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비교)
r20 vs r21 | ||
---|---|---|
... | ... | |
30 | 30 | 집합 하나 쓰는데 앞서 한 것처럼 장황하게 썼다간 뒷목 잡고 객사할 위험이 있어 보통 내용이 짧거나 간단한 경우는 중괄호 안에 원소를 하나씩 나열한다. 이걸 원소나열법이라고 한다. |
31 | 31 | |
32 | 32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math(A = \{x, y, z\})]|| |
33 | ||
34 | 물론 엄밀한 건 아니지만 대충 알아들을 수 있을 때 [math(\dots)] 같은 야매 표기를 사용해 내용을 줄일 수 있다. 가끔 엄밀하지 않다는 이유로 교과서에서 이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 알려주는 경우도 있는데, 졸라 많이 쓴다. 익숙해져라. 저렇게 쓰면 보통 위에건 유한집합, 아래건 무한집합이라는 뜻이다. |
|
35 | ||
36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math(\begin{aligned} |
|
37 | A &= \{x_1, x_2, x_3, \dots, x_n\} \\ |
|
38 | B &= \{x_1, x_2, x_3, \dots\} \\ |
|
39 | \end{align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