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1. 개요2. 배경3. VRChat과 버튜버의 일반적 관계4. 아바타 저작권 논란과 뚜따5. 커뮤니티 반응 및 갈등
5.1. VRChat 원주민의 반발5.2. 우왁굳 팬덤 내부의 이질화5.3. 네트워크 확장과 커뮤니티 붕괴
6. 결론

1. 개요[편집]

본 문서는 VR챗이랑 이세돌 관계 버튜버=이세돌알고싶음 토론에서 발생한 집단연구를 정리하였다.

2. 배경[편집]

이세돌우왁굳의 공개 오디션 컨텐츠를 통해 선발된 버추얼 방송인 그룹으로, 방송 초창기부터 VRChat을 주요 무대로 삼은 점에서 여타 버튜버 그룹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이들은 VRChat 기반의 3D 아바타를 활용한 컨텐츠로 활동을 시작하였고, 현재까지도 이를 유지하고 있다.

우왁굳은 콘텐츠 기획의 다양화를 위해 VRChat을 도입하여 시청자 참여형 방송을 시작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고정 멤버라는 개념을 정착시켰다.

이후 이세돌 오디션을 VRChat 기반으로 진행하면서, 해당 플랫폼은 이세돌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당시 활용된 아바타 중 상당수는 VRChat 내 커스터마이즈용 프리셋을 기반으로 수정(뚜따)한 모델들이었다.

3. VRChat과 버튜버의 일반적 관계[편집]

일반적으로 버튜버(VTuber)는 Live2D 기반 혹은 Unity 기반 자체 모델링을 통한 독립 아바타를 사용한다.

VRChat은 버튜버 플랫폼이 아니며, 버튜버의 모션캡처 활용과는 원리 및 목적이 다르다.

VRChat은 메타버스 및 아바타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이며, 트래킹 기능은 있지만 트래킹 정확도, 방송 용도 아바타 디자인, 저작권 한계 등으로 인해 고급 방송용 플랫폼으로는 선호되지 않는다.[1]

따라서 이세돌이 VRChat 기반으로 활동을 시작한 사례는 극히 이례적이며, 이는 초기 팬덤에게 신선함과 동시에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4. 아바타 저작권 논란과 뚜따[편집]

이세돌 멤버 상당수의 아바타는 Booth 등에서 구매 가능한 프리셋 아바타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뚜따' 방식으로 제작되었다.[2]

이는 아바타 원작자의 저작권 및 라이선스 조건에 따라 상업 활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작자와의 분쟁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예컨대, 고세구 아바타는 "Mint"라는 캐릭터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는 상업 이용이 가능한 라이선스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부 아바타는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또한 해외 사례에서는 filian이라는 버튜버가 VRChat 기반 아바타를 방송 활동에 활용하고 넨도로이드까지 출시할 계획이 잡혔으나 넨도로이드 발매 직전 모델 원작자 제재로 발매가 무산되기도 했다. #

5. 커뮤니티 반응 및 갈등[편집]

5.1. VRChat 원주민의 반발[편집]

VRChat 원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이세돌 및 우왁굳 콘텐츠 유입에 대한 반감이 존재하였다.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아바타의 상업적 전용 (VRChat은 일반적으로 비상업적, 창작 중심 커뮤니티 기반이 강함)
  • 유입층의 문화적 이해 부족 및 커뮤니티 규칙 무시
  • 기존 아바타 사용자의 정체성 훼손 및 짭세돌 낙인 현상

5.2. 우왁굳 팬덤 내부의 이질화[편집]

이세돌의 VRChat 기반 활동은 팬덤 내부의 자아의탁 현상을 유발하였고, 이는 기존 우왁굳 팬덤의 정체성과 충돌하였다.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의 기원 역시 이 과정에서 형성된 갈등이 중심이며, 해당 커뮤니티의 팬덤은 점차 고립적·배타적 성향을 띠게 되었다.

5.3. 네트워크 확장과 커뮤니티 붕괴[편집]

이세돌은 초기에는 메타버스 기반 컨텐츠의 새로운 시도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과잉 동일시, 아바타 저작권 무시, 커뮤니티 침공 등의 요인이 누적되며 원 커뮤니티의 구조적 갈등을 초래하였다.

6. 결론[편집]

이세돌과 VRChat의 관계는 단순한 아바타 활용의 문제를 넘어, 디지털 커뮤니티 간의 경계, 창작물의 소유와 사용, 그리고 팬덤 정체성의 갈등이라는 복합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1] 실제 일본권, 영어권 상위권 버튜버들은 VRChat 기반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2] ‘뚜따’는 프리셋 아바타를 개조하여 외형은 유사하지만 독립된 오리지널 아바타가 아닌 형태로 만드는 행위.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