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小緋縅
(r4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1 [ruby(小, ruby=こ)][ruby(緋, ruby=ひ)][ruby(縅, ruby=おどし)]}}} '''쐐기풀나비''' [목차] ||<-2><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zcUf1H82KM)]}}}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LIBERTY 3 (2025)}}} || || {{{-1 '''장르'''}}} ||{{{-1 Oriental Progressive}}} || || {{{-1 '''BPM'''}}} ||{{{-1 156}}} || || {{{-1 '''작곡'''}}} ||{{{-1 [[Ice(작곡가)|Ice]] / [[technoplanet]]}}} || || {{{-1 '''BGA'''}}} ||{{{-1 김라돈 (KIMLADON)}}} || == 개요 == [[Ice(작곡가)|Ice]]와 [[technoplanet]]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Rhapsody for The VEndetta]] 이후 2년만에 선보이는 Ice의 신곡이자, technoplanet의 첫 DJMAX 시리즈 데뷔곡으로 화제를 모았다. 제목은 '''코히오도시'''라고 읽으며, 일본어로 '''쐐기풀나비'''[* 학명 ''Aglais urticae''. 중앙아시아와 한중일을 포함한 동아시아 일대에 서식한다. 한반도에서는 함경도와 평안남북도, 강원도 일부 지역에 서식하나,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적어 자료가 많지 않다.]를 뜻한다.[* 여담이지만 DJMAX RESPECT V 내에서 유일무이한 한자 제목이다 보니 곡 제목 정렬 시 맨 앞에 온다.] DJMAX에서는 보통 작곡가 간의 콜라보레이션 수록곡이 수록될 경우 작곡가 명의를 '작곡가 × 작곡가'로 표기하는 편인데, 특이하게도 해당 곡은 오리지널 수록곡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리듬 게임]] 계에서 임팩트를 줄 때 주로 사용하는 명의 형식 표기인 '작곡가 '''vs''' 작곡가'의 형식으로 표기되었다. 더불어 프리뷰에서 보여준 높은 BPM으로 몰아치는 오리엔탈 사운드를 통해, 해당 곡을 이번 DLC의 보스곡으로 예측하는 반응도 있는 편. BGA에 나비가 등장하는 다른 곡인 [[PUPA]]와 엮어서 [[북극곰은 사람을 찢어|사람 찢는 나비]] 드립도 간간이 보인다. 실제로 곡 전체가 공개되자 Ice 특유의 변박과 technoplanet의 피아노 속주가 돋보여 고난이도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 BGA == BGA는 [[Like a Fool]]부터 최근작인 [[Delusion]]까지, DJMAX에서 늘 좋은 비주얼을 보여주고 있는 KIMLADON이 담당했다. 기존 김라돈이 담당했던 BGA들은 모두 파란색 계열의 색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번 BGA에는 제목에 맞추어[* 쐐기풀나비는 [[https://nature-green-eco.tistory.com/318|선명한 주황색 빛깔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주황색 계열의 색이 주로 사용된 것이 특징. BGA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에게는 색깔에 맞추어 [[주딱]]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Petunia]]에 나오는 여캐는 [[파딱]]이라는 별명이 붙여진 건 덤--[* BGA를 담당한 김라돈도 이를 알고 있는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jmaxrespect&no=1186283|디맥갤에 올린 후기]]에 따로 [[Petunia]]의 여캐와 이 곡의 여캐가 같이 있는 그림을 공개했다.] 작곡가 중 한 명인 [[Ice(작곡가)|Ice]]의 [[쇼타콘|취향]] 때문에 [[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여자일 리 없잖아|사실은 남자 아니냐는 드립]]도 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FBA3F><nopad> {{{#!wiki style="margin-bottom: -1px" [[파일:코히오도시축전.webp|width=100%]]}}} || ||<bgcolor=#FF6416> [[https://x.com/DJMAX_global/status/1935567316328350154|{{{#fff KIMLADON의 축전}}}]] || 미려한 BGA와 Ice와 technoplanet이라는 라인업 덕분에 많은 기대를 사고 있었으며, 이를 증명하듯 V LIBERTY 3 DLC 곡 선공개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LIBERTY 3)] ||<|2><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cd3658,#cd3658><bgcolor=#97253f,#97253f><nopad> [[파일:小緋縅 (kohiodoshi)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cd3658 0% 45%, transparent 45% 49%, #cd3658 49% 59%, transparent 59% 65%, #fe6c7a 65% 76%, transparent 76% 82%, #ff8391 82% 93%, transparent 93%), linear-gradient(-154deg, transparent 0% 10%, #e6455c 10% 20%, transparent 20% 26%, #b12d47 26% 36%, transparent 36% 42%, #97253f 42% 52%, transparent 52% 56%, #97253f 56% 64%, transparent 64% 73%)" '''{{{#fff,#fff V LIBERTY 3}}}'''}}} || ||<-4>'''{{{+5 小緋縅}}} {{{+1 (kohiodoshi)}}}''' || ||<rowbgcolor=#fe6c7a,#fe6c7a><rowcolor=#3f2546,#3f2546><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cd3658><colcolor=#fcbcc3>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9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11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410}}}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5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68}}}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50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6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9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67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90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346}}}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83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color:#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4deg, #ff8391 0% 7%, #cd3658 7% 12%, #fe6c7a 12% 20%, #cd3658 20% 100%)" {{{-3 {{{#fff,#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R4ILfc5lzAc)] ||<nopad> [youtube(Ae3ik8xD-t4)]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4bXScPkXelU)] ||<nopad> [youtube(fReB8scBQyw)] || === 5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pnB-DDzp3ws)] ||<nopad> [youtube(sH4vcXVC0Xs)]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AYJq6t2ROWI)] ||<nopad> [youtube(jRzuftoYsPQ)] || === 6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gF5aJAJIcOQ)] ||<nopad> [youtube(BisOxnBnL1w)]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dRNjHnmFOEs)] ||<nopad> [youtube(L0E4tMSDBOQ)] || === 8B TUNES === ||<tablecolor=#fcbcc3> NM || HD || ||<rowbgcolor=#cd3658><table bordercolor=#c83657,#c83657><table bgcolor=#cd3658,#cd3658><nopad> [youtube(2gDfVGDEsVM)] ||<nopad> [youtube(8NmuDvyU81Q)] || || MX || '''SC''' || ||<rowbgcolor=#cd3658><nopad> [youtube(2d3IN6OS4yg)] ||<nopad> [youtube(rOKfiUZBWls)] || 8키 SC는 치는맛은 좋다는 의견이 많으나 초반 밀도있는 트리거 롱잡, 난해한 박자와 정박을 따르지 않는 트리거 등으로 인해 13정렙의 불렙으로 평가받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DJMAX RESPECT V/미스 BGA)]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小緋縅, version=54, uuid=465982fa-b63e-4dfd-97d8-65b561e3b9e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