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r2 Blame)
r2 | ||
---|---|---|
r1 (새 문서) | 1 | [목차] |
r2 | 2 | == 개요 == |
r1 (새 문서) | 3 | 한자문화권에서 유명한 일화에서 유래된 관용적인 표현. |
4 | 이 고사성어의 의미를 알기 위해선 한자의 뜻만으로는 알 수 없고 유래가 된 고사를 알아야 한다. | |
5 | ||
6 | 사자성어랑 헷갈리기 쉬우나 사자성어는 4글자로 된 한자어를 뜻하는 것. | |
7 | ||
8 | 예를 들어 | |
9 | ||
10 | * 삼고초려, 읍참마속: 고사성어이자 사자성어다. | |
11 | * 배수진, 백안시: 고사성어는 맞지만 사자성어가 아니다. | |
12 | * 자수성가: 사자성어는 맞지만 고사성어가 아니다. | |
13 | * 내로남불, 복세편살: 애초에 한자어가 아닌 단순한 4글자 줄임말이기 때문에 고사성어도 사자성어도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