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18.224.37.16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소유권 이전과 관련한 공지
공학
(r9로 되돌리기)
닫기
[[분류:공학]] [목차] [clearfix] == 개요 == 공학은 [[자연과학]]의 원리와 [[수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기술·제품·시스템을 설계·개발하는 [[응용과학]] 분야이다.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서 출발해, 그것을 인간의 삶에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한다. 기술적 안전성, 경제성, 효율성 등을 동시에 고려하며, 현실적인 제약 조건 내에서 최적의 해답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효율충 == 최대한 절약하면서 고쳐야한다는 밈이 존재한다. [[파일:공학식 해결법.png]] ||<-4> {{{+1 움직이는가?}}} || ||<-2> '''예''' ||<-2> '''아니오''' || ||<-2> ''움직여야 하는가?'' ||<-2> ''움직여야 하는가?'' ||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 || ''문제 없음'' || 덕트 테이프 || WD-40 || ''문제없음'' || 다만 실제로 덕트 테이프는 매우 강력하다. 비행기 외관의 임시 수리를 위해서 덕트 테이프를 사용할 정도. [[파일:만능덕트테이프.jpg|width=500]] --돈이 안되는건 안한다.-- --공학을 배우는것도 돈을 벌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현실 세계의 역학('''비용'''', 시간, 성능, 무게 등)이 강하게 작용한다. 새로운 학문적 탐구보다 '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가'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수백년도 전에 개발된 방법이 현대까지 쓰이기도 하고,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탄생한 지 몇달도 안된 신기술로 갈아타기도 한다. 이러한 유연함이 일반적인 이론학계, 순수학계와의 큰 차이점으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무에서 쓰이는 내용이 차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분야에 따라 상당히 정적인 학과도 있고 학교가 최신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순수학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신화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아무래도 돈이 되고, 실제로 판매해서 성능을 테스트하다 보니 학계에서 연구하는 만큼 기업에서도 연구를 자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이랑 친하기 때문에 공대에서는 기업 연계 과정이나 코옵, 협업 과제 등을 같이하기도 한다. 때문에 표준화에 매우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현실세계에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이 회사에서 만든 거랑 저 회사에서 만든 거랑 안맞으면 개고생이기 때문. 나사에서는 단위계도 하나로 못 쓰다가 탐사선을 날려먹은 전적도 있다. == 분야 == * [[건축|건축공학]] * [[기계공학]] * 나노공학 * 로봇공학 * 산업공학 * 에너지공학 * 원자력공학 * 전기전자공학 * 재료공학 * [[컴퓨터공학]] * 토목공학 * 환경공학 * 항공우주공학 * 화학공학
요약
되돌리기
사용자
18.224.37.16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