임 태그를 달아주곤 하는데, 문제는 많은 경우 [[좀비고등학교]] 게임 태그가 달린다. 아마 세부 게임 선택 없이 게임 태그 선택 시 기본값으로 좀비고등학교가 선택되는 모양이다. 그래서 시청자가 해당 게임 태그가 달린 영상에 좋아요를 하다 보면 유튜브 알고리즘에 따라 게임 추천 영상으로 좀비고가 채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가끔 스트리머들에게 나이를 속이는 장난을 친다. [[민결희]]와 어몽어스를 하면서 동생인척 언니라고 부른적이 있으며, [[해마티엘]]에게 동갑이라고 속이다가 합방 막바지에 진짜 나이를 공개하기도 했다. [[마카오톡]]에서는 21살 동갑끼리 친해지자고 약속한 [[겜마톡]]이 본인보다 연상인걸 알고 서로 나이 커밍아웃을 하기도 했다. * '달이'라는 이름의 [[미니어처 핀셔]]를 키우고 있다. * 생방송 구독 아이콘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시피 [[코카콜라]]를 매우 좋아하는데, 반대로 [[펩시제로]]는 굉장히 싫어한다. 하지만 제로콜라가 입맛에 맞는 사람들을 보면 부럽긴 하다고. * 캐나다의 전통요리 [[푸틴(요리)|푸틴]]에 대해 설명을 하다가 캐나다에는 [[https://youtu.be/Hlc-_HI66CM&t=572|나나이모 바(Nanaimo Bar)]]라는 이름의 초콜릿 디저트도 있다고 밝혔다. 나나양의 이름을 딴 디저트는 당연히 아니고, 캐나다의 도시인 [[나나이모]]에서 만들어진 디저트다. * [[풍월량|풍뎅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공포게임 동호회)] [include(틀:2023 자낳대: 베일드 엑스퍼트 시즌 2/골드타운)] [include(틀:아카츠키(악어의 놀이터))] [include(틀:2024 자낳대: 배틀그라운드/나행뵥혜)] [include(틀:콩밥특별시 경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나나양, version=625, uuid=9cf62af3-8f98-433b-8714-3ec5c563a1fc)]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