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김한주(실리카겔)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실리카겔(밴드)]][[분류:1994년 출생]][[분류:한국 남가수]][[분류:대한민국의 키보디스트]][[분류: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밴드 보컬]][[분류:구로구 출신 인물]][[분류:예원학교 출신]][[분류:검정고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해군 출신]] [include(틀:씨에이엠위더스 소속 아티스트)] [include(틀:실리카겔(밴드))] ||<-2><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0><colcolor=#fff> '''{{{#fff {{{+1 김한주}}}[br]Kim Han-joo}}}''' || ||<-2><nopad> [[파일:김한주 프로필_南宮FEFERE.jpg|width=100%]] || ||<width=20%> '''본명''' ||김한주 (金韓主, Kim Hanjoo)|| ||<|2> '''출생''' ||[[1994년]] [[4월 21일]] ([age(1994-04-21)]세)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 || || '''신장''' ||183cm[* 181cm에서 183cm로 자랐다고 밝혔다. 신장에 착안하여 쓴 곡 제목으로 2020년 발표된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의 '[[Kyo181]]'이 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7068587&memberNo=5661778|그렇게 큰 의미는 아니라고 한다.]]]|| || '''가족''' ||형[* (7살차이) [220824 인스타 라이브 30:25] || || '''학력''' ||[[서울고산초등학교]] {{{-2 (졸업)}}}[br] [[예원학교]] {{{-2 (음악과 작곡전공 / 졸업)}}}[br][[경인고등학교]] {{{-2 (중퇴)}}}[* [[https://youtu.be/Myp8hjZMo4I&t=3745|출처]]][br][[검정고시#s-3.3|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 {{{-2 (합격)}}}[br][[서울예술대학교]] {{{-2 (실용음악과 작곡 12 / 중퇴)}}}[* 실용음악과 시절 재학 및 중퇴했다. 고등학교를 1학년 2학기 때 중퇴한 후, 18살 때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입시를 치러 19살인 2012년에 입학했다.] || || '''병역''' ||[[대한민국 해군]] [[해군홍보대]] [[병장]] 만기 전역 {{{-2 (병 649기)}}}[br]{{{-2 (2018년 5월 28일 ~ 2020년 3월 17일)}}} || || '''그룹'''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br][[박쥐단지]][* [[https://visla.kr/interview/284470/|인터뷰]]][br]웃참퍼[* [[https://www.instagram.com/p/DBAczoJznHD/?igsh=amh0cWhuMjdhM29s|결성 발표]][br][[파일:웃참퍼 결성.png|width=260]]]|| || '''소속''' ||[[붕가붕가 레코드]] (2013~2021)[br][[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2021~2024) [br] [[씨에이엠위더스]] (2024~) || ||<|2> '''데뷔''' ||[[2015년]] [[8월 21일]] {{{-2 (데뷔일로부터 '''[dday(2015-08-21)]일, [age(2015-08-21)]주년''')}}} ||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1f2fd6, 글자색=#fff, 음반종류=EP, 문서명=새삼스레 들이켜본 무중력 사슴의 다섯가지 시각, 음반명=새삼스레 들이켜본 무중력 사슴의 다섯가지 시각, 글자크기=0.7em)] || || '''담당''' ||건반, 보컬, 송라이팅, 기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타는 [[Jazzmaster|Fender Jazzmaster]]로, 본인이 소장 중인 Dark Night 색상과 [[김춘추(실리카겔)|김춘추]] 소장(현재 매각)인 3TS 색상 두 종류가 있다.([[#그 외|사용장비 문단의 '그 외']] 참고.) 2024년 5월 'Syn.THE.Size III'부터는 기타를 매지 않고 세션 주 포지션인 건반에 집중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 '''좌우명''' ||사랑합시다.|| || '''MBTI''' ||[[ENFJ]]|| || '''서명''' ||<nopad>{{{#!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김한주(실리카겔) 서명.svg|width=70]]}}}|| || '''SNS''' ||[[https://www.instagram.com/kimhanjo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4]]]] '''{{{#e2e2e2 |}}}''' [[https://on.soundcloud.com/LrGRR|[[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width=5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nopad> [[파일:F22ygeWasAA1Zb2.jpg |width=100%]] || [[2015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4인조 록 밴드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에서 메인 보컬과 키보드, 리듬 기타를 담당하고 있다.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 음악의 디렉팅(프로듀싱), 그리고 타 아티스트 음반의 프로듀싱 등 다양한 음악적 방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음악 프로듀서]]이기도 하다. == 데뷔 전 == 어릴 적에 피아노 학원을 다니던 중 재능이 있음을 알아본 강사의 제안으로 클래식 음악을 전문적으로 배우게 된다. 그러나 피아노 연주를 넘어 이를 컨트롤하는 작곡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예원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전공하게 된다. 하지만 예원학교에 다니면서 클래식 음악에 대해 회의를 느끼던 중, 교수님께 클래식보다는 대중 음악에 더 잘 맞을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관심을 가지고 대학교에 [[작곡]] 전공으로 진학한다. 대학 시절 [[김건재]]의 주도 하에 모인 멤버들과 작업한 미디어아트 수업 과제를 계기로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의 멤버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 그룹 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실리카겔(밴드))] == 음반 == ||<table bordercolor=#000,#fff><bgcolor=#fff,#1c1d1f><tablewidth=100%><(> {{{#000,#ddd '''김한주'''의 단독 활동만 기록한 문단입니다. 2인 이상 그룹 활동은 '''[[실리카겔(밴드)/음반|{{{#000,#ddd 실리카겔(밴드)/음반}}}]]'''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 || === OST === 김한주의 명의로 발매된 [[OST]]에 대해 서술함.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김한주의 OST 참여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rowcolor=#ffffff><width=10%> '''발매일''' ||<width=8%> '''앨범 아트''' ||<width=35%> '''앨범명''' ||<width=37%> '''곡명''' ||<width=10%> '''듣기''' || ||<-5><bgcolor=#eaeaea,#2d2f34> '''2021''' || || {{{-2 [[12월 11일]]}}} ||<nopad>[[파일:먹보와털보OST.png|width=80]] || [[먹보와 털보]] OST || '''Sunset'''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YoSmgIeuZrI, 크기=20)] || ||<-5><bgcolor=#eaeaea,#2d2f34> '''2022''' || ||<|2> {{{-2 [[6월 1일]]}}} ||<|2><nopad>[[파일:소년비행 2 OST_Rushlight.png|width=80]] ||<|2> [[소년비행#OST|소년비행 2 OST]] || '''Rushlight'''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TVF_V8ojEdQ, 크기=20)] || || '''Rushlight (Inst.)'''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cgSPqYzqXYM, 크기=20)] || }}} === 참여 음반 === 타 아티스트 음반에 참여한 기록 중 김한주의 '''보컬'''이 포함된 것을 서술함.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김한주의 참여음반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rowcolor=#ffffff><width=10%> '''발매일''' ||<width=8%> '''앨범 아트''' ||<width=20%> '''앨범명''' ||<width=22%> '''곡명''' ||<width=10%> '''듣기''' ||<width=10%> '''아티스트''' ||<width=10%> '''비고''' ||<width=10%> '''프로듀싱''' || ||<-8><bgcolor=#eaeaea,#2d2f34> '''2021''' || || {{{-2 [[9월 7일]]}}} ||<nopad>[[파일:이수호 lights.png|width=80]]|| lights ||<|2> '''lights''' {{{-2 (Feat.'''Kim Hanjoo''')}}} ||<|2>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aExqq6s2lJ8, 크기=20)] ||<|2> {{{-2 [[이수호(프로듀서)|이수호]]}}} ||<|2> {{{-2 피처링 }}} ||<|2> {{{-2 작사/[br]공동 작곡/ 공동 편곡}}} || || {{{-2 [[10월 12일]]}}} ||<nopad>[[파일:Monika-Cover-1000.jpg|width=80]]|| [[이수호(프로듀서)#s-3.1|Monika]] || ||<-8><bgcolor=#eaeaea,#2d2f34> '''2022''' || || {{{-2 [[5월 10일]]}}} ||<nopad>[[파일:김도언_damge.jpg|width=80]]|| [[김도언(프로듀서)#s-2.1.1|Damage]] || '''Prophet''' {{{-2 (feat.'''김한주''')}}} || [include(틀: 유튜브 아이콘, 링크=R0YYB2qp3RQ, 크기=20)] || {{{-2 [[김도언(프로듀서)|김도언]]}}} || {{{-2 피처링}}} || {{{-2 작사/[br]공동 작곡}}} || || {{{-2 [[12월 2일]]}}} ||<nopad>[[파일:김오키 러브플라워.png|width=80]]|| 러브플라워 || '''러브송''' {{{-2 (Feat.'''김한주''')}}}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A73lrIWq1og, 크기=20)] || {{{-2 [[김오키]]}}} || {{{-2 피처링 }}} || {{{-2 작사/[br]공동 작곡}}} || || {{{-2 [[12월 6일]]}}} ||<nopad>[[파일:이수호 monika remix.png|width=80]]|| Monika Remix || '''lights''' {{{-2 (Feat.'''Kim Hanjoo''') [NET GALA nightfall Mix]}}}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0mXPmf599eQ, 크기=20)] || {{{-2 [[이수호(프로듀서)|이수호]]}}} || {{{-2 피처링 }}} || {{{-2 작사/[br]공동 작곡}}} || ||<-8><bgcolor=#eaeaea,#2d2f34> '''2023''' || || {{{-2 [[1월 31일]]}}} ||<nopad>[[파일:KONA slur.png|width=80]]|| Slur || '''Yawn''' {{{-2 (Feat.'''Kim Hanjoo''' & [[sokodomo]])}}}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49_3eXdyIn4, 크기=20)] || {{{-2 KONA}}} || {{{-2 피처링}}} || {{{-2 공동 작사/[br]공동 작곡}}} || || {{{-2 [[4월 6일]]}}} ||<nopad>[[파일:정규_FRR.jpg|width=80]]|| [[죠지(가수) #s-3.1.1|FRR]] || '''jericho''' {{{-2 (Feat.'''Kim Hanjoo''')}}}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5vfPgzOBQEg, 크기=20)] || {{{-2 [[죠지(가수)|죠지]]}}} || {{{-2 피처링}}} || {{{-2 공동 작사/[br]공동 작곡}}} || || {{{-2 [[10월 25일]]}}} ||<nopad>[[파일:Madness Always Turns to Sadness.jpg|width=80]]|| [[Tabber #s-2.2.2|Madness Always Turns to Sadness]] || '''Invisible Man''' {{{-2 (Feat.'''Kim Hanjoo''')}}}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Xw6kRmklqDE, 크기=20)] || {{{-2 [[Tabber]]}}} || {{{-2 피처링}}} || {{{-2 공동 작곡/[br]편곡}}} || ||<-8><bgcolor=#eaeaea,#2d2f34> '''2024''' || || {{{-2 [[5월 21일]]}}} ||<nopad>[[파일:블라세 Debugging.png|width=80]]|| Debugging || '''Blue Screen''' {{{-2 (Feat.'''김한주''')}}}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twcEk7ZMRXA, 크기=20)] || {{{-2 [[블라세]]}}} || {{{-2 피처링}}} || {{{-2 공동 작사/[br]공동 작곡}}} || || {{{-2 [[5월 27일]]}}} ||<nopad>[[크래시(드라마)/음악#s-2.2|[[파일:크래시(드라마) OST Part 2.jpg|width=80]]]]|| [[크래시(드라마)|크래시]] [[크래시(드라마)/음악#s-2.2|OST Part 2]] || '''TCI''' {{{-2 (Feat. 안흥찬, [[김오키]], '''김한주''')}}}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66e2UPIaf_Y, 크기=20)] || {{{-2 [[백현진]]}}} || {{{-2 피처링}}} || {{{-2 -}}} || || {{{-2 [[6월 2일]]}}} ||<nopad>[[파일:Bat Apt.png|width=80]] || Bat Apt. || '''Life of...'''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lSPfzQ23ZE0, 크기=20)] || {{{-2 [[박쥐단지]]}}}[* 음반은 그룹명인 [[박쥐단지]] 명의로, 곡은 '''Kim Hanjoo''' 명의로 발매되었다.] || {{{-2 컴필레이션}}} || {{{-2 작사/작곡/편곡}}} || || {{{-2 [[10월 4일]]}}} ||<nopad>[[파일:Hwi_humanly possible.png|width=80]]|| [[HWI #s-2.3.2|humanly possible]] ||<|2> '''humanly possible''' {{{-2 (Feat.'''Kim Hanjoo''')}}} ||<|2>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dj4JAz5mkbg, 크기=20)] ||<|2> {{{-2 [[HWI]]}}} ||<|2> {{{-2 피처링}}} ||<|2> {{{-2 공동 작사}}} || || {{{-2 [[10월 25일]]}}} ||<nopad>[[파일:humanly possible.jpg|width=80]]|| [[HWI #s-2.1.1|humanly possible]] || ||<-8><bgcolor=#eaeaea,#2d2f34> '''2025''' || || {{{-2 [[4월 10일]]}}} || || Vacation ||<|2> '''Vacation''' {{{-2 (Feat. '''Kim Hanjoo''')}}} ||<|2>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y40l2rEgWLk)] ||<|2> {{{-2 [[세이수미]]}}} ||<|2> {{{-2 피처링}}} ||<|2> - || || {{{-2 [[4월 30일]]}}} ||<nopad> [[파일: 세이수미 Time is Not Yours' Out Now.jpg|width=80]]|| [[세이수미#s-5.3.6|Time is Not Yours]] || }}} === 프로듀싱 === 타 아티스트의 음반에 참여한 기록 중 보컬로 참여하지 않은 것에 대해 서술함. ('''작사''', '''작곡''', '''편곡''' 등)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김한주의 프로듀싱 참여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rowcolor=#ffffff><|2><width=15%> '''발매일''' ||<|2><width=15%> '''아티스트''' ||<|2><width=25%> '''앨범명''' ||<|2><width=30%> '''곡명''' ||<width=15%><-3> '''참여 내역''' ||<|2> '''듣기''' ||<|2> '''비고''' || ||<rowbgcolor=#000000><rowcolor=#ffffff><width=5%> '''작사''' ||<width=5%> '''작곡''' ||<width=5%> '''편곡''' || ||<-9><bgcolor=#eaeaea,#2d2f34> '''2021''' || || {{{-2 [[2월 16일]]}}} || {{{-2 [[백예린]] }}} || tellusboutyourself Remixes || '''Lovegame''' {{{-2 ('''Kimhanjoo''' Remix)}}} || - || - ||<bgcolor=#ffffa1,#5d5e00> {{{-2 단독}}}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k2hO0uUbHpY, 크기=20)] || {{{-2 리믹스[br]([[https://youtu.be/Ic2iQMDyfPo|원곡]])}}} || ||<-9><bgcolor=#eaeaea,#2d2f34> '''2024''' || ||<|3> {{{-2 [[5월 24일]]}}} ||<|3> {{{-2 [[RM]]}}} ||<|3> [[Right Place, Wrong Person]] || '''[[Right Place, Wrong Person#s-4.6|Groin]]'''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 -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ChAXAFqzBpw, 크기=20)] || || '''[[Right Place, Wrong Person#s-4.8|LOST!]]'''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 -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kq6UVL3H6SI, 크기=20)] || [* [[실리카겔(밴드)|실리카겔]]이 편곡하여 부른 버전도 있다. [[https://youtu.be/yMpxE8FPa8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Right Place, Wrong Person#s-4.10|ㅠㅠ(Credit Roll)]]'''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bgcolor=#e0ffdb,#073300> {{{-3 공동}}} || -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p6w64hIPloI, 크기=20)] || }}} == 사용 장비 == === 신디사이저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신디사이저)] * '''{{{+1 [[Arturia/Freak시리즈#s-2.2|Arturia Minifreak]]}}}''' 실리카겔 단독공연 'POWER ANDRE 99' 등에서 사용하였다. [[김춘추(실리카겔)|김춘추]]가 실리카겔의 의<[[Machine Boy#T|T]]> 0:43~ 부분을 연주할 때 사용한다. * '''{{{+1 Expressive E Osmose}}}''' * '''{{{+1 [[Roland/SH시리즈#s-2.1.2|Roland SH-3A]]}}}''' 실리카겔 공연에선 사용하지 않으며,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한다. * '''{{{+1 [[Roland/JUNO시리즈#s-2.1.3|Roland JUNO 106]]}}}''' * '''{{{+1 [[Roland/D시리즈#s-2.1|Roland D-50]]}}}''' 24년 12월 14일, 16일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올라왔다. * '''{{{+1 [[Roland JP-8000]]}}}''' * '''{{{+1 [[Minimoog|Moog Minimoog]] Model D}}}''' Walnut Limited Edition이다.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 부터 <Sister>의 리드 신스 연주, <[[POWER ANDRE 99#Juxtaposition|Juxtaposition]]>의 신디사이저 솔로 [[https://youtu.be/HPOciDjUCbk?t=1287|일명 한주의 빨래판신디]] 등을 연주 할 때 사용한다. * '''{{{+1 [[Clavia/Nord Lead시리즈#s-2.2|Clavia Nord Lead 2]] }}}''' * '''{{{+1 [[Clavia/Nord Lead시리즈#s-2.4|Clavia Nord Lead 2X]] }}}''' 2016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실리카겔의 데모를 작업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1 [[Novation]] Peak}}}''' 2020년 [[Kyo181]] 활동때부터 사용했다. * '''{{{+1 [[Sequential]] Mopho x4}}}''' 2016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1 [[Sequential#OB-6|Sequential OB-6]]}}}''' 2016~2018년 활동 당시에 사용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1 [[Sequential#Prophet X|Sequential Prophet X]]}}}''' [*A [[Sequential]]의 신디사이저 Prophet 시리즈는 <[[SiO2.nH2O#NEO SOUL|NEO SOUL]]> 중 '춤추는 prophet'이라는 가사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부터 사용했으며 <Sister>, <[[POWER ANDRE 99#Juxtaposition|Juxtaposition]]>의 초반 드럼을 연주 할 때 사용한다.[* 실리카겔 무대에서 사용하던 샘플러 [[Roland]] SP-404 MKII이 없어진 관계로 [[Sequential#Prophet X|Prophet X]]로 연주하는듯 하다.] * '''{{{+1 [[Sequential#Prophet 12|Sequential Prophet 12]]}}}''' [*A]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 부터 <[[Machine Boy#T|T]]>의 0:22~ 부분 등을 연주 할 때 사용한다. * '''{{{+1 [[Teenage Engineering#PO-16 Factory|Teenage Engineering Pocket Operator PO-16 factory]]}}}''' [[Teenage Engineering]]의 포켓 오퍼레이터 중에서도 마이크가 없는 구버전이다. <[[POWER ANDRE 99#Juxtaposition|Juxtaposition]]> 도입부 클릭 사운드를 메이킹 했을 때 사용했다. * '''{{{+1 [[Teenage Engineering#PO-33 KO!|Teenage Engineering Pocket Operator PO-33 K.O!]] }}}''' Teenage Engineering의 포켓 오퍼레이터 중에서도 마이크가 있는 버전이다. [[빠더너스]]의 오.당.기 컨텐츠에서 [[문상훈]]에게 선물받았다. * '''{{{+1 UDO Super-6 Desktop}}}''' UDO의 데스크탑 신디사이저 Super-6 Desktop이다. 실리카겔 공연에선 사용하지 않으며,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한다. * '''{{{+1 [[야마하 DX7|Yamaha DX7]]}}}''' [[야마하|Yamaha]]의 신디사이저 DX7이다.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한다. * '''{{{+1 [[KORG]] Microsampler}}}''' === 마스터 키보드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마스터 키보드)] * '''{{{+1 [[Arturia]] Keylab 61 MkII}}}''' 실리카겔 단독공연 'Syn.THE.Size III'부터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 이전까지 <[[Machine Boy#T|T]]>의 0:22~ 등 많은 곡을 연주할 때 사용했었다. 안국전자음악단 인터뷰에 따르면 Apple의 키보드 라이브 전용 소프트웨어 Mainstage를 Keylab 61과 연동하여 건반을 부분으로 나누어(예를 들어 한부분은 신디사이저 가상악기로, 또 한부분은 샘플러 구간으로) 사용하여 여러 개의 신디사이저가 없어도 다양한 곡을 연주할 수 있었다고 한다. * '''{{{+1 [[Roland]] Edirol PCR-500}}}''' 2020년 [[Kyo181]] 활동부터 사용했다. 위 상술한 [[Novation]]의 신디사이저 Peak와 함께 묶어 사용. === 샘플러 === * '''{{{+1 [[E-MU/Emulator시리즈#s-2.5|E-MU E6400]]}}}''' * '''{{{+1 [[Roland]] SP-404}}}''' [[Kyo181]] 활동 당시에 사용했다. * '''{{{+1 [[Roland]] SP-404 MK2}}}''' SP-404의 후속작 SP-404 MK2이다. POWER ANDRE 99 활동부터 지금까지 사용했다. * '''{{{+1 [[Teenage Engineering]] EP-133 K.O.II}}}''' <[[실리카겔(밴드)/음반#s-4.12|SGTAPE - 02]]> 녹음에 사용하였다. === 이펙터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이펙터)] * '''TC Helicon VOICELIVE 3'''[* 라이브를 할 때만 사용한다.] * [[Fender]] Shields Blender * Strymon TimeLine Multi Delay * Strymon NightSky Experimental Reverb * [[JHS Pedals|JHS]] Bonsai 9-Way Screamer * [[Walrus Audio|Walrus]] Audio Julianna * [[Walrus Audio|Walrus]] Voyager * Electro-Harmonix MEL9 * TC Electronic POLYTUNE 3 * 이 외 본 항목에 서술하지 않은 이펙터들 === 그 외 === * 라이브할 때와 달리 스튜디오 현장에서 작업할 때는 실물 [[이펙터]]보다 [[플러그인#컴퓨터]]을 통해 보컬 이펙팅을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 주로 쓰는 플러그인은 MeldaProduction의 MUnison 등 M~ 시리즈. MeldaProduction의 플러그인들을 다 좋아해서 아예 번들 풀세트를 구매했다고 한다. * 이외에도 iZotope의 보컬 신스 시리즈를 애용한다. * <[[NO PAIN]]> 작업 때는 상술한 MUnison과 더불어 UAD Brigade Chorus 같은 다양한 코러스 플러그인을 함께 사용했다고. * 공연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흰색 [[마이크]]는 Sennheiser MD421-2 vintage microphone. * 6현 하이브리드 [[베이스 기타]]를 소장하고 있다. [[Fender]] Custom Shop [[Bass VI]] Journeyman의 Shell Pink 색상이다. [* [br][[파일: 김한주 첫 6현베이스.jpg|width=260]]] * [[일렉트릭 기타]] 중에서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Fender]] USA American Professional II [[Jazzmaster]]의 Dark Night 색상을 개인 [[인스타그램]] 공지채널에 올린 적이 있다.[* [br][[파일:김한주 재즈마스터 다크나이트.jpg|width=250]]] [[2023 멜론 뮤직 어워드]] 등 공연에서도 사용한 기타. * Fender [[Jaguar(Fender)|Jaguar]] 또한 소장하고 있다. 20대 초반에 구입한 기타로, 실리카겔의 곡 데모를 작업할 때 사용했다. [[https://youtu.be/5hXfg8SGuy8&t=3761|#]] * 무대에서 종종 김한주가 기타를 맬 때가 있는데 그 기타는 상기 서술한 기타를 제외하고 대부분 김춘추의 것이다. 김한주가 맨 기타 정보가 궁금하다면 [[김춘추(실리카겔) #사용 장비|김춘추의 사용장비]]를 보도록 하자. * 예외로 [[Tik Tak Tok#M/V|T + Tik Tak Tok]]의 M/V에서 연주한 일렉트릭 기타는 [[김건재]]의 기타로, [[Epiphone]] Sheraton-2 pro Ebony이다. * [[Desert Eagle(실리카겔)|Desert Eagle]] 공식 M/V 및 퍼포먼스 비디오에서 연주한 일렉트릭 기타는 [[Epiphone]] Wilshire Pro Cherry Red. [[최웅희]]의 것으로 추정된다, EBS 스페이스 공감 NEO SOUL 라이브때 쓰고있는모습을 볼수있다. * [[Apple]]에서의 인터뷰에 따르면, 19살 때 첫 [[MacBook]]을 구매했으며, 음악을 만들 소프트웨어가 필요해서 [[Logic Pro]]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https://apps.apple.com/kr/story/id1791656660|#]] * 그 후 2017~2018년부터는 [[Ableton Liv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https://youtu.be/ZgMydo-q_O4&t=1324|#]] * 집에 [[플룻]]이 있다. [[https://youtu.be/9w3pJwI4FcQ&t=572|#]] <[[실리카겔(밴드)/음반#s-4.12|S G T A P E - 02]]> 녹음에서 쓰인 플룻은 김한주의 플룻으로 추정. [[https://youtu.be/xnaQlD2IrN8&t=39|#]] == 여담 == * 실리카겔 인터뷰나 공연에서 주도적으로 멘트를 하는 편이다. * 동글동글한 외모[* [[파일:귀여운 한쥬.jpg|width=400]]]와 달리 저음역대의 거친 음색이 돋보이는 보컬을 갖고 있다. 보컬 이펙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특징적인 부분. 보컬 이펙터를 통해서는 주로 기계적인 보컬 사운드를 구현하는 편. 사용하는 이펙터 정보에 대해서는 [[#이펙터|이펙터]] 문단 참고. * 음악 장비를 구매할 땐 개성이 강한 악기 성향의 장비 위주로 구매하는 편이다. 음향과 관련된 장비들은 실리카겔 멤버 [[김춘추(실리카겔)|김춘추]]를 통해 충분히 채워지기 때문에 본인은 자연스럽게 음악에 창의적 요소를 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장비를 구매하게 되었다고. * 새롭게 연구해온 [[신디사이저]] 사운드 시스템을 [[2024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에서 선보이는 등[* (페스티벌 공연 전 올린 인스타 게시글 中)[br]올해 많은 고민거리가 있었지만 그중 가장 주요한 것은 무대에서 좋은 소리를 확성 시키는 방법이었어요. 신디사이저의 사운드 디자인과 시그널 체인, 미디 프로그래밍, 멀티트랙레코딩과 연계, 그에 따른 재편곡 과정과 수많은 패칭 및 샘플링 등 해야 할 일이 정말 다양했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사운드 시스템을 오늘 공개하려고 해요. 수개월간 수천만원을 태워서 수많은 시도 끝에 구축해 본 라인업이고, 여태 국내에서 이 정도로 견고한 신디사이저 시스템을 시도한 경우는 못 봤어요. 부산록페스티벌 보러오신 분들은 꼭 지켜봐주세요.] 특히 음악의 사운드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행보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 실리카겔의 모든 멤버가 작곡에 참여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곡을 쓰는 편이다. [[NO PAIN]] 작업기를 담은 [NO PAIN : THE WORLD WITHOUT MUSIC] ep.01 Impression에 따르면 주로 러프하게 작업한 악보나 음원을 멤버들에게 보내고 함께 완성도를 더하면서 곡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20대 초반 시절 [[3호선 버터플라이]]의 객원 키보디스트로 활동했었다. * 클래식으로 음악을 시작했기 때문에 고전 음악에서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곡은 [[모리스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 제3악장 [[스카르보]](Scarbo)'. * 그 다음으로는 [[사카모토 류이치]]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어릴 적부터 클래식으로 음악을 시작하여 전자음악과 밴드음악, 영화음악까지 영역을 넓혔던 사카모토 류이치의 궤적과 자신의 삶이 겹쳐지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고. * 팟캐스트 [[김혜리의 필름클럽]] 사카모토 류이치 특집 방송에서 게스트로 출연했다. * 사카모토 류이치의 회고록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북토크[[https://youtu.be/YSYAxLDPvdc| ]]에서는 호스트로 출연했다. * 2025년 4월 17일 <류이치 사카모토 | 플레잉 디 오케스트라> 영화 GV에 참여했다. * [[라디오헤드]]의 [[톰 요크]]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중학교 입학 후 고전음악이 아닌 범주의 음악을 듣고 최초로 충격받았던 음악이 라디오헤드의 음악이었다고. 제일 좋아하는 곡은 라디오헤드의 1집 [[Pablo Honey]]의 트랙 [[Blow Out]]. 여담으로, 라디오헤드를 처음 접했을 때 1집에서 [[Creep]]이라는 곡이 그렇게 유명한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 2024년 10월 11일 공개되었던 KEXP 라디오 방송에서도 톰 요크를 언급한 적이 있다. * 영화 감독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로부터 예술관에 큰 영향을 받았다. 타르콥스키의 모든 장편을 감상하였으며, 동료가 선물해준 <봉인된 시간>을 심취해서 읽었다고. 이후 재번역본인 <시간의 각인>을 [[황소윤]]에게 선물받았다고 한다.[*B [[https://www.instagram.com/p/CzGr92QrNuS|출처]]] * 파스칼 키냐르 작가의 저서를 좋아한다. 특히 김한주의 가사에서 종종 활용되는 '음악 없는 세상(나라)'[* "No Pain, No Fail, '''음악 없는 세상'''[br]<[[NO PAIN]]>][* '''음악 없는 나라'''로, 죽은 분들의 세계로 [br]<[[Desert Eagle(실리카겔)|Desert Eagle]]>]이라는 표현은 파스칼 키냐르의 책 <음악 혐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외에도 <부테스>, <신비한 결속>을 인상깊게 읽었다고 한다. [*B] *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에게도 영향을 받았다. <[[Kyo181]]>은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의 샘플링 기반 노이즈를 활용한 작업에서 영향을 받은 곡이라고 한다. * [[파란노을]]의 팬임을 한국대중음악상 인터뷰와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인증함과 동시에 샤라웃 했다. 스토리에선 콜라보하고 싶다고 한건 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755385|#]] * 팟캐스트 [[김혜리의 필름클럽]]에서 죽기 전에 자신이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들의 색채가 담긴 [[오페라]]를 쓰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이미 연주자들은 기용했으며 곡만 쓰면 되는 상태라고 한다. *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모던록 부문에서 수상 받은 곡 <[[Desert Eagle(실리카겔)|Desert Eagle]]>과 <[[NO PAIN]]>이 사실 힘든 시기에 작업했던 곡이었음을 언급하며, 다음 번엔 행복하게 만든 곡이 수상 후보에 오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수상 소감을 밝힌 바 있다. * <[[NO PAIN]]>이 이전의 실리카겔의 음악보다 더욱 친절해진 곡이라는 평에 대해, '''적극적인 곡'''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한 것 같다고 언급한 적 있다. 김한주가 평소 음악과 음악 팬들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 밴드맨이라는 의식이 없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밴드맨으로서의 의식이 투철했다면 아마 지금 실리카겔의 음악은 안나왔을 것 같다고. 아무래도 평소 작업하는 음악 분야의 범주가 영화음악, 게임음악, 고전음악 등으로 넓기 때문으로 보인다. * 실리카겔 외에도 isvn games나 다양한 전시 및 공연, 영화를 비롯한 콘텐츠 음악 디렉팅, 프로듀싱, 브랜드 화보 촬영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새소년]], [[카더가든]], [[sogumm|소금]], [[파라솔(밴드)|파라솔]] 등 여러 아티스트들의 음악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새소년과의 작업은 데뷔 때부터 프로듀싱을 맡아왔을 정도로 협업이 많은 편. * 2024년 11월 2일~3일 [[Balming Tiger|바밍타이거]]의 첫 단독콘서트를 위한 밴드마스터로서 여러 준비를 함께 했다. --직접 무대에 올라 같이 춤도 췄다.[[https://youtube.com/shorts/F5mJaqdXFwE|#]]-- 2024년 12월 6일 공개된 [[피식대학]]×바밍타이거 스페셜 라이브 영상[[https://youtu.be/fkWv5ks9PFQ| ]]에서 한 곡만 1시간 동안 반복하느라 표정이 나가버리는 김한주의 모습[[https://youtu.be/5iMzK9e9JEI| ]]을 볼 수 있다. * 2024년 11월 7일~8일 [[리움미술관]] 2024 아트 스펙트럼 <드림스크린> 김무영 <미간 위 집> 전시에서 피아노 퍼포먼스로 참여했다. * 2024년 11월 30일~ 2025년 3월 16일 진행된 [[부산현대미술관]]의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시에서 오디오 가이드(전시 해설 녹음)에 참여했다. 큐피커(Qpicke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받으면 누구나 청취할 수 있다. [[https://me2.do/FEUlc1zR|앱 다운로드 후 해당 링크를 누르면 바로가기가 발동됩니다. 앱 미다운로드 시 다운로드 링크로서 기능합니다.]] * [[LMC]], [[산산기어]], 할로미늄, 나이스고스트클럽, 노티카 등 여러 브랜드에서 모델로서 촬영을 했었다. 몇몇 브랜드와는 지속적인 촬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할로미늄의 경우 시즌 음악도 제작한 적 있다. 김한주의 [[SoundCloud|사클]]을 통해 2019년 시즌 음악인 [[https://on.soundcloud.com/4pZbCLPxVBYVqJd1A|wish I had a friend like me]]를 들어볼 수 있으며, 2024년 8월 23일~ 시즌 음악은 현재 [[https://halominium.com/|할로미늄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들어볼 수 있다. [[https://cdn.shopify.com/s/files/1/0866/5166/6729/files/test.mp3?v=1724146553|음원 다운로드 링크]]도 있다. * 2025년 현재 솔로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2025년 2월 6일 명동에서 [[Apple]]이 주관하는 <Today At Apple>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하는 '쇼케이스: 김한주와 함께 시간을 거슬러 만나는 미완의 음악 기록'[[https://youtu.be/Zr5aVXrK_Y4| ]]에서 미발표곡인 솔로 앨범의 트랙을 비롯해 다양한 음악을 선공개하였다. [[https://www.apple.com/kr/today/event/spotlight-hanjoo-kim-020625/7277109937829216768/?sn=R738|신청 링크]]가 공개되고나서 20분도 채 되지 않아 신청이 선착순 마감되는 여력을 보였다. * 2025년 4월 25일 마리끌레르 영화제에서 영화 <[[해피엔드(2024)|해피 엔드]]> GV에 참여했다. * 김한주에 대한 첫 인상으로 실리카겔 멤버 김춘추가 말하길, 당시 김한주는 매우 긴 곱슬머리였다고 한다. 김한주 본인의 말에 따르면 [[MGMT]]를 따라하고 싶었다고. * 대학생 시절 멤버 [[김춘추(실리카겔)|김춘추]]의 자취방에서 --기생-- [[https://youtu.be/Q6B7vIyA01U|#]] 했다고 한다. --김춘추가 집에서 나가면 팬티만 입고 장비를 싹 깔아놓은 다음에 놀았다고.-- --게다가 김춘추를 깔고 잤다고 한다.[* [[파일:춘추를깔고자는한주.jpg]]]-- * 2024년 7월 28일 [[빠더너스]] 유튜브 채널의 오당기 컨텐츠에 출연했다.[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GBRVRSuQlrk, 크기:20)] * 으레 듣게 되는 얘기 중에 Worst Top3으로 "([[실리카 겔]] 사진을 찍어 보내며)내 손에 실리카겔 있다"와 같은 '실리카겔 드립'과 함께 "한주 두주 세주(...)", "[[일주일|한 주]]가 다 갔네"와 같은 '한주 드립'을 꼽았다. 그렇지만 그 말 자체가 진부해서 싫을 뿐 말해주는 사람의 마음은 좋은 의도였을테니 여전히 감사하게 여긴다고 덧붙였다. [[https://youtu.be/GBRVRSuQlrk&t=1240|#]] * '''소바'''라는 [[집사(동음이의어) #s-3|고양이를 키운]] 적 있다.[* [[파일:한주와소바.jpg|width=400]]] 원래는 뉴욕에 사는 지인[* [[설리]]의 친구로 알려진 적 있는 미미]의 고양이인데 김한주가 임시보호를 하게 되어 약 1년 9개월간 함께 살았다. (23.01.~24.09.) 자신의 개인 인스타 공지채널에 소바(와 같이 찍은) 사진을 꾸준히 찍어올리는 등 자신의 반려묘처럼 애지중지하며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해주었다. 2024년 10월 이후로 공지채널에 올라오는 소바 사진은 모두 예전에 미리 찍어둔 사진이라고 보면 된다. * 평소 [[iPad|아이패드]]와 작은 책 하나를 항상 가지고 다닌다. 메모하는 습관이 있기도 하고 웬만한 일들은 거의 다 아이패드로 한다고 한다. * 원래 수첩과 공책 위주로 기록생활을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아이패드와 <[[GoodNotes]] 6>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https://apps.apple.com/kr/story/id1791656660|#]] * 이 외에도 물을 많이 마시는 편이라 [[텀블러]]도 자주 챙긴다. 이때 텀블러는 물이 쏟아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뚜껑이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고.[*B] * 2023년쯤부터는 머리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자주 엉키는 일이 발생해 [[빗|꼬리빗]]이 필수 문구가 되었다고 한다.[*B] * 음원서비스 플랫폼 중에서는 [[Spotify|스포티파이]]를 사용한다. * [[애니메이션]] 덕후다. 처음에 빠지게 된 애니메이션은 [[신세기 에반게리온]]. 그렇게 애니메이션에 빠지게 된 후로는 미친듯이 보기 시작했다고. 평소에 영상이 멈추지 않는 삶을 살고 있는데 특히 애니메이션을 항상 틀어놓는 편이라고 한다. * 정확한 이유는 알려진 바 없지만,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올릴 때 'ㅠㅠ'라는 문구만 쓸 때가 많다. 여담으로 인스타 공지채널 이름도 처음 생성될 때 'ㅠㅠ'였으나 곧 🥲 [[이모지]][* 1F972, 행복해서 눈물을 흘리는 얼굴]로 바뀌었다. * 잘 먹는 것은 [[두부]] 요리와 [[냉면]]. 작업할 때는 [[참깨스틱]]과 같이 집어먹기 좋은 과자를 즐긴다고 한다. [[견과류]]도 좋아한다고. * 못 먹는 것은 [[유제품]]. 참고로 [[유당불내증]]이 있는 것은 아니고 냄새 때문에 못 먹는다고 함. [[피자]]에 든 [[모차렐라 치즈]] 정도는 먹는다고 한다. * n행시를 잘한다--좋아한다--. >'''[[Machine Boy#T|티]]'''+[[Tik Tak Tok|틱택톡]], '''나'''가 쓴 곡이여 >'''자!''' [[닻]]을 올려라... 닻은 내리는거잖아. [[돛]]을 올리는거지. 아악 망했어 >'''김'''한주가 짱이야, '''한''' 번에 모든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곤 합니다, '''주'''기는 다음 곡은 [[Kyo181]]~ >'''데'''박적인 목소리를 가졌고, '''키'''스를 부르는 입술을 가진, [[라디오헤드|'''라'''디오헤드]]의 [[톰 요크]]..!! * 노래할 때 얼굴도 사용한다고 생각하여 평소 페이스요가로 얼굴 근육을 단련한다고 한다. 특히 눈알 굴리기를 잘한다.--하지만 [[최정훈]]에게 패배를 선언했다-- [[https://youtu.be/afce464Qhjc?t=39&feature=shared| ]]. [[https://youtu.be/VB9cyPJCtok?t=156&feature=shared|APEX 뮤비]]에서도 김한주의 눈알 굴리기를 볼 수 있다. 심지어 [[https://youtu.be/CAI9wNjZvtY?t=12&feature=shared|눈알 떨기]]도 꽤 잘한다. * [[예원학교]] 3학년 때 [[서울예술고등학교]] 입학 시험을 봤지만 락 음악에 빠진 나머지 입시에 소홀해져 아쉽게도 떨어졌다고 한다. 이후 일반계 고등학교에 입학했고 1학년 때 밴드부에 들어가 차기부장 자리까지 올랐지만 1학년 2학기 개학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자퇴를 했다. * 특유의 곱상한 외모 덕분에 [[장원영]], [[무라카타 노노카]] 등을 닮았다는 주접 댓글이 많이 달리는 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김한주(실리카겔), version=510, uuid=d0646f8b-7213-4e49-808a-bf0673747a3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