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r2 Blame)

r2
r2
1[[분류:떡밥위키 학문 프로젝트]][[분류:기계공학]]
r1

(새 문서)
2
3[목차]
4[clearfix]
5
6== 개요 ==
7{{{+1 機械工學 / Mechanical Engineering}}}
8
9기계공학은 에너지, 힘, 열, 물질의 운동과 이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분석·설계·제조·유지보수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고체 및 유체 역학, 열역학, 재료과학, 동역학, 제어공학 등을 바탕으로 기계, 장비, 구조물 및 열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계공학은 제조업, 자동차, 항공우주, 에너지, 로봇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을 제공한다.
10
11== 이름에 관하여 ==
12‘기계공학’이라는 번역은 Mechanical Engineering의 표면적 의미에서 'machine(기계)'를 중심으로 옮긴 것이지만, 실제 이 용어의 어원은 '''mechanics(역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힘, 운동, 에너지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물리 시스템 전체를 다루는 공학이다. 따라서 정확히는 ‘역학공학’ 또는 ‘물리기반 공학’에 가까운 개념이며, 단순히 기계를 설계하거나 조작하는 기술에 한정되는 분야가 아니다.
13
14== 분과 ==
15=== 응용 수학 ===
16>공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 이론과 수치적 방법에 초점
17 * 공업수학
18 * 선형대수
19 * 수치해석
20 * 유한요소법 (FEM)
21 * 최적설계
22 * 신뢰성공학
23
24=== 응용 물리학 ===
25>힘, 에너지, 유동, 열 등 물리적 개념을 다루는 중심 분야
26 * 열역학
27 * 열전달
28 * 열유체
29 * 유체역학
30 * 유체기계
31 * 기체역학
32 * 공기역학
33 * 고체역학
34 * 동역학
35 * 진동학
36 * 정역학
37 * 탄성역학
38 * 마찰학 (Tribology)
39 * 트라이볼로지 (마찰·마모)
40 * 냉동공학
41 * 복합재료
42 * 소음진동
43
44=== 사용 목적 및 설계 대상 기반 ===
45>실용적 기계 설계, 제작, 운영, 제어 목적
46 * 기계설계
47 * 기계요소설계
48 * 기구학
49 * 제조공학
50 * 가공공정
51 * 소성가공
52 * 공정자동화
53 * 구조해석
54 * 제어공학
55 * 시스템제어
56 * 자동제어
57 * 메카트로닉스
58
59== 관련 학과 ==
60 * 기계공학과
61 * 기계설계공학과
62 * 기계시스템공학과
63 * 기계자동차공학과
64 * 기계정보공학과
65 * 기계항공공학과
66 * 로봇공학과
67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68 * 에너지기계공학과
69 * 자동차공학과
70 * 재료공학과
71 * 조선해양공학과
72 * 항공우주공학과
73
74== 여담 ==
75 * 과거부터 취업률 3대장 '''전화기'''[* 전자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의 앞 글자를 딴 말]라 불렸으나, 정보화 시대와 제4차 산업혁명으로 AI 분야가 대두되면서, 그 위상은 점점 퇴색되고 있는 분류 중 하나이다.
76 * 학문 이름에 '기계'가 있으나, 위에서 언급 한 것처럼 '역학'을 위주로 학습한다. 이로 인해 실제로 응용기계를 만지는 학습은 손에 꼽는다.
77 * 전통적으로 수학과 물리에 강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편이며, 공업수학과 동역학, 열역학 등 '''4대 역학'''에서 진입장벽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78 * 졸업 이후 진출 분야가 넓어, 진로 방향은 설계, 해석, 제어, 생산, 연구개발 등으로 다양하게 갈린다.
79 * 다만, 특정 분야(예: 열유체, 진동, 유한요소해석 등)는 학부 수준에서 수행 가능한 일자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학원 진학이 사실상 필수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