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스텔라이브
(r32로 되돌리기)
닫기
[[분류:스텔라이브]][[분류:한국어 버츄얼 유튜버 그룹]][[분류:치지직/크루]][[분류: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분류:2023년 설립]][[분류:강지]]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스텔라이브)] [include(틀:스텔라이브)]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475691,#475691><tablebgcolor=#222945,#222945><nopad> [[파일:스텔라이브 봄빛 데이트 팝업 일러스트.jpg|width=100%]] || ||<color=#d3ddff,#d3ddff> {{{-1 [[유즈하 리코|{{{#d3ddff,#d3ddff '''리코'''}}}]] · [[텐코 시부키|{{{#d3ddff,#d3ddff '''시부키'''}}}]] · [[아오쿠모 린|{{{#d3ddff,#d3ddff '''린'''}}}]] · [[하나코 나나|{{{#d3ddff,#d3ddff '''나나'''}}}]][br][[네네코 마시로|{{{#d3ddff,#d3ddff '''마시로'''}}}]] · [[시라유키 히나|{{{#d3ddff,#d3ddff '''히나'''}}}]] · [[아야츠노 유니|{{{#d3ddff,#d3ddff '''유니'''}}}]] · [[아라하시 타비|{{{#d3ddff,#d3ddff '''타비'''}}}]] · [[아카네 리제|{{{#d3ddff,#d3ddff '''리제'''}}}]]}}} ||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7987e0,#7987e0><colcolor=#fff,#fff> {{{+2 '''스텔라이브'''}}}[br]StelLive || ||<-2><nopad>[[파일:스텔라이브로고_배경.png|width=100%]]|| ||<width=100><colkeepall> '''법인명''' ||(주)스텔라이브||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설립일''' ||[[2023년]] [[4월 27일]][* 법인 설립일과 별개로 그룹 창설 기념일은 2022년 12월 28일이다.[[https://cafe.naver.com/tteokbokk1/696495|#]]] {{{-2 ([age(2023-04-27)]주년)}}}|| || '''모기업'''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Brave group|브레이브 그룹]][* 일본의 IP 프로덕션 기업. 2025년 7월 16일 스텔라이브가 브레이브 그룹에 인수합병되었다고 발표했다.[[https://cafe.naver.com/tteokbokk1/826851|#]]]|| || '''대표'''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987e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75em, 글자색=#fff, 내용=CEO)] [[강지|정도현]]|| || '''팬덤''' ||[include(틀:팬덤, 문서=스텔라이브, 앵커=팬덤, 팬덤명=파스텔, 배경색=#7987e0, 글자색=#fff)]|| || '''직원 수''' ||20명^^(2025년 5월)^^|| || '''업종명''' ||대중문화예술기획업|| || '''기업 규모''' ||[[중소기업]]||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링크''' ||[[https://stellive.me|[[파일:스텔라이브.svg|width=20]]]]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채널=channel/UC2b4WRE5BZ6SIUWBeJU8rwg)]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StelLive_kr, 크기=20)] | [[https://cafe.naver.com/tteokbokk1/|[[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 [[https://fanding.kr/@stellive|[[파일:팬딩 아이콘.pn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officialstelliv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7987e0,#7987e0> ||{{{#!wiki style="margin: 10px" 스텔라이브(StelLive)는 다양한 개성을 가진 VTuber를 모아 서로를 더욱 빛나게 하고,[br]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콘텐츠 제작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회사입니다.[br]빛나는 아티스트들과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단조로운 일상 속에 변화를 주고 삶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것,[br]새로운 세계에서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모토입니다.}}} ---- {{{#!wiki style="margin: 4px" 스텔라이브 공식 홈페이지}}} || 대한민국의 기업형 여성 [[버츄얼 유튜버]] 그룹. == 설립 배경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nopad>[youtube(9lrJdfmZKKY)]|| ||<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사전 소개 영상''' || 대표 정도현은 [[강지]]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인]]으로, 본인의 방송에서 [[홀로라이브]]의 [[시로가네 노엘]]이 [[오시(일본어)|오시]]라고 밝히거나, 직접 버튜버 활동을 하는 등 전부터 버츄얼 유튜버에 관심을 보여 왔다. 이런 관심 끝에 강지는 2021년 11월 해외 시장을 겨냥한 버츄얼 유튜버 기업 [[유메퍼센트]]를 설립했다. 2010년대 후반~2021년 당시 한국 인방계엔 버튜버 문화가 아직 생소했고, 무엇보다 [[듀라한(속어)|자캐만 띄우고 방송하는 노캠 방송]]에 부정적인 인식이 짙었기 때문에 비슷한 이유로 버튜버 또한 그리 환영받지 못하던 상황이었다. 이러다 보니 강지의 버튜버 활동도 시청자들의 호불호가 심하게 갈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유메퍼센트는 대표인 강지의 방송에서조차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을 정도로 해외 시청자층 공략에 철저히 집중했다. 종종 합방하던 버튜버 [[나비(일러스트레이터)|나비]], [[아리스 마나]]가 일찍부터 한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방송과 해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방송을 분리해 운영하며 해외에서 성공한 것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익 분배, 방송 시간과 활동 방향, 버튜버에게 제공할 지원 등 여러 면에서 소속 버튜버와 의견 차이로 인해 결국 유메퍼센트는 설립된 지 약 1년 만에 해산됐다.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9|#]] 이때 강지는 충격을 받고 술에 찌든 반폐인이 되었고 가족력인 고지혈증까지 겹치면서 건강 또한 극도로 나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강지는 버튜버 사업을 포기하지 않았고, 유메퍼센트 B기생 출신인 [[아이리 칸나]], [[아야츠노 유니]]와 재계약하여 한국 활동을 목적으로 소규모로나마 '스텔라이브'라는 이름 하에 버튜버 그룹을 다시 조직하게 된다. [[https://www.buildu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0|#]] == 소속 멤버 == === 1기생 미스틱(Mystic) === 이들은 모두 유메퍼센트 B기생 출신이며, 다시 데뷔했지만 유메퍼센트 시절의 모델과 일부 설정[* 명예 100%, 순수 100% 같은 유메퍼센트 세계관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한 기타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2023년 1월 4일 강지의 방송에서 먼저 등장한 이후 1월 7일/8일에 순차적으로 정식 데뷔했다. 과거 유메퍼센트를 접을 때 다른 유메퍼센트 소속 버튜버들은 '졸업'이라고 공지됐던 반면 칸나와 유니는 '일본에서의 활동 종료'라는 애매한 표현으로 끝냈기 때문에 타국에서 활동을 이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많았는데, 당시에 이미 스텔라이브를 염두에 두고 재계약한 것임이 나중에 밝혀졌다. * 2024년 12월 2일, 아이리 칸나가 [[https://youtu.be/WUz8HCi5dyU|'AIRI KANNA LAST CONCERT 「The finale」']]를 마지막으로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하였다.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373584,#373584> || ||<width=120px><nopad>[[파일:아이리 칸나.jpg|width=100%]]||{{{+1 '''[[아이리 칸나]]'''}}}|Airi Kanna[br],,,2023년 1월 7일 - 2024년 12월 2일, 695일,,, || ||<-2><bgcolor=#b77de4,#b77de4> || ||<nopad>[[파일:아야츠노 유니.jpg|width=100%]]||{{{+1 '''[[아야츠노 유니]]'''}}}|Ayatsuno Yuni|| === 2기생 유니버스(Universe)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스텔라이브 2기생 "스텔라이브 유니버스" 데뷔 PV''' || ||<bgcolor=#000,#000><nopad>[youtube(oetu6DR5ySw)]|| 1기생 전원 데뷔 3일 후 2023년 1월 11일부터 2기생 멤버 공고를 개시했다. [[https://x.com/StelLive_kr/status/1613053287439405056|#트윗]] [[https://www.youtube.com/watch?v=V1IK-Xp6g-4|#영상]] 2월 15일에 모집이 마감되었다. * 1기생이 둘뿐이다 보니 인원 확충을 위해 2기생을 모집했으며 총 4명의 인원이 새롭게 선발됐다. 6월 2일 최초로 이름 공개와 함께 트위터 계정이 만들어졌고, 7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모습을 공개했다. 이후 6월 10일과 11일 양일에 걸쳐 데뷔 방송을 진행했다.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2dcbf,#f2dcbf> || ||<width=120px><nopad>[[파일:시라유키 히나 프로필.png|width=100%]]||{{{+1 '''[[시라유키 히나]]'''}}}|Shirayuki Hina|| ||<-2><bgcolor=#26282a,#26282a> || ||<nopad>[[파일:네네코마시로 프로필.png|width=100%]]||{{{+1 '''[[네네코 마시로]]'''}}}|Neneko Mashiro|| ||<-2><bgcolor=#961b2e,#961b2e> || ||<nopad>[[파일:아카네리제_프로필.png|width=100%]]||{{{+1 '''[[아카네 리제]]'''}}}|Akane Lize|| ||<-2><bgcolor=#9adaff,#9adaff> || ||<nopad>[[파일:아라하시 타비.png|width=100%]]||{{{+1 '''[[아라하시 타비]]'''}}}|Arahashi Tabi|| === 3기생 클리셰(Cliché)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스텔라이브 3기생 『Cliché』 PV''' || ||<bgcolor=#000,#000><nopad>[youtube(YSF46NV9Af0)]|| 2기생 전원 데뷔 1주일 후부터 탤런트 모집을 개시했다. [[https://twitter.com/StelLive_kr/status/1670266930283053056|1차 공지]] [[https://twitter.com/StelLive_kr/status/1697510114780221797|2차 공지]] [[https://twitter.com/StelLive_kr/status/1697510639663731021|일본어 공지]] [[https://twitter.com/StelLive_kr/status/1715221414855454891|3차 공지]] * 2024년 5월 12일, 데뷔 관련 PV 영상이 게시될 예정이었으나 내부 사정으로 공개 일정이 연기되었다.[[https://twitter.com/StelLive_kr/status/1789608014133223492|#]] 13일 저녁, [[강지]]는 데뷔 예정 인원이 5명에서 4명으로 변경되었다고 방송을 통해 밝혔다.[* 예정 인원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서는 밝힌 것이 없다. 과거 내부 사정으로 데뷔가 연기되어 2기생에 합류한 [[네네코 마시로]]의 선례가 있긴 하지만, 강지가 3기생 공개 이후로는 스텔라이브가 휴식기를 가지고 기존 멤버들에게 집중할 듯하다며 4기생 멤버 모집 일정이 불투명함을 암시했기 때문에 단순 데뷔 연기는 아닐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후 14일 첫 티저 PV가 공개된 후, 15일 오후 5시 메인 PV가 공개되었다. 5월 18일과 19일 양일에 걸쳐 데뷔 방송을 진행하였고, 19일 저녁 7시 클리셰 4인의 합방을 끝으로 데뷔 일정을 마무리했다.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c2afe6,#c2afe6> || ||<width=120px><nopad>[[파일:텐코 시부키 틀.png|width=100%]]||{{{+1 '''[[텐코 시부키]]'''}}}|Tenko Shibuki|| ||<-2><bgcolor=#2b66c0,#2b66c0> || ||<nopad>[[파일:아오쿠모 린 틀.png|width=100%]]||{{{+1 '''[[아오쿠모 린]]'''}}}|Aokumo Rin|| ||<-2><bgcolor=#df7685,#df7685> || ||<nopad>[[파일:하나코 나나 틀.png|width=100%]]||{{{+1 '''[[하나코 나나]]'''}}}|Hanako Nana|| ||<-2><bgcolor=#a6d0a6,#a6d0a6> || ||<nopad>[[파일:유즈하 리코 틀.png|width=100%]]||{{{+1 '''[[유즈하 리코]]'''}}}|Yuzuha Riko|| === 4기생 === ||<-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스텔라이브 4기생 모집''' || ||<bgcolor=#000,#000><nopad>[youtube(VPHMXZ4JS8g)]||<nopad>[youtube(dmcTiu121CY)]||<nopad>[youtube(dm2UCxHNplw)]|| ||<width=33.3%><rowcolor=#fff,#fff> '''1차 모집''' ||<width=33.3%> '''2차 모집''' ||<width=33.3%> '''3차 모집''' || * 2025년 1월 25일 [[https://chzzk.naver.com/clips/4KFIHvxtT3|강지의 생방송]]에서 최초 발표, [[2026년]] 데뷔를 목표로 총 3차에 나누어 모집을 시작했다. 데뷔 일시 사이로 따지면 역대 기수 중 가장 긴 사이를 두고 데뷔하는 기수다.[* 2026년 1월에 데뷔한다 쳐도 1년 8개월 가량 사이를 두고 데뷔하는 것이다.] [[https://stellive.me/news/4100|공식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tteokbokk1/715285|팬카페]] [[https://x.com/StelLive_kr/status/1883063018139074574|X]] 3월 31일 모집 마감 기준 1,214명이 지원했으며, 3기생 전체 모집 지원자 수와 비슷한 규모다. * 2025년 5월 4일, 2차 모집 공지가 게시되었다. [[https://stellive.me/news/5390|공식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tteokbokk1/782331|팬카페]] [[https://x.com/StelLive_kr/status/1918968924776919233|X]] 6월 18일 모집이 마감되었으며 7월 8일 대표 강지는 개인 방송에서 기준 약 1,100명이 지원했다고 언급했다. * 2025년 7월 19일, 3차 모집 공지가 게시되었다. [[https://stellive.me/news/6500|공식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tteokbokk1/828664|팬카페]] [[https://x.com/StelLive_kr/status/1946404895793570290|X]] * 2025년 8월 2일, 3차 모집이 종료되었으며 합격자를 선정 중에 있다고 밝혔다. [[https://stellive.me/news/6702|공식 홈페이지]] [[https://cafe.naver.com/tteokbokk1/837252|팬카페]] [[http://youtube.com/post/Ugkx7OsMGrzFZwybYIQ4ULXCt87TcWiTf0CL?si=rtFL3rxCUSKPoSt6|유튜브 게시판]] == 소속 스태프 == * '''[[https://x.com/thecold_|TheCold]]''' 스텔라이브 메인 디렉터 겸 일러스트레이터. 팬들은 흔히 감기라고 부른다.[* 예전 닉네임이 감기이기도 했다.] 뮤직비디오 일러스트 및 프로듀싱, 오프라인 이벤트 관리 등 스텔라이브 업무에 전반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방준영''' 강지의 오래된 시청자이자 채팅 매니저 출신으로 스텔라이브 출범 이후 스텔라이브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https://youtu.be/-YumsrY9ueo?t=10m41s|진짜 유니를 찾아라!]] 컨텐츠에 참여해 보이스 체인저를 켜고 가짜 유니 중 하나(속칭 D유니)를 연기하는 웃픈 모습을 보여주었다. 강지의 지시에 억지로 웃는 표정을 짓거나, 정체가 드러난 후 가라앉은 목소리로 많은 사람들을 빵 터뜨렸다. 이후 D유니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강지의 채팅 매니저 이전에는 메이플스토리 갤러리 출신 악질 시청자였다가 강지가 '너 어디 완장 주면 얼마나 잘하나 보자'라는 마음으로 매니저를 줬는데, 의외로 일을 잘해서 지금까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커뮤니티 망령 출신이라 일반인들이 모르는 비꼬기 드립까지 칼같이 잡아내는 엄청난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다. 스텔라이브 초창기에는 4인 멀티플레이 게임의 인원을 채우기 위해 등장했는데, 당연히 이 비범한 여성들에게 이리저리 치이는 샌드백 신세. 이후 방송에 직접 출연하는 일은 줄었지만 스텔라이브 멤버들이 에버랜드에 놀러 갔을 때 운전을 담당하거나 멤버들의 컨텐츠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등 뒤에서 든든하게 서포터를 하고 있다.[* 나름 컴잘알이기도 해서 컴알못이 대부분인 스텔라이브 버튜버들에게 컴퓨터 관련 도움을 주기도 한다.] 현재도 가끔 방송에 출연하며 나올 때마다 특유의 단답형 말투로 여전히 놀림당한다. 최애는 [[아이마스]] 시리즈의 [[하기와라 유키호]]이며, 최근에는 [[승리의 여신: 니케|니케]]의 [[릴리바이스]]를 좋아한다고 한다. 흡연자이며, 이 때문에 [[아카네 리제|리제]]가 “냄새나니까 입열지 마”라고 한 적이 있다고 한다.[* 이후 강지가 500억 메소로 메이플 레전더리 옵션작에서 보보보 이탈과 마마마 이탈을 뽑아줘서 충성도가 크게 상승했다. '''강지가 농담으로 퇴직은 없다. 종신해. 라고 말하자 한치의 망설임 없이 열심히 하겠습니다.'''가 튀어 나왔다. 참고로 저 둘 이탈을 뽑기 위한 기댓값은 약 메이플 8300억 메소 즉 '''현금 1800만원'''에 해당한다. 강지가 루컨마를 터뜨리긴했으나 그걸 맞상쇄할 수준의 옵션을 뽑아준거다.] * '''[[https://x.com/requiemdh|REQ]]''' 스텔라이브 책임 프로듀서. 스텔라이브 협력사 엑셀러즈에서 2025년 5월 5일부로 스텔라이브로 소속을 옮겼음을 밝혔다. 음악 전반 및 콘텐츠 관련 다양한 업무에 기여하고 있다. ===# 전 스태프 #===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9db7ef,#9db7ef> || ||<width=120px><nopad>[[파일:스텔라이브이브.png|width=100%]]||{{{+1 '''[[이브(인터넷 방송인)|이브]]'''}}}|Ive[br],,,2023년 11월 6일 - 2025년 1월 24일, 445일,,,|| * '''[[https://twitter.com/chobi_chu|쵸비]]''' 스텔라이브 MD 겸 일러스트레이터. 굿즈 및 콘텐츠에 사용되는 디자인과 일러스트 업무를 담당하며, 유니와 타비의 마리오 의상 등의 에셋 등을 제작하기도 한다. 25년 5월 2일에 퇴사를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https://x.com/chobi_chu/status/1921073638943715480|#]] == [[/음악|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텔라이브/음악)] === 노래방 수록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노래방 수록 목록, 앵커=스텔라이브)] == 활동 이력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color=#7987e0,#7987e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인 이상'''의 단체 출연만 기록. 개인으로 출연한 목록은 멤버별 개별 문서에 기재.}}}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7987e0,#7987e0><rowcolor=#fff,#fff><width=16%> '''날짜''' ||<width=59%> '''활동''' || '''비고''' || ||<-3><bgcolor=#eaeaea,#eaeaea><color=#1c1d1f,#1c1d1f> '''2024년''' || || 2.21[br]{{{-2 18:00}}} || 첫 번째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F3F9, #77E1F6, #62DEF6); font-size: 0.83em; letter-spacing: -0.2px" [[Milky Way|{{{#fff,#fff '''Milky Way'''}}}]]}}} 발매 || || || 4.3[br]{{{-2 18:00}}} || 유닛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0316, #2E0EB7); font-size: 0.83em; letter-spacing: -0.2px" [[Hit On Shot|{{{#fff,#fff '''Hit On Shot'''}}}]]}}} 발매 || [[아이리 칸나]] x [[아카네 리제]] || || 4.21[br]{{{-2 12:00}}} || 유닛 싱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7B2F4, #A28DEA); font-size: 0.83em; letter-spacing: -0.2px" [[Dear My Fairy|{{{#fff,#fff '''Dear My Fairy'''}}}]]}}} 발매 || [[시라유키 히나]] x [[네네코 마시로]] || || 4.30[br]{{{-2 12:00}}} || Universe 1st Singl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AEE1, #F8E9F0, #9FCEEF, #C9CEEB); font-size: 0.83em; letter-spacing: -0.2px" [[Stars Align|{{{#000,#000 '''Stars Align'''}}}]]}}} 발매 || || || 8.24[br]{{{-2 18:00}}} || Cliché 1st Singl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3fee1, #fe7ba0, #d3b4f3, #ace7ff); font-size: 0.83em; letter-spacing: -0.2px" [[Our Tales|{{{#000,#000 '''Our Tales'''}}}]]}}} 발매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7987e0,#7987e0><rowcolor=#fff,#fff><width=16%> '''날짜''' ||<width=39%> '''행사명''' ||<width=20%> '''장소''' ||<width=20%> '''출연''' || '''비고''' || ||<-5><bgcolor=#eaeaea,#eaeaea><color=#1c1d1f,#1c1d1f> '''2023년''' || || 8.5~8.6 || [[코믹월드|서울코믹월드]] || [[KINTEX]] || 1기생, 2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HEu8do-PZ_Q)][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KUwDW8tGJ7A)] || || 9.21~10.22 ||<|2> [[애니플러스샵|애니플러스샵 콜라보 카페]] || [[애니플러스샵]] 대전, 광주 || 1기생 ||<|2>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AS5gvYGwbOs)][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ShGg9IhdSE)][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gu0QkiHrI9s)] || || 9.21~11.5 || [[애니플러스샵]] 서울 합정, 부산 || 1기생 || || 12.2~12.3 || [[Anime X Game Festival 2023]] || [[KINTEX]] || 1기생, 2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b-5aeEmInJg)][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qiRxs702YzE)][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b-9-DYuEI8s)] || ||<-5><bgcolor=#eaeaea,#eaeaea><color=#1c1d1f,#1c1d1f> '''2024년''' || || 2.22~3.6 || Milky Way 팝업스토어 || [[더현대 서울]] || 1기생, 2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K-IX6L0E6k)] || || 2.24 || [[Milky Way#관련 영상|스텔라이브 1st Single "Milky Way" 쇼케이스]] || - || 1기생, 2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92setuUuFdQ)] || || 4.3 || [[Hit On Shot#관련 영상|Unit Digital Single "Hit On Shot" 쇼케이스]] || - || [[아이리 칸나]], [[아카네 리제]]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TpEkHjffkS0)] || || 4.21 || [[Dear My Fairy#관련 영상|Unit Digital Single "Dear My Fairy" 쇼케이스]] || - || [[시라유키 히나]], [[네네코 마시로]]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_hlBD4OLxec)] || || 4.30 || [[Stars Align#관련 영상|스텔라이브 Universe 1st Single "Stars Align" 쇼케이스]] || - || 2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rE9Q-omrl3I)] || || 5.14~5.26 || [[치지직]] 번⚡️쩍 팝업스토어 || [[더현대 서울]] || 1기생, 2기생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1783085624943337482, 크기=20)] || || 5.26 ||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 콘서트|악어의 놀이터 2 SPECIAL CONCERT]] ||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악어의 놀이터 2]] || [[아이리 칸나]], [[아야츠노 유니]], [[아카네 리제]] || || || 8.10~8.25 || STELLIVE X [[애니메이트|Animate]] 여름 바캉스 FAIR & ONLY SHOP || [[애니메이트]] 홍대, 부산 || 1기생, 2기생 || || || 8.24 || [[Our Tales#관련 영상|스텔라이브 Cliché 1st Single "Our Tales" 쇼케이스]] || - || 3기생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KQKuX8dKwcc)] || || 10.3~11.17 || [[애니플러스샵|애니플러스샵 콜라보 카페]] || [[애니플러스샵]] 서울, 대전, 광주, 부산 || 2기생 || || || 11.17 || [[G-STAR]] 2024 넷마블 || [[BEXCO]] || [[시라유키 히나]], [[아카네 리제]]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w3qxmqtnCDo)] || ||<|2> 12.6 ||<|2> [[Anime X Game Festival 2024]] ||<|2> [[KINTEX]] || [[아라하시 타비]], [[아카네 리제]], [[아오쿠모 린]] || || || [[시라유키 히나]], [[아카네 리제]] || || ||<-5><bgcolor=#eaeaea,#eaeaea><color=#1c1d1f,#1c1d1f> '''2025년''' || || 4.26~5.17 || 스텔라이브 운동회 || [[더현대 서울]] || 1기생, 2기생, 3기생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1910649048979431718, 크기=20)] || || 5.10~5.16 || 봄빛데이트 || AP AGAIN || 1기생, 2기생, 3기생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1911283271360717062, 크기=20)] || || 6.6~6.22 || 스텔라이브 X 애니메이트 Cliché Dream FAIR || 애니메이트 홍대, 잠실, 부산 || 3기생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nimate_hongdae/status/1923311603945968122, 크기=20)] || || 7.3~8.17 || 애니플러스샵 콜라보 카페 || 애니플러스샵 서울, 부산, 광주 || 3기생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ANIPLUS_SHOP/status/1928330539909464264, 크기=20)] || * 2023년 * 8월 5~6일, 서울 [[코믹월드]]에 기업 부스로 참가, 1기생인 칸나와 유니는 코믹월드에서 참여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 9월 21일부터 10월 22일까지 [[애니플러스]] 콜라보로 [[애니플러스샵]] 서울 합정점, 부산 서면점, 대전 중앙로점, 광주 충장로점에서 4주간 1기생 Mystic 콜라보 카페를 운영했다. 9월 24일에는 [[아이리 칸나|칸나]]가, 10월 8일에는 [[아야츠노 유니|유니]]가 서울 합정점에 깜짝 방문해 인터뷰를 진행했다.[[https://blog.naver.com/aniplus_shop/223211349280|#]] * 12월 2~3일, [[AGF 2023]]에 기업 부스로 참가했다. 포토존, 청음존, 포토부스 등 체험 공간을 준비했고, 모든 멤버들이 약 한 시간 정도의 깜짝 라이브를 진행했다. 1기생은 1일차 AGF 레드 스테이지에, 칸나와 리제는 AGF 1일 차 종료 후 진행된 WonderLivet Stage 콘서트에 출연했다. * 2024년 * 2월 21일 싱글 1집 [[Milky Way]]를 발매하였다. * 2월 22일부터 3월 6일까지 [[더현대 서울]]에서 팝업스토어 Milky Way를 운영하여 의류 및 각종 굿즈를 판매하였다.[[https://instagram.com/stellivexthehyundai|#]] 일러스트 담당은 [[니시자와 5미리]]. * 2월 24일 싱글 1집 [[Milky Way]] 쇼케이스를 진행하였다. * 4월 3일 스텔라이브 첫 듀엣곡 [[아이리 칸나]]와 [[아카네 리제]]의 [[Hit On Shot]]을 발매하였다. * 4월 21일 스텔라이브 두 번째 듀엣곡 [[시라유키 히나]]와 [[네네코 마시로]]의 [[Dear My Fairy]]를 발매하였다. * 4월 30일 스텔라이브 2기 Universe의 1st Single [[Stars Align]]을 발매하였다. * 5월 14일부터 5월 26일까지 [[더현대 서울]]에서 열리는 [[치지직]] 번⚡️쩍 팝업스토어에 참여하였다. * 5월 26일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 콘서트|악어의 놀이터 2 SPECIAL CONCERT]]에 [[아이리 칸나]], [[아야츠노 유니]], [[아카네 리제]]가 참가하였다. * 8월 10일부터 25일까지 [[애니메이트]] 콜라보로 홍대점, 부산점에서 온리샵을 운영하며, SD 아크릴 스탠드 키홀더 세트 예약구매자 중 멤버별 30명씩 추첨해 애니메이트 홍대점 BLUE HALL에서 팬미팅을 진행하였다. [[https://x.com/animate_hongdae/status/1816065798319825315|#]] [[https://x.com/animate_busan/status/1816069639279087625|#]] * 8월 24일 스텔라이브 3기 Cliché의 1st Single [[Our Tales]]를 발매하였다. * 10월 3일부터 11월 17일까지 [[애니플러스]] 콜라보로 [[애니플러스샵]] 서울 합정점, 대전 중앙로점, 광주 충장로점, 부산 서면점에서 6주간 2기생 Universe 콜라보 카페를 운영하였다. [[https://cafe.naver.com/tteokbokk1/598987|#]] * 11월 17일 [[G-STAR]] 2024의 [[넷마블]] 부스에서 [[시라유키 히나]]와 [[아카네 리제]]가 참가해 몬길: STAR DIVE를 소개하였다. [[https://cafe.naver.com/tteokbokk1/626803|#]] * 11월 26일부터 12월 16일까지 진행된 [[남봉/봉누도|봉누도]]에 스텔라이브가 서버후원사로 이름을 올렸고 12월 2일에 졸업한 [[아이리 칸나]]를 제외한 1, 2, 3기생 전원과 [[강지|대표]]가 직접 참가하였다.[* 강지는 봉누도 병원장으로 활동했으며, 나머지 멤버들은 따로 제약을 두지 않고 각자 원하는 포지션에서 활동했다.] * 12월 16일 [[남봉/봉누도/콘서트|봉누도 콘서트]]에 [[텐코 시부키]](정복자 명의), [[아라하시 타비]](노다비 명의), [[하나코 나나]](쌍칠아재 명의)가 참가하였다. * 12월 6일 [[AGF 2024]]의 RED STAGE에 [[시라유키 히나]], [[아카네 리제]]가 참가하였다. 또한 [[명조: 워더링 웨이브]] 명의로 [[아라하시 타비]], [[아카네 리제]], [[아오쿠모 린]]이 참가하였다. * 2025년 * 4월 26일부터 5월 17일까지 [[더현대 서울]] TUNE에서 멤버십 4기 팝업스토어를 운영하였다. [[https://cafe.naver.com/tteokbokk1/767601|#]] * 5월 10일부터 5월 16일까지 AP AGAIN에서 공식 팝업스토어 봄빛 데이트를 운영하였다. [[https://cafe.naver.com/tteokbokk1/768885|#]] * 6월 6일부터 6월 22일까지 애니메이트 콜라보 행사가 홍대점(Only Shop), 잠실 롯데점(Fair), 부산점(Fair)에서 운영되었다. 애니메이트 온라인샵에서 이벤트 대상 예약 상품(미니 아크릴 스탠드 키홀더 세트) 구매자를 대상으로 멤버별로 일정 인원을 추첨해 애니메이트 홍대점에서 [[https://www.animate-onlineshop.co.kr/board/view.php?&bdId=event&sno=314|팬미팅]]을 진행하였다. * 7월 3일부터 8월 17일까지 애니플러스 콜라보로 애니플러스샵 서울 합정점, 부산 서면점, 광주 충장로점(굿즈 Only)에서 6주간 3기생 Cliché [[https://x.com/ANIPLUS_SHOP/status/1928330539909464264|콜라보 카페]]를 운영한다. [[https://www.aniplustv.com/storeCollaboCafe|#굿즈 등 상세정보]] == 법인 == === 회사 === 2023년 1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스텔라이브 그룹과 달리, 스텔라이브 법인은 2023년 4월에 설립되었다. 법인 설립 이전까지는 [[유메퍼센트]] 주식회사[* 법인등록번호 131411-0510034, 사내이사 정도현 / 이경훈 감사 / 2021년 11월 8일 등기]가 법인사로서 역할을 진행하였다. 수원지방법원은 2023년 4월 27일 주식회사 스텔라이브[* 법인등록번호 131411-0555965, 사내이사 동일, 이봉준 감사]가 신규설립 등기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이후에는 (주)스텔라이브가 법인으로서 역할하게 되었다. 2023년 6월 26일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을 하여 [[연예 기획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으며,[* 등록번호: 24109-2023-000002, 대표자 정도현] 소속 멤버들 역시 그에 따라 '''법적으로는''' [[연예인]]으로서의 지위와 책임을 갖는다.[* 다만 공중파 등에 출현하는 등의 대외·공개적인 활동이 드물기 때문에 대중적인 인식의 연예인과는 거리감이 있으며, 실질적인 정체성과 인식 역시 [[인터넷 방송인]]에 가깝다.] 2024년 5월 14일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 그룹 [[VSPO!]]의 모회사인 [[https://bravegroup.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브레이브 그룹]]과 업무 협약을 발표하였다.[* [[https://bravegroup.co.jp/news/6009/|브레이브 그룹 공지]] [[https://bravegroup.co.jp/en/news/6018/|영어 공지]] /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319.000044525.html|일본 보도 자료]] [[https://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10486|국내 보도 자료]]] 협업의 첫 작품으로 5월 21일에 진행될 [[아야츠노 유니]] 생일 3D 라이브 스트리밍을 지원하고 있으며 더 많은 콘텐츠를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2025년 7월 16일 스텔라이브는 브레이브 그룹에 [[인수합병]]되었다고 발표했다.[* [[https://bravegroup.co.jp/en/news/9757/|브레이브 그룹 영어 공지]] /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531.000044525.html|일본 보도자료]] [[https://m.sports.naver.com/esports/article/442/0000183854|국내 보도 자료]] ] [[https://cafe.naver.com/tteokbokk1/826851|#스텔라이브 입장문]] [[https://cafe.naver.com/tteokbokk1/826852|#대표 강지 입장문]] [[https://bravegroup.co.jp/news/9742/|#브레이브 그룹 입장문]] 브레이브 그룹에 합류하지만 관리구조 및 경영권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를 계기로 [[브레이브그룹한국]](브레이브 그룹 Korea)를 설립한다고 발표하였다.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텔라이브 공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color=#000,#fff><tablewidth=100%> 안녕하세요. 스텔라이브입니다. 스텔라이브는 브레이브 그룹(브레이브 그룹)에 인수합병되었음을 알립니다. 2023년 꿈을 안고 출발한 스텔라이브는 별처럼 빛나기 위해 쉼 없이 달려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과분한 사랑을 받으며 그에 걸맞은 기업이 되고자 부단히 노력해왔으나, 부족함이 많아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아쉬운 상황들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텔라이브는 앞으로의 긴 여정을 위해 그동안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만을 해왔다고 자부합니다. 저희는 오랜 논의와 검토 끝에 브레이브 그룹에 합류하여 스텔라이브가 꿈꿔왔던 그림을 더 빠르게 그려나가기로 결정했습니다. 브레이브 그룹은 ‘80억의 마음을 꿰뚫어라’(80億の、心をうちぬけ)를 슬로건으로 내건 일본의 IP 프로덕션 기업으로, 17개의 그룹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지난 해 5월, 스텔라이브는 브레이브 그룹과 업무제휴 협약(MOU)를 맺고 3D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을 받아왔습니다. 1년 간 협업하며 브레이브 그룹이 스텔라이브와 같은 꿈과 방향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여정을 함께하고자 합니다. 스텔라이브는 브레이브 그룹에 합류하지만, 그동안 파스텔과 함께 쌓아온 길은 물론 경영권 또한 변함없이 유지됩니다. 지금까지 함께 만들어온 모든 기반은 그대로 지켜지며, 앞으로는 그 위에 더 많은 가능성과 새로운 도전을 더해갈 예정입니다. 세계로 나아가는 길은 열어두되,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대한민국의 버튜버 기업으로서 더 빠르게 성장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앞으로 스텔라이브가 더 크게 그려나갈 그림에 색을 입혀줄 파스텔 여러분들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 ||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000><color=#fff,#fff><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브레이브 그룹 공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color=#000,#fff><tablewidth=100%> 브레이브 그룹은 『세계에, 일본의 모험심을』이라는 비전을 내걸고, 『80억의 마음을 꿰뚫어라』라는 미션 아래, VTuber 사업을 영위하는 IP Production을 비롯하여, 해당 분야와 시너지가 높은 IP Platform 및 IP Solution 영역에서 다양한 사업을 국내외에 걸쳐 전개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에는 IP의 가능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경영 통합 및 자본 업무 제휴 등의 투자 프로젝트 'Brave global capital'을 발표했습니다. 한국 VTuber 시장은 일본,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를 자랑하며 막강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POP 아이돌 성공을 통해 쌓아온 팬 커뮤니티 형성 노하우가 활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 지상파 음악 방송에서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1위를 차지하는 등 인기와 실력을 모두 입증하고 있습니다. StelLive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 70만 명 이상을 보유한 여성 스트리머 'GANGZI(강지)'님이 대표를 맡고 있는 VTuber 프로덕션으로, 2023년 4월 법인 설립 이후 한국 VTuber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소속 아티스트는 9명, 유튜브 채널 총 구독자 수는 180만 명 이상, 치지직 총 팔로워 수는 150만 명 이상이며, 2025년 5월에 개최한 팝업 스토어에는 누적 9,000명이 방문하는 등 비약적인 성장을 거두고 있습니다. (※2025년 7월 현재 기준) 브레이브 그룹은 지금까지 업무 제휴를 통해 StelLive의 3D 모델 및 3D 콘텐츠 제작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을 해왔습니다. 앞으로도 StelLive의 운영 방침과 경영 체제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작 시스템의 강화는 물론 머천다이징(MD) 및 굿즈 판매 등 브레이브 그룹이 보유한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여 StelLive의 사업 성장을 다각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nopad> [youtube(djqOryKXoao)] || ||<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브레이브 그룹 인수합병에 대하여"[br]스텔라이브 유튜브 ''' || === 협력사 === * 액셀러즈: 2023년 2월 3일, [[유니버설 뮤직 재팬]] 산하 액셀러즈[* [[다즈비]]와 [[Raon|라온]]의 소속사, 다른 버튜버 그룹인 [[스타데이즈]]와 [[허니츄러스]]와도 협업을 맺고 있다.]와 협업을 맺었다고 밝혔다. 액셀러즈와는 음악 활동 관련 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 [[치지직]]: 트위치 철수 이후 회사 간 계약에 따라 파트너 스트리머로서 스트리밍을 진행한다. * [[https://www.moment-movie.com/|Moment Tokyo (MMT・REZ&)]]: [[KANNA]], [[Christmas On The Merry Go Round]] 진행에 관한 협업을 진행했다. * [[팬딩]]: 팬클럽 [파스텔] 멤버십 및 전용 콘텐츠 페이지, 굿즈 판매 등을 협업하고 있다. == 팬덤 ==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987e0,#7987e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7987e0,#7987e0><color=#fff,#fff> '''파스텔''' || ||<-2><bgcolor=#373584,#373584> '''[[아이리 칸나|{{{#fff,#fff 칸나}}}]][*졸업 2024년 12월 2일, 졸업]''' ||<-2><bgcolor=#b77de4,#b77de4> '''[[아야츠노 유니|{{{#fff,#fff 유니}}}]]''' || ||<-2> '''비늘이''' ||<-2> '''아르냥''' || ||<width=25%><bgcolor=#f2dcbf,#f2dcbf> '''[[시라유키 히나|{{{#be7c26,#be7c26 히나}}}]]''' ||<width=25%><bgcolor=#25282a,#25282a> '''[[네네코 마시로|{{{#fff,#fff 마시로}}}]]''' ||<width=25%><bgcolor=#971b2f,#971b2f> '''[[아카네 리제| {{{#fff,#fff 리제}}}]]''' ||<width=25%><bgcolor=#9adaff,#9adaff> '''[[아라하시 타비| {{{#1f6aae,#1f6aae 타비}}}]]''' || || '''해둥이''' || '''마로''' || '''피엔나''' || '''뿡댕이''' || ||<bgcolor=#c2afe6,#c2afe6> '''[[텐코 시부키|{{{#6b5b84,#6b5b84 시부키}}}]]''' ||<bgcolor=#2b66c0,#2b66c0> '''[[아오쿠모 린|{{{#fff,#fff 린}}}]]''' ||<bgcolor=#df7685,#df7685> '''[[하나코 나나|{{{#fff,#fff 나나}}}]]''' ||<bgcolor=#a6d0a6,#a6d0a6> '''[[유즈하 리코|{{{#fff,#fff 리코}}}]]''' || || '''이나리''' || '''쿠리미''' || '''페토''' || '''치코''' || 방송에서 1기생들과 강지가 시청자들과 논의를 통해 스텔라이브의 팬덤명을 정하려 했으나, 직원들을 모아 상의해도 뾰족한 결과가 안 나와서 2023년 3월 31일 [[https://cafe.naver.com/tteokbokk1/143118|팬덤명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https://cafe.naver.com/tteokbokk1/147523|투표 결과]] 가장 많은 표를 획득한 파스텔로 결정되었다. == [[/팬 게임|팬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텔라이브/팬 게임)] == 비판 및 논란 == === 운영 미숙 및 소통 부재 === {{{#!folding[인기글 접기/펼치기] [[https://www.fmkorea.com/5955382506|에펨코리아1]][[https://archive.md/OCDBJ|@]], [[https://www.fmkorea.com/search.php?mid=ib&document_srl=6396683826&search_keyword=스텔라이브&search_target=title_content&sort_index=pop&listStyle=webzine&page=75|에펨코리아2]][[https://archive.md/6TNZ2|@]], [[https://www.fmkorea.com/6396110651|에펨코리아3]][[https://archive.md/7Rv9i|@]],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ellive&no=1015885&exception_mode=recommend&page=2636|디시인사이드1]][[https://archive.md/brMqK|@]],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ellive&no=1015977&exception_mode=recommend&page=2636|디시인사이드2]][[https://archive.md/f3Dlv|@]],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ellive&no=1016003&exception_mode=recommend&page=2637|디시인사이드3]][[https://archive.md/qVskq|@]],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ellive&no=1017141&exception_mode=recommend&page=2636|디시인사이드4]][[https://archive.md/2tgJo|@]], [[https://www.dogdrip.net/ib/522079379?sort_index=popular&page=69|개드립넷1]][[https://archive.md/XoM1p|@]], [[https://www.dogdrip.net/ib/522095667?sort_index=popular&page=69|개드립넷2]][[https://archive.md/VRocx|@]] }}} 유메퍼센트 때와 달리 1기생부터 성공적으로 안착했고 지속적으로 순항하였으나, 이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회사의 미숙한 운영 탓에 잡음이 발생했다. 2023년 7월 1일 사전 공지 없이 팬딩 멤버십을 공개하여 설명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고, 3일 만에 구성품 변경 공지와 3분기 로드맵 발표로 상황을 수습했다. 그럼에도 운영에 대한 불만점[* 신고해도 한참 방치되는 팬 카페의 분탕글, 채팅 봇이 없어서 사전 필터링이 안 되는 트위치 채팅창, 공식 유튜브 및 트위치 채널 관리 소홀, 칸나의 나는 최강 커버곡 100만 뷰와 유튜브 채널 10만 구독자 축하 누락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받았고, 카페 매니저 및 사장에 대해서 비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이 계속 쌓이던 중, 한 분탕 유저가 팬 카페에 올린 글이 30분 넘게 남아있다가 자삭으로 끝나는 티배깅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불만이 폭발하여 카페에서 거센 비판을 받은 뒤, 카페 스태프 추가 모집 공지를 올리며 진화된 사건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크고 작은 문제가 누적[* 콜라보 카페 진행 당시 사전 공지 없이 '''재판매 계획이 없다고 했던 한정 굿즈 재고를 기존보다 싼 가격에 재판매'''하는 일이 있었으나 이에 대한 글이 모두 삭제되고 뒤늦게 공지를 올려 수습한 적이 있었다.]되어 멤버들의 방송 성장과는 별개로 카페에 대한 인식이 점점 깎이면서 [[https://www.fmkorea.com/6398662781|카페 신규 유입 및 활동지수가 떨어지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 것은 카페 운영진의 행보였는데 '''[[주객전도|소속 아티스트에 대한 비방 글은 몇 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관리자의 눈에 거슬리는 글만 칼같이 삭제]]'''하는 편파적인 운영을 보여 파스텔들 사이에서는 카페 운영진과 사장 [[강지]]에 대한 반감이 계속해서 높아져갔다. 그렇게 불만이 쌓이던 중 2023년 11월 14일, 칸나와 리제가 참여하는 [[AGF 2023]] 소개글 작성 및 운영 미숙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문제가 터졌다. AGF 참가 기업 소개에서는 타 기업과 비교해 현저히 부족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https://www.fmkorea.com/6395812039|고작 카페 링크 한 줄만 작성하거나]][* 다음 날에 수정되었다.[[https://www.agfkorea.com/exhibition?idx=2|#]]], 스텔라이브 출연 멤버 소개에서도 다른 참가사들이 경력을 기재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생일과 키만 기재한 것이 발견되었다.[[https://www.fmkorea.com/6395612938|#]] 팬들이 이 사실을 카페에 제보했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카페 운영진은 제보자들의 글을 삭제하고 강퇴 처리로 일관하였다. 카페에 관련된 글을 작성한 사람들이 모조리 썰려나가는 것을 계기로 여태까지 참아왔던 여론이 폭발하였고, 파스텔들이 각종 커뮤니티에 해당 사실을 공론화하면서 운영진의 문제를 지적한 끝에 여론을 모아 방송중이던 강지 사장에게 운영에 대한 질의를 시작했다.[* 회사 입장으로 진행했던 질의응답 방송 이후, [[강지|본인]] 개인방송에서 풀어준 말에 의하면, 회사의 빠른 성장속도에 따라가기 벅차다는 뜻을 풀었다.] [[https://www.fmkorea.com/6396038019|다음과 같은 해명]] 답변은 받았으나, 가장 문제로 여겨지는 카페 관리자에 대한 언급은 일언반구도 없었고 하루가 지난 시점에서 문제 해결은 기업 소개글 외에 아무것도 없었다. 운영은 몇 개월이 지나도록 이전 약속이 지켜지지도 않고[* 소통 창구 미개설, [[먹튀|돈만 받고 실속이 전혀 없는]] 멤버십 등.], 이러한 사유의 주제로 카페에 글을 쓰면 영구탈퇴, 방송에서는 밴을 당할 시 스텔라이브 + 강지 7명 공유 밴을 당하니 카페 안에서 해결되었어야 할 문제가 외부 커뮤니티로 퍼져나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2023년 11월 15일 강지의 두 번째 해명 방송 직후 사태 수습보다는 2부로 자신의 생일 방송을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한 파스텔들의 카페 탈퇴 행렬이 이어졌다. 사태를 뒤늦게 파악한 강지는 생일 방송을 진행한 지 약 한 시간 반이 지나고서야 방송을 종료했다. 다음 날인 11월 16일 [[https://www.fmkorea.com/6399826253|추가 공지]]가 게시되었다. 가장 문제가 되었던 카페 매니저는 해고되었지만, 본문에는 "강퇴 조치를 당한 사례들을 모두 검토했으나 부당하게 적용된 조치는 없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라는 말에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멤버십에 대한 내용들은 사실상 준비 미흡을 시인하는 내용이라서 반응이 좋지 않았다. 이후 강지가 직접 댓글로 몇 가지 부분들에 대해서 질의응답을 진행하다가 내용이 길어져 [[https://www.fmkorea.com/6400279265|2차 공지]]가 새로 올라왔는데, 다음 주 내로 스텔라이브 공식 사이트를 오픈하여 소통 창구를 개설한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이후 2023년 11월 30일 강지 본인이 직접 PPT를 통해 질의에 응답하였고, 운영에 대해 여러 공지를 올리거나 카페에서 댓글로 소통하기도 하면서 2024년 이후로는 회사와 운영진에 대한 여론이 회복되었다. 2024년에는 매니저 이브가 공식적인 소통 창구로 활동하면서 소통 부재에 대한 문제도 해소될 수 있었다. == 여담 == * 명칭인 스텔라이브는 [[별]]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스텔라]][* 영화 [[인터스텔라]]의 스텔라와 같은 단어이다. [[인터스텔라]]의 뜻 자체가 성간의, 별과 별 사이의 라는 뜻이다.]와 [[공연]]이라는 의미의 영단어 [[라이브]]를 합친 것('''Stel'''la+'''live''')으로, 각자의 개성을 지닌 별들이 모여 우주를 멋지게 꾸미듯이 여러 개성을 지닌 사람들을 모아 서로를 더욱 빛나게 하고 싶다는 꿈을 품고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아야츠노 유니]]가 처음 제안했다.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Uf8cWXwPSXQ?t=1m26s)] * 스텔라이브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는 이름 후보군 중에 라이브12, 클러치, 플로리스 등이 있었다. * 한국에서 활동하는 그룹이지만, 과거 일본에서 활동한 1기생의 작명에 맞춰 멤버들 전원의 이름이 일본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소에는 풀네임보다는 이름만 따서 편하게 부르며, 특히 멤버들끼리는 사장인 강지의 성인 '정'을 붙여서 한국식 이름 느낌으로 부르기도 한다. * 칸나와 유니가 일본에서 데뷔했을 때는 다른 멤버들도 많아서 사적으로 친해질 기회가 없었지만 6개월을 거치며 같은 데뷔 동기라는 점 등도 있어서 점점 친분이 트였고 지금은 아주 죽이 잘 맞는 절친 겸 동료가 되었다. * 강지는 칸나, 유니와 동기(B기생)였던 후와리 도지코에게도 스텔라이브에 합류하자고 제안했으나, 도지코가 한국에서는 [[후즈|본캐]]로 활동하고 싶다며 거절했다는 사실이 훗날 밝혀졌다. * 1기생은 생방송 시청자 500명을 목표로 시작했는데, 데뷔 방송에서 모두 네 자릿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성공을 거두자 둘 모두 강지와 통화하면서 펑펑 울었다고 한다. 이후 2기생 데뷔 방송은 1만 중~후반대를 기록하고, 3기생 데뷔 방송은 동 시간대에 T1의 MSI 경기나 MSI 결승전이 겹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2만 명 이상의 시청 기록을 달성[* 심지어 이때 당시엔 치지직이 아직 애드가드 이용자 집계 누락 문제가 있던 시기임을 생각하면, 실제 시청자 수는 훨씬 많았을 가능성이 높다.]하면서 착실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2023년 2월 25일 [[아이리 칸나]]와 [[아야츠노 유니]]의 트위치 계정이 갑작스럽게 무기한 정지되었다가 [[https://twitter.com/airikannaKR/status/1629355886715211776|#]][[https://twitter.com/AyatsunoYuni/status/1629246139206873088|#]] 2월 28일 복구되는 해프닝이 있었다.[[https://twitter.com/AyatsunoYuni/status/1630350267073048577|#]] 트위치 계정이 정지된 동안 두 멤버는 유튜브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방송했다. * 원활한 방송 활동을 위해 유니가 한국으로 이사했음을 밝혔다. 짐을 다 옮기기 전에 잠시 강지의 집에서 지냈다. 칸나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스텔라이브 멤버들과의 현실 합방과 유튜브를 통해 밝히지는 않았지만 한국에 살고 있음이 드러났다.[* 인천공항을 통해 일본 여행을 가는 영상을 남겼다.] * 2023년 4월 1일에는 강지, 칸나, 유니가 서로 모델을 바꿔 만우절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Qd4D3hd5YrM|#]] 강지는 유니, 칸나는 강지, 유니는 칸나를 맡았는데 유니는 칸나의 껍데기만 쓴 유니 그 자체였고[* 본인도 칸나를 연기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했는지, 아예 처음부터 '''"저 유니 성대모사할게요"'''라고 선언하고 시작했다. 애초에 누가 들어도 티가 날 만큼 어투에서부터 차이가 크기도 하고.], 칸나는 평소보다 더 인간 복사기 수준으로 강지를 흉내 내어 둘의 방송을 실시간으로 보던 강지 본인이 감탄하기도 했다. [[파일:안산유니.png]] * 이때 강지는 '이아프노 틀니' 등의 별명을 얻으며 시청자들에게 놀림을 당했는데, 그 와중에 유니의 모습으로 지은 눈을 희번뜩하게 뜨며 노려보는 표정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명 '안산 유니.' 이후 유니 본인도 그 표정을 재현해보려고 했으나, 몇 번 시도하다 안 돼서 포기했다.[* 여담으로 유니는 저 때 날개와 표정이 연동되어 같이 움직인다는 걸 처음 알았다고 한다. 이후 여권 분실로 스텔라이브 단체 여행에서 한국에 유기된 유니가 이 표정을 재현해 내는 데 성공했다!] * 2기생들은 데뷔 전 사석에서 강지 사장은 물론, 1기생들과도 안면을 텄다고 한다. 2기생끼린 일주일 가량 합숙까지 했다고 덧붙였다. * 스텔라이브를 시작하면서 디렉터 감기가 1기생에게 소원을 물어봤는데, 칸나와 유니가 회사에 전달한 것은 각각 오리지널 음원 발매(칸나)와 팬미팅(유니). 결국 2023년 5월 둘의 소원이 나란히 이뤄졌다. * 2023년 11월 27일 강지는 경향게임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1기생 3D 데뷔 당시 3D 기술에 대한 독자적인 경쟁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자체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https://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22|#]] * 사장 및 각 기수마다 데뷔 플랫폼이 모두 다르다. 사장 강지는 아프리카TV에서, 1기생은 유튜브에서, 2기생은 트위치에서 데뷔했다. 그리고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24년 1분기에 트위치가 한국에서 철수함에 따라]] 3기생은 [[치지직]]에서 데뷔했다. 이런 기연 때문인지 우연히 이미지 색이 각 플랫폼과 비슷한 3기생은 각각 아프리카, 트위치, 치지직, 유튜브를 상징하는 게 아니냐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 2024년 5월 4일 일본의 [[VSPO!]]와 [[히메히나]]가 소속된 일본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브레이브 그룹'과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공개되었다. [[https://vroznews.com/v/202405141715661707|#]] 제휴 프로젝트 1탄으로는 [[아야츠노 유니]]의 생일 기념 3D 콘서트를 제작 지원한다고 또한 밝혔다. * 처음에 1기생의 유닛명이 따로 없었으나 2기생 유니버스 데뷔 후 새로 추가되었다. 각 기수명을 살펴보면 미스틱은 상상의 동물인 [[아이리 칸나|용]]과 [[아야츠노 유니|유니콘]], 유니버스는 [[시라유키 히나|지구인]], [[아라하시 타비|이세계인]], [[아카네 리제|뱀파이어]], [[네네코 마시로|외계 고양이]] 등 전 우주 범위이며 3기생 클리셰는 [[유즈하 리코|힘을 잃은 용사]], [[텐코 시부키|여우신]], [[아오쿠모 린|메이드 컨셉 지하아이돌]], [[하나코 나나|어린아이처럼 생긴 비밀요원]] 등 유닛명 그대로 클리셰로 구성되어 있다. * [[도둑질|스틸라이브]] 라는 별명이 있다. 스텔(Stell)과 비슷한 단어인 스틸(Steal)을 이용한 [[말장난]]이며, 마인크래프트나 러스트 등의 대형 스트리머 서버에서 스텔라이브 멤버들이 자주 도둑질을 하거나 다른 스트리머에게 금전을 갈취하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https://youtu.be/k93fONccx3E|#]] * 1~3기생 중 '아'자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멤버는 5명으로[* [[아이리 칸나]], [[아야츠노 유니]], [[아카네 리제]], [[아라하시 타비]], [[아오쿠모 린]]]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고, 각 기수마다 이름의 끝자가 '나'인 멤버들이 있다.[* 1기생 [[아이리 칸나]], 2기생 [[시라유키 히나]], 3기생 [[하나코 나나]].] * 이브가 말하길 3기생 클리셰 멤버 전원은 딕션이 굉장히 좋고, 깔끔한 편이라 말이 귀에 쏙쏙 박힌다고 한다. * 유니버스 1주년 Q&A에서 나온 공통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시간 관계상 대답이 패스된 경우도 있다. * '첫인상과 현인상이 가장 다른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리제, 시로는 딱히 없음, 히나는 타비라고 답했다. * '가장 청초한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리제는 리제, 히나는 히나라고 답했다. 이브는 리제가 가장 청초하다고 답했는데 히나의 청초 집착 때문에 청초 타이틀은 히나로 넘어갔다. * '여자력이 가장 높은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리제를 제외한 모두가 리제를 꼽았다. * '멤버들의 유행어에 대한 첫인상은?'이라는 질문에 히나는 뿡빵띠가 의미를 알 수 없는 이상한 말이라고 답했다. * '과거의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과거의 자신에게 스페에서 자지 말라고 했으며 히나는 즐겁게 살라고 답했으며 리제는 “사장님한테 물어보지 마[* 초창기 유행어를 사장님한테 물어보고 귀엽다는 대답이 와서 썼는데, 현재는 흑역사라고 생각한다.]”, 시로는 화이팅! 이라고 답했다. * '별명이나 칭찬 중에 가장 좋았던 말은?' 이라는 질문에 시로는 밍 대장, 히나는 초사이어인, 리제는 리쪽이, 타비는 폐급[* 좋았던 별명이 아닌 기억에 남았던 별명.]이라고 답했다. * '만약 아이돌을 하지 않았다면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라는 질문에 리제는 관짝에 틀혀박혀있고 히나는 고려대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 '방송 때문에 바뀌거나 유지된 습관은?'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답했고 시로는 생활 패턴이 더 악화되었다고 답했으며[* 일어나는 시간이 원래는 10시였는데 2~3시로 바뀌었다고 한다.] 히나는 더 집에 틀어박혀있다고 답했다. * '서로에게 고마웠거나 인상적이었던 순간은?' 이라는 질문에 시로는 리제에게 화상을 입었을 때 도와준 것을 고마웠다고 답했고 히나는 생일 때 멤버들한테 받은 서프라이즈에 감동 받았다고 답했다.[* 참고로 히나는 생일 축하를 받아본 적이 별로 없으며, 그렇기에 이 서프라이즈는 절대 잊지 못할 순간이라고 말했다.] 리제도 히나한테 받은 생일 축하라고 답했다. * '유니버스 단체 휴가를 간다면?' 이라는 질문에 히나, 시로는 일본. 리제는 두바이라고 답했다. * 유니버스 1주년 합방으로 유니버스 멤버들이 거짓말 탐지기로 진실 게임을 했는데, 가장 첫 번째 질문에서 거짓이 나온 히나, 리제를 제외한 모든 질문에서 전원이 진실이 나왔다.[* 너무 진실이 나와서 중간에 리제에게 ”나는 여자다“ 라고 질문하고 리제가 ”아니다.“ 라고 답했는데, 이 조차도 진실이라고 판별되었다.] * 남성 그룹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음을 지속적으로 밝혔다. 강지가 친한 남성 스트리머들에게 스텔스타즈라고 농담 식으로 언급한 적은 있지만 실제로는 여성향 그룹에 대한 노하우가 없기 때문에 실제 계획은 일절 없다고 한다. 해외 지부의 경우에는 회사 규모가 커지고 여유가 생겼을 때 만들 의사가 있다고 한다. * 멤버들의 나이가 1000살을 넘어가거나 5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자신의 나이를 인간 기준으로 환산한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17세 언저리로 나온다. * [[시라유키 히나]]의 말에 따르면 각 멤버들에게 대표되는 색상은 있어도 고정된 퍼스널 컬러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살짝씩 바뀐다고 한다. * 유독 멤버들 중 [[경상도]] 지역의 [[동남 방언]]을 자연스럽게 구사 가능한 인물들이 많은 편이다. 웬만해서는 대부분 평소에는 표준어 사용을 전제로 하지만 특히 3기생이 나온 시점에서 대표적으로 [[아오쿠모 린]]은 해외 유학 경력이 있는 사람들의 말씨와 경상도 억양에 간혹가다 튀어나오는 경상도 사투리가 섞인 말투가 나오며, [[아이리 칸나]]의 경우 어머니가 동남방언을 구사하다 보니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평소에는 표준어로 발음하다가 경상도 사투리나 표현을 종종 하는 편이고, [[아야츠노 유니]]는 외국에서 왔지만 주변 인물 중 경상도 사투리 구사자가 있는지 데뷔날 제일 처음에 날린 말이자 명대사인 '''뭘 보노, 어딜 보노''' 였으며, [[아카네 리제]] 또한 방송 상 표준어 방송이 기본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상도 억양과 사투리가 섞일 때가 있고, [[하나코 나나]] 역시 특수한 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기도 한다. 심지어 매니저인 이브 역시 경남권 사투리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것이 밝혀졌다. 반면 [[아라하시 타비]]는 [[전라도]] 지역의 [[서남 방언]]을 구사해 다른 멤버들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일본]] 버츄얼 유튜버 쪽에서 주로 사용하던 [[X 스페이스]]를 서브 플랫폼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 플랫폼의 본격적인 방송을 킬 여건이 안 될 때 간단하게 소통하는 용으로 사용된다. * 2024년 연말, 새해를 기념해 멤버들의 한복 신의상을 공개하였다. * 2025년 초, [[강지]]를 포함한 스텔라이브 2기생, 3기생이 단체 휴가 겸 여행을 다녀왔다.[* 1기생인 [[아야츠노 유니]]는 여권 분실로 인해 불참. 원래 가기로 예정되었으나 여권이 없어진 걸 당일날 알아버려서, 그대로 한국에 남아 방송하며 졸지에 파스텔들의 빙하기를 책임지게 되었다.] * 설립자이자 대표인 강지가 픽셀 네트워크 소속이기도 하다보니 스텔라이브 아이돌들과 픽셀 스트리머들 끼리 합방 컨텐츠를 하거나 대규모 스트리머 서버에서 오다가다 마주치면 인사를 하는 등 친분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꼭 픽셀 소속 스트리머들 뿐만 아니라 강지와 친분있는 다른 스트리머들도 마찬가지. * [[굴단]]이 이상하게 라이벌 의식을 가진다. 하도 사이버불링을 갈기다 보니 도리어 더 유명해졌다. 스텔 홍보는 대☆굴☆황 == 관련 문서 == * [[강지]] * [[유메퍼센트]]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include(틀:액셀러즈)]
요약
되돌리기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