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비교)
r21 vs r22 | ||
---|---|---|
... | ... | |
37 | 37 | A &= \{x_1, x_2, x_3, \dots, x_n\} \\ |
38 | 38 | B &= \{x_1, x_2, x_3, \dots\} \\ |
39 | 39 | \end{aligned})]|| |
40 | ||
41 | 아까 설명한 조건제시법도 자주 쓴다. 보통 [math(\mid)]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으로 나뉘는데, 왼쪽은 집합에 들어가는 부분, 오른쪽은 만족해야 하는 조건으로 외우면 된다. 예를 들어 |
|
42 | ||
43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math(A = \{x \mid \text{$x$가 소수}\})]|| |
|
44 | ||
45 | 라면 [math(A)]에는 [[소수]]만 들어가게 된다. 또 다른 예시로 |
|
46 | ||
47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math(B = \{2^x \mid \text{$x$가 자연수}\})]|| |
|
48 | ||
49 | 라면? [math(B)]에는 [[2의 거듭제곱]]이 들어가게 된다. 그냥 자연수가 들어가는 게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