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국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유럽]] === * [[노르웨이]] * [[프리드쇼프 난센]] * [[호콘 7세]] * [[러시아]]-[[소련]] * [[표트르 1세]] *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대조국전쟁]]에 기여하고 승리하여 소련의 국부 대접을 받았으나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및 [[대숙청]] 비판에 따라 일부에게 국부 취급을 받지 못한다. * [[표도르 세르게예프]]: 자치 공화국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국부로 2015년 지정되었다. [[http://novorossia.today/the-dpr-became-a-legal-successor-of-the-donetsk-krivoy-rog-republic/|#]] * [[프랑스]] * [[카롤루스 대제]]: 초대 [[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신성 로마 황제]]이자 [[카롤루스 왕조]] 2대 국왕. 서유럽의 아버지. * [[위그 카페]]: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의 시조. * [[필리프 2세]]: 오귀스트(존엄왕)이자 신이 주신 자. 각지 영주권에 의해 분열되었던 프랑스에 통일적 정체성의 기초를 닦았다. 능수능란한 정치술ㆍ외교술로 [[앙주 제국]]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가스코뉴ㆍ칼레 등을 제외한 프랑스 전역을 수복했다. [[일드프랑스]]의 지배자에 불과하던 프랑스 왕실의 왕령지를 대확장하였다. * [[샤를 7세]]: [[백년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통일 프랑스의 정체성를 강화했다. * [[루이 12세]]: 별명이 국민의 아버지. 프랑스 농민의 안녕을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각종 제도를 개혁했다. * [[나폴레옹 1세|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프랑스 민족주의를 완성한 프랑스 최초의 황제. [[나폴레옹 전쟁|전 유럽을 호령하며]] 프랑스 역사상 최전성기를 주도한 인물이다. * [[샤를 드골]]: [[자유 프랑스]]를 주도하며 [[나치 독일]]에 맞서 싸운 [[프랑스 대통령]]. [[알제리 전쟁]]으로 혼란해진 [[프랑스 제4공화국]]을 전복시키고 [[프랑스 제5공화국]]을 개창했다. 현대 프랑스 국민들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1위이다. * [[그리스]] *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 [[네덜란드]] * [[빌럼 1세(오라녀)|빌럼 1세 판 오라녀]] * [[빌럼 1세]] * [[빌헬미나 여왕]] * [[덴마크]] * [[고름 가믈리]][* 초대 [[덴마크 국왕]].] * [[독일]] * [[콘라트 아데나워]] * [[빌리 브란트]] * [[리투아니아]] * [[에밀리아 플라테르]] * [[몬테네그로]] * [[니콜라 1세]] * [[밀로 주카노비치]] * [[필리프 부야노비치]] * [[벨기에]] * [[레오폴드 1세]] * [[벨라루스]] * [[알렉산드르 슈시케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알리야 이제트고비치]] * [[불가리아]] * [[바실 레프스키]] * [[페터르 믈라데노프]] * [[세르비아]] * [[보리스 타디치]] * [[스웨덴]] * [[에이리크 6세]] * [[구스타브 1세 바사]]: 스웨덴 역사 최초의 국왕은 [[에이리크 6세]]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실질적인 의미의 근대국가로 만든 장본인은 구스타브 1세다. * [[스페인]] * [[후안 카를로스 1세]] * [[아돌포 수아레스]] * [[슬로바키아]] * [[미할 코바치]] * [[슬로베니아]] * [[밀란 쿠찬]] * [[아르메니아]] * [[레본 테르페트로샨]] * [[아일랜드]] * [[에이먼 데 벌레라]] * [[마이클 콜린스(정치인)|마이클 콜린스]] * [[아제르바이잔]]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 [[아야즈 뮈탤리보프]]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알바니아]] * [[스컨데르베우]]☆ * [[살리 베리샤]] * [[오스트리아]] * [[마리아 테레지아]] * [[우크라이나]] * [[빌헬름 프란츠 폰 합스부르크]]: 바실 비시바니(Василь Вишиваний)라는 [[우크라이나]]식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특이하게도 과거 우크라이나의 일부를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다스리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황족이라는 점 말고는 우크라이나와 아무 상관도 없는 외국의 군주 가문 출신으로서 국부로 숭앙되고 있다. 이는 그가 [[제1차 세계 대전|양차]] [[제2차 세계 대전|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에 핵심 인사로서 가담한 인물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 [[스테판 반데라]]: 우크라이나 내의 유대인, 폴란드인, 러시아인 등을 모조리 학살하는 등의 극단적인 방법이었지만 우크라이나를 우크라이나인이 절대다수인 우크라이나 민족 국가로 만드는데 지대한 공로를 세웠으며 또한 러시아와 같은 외세에 맞서 무장 투쟁을 함으로써 우크라이나를 독립국가로 만드는데 일생을 투신하였기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반러감정이 극도로 치솟음에 따라 현재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국부로 칭송받는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의 구성국이던 [[세르비아]]에서도 국부로 숭앙한다. 하지만 다른 구성국인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에서는 아니다. [[크로아티아]]는 티토가 [[크로아티아인|크로아티아계]] 혈통이었기 때문에 위대한 인물로 칭송하기는 하지만 국부로 여기지는 않는다. * [[이탈리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자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이탈리아 통일]]에 큰 공헌을 세운 [[주세페 마치니]], [[카밀로 카보우르]], [[주세페 가리발디]] 못지 않게 이탈리아 통일에 공헌하였다. 비록 사후 손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위시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후]][[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손]][[토미슬라브 2세|들]]의 막나가는 태도 때문에 [[사보이아 가문]] 자체가 욕을 먹고 있지만 1,300여 년 동안 분열되었던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한 업적 때문에 [[판테온(로마)|판테온]]에 안장된 묘지에 'Padre della Patria'(국부)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 [[주세페 가리발디]] * [[카밀로 카보우르]] * [[주세페 마치니]] * [[조지아]]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 [[체코]] * [[바츨라프 하벨]] * [[체코슬로바키아]] *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체코슬로바키아]]의 후계국인 [[체코]]와 [[슬로바키아]] 양국에서도 국부로 추앙한다.] * [[코소보]] * [[이브라힘 루고바]] * [[파트미르 세지우]] * [[크로아티아]] * [[프라뇨 투지만]] * [[튀르키예]]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폴란드]] * [[미에슈코 1세]]☆ * [[레흐 바웬사]] * [[핀란드]] * [[카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 [[헝가리]] * [[이슈트반 1세]]☆ * [[너지 임레]]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