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疾風迅雷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ffffff>{{{+3 [ruby(疾風迅雷,ruby=しっぷうじんらい)]}}}||<:>'''질풍신뢰'''|| [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곡명은 질풍신뢰[* 일본에서는 しっぷうじんらい, 싯푸진라이.]라고 읽는다. 작곡가는 KUMOKIRI 명의를 사용한 [[OSTER project]]. 곡 자체는 전체적으로 일본풍의 분위기로 점철되어 있다. == [[beatmania IIDX]] == [include(틀:Spada†leggendaria)] || 장르명 ||<-5> ORIENTAL CORE[br]오리엔탈 코어 || [[BPM]] ||<-2> 180 || || 전광판 표기 ||<-8><bgcolor=#454545> '''{{{#ff5a00,#ff5a00 LIGHTNING SPEEd}}}'''[* LEGGENDARIA가 정식 난이도로 편입되기 이전 별도의 곡으로 있었던 당시 이 표기 뒤에 ' '''LEGGENdARIA''''가 붙었다.]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2> {{{#fd067c,#f90177 LEGGENDARIA}}}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6}}} || {{{#blue,#0000ff 592}}} || {{{#orange 10}}} || {{{#orange 1078}}} || {{{#red,#ff0000 12}}} || {{{#red,#ff0000 1493}}} || {{{#fd067c,#f90177 12}}} || {{{#fd067c,#f90177 1824}}}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6}}} || {{{#blue,#0000ff 556}}} || {{{#orange 10}}} || {{{#orange 1154}}} || {{{#red,#ff0000 12}}} || {{{#red,#ff0000 1670}}} || {{{#fd067c,#f90177 12}}} || {{{#fd067c,#f90177 1764}}}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1 SPADA|21 SPADA]]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ULTIMATE MOBILE|ULTIMATE MOBILE]],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20년 5월 회원특전) * [[단위인정]] 수록 * SPH : 8단 ([[beatmania IIDX 26 Rootage|26 Rootage]]) * SPL : 우라 개전 ([[beatmania IIDX 30 RESIDENT|30 RESIDENT]]) * DPL : 우라 개전 (31 EPOLIS) 2014년 5월 1일 [[Spada†leggendaria]]로 공개된 6번째 엑스트라 전용 악곡. 대상곡은 [[Devilz Staircase]]와 [[Devilz Sacrifice -贖罪の羊-]] 2곡이다. 곡명에 †LEGGENDARIA 표시가 사라진 HEROIC VERSE 이전까지는 곡명 끝에 붙는 †LEGGENDARIA에 맞추기 위함인지 통상 채보와 레겐다리아 채보의 타이틀의 폰트가 달랐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B)]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C)] [youtube(6AoExvkYj8Q)] 싱글 어나더 영상 어나더는 채보는 말 그대로 계단 그 자체. 중간에 길게 나오는 축연타 구간을 말리지 않도록 유의해야한다.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S+)]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S+)] [youtube(-s70djBRybs)] 싱글 레전더리아 영상 2014년 9월 24일 업데이트를 통해 SPL 채보가 추가되었다. 전례가 없는 스크 복합 발광과 24비트 초발광을 쏟아내어 매우 흉악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스크래치 갯수가 총 231개로 지력 S+에 위치한 채보 중에서 가장 스크래치의 비중이 높다. 중간의 불규칙한 스크래치 연사와 긴 계단이 나오는 구간과 24비트 발광 구간 진입 전 지속적인 스크래치 견제와 6연타 구간이 대단히 어렵다. 이 부분에서 최대한 게이지를 까이지 않아야 24비트 발광 구간을 버틸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이 24비트 발광 구간의 순간 노트 밀도는 '''38.25/s'''로, [[冥(BEMANI 시리즈)|冥]]의 36.80/s를 갱신하였다.[* 거의 동급으로 평가받는 곡인 [[Mare Nectaris]]의 최후반 순간밀도가 35.20/s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정말 끔찍한 밀도. 사족으로 IIDX 역대 순간밀도 1위는 [[MENDES|46.25/s]].] 게다가 이 구간을 넘기더라도 게이지를 회복할 수 있는 구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마지막의 스크래치 + 3연타 구간에서 객사할 수 있는 위험이 크니 방심은 금물이다. [[Sigmund]] SPL을 하드 클리어한 플레이어가 초견 이지게이지로도 게이지가 바닥이 났다던가, 당일 오후 5시까지도 '''클리어레이트가 0%'''라는 보고가 올라오기도 했다. 하드클리어 기준으로 같이 나온 [[Verflucht]] SPL 마저 뛰어넘으며 심지어 [[卑弥呼]], [[冥(BEMANI 시리즈)|冥]]을 위협하는 수준의 난이도이지만, 채보의 질에 대한 논란이 많은데, 스크래치에 킥베이스를 할당한 Verflucht SPL와 마찬가지로 북 소리를 스크래치에 넣어놓았다. 이런 이유로 어떻게든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무리한 스크래치 배치를 하였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후반의 24비트 발광 구간이 워낙 말도 안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당히 많은 욕을 먹었다. [[MENDES]] 흑 어나더와 같이 '''"억지 채보로 보스곡을 갈아버리는 시도를 하는 것은 솔직히 무리 아닌가."''', '''"IIDX가 점점 [[발광 BMS]]화 되어가고 있다."''' 등의 악평이 대부분. [[copula]]를 기점으로 한국에서도 레겐다리아 패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자 유저들 사이에서는 아무래도 冥보다 어려운 것 같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 더블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더블/12레벨 노말 게이지/비공식 난이도 12.4)] [youtube(MAVVW9Zp8L8)] 더블 어나더 영상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더블/12레벨 노말 게이지/비공식 난이도 12.6)] [youtube(O6EopANJcPs)] 더블 레전더리아 영상 더블 레전더리아는 잘 언급은 되지 않지만, 절륜한 계단 발광을 갖춘 초고난이도 채보. 비공식 난이도 평가는 [[Verflucht]] LEGGENDARIA와 함께 12.6으로 책정되었다. 패턴이 빼곡하게 뭉쳐있는 싱글과 달리 적당하게 양손에 분할해놓은 채보로 계단에 강하다면 비교적 12.6 내에서도 일찍 클리어할 수 있는 채보다.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KUMOKIRI 처음 뵙겠소이다, 난...쿠모키리(蜘蛛切)요. (퐈솨아아 좋아하는 곤충은 그렇지... 거미는 어느 쪽이 좋냐하신다면 싫다네. [[꼽등이]]도 그 폼이 보기엔 역겹다오. 등골이 서늘해지는 걸 느낀다오... 히익...! 그렇지, 굳이 말한다면 딸기 파르페가 좋구려. 그건 좋은 물건이지... 그렇지, 악곡 소개였구려... 이 악곡은 극동의 전통적인 음악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젊은이가 즐기는 그루브를 믹스쳐해 본 걸세. 그리고, 질풍신뢰(疾風迅雷)라는 것으은... 휘몰아치는 바람... 울려퍼지는 천둥... 그래, 즉 정말 빠르지... 그런데, 이 곡의 BPM은 180... 빠르다면 빠르지만... 정말 빠를 정도라오... 라고 방심했더니 [[역보더]] [[폭사|떴다]]... 의미를 모르겠네... 이젠 진짜 무리... [[Shut up and take my money!|파세리 먹어라]]...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