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1. ==== ==== ==== ====[편집]


일단 문서 하나를 생성해보았다.
ACL 관련하여 내가 제어할 수 있는 건 없는 것 같다.
제목도 수정이 불가능한 것 같다. 다른 걸로 할 걸.

앞으로 이 문서를 작성할 예정이다.
무슨 내용으로 채워나갈지는 나도 모르겠다.

연습용으로 쓰라고 만든 위키지만,
나는 나만의 목적으로 이 위키를 이용할 것이다.

현재 이 문서를 무엇으로 이용할지 조차 갈피를 잡지 못한 상태이다.
일단 이 문서는 메모장 느낌으로 이용하는 방향이 될 것 같다.

당장은 일기장 마냥 느끼는 생각을 적어놓는 게 전부지만.

2. ==== ==== ==== ====[편집]


스마트폰을 내려두고 침대에서 일어나 노트북을 켰다.

이 위키를 이용하여 문서에 어떤 글을 작성할 지 생각해보다가,
곧 아래와 같은 의문이 점진적으로 들기 시작하였다.

떡밥위키는 어느 정도의 진중함을 가지고 만든 위키일까?
잠깐의 유흥으로 만들어진 위키라는 생각이 든 순간부터 지워지지 않는 의문이다.

내가 아무리 이 문서를 작성한다 하여도, 그것이 먼 이후까지 보존되어 있을 것이란 보장은 없다.
나는 이 문서의 영속성이 존재하기를 바라지만, 이 위키에 대한 어떠한 신뢰도 가지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당연한 논리이다. 위키에 대한 신뢰를 가지지 못하고 불안해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 이 위키가 운영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운영자가 운영에 대해 가지는 의욕이나 경향을 판단할 수 없음.

쉽게 어떤 인간이 무슨 목적을 가지고 만들었고 어느 정도의 책임을 가지고 운영하는 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사실 목적 자체는 위키를 작성하는 연습장으로 쓰라는 명분이 내세워져 있지만, 이 마저도 온전히 믿지는 못하고 있다.

점점 운영과 관리에 흥미를 잃고 이 위키가 통제를 벗어나는 상황 또는 존재 이의가 없는 상황이 오게 된다면,
운영자가 보일 아주 효율적인 대처는 바로 위키의 폐쇄일 것이다. 나는 그런 상황을 앞서서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을 작성하는 현 시점은 새벽이다. 피곤한 머리를 가지고 생각을 하려니 나 혼자의 욕심이 앞서는 것은 아닐까.
실제로 나의 이런 생각을 위키 운영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던 간에, 괜한 부담으로 다가갈 수 있는 부분이 되진 않을까.

일단 나만의 해결책은 문서를 작성함과 동시에 나만의 아카이브를 따로 저장해두는 것이다.
이 문서가 언젠가 사라지더라도 나에게 모든 내용이 남아있도록 말이다. 그럼 더 이상 타인이 부담을 가질 일은 없으니.

그렇게 생각하고 나니 가장 큰 변수를 마주하였다. 그건 바로 내 자신이 이 위키에 대해 가지는 흥미이다.
결국 나라는 인간도 다를 건 없다. 내가 흥미를 잃어버린다면 지금 이 모든 생각이 무슨 의미를 가지리.

이 걱정은 미래의 나에게 넘기기로 하고, 난 이만 생각을 마치기로 하였다.

==== ==== ==== ==== ==== ===

이 문서에 무슨 내용을 작성할 지 정했다.

현재 취미로 만들고 있는 토이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코드를 해설하는 내용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 위키는 문서를 어떻게 작성하는 지 연습하고 위키 엔진의 다양한 시스템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만들었다.
그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위키에 대한 시스템과 마크다운 문법을 배워갈 것이다.

현재 만들고 있는 프로젝트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아주 큰 정수 타입을 다룰 때 이용하기 위해 Bigint(Big Integer)라 불리우는 객체가 존재한다.
이러한 Bigint의 특징은 시스템의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무한에 가까운 정수를 다룰 수 있다는 점이다.
나중에 관련하여 임의 정밀도(Arbitrary Precision)에 대한 개념도 이 문서에 정리해볼 예정이다.

흔히 Python이라는 언어의 정수 타입이 Bigint라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그렇게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Python의 Bigint는 정말 큰 수를 다룰 수 있을 지 언정, 진정한 의미에서 임의 정밀도를 구현하지는 못했다.
엄밀히 따지면 Pyhton은 최대 효율을 끌어내기 위해 임의 정밀도를 일부로 구현하지 않은 느낌이라 못한 것은 아니다.

아무튼 이러한 Bigint 객체를 통해 임의 정밀도를 구현하고 무한에 가까운 정수를 연산 가능하게 만든 다음,
정보 이론에서 정의된 정보 엔트로피의 한계까지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할 수 있는 알고리듬인
산술 부호화(Arithmetic Code)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예정이다. 허프먼 부호화(Huffman Code)는 다루지 않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위키 문서에 부합하도록 작성하는 것이 나의 목표가 되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