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타치온(r2 Blame)
r2 | ||
---|---|---|
r2 | 1 | [[분류:식품]] |
2 | [clearfix] | |
3 | [목차] | |
4 | == 개요 == | |
5 | '''γ-glutamyl-cysteinyl-glycine''' | |
6 | 항산화제의 일종으로, 삼합성 트리펩타이드이다. | |
7 | ||
8 | == 약리학 == | |
9 | 글루타치온은 활성산소종[* ROS, Reactive Oxygen Species] 및 활성질소종[* RNS, Reactive Nitrogen Species)을 직접 소거한다. | |
10 | ||
11 | 주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
12 | ||
13 | === 활성산소 제거 === | |
14 | 활성산소를 제거할 때의 기본 반응식. ROOH는 유기 과산화물이며, GSSG는 산화형 글루타치온이다. | |
15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2 \mathrm{GSH} + \mathrm{ROOH} \longrightarrow \mathrm{GSSG} + \mathrm{ROH} + \mathrm{H_2O})]|| | |
16 | ||
17 | === GSSG 환원 === | |
18 | GSSG를 NADPH를 소모하여 환원하는 반응. | |
19 | ||
20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mathrm{GSSG} + \mathrm{NADPH} + \mathrm{H^+} \longrightarrow 2, \mathrm{GSH} + \mathrm{NADP^+})]|| | |
21 | ||
22 | === 해독 작용 === | |
23 | 전자부족성 독성물질(Electrophile, 𝐸^^+^^)과 GSH가 결합하여 해독 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 GS-E는 글루타치온 접합체(GSH conjugate)이다. | |
24 | ||
25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mathrm{GSH} + E^+ \longrightarrow \mathrm{GS\text{-}E})]|| | |
26 | ||
27 | === 단백질 S-글루타치온화 반응 === | |
28 | 산화 스트레스 하에서 Protein-SH가 글루타치온과 반응하여 보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 |
29 | ||
30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mathrm{Protein\text{-}SH} + \mathrm{GSH} \longrightarrow \mathrm{Protein\text{-}SSG})]|| | |
31 | ||
32 | == 여담 == | |
r1 (새 문서) | 33 | 유튜버 동공이 약사가 이 성분을 추천해준 것이 발음이 '''글루따띠온''' 같아서 유명해졌다. |
r2 | 34 | 뭐하는 성분인진 잘 모르겠으나, 박카스 비슷한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